KR100880732B1 -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그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그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732B1
KR100880732B1 KR20080084842A KR20080084842A KR100880732B1 KR 100880732 B1 KR100880732 B1 KR 100880732B1 KR 20080084842 A KR20080084842 A KR 20080084842A KR 20080084842 A KR20080084842 A KR 20080084842A KR 100880732 B1 KR100880732 B1 KR 100880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waste reduction
reduction processing
control serv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8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승환
Original Assignee
(주)도울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울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도울정보기술
Priority to KR20080084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와 그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관리 시스템은 각 지역에 분산설치되어 있고 식별을 위한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있으며, 전광판을 통해 사용 여부를 안내하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와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상기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고 관리대상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유지보수정보와 슬러지 수거정보와 고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으며 조치내용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들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들을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함과 아울러 각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유지보수정보와 슬러지 수거정보와 고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통합하여 관리하며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로부터 고장이 보고되면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전광판에 사용금지를 표시하게 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유지보수를 명령하는 관제서버로 구성된다.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 관제서버, 이동통신망, 유지보수, 고장, 전광판

Description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그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FOOD WASTE REDUCTION APPARATUS, SYSTEM FOR AND METHOD OF MANAG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분쇄와 탈수과정을 거쳐 발효조로 이송된 후 발효과정을 거쳐 원래의 쓰레기량에 비하여 80% 이상 감량처리할 수 있는 중형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작을 자동화하기 위한 감시제어전장부에 통신모듈을 부가하여 원격지의 관제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원격 관제가 가능한 중형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와 그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량생산에 근거한 급속한 경제력의 향상으로 물질적 풍요가 증가하면서 일상생활중에 상대적으로 많은 쓰레기들이 발생하여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생활 쓰레기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재활용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고 있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그대로 수집하여 이송할 경우에는 누출수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고, 수집된 쓰레기의 무게가 무거워 운송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와 발효과정을 거쳐 감량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가 개발되었고,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여 퇴비나 사료로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하여 감량하는 장치로는 한국 특허청에 특허 제 10-07344619 호로 등록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처리장치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이동 스크류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절재 이물질의 유입에 대비하기 위한 과부하 유니트를 두고 있다. 또한 발효과정에서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장치와, 산화처리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관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처리장치는 스크류 회전 검출 센서와 모터 구동과 제어 정도의 전장장치를 두고 있어 감량처리장치의 관리에 필수적인 감시제어기능이 미비할 뿐만 아니라 원격지 통신기능과 사용자 알림 기능, 이들을 통제하는 원격지의 중앙 관제 서버 시스템이 부재한 실정이다. 즉,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는 그 사용 목적상 고장과 수거 시점을 관리자에게 빠른 시간 내에 제공하여 장시간 이용이 차단되거나 고장 시에도 음식물이 투입되는 상황을 줄이는 게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는 제공하는 기능이 기계적인 수준에 머물러 자동화율이 낮아 사용자가 이용할 때 상당한 수동 조 작을 요구하게 되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고장 시에도 민원 요구 절차에 따라 담당자가 출동하여 수리할 수밖에 없어 한번 고장이 발생하면 장기간 이용할 수 없게 되고, 유지관리를 위해 인건비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에 감시.제어 기능 및 관제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감시제어전장부를 부가하고 사용을 위한 출입장소에 전광판을 설치하여 고장상황이나 운영상황을 표출할 수 있는 원격 관제가 가능한 중형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햇빛가리개 역할과 강수에 대한 보호기능을 갖는 지붕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부가하여 전원공급이 어려운 장소에 설치할 수 있고 전력사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중형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넓은 지역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들을 중앙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에 RFID 태그(tag)를 부착하여 고장시 또는 슬러지 수거시에 휴대형 RFID 리더기능을 갖는 PDA를 이용하여 현장과 원격지 관제센터가 감시정보 및 관리정보를 신속하게 송수신하여 효율적 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분쇄와 탈수를 수행하는 메인 하우징부; 상기 메인 하우징부에서 분쇄 탈수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와 교반 작업을 수행하여 재활용 가능한 슬러지 형태로 배출하는 발효 하우징부;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가능 여부를 표시하여 주민에게 안내하기 위한 전광판; 및 관제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작동상태를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부와 상기 발효 하우징부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감시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메인 하우징부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발효 하우징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며,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관제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광판에 사용중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감시제어전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비와 햇빛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지붕형 태양열 발광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제어전장부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고유 ID를 저장하고 있는 ID저장부와, 상기 메인 하우징부나 상기 발효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각종 상태를 감지 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각종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조작을 입력받아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전체 기능을 제어함과 아울러 동작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고장이 감지되면 상기 ID 저장부의 고유 ID와 함께 통신 패킷을 행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에 보고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전광판에 사용안내 정보를 표시하며 전원상태를 감시제어하는 제어처리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은, 각 지역에 분산설치되어 있고 식별을 위한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있으며, 전광판을 통해 사용 여부를 안내하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와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상기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고 관리대상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유지보수정보와 슬러지 수거정보와 고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으며 조치내용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들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들을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함과 아울러 각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유지보수정보와 슬러지 수거정보와 고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통합하여 관리하며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로부터 고장이 보고되면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전광판에 사용금지를 표시하게 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유지보수를 명령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관리방법은 관리할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와 담당관리자 및 유지보수요원의 단말기를 등록하는 단계; 등록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로부터 고장정보가 접수되면, 복구를 시 도하도록 하고 복구에 실패하면 전광판에 사용중지를 표출하도록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에 명령하고 고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담당관리자나 유지보수요원의 단말기로 고장내역을 통지하여 유지보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유지보수결과를 수신받아 정상동작이 확인되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함과 아울러 전광판에 사용 가능을 표출하도록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에 명령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원격중앙 관제가 가능한 중형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는 기존의 기계적 수준의 장치에 비하여 자동화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통신기능을 통해 원격 관리서버와 통신하여 고장시 신속하게 A/S를 가능하게 하며, 사용 가능여부를 전광판으로 안내하여 고장시 음식물 쓰레기가 적체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에 RFID 태그를 부착한 후 슬러지 수거요원이나 관리자, A/S 요원 등의 휴대형 RFID PDA로 RFID 태그를 읽고 관제서버와 현장에서 바로 정보를 송수신하여 감량처리장치의 고장 오류정보처리, 수거작업의 정보처리, A/S 작업의 정보처리 내용을 신속하게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용자인 주민들에게 LED 전광판을 이용하여 고장이나 운용상황을 알려줄 수 있어 이용과 관리에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햇빛가리개 역할과 강수에 대한 보호기능을 갖는 지붕형 태양광 발전장치를 부가하여 전원공급이 어려운 장소에 설치할 수 있고 전력사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원격 관제가 가능한 중형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전체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아파트단지나 지역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고 CDMA 이동통신망(104)을 거쳐 인터넷(102)으로 관제서버(110)와 통신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들(200)과, 인터넷(102)에 접속되어 각 아파트단지나 지역에 분산되어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들(200)을 통합 관리하는 관제서버(110)와, 운영자가 관제서버(11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제 단말기(112)와, A/S 요원이 CDMA 이동통신망(104)을 통해 인터넷(102)으로 관제서버(110)에 처리내역을 송신하고 관리대상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유지보수정보와 슬러지 수거정보와 고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며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휴대형 RFID PDA(122)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앙 관제 센터에 위치한 관제서버(110)는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200)의 감시제어전장부와 CDMA/인터넷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감시정보와 제어정보를 패킷형태로 송수신하여 원격지 감시기능과 제어기능을 제공하고, A/S 요원(120)은 휴대형 RFID PDA(122)뿐만 아니라 CDMA 이동통신망(104)에 연결되는 핸드폰(124)의 SMS를 통해서도 관제서버(110)로부터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역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들(200)은 CDMA 안테나(202)를 통해 CDMA이동통신망(104)과 연결되어 관제서버(110)와 통신할 수 있고, 지붕형 태양광 발전기(210)로부터 얻어진 전기로 충전 배터리(212)를 충전시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200)가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LED전광판(204)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수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200)는 RFID 태그(206)에 수록된 고유의 ID에 의해 식별될 수 있으며, A/S요원이 휴대하고 다니는 PDA(122)는 RFID 리더 기능을 구비하여 각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에 부착된 RFID 태그(206)를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터넷(102)이나 CDMA 이동통신망(104)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동작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원격 관제가 가능한 중형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분쇄와 탈수를 수행하는 메인 하우징부(220)와, 분쇄 탈수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부(230)와,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와 교반 작업을 수행하여 재활용 가능한 슬러지 형태로 배출하는 발효 하우징부(240)와, 탈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수에 대하여 정화공정을 수행하는 정화부(250)와,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전체 공정에서 생성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부(260)와, 감량처리장치의 각 구성부의 작동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감시제어전장부(270)로 구성되어 전체 장치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고 원격지의 관제서버(11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가 쓰레기 봉지를 들고 와서 감량처리장치의 투입구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 남은 쓰레기 빈봉지를 봉지수거함에 넣으면 공기압으로 빨아들여 쓰레기봉지를 장치 안의 봉지보관장소에 압착하여 넣게 되고, 봉지수거함의 물분사장치를 이용하여 깨끗이 씻어주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기존에 봉지수거함 통에 봉지를 넣는데 커버를 열고 지저분한 봉지들을 보게 되어 불쾌하게 여기는 측면과 수거함 커버를 손으로 열고 닫는 것 또한 지저분하여 불쾌하게 여기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가 가능한 중형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200)는 태양광발전부(210)의 전원이나 상용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는데, 메인 하우징부(220)는 커버자동개폐부와, 세척물 공급부, 분쇄부, 탈수배출부로 이루어지고, 발효 하우징부(240)는 탄소필름히터부와, 교반부, 배출구부로 이루어지며, 감시제어전장부(270)는 인터페이스부와, 전원부, 제어처리부, 센서부, 통신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메인 하우징부(220)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메인 하우징 부(220)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메인 하우징부(220)는 메인하우징커버부(221)와, 개폐모터부(222), 좌우개폐작동부(222a), 상하개폐작동부(222b), 세척물공급부(223), 탈수망부(224), 쓰레기 저장부(224a), 방수외관부(225), 분쇄칼날부(226), 배수구부(227), 분쇄모터부(228), 배출장치부(229)로 구성되어 좌우개폐작동부(222a)에 의해 메인하우징커버부(221)가 개방될 때 쓰레기 저장부(224a)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모터부(228)를 작동시켜 분쇄칼날부(226)로 분쇄하여 탈수망부(224)로 탈수시킨 후 상하개폐작동부(222b)를 통해 배출장치부(229)를 열어 이송부(230)로 배출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메인 하우징부(22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 접근확인 대기상태에서 이용자가 접근하는 것이 검출되면, 메인하우징커버부(221)를 자동으로 열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게 한다(S101~S103).
이어 쓰레기저장부(224a)에 내용물이 존재하는 것이 감지되면, 메인하우징커버부(222a)를 자동으로 닫은 후 분쇄모터부(228)를 작동시켜 분쇄작업을 실시한다(S104~S106).
분쇄 및 탈수과정에서 탈수가 완료되어 배출구부(227)에서 수분이 감지되지 않으면 배출장치 열림 동작을 통해 배출장치부(229)를 열고, 분쇄 및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원심력으로 자동 배출한다(S107~S109).
이어 이송부(230)를 작동시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메인 하우징부(220)로 부터 발효 하우징부(240)로 이송시킨다(S110).
배출이 완료되어 쓰레기저장부(224a)에 내용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분쇄배출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분쇄모터부(228)를 정지시키고, 배출장치부(229)를 닫은 후 이송부(230)를 정지시킨다(S111~S11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발효 하우징부(240)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발효 하우징부(240)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발효 하우징부(240)는 발효하우징커버(241)와, 발효하우징 외벽부(242a), 발효하우징 내벽부(242b), 슬러지 저장부(242c), 분쇄쓰레기투입부(243), 카본필름히터(244), 교반날개부(245), 슬러지배출개폐부(246), 물공급장치부(247), 습온도센서(248), 교반모터부(249)로 구성되어 이송부(230)를 거쳐 분쇄쓰레기투입부(243)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슬러지저장부(242c)에 넣고 교반모터부(249)를 작동시켜 교반날개부(245)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킨 후 적정한 온습도하에서 발효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슬러지로 변환시킨 후 슬러지 배출개폐부(24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적정한 발효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카본필름히터(244)로 온도를 유지시키고, 물공급장치부(247)로 습도를 유지시키며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감시제어전장부(270)와 습온도센서라인(L2), 물공급감시제어라인(L3), 카본히터필름감시제어라인(L4), 모터작동감시제어라인(L5)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발효 하우징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상태로 대기하다가 종료신호가 아니면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교반모터부(249)를 작동시켜 교반을 시작한다(S201~S204). 쓰레기가 투입되면 교반 과정을 반복한다.
쓰레기 투입이 완료되면, 배출개폐기 열림을 판별하여 열림인 경우에는 슬러지배출을 시작하고, 교반모터부(249)를 작동시켜 배출이 쉽게 이루어지게 한다(S205~S207).
배출개폐기가 닫히면, 슬러지 배출을 종료하고 교반기습도(슬러지 저장부의 습온도센서의 감지습도)가 70% 내지 80%(또는 별도로 제어기에서 설정기능으로 설정 가능)이고, 교반기온도(슬러지 저장부의 습온도센서의 감지온도)가 38° 내지 42°(또는 별도로 제어기에서 설정기능으로 설정 가능)이면 정상상태로 대기한다(S208~S210). 만일, 교반기습도가 70% 아래로 내려가면 물을 분사시켜 습도를 유지시키고, 교반기온도가 38°아래로 내려가면 카본필름히터(244)를 작동시켜 온도를 상승시키며, 교반기온도가 42°이상으로 올라가면 냉각관에 물을 공급시켜 온도를 하강시킨다(S211~S213).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의 전면패널의 예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의 상세 구성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의 전면패널(270a)에는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 표시부(275)가 있고, 동작상태를 알려주는 LED 표시부(274)가 있으며, 숫자패드와 각종 조작 키가 위치하여 관리자가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CD 표시부(275)에는 통신가능여부와 모델명, 분쇄모터의 상태, 충전용량, 발효온도, 슬러지량 등이 표시되고 있다. 그리고 LED 표시부(274)는 전원상태, 분쇄조에러, 교반조에러, 밧데리용량, 통신에러 등을 표시할 수 있고, 동작과정을 표시하거나 수동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커버열림(K1), 분쇄(K2), 이송(K3), 배출(K4), 배출종료(K5) 등의 버튼이 있다. 또한, LED 표시부(274)에 있어 화면에 기능설정이나 작동 기능 또는 장치버튼으로 이동시에는 비밀번호를 입력토록 하고 입력된 비밀번호가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에 한하여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는 CDMA안테나(202)를 통해 CDMA이동통신망(104)과 통신하기 위한 CDMA통신부(272)와, 수동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73),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표시부(274), 동작상태와 설정 메뉴 등을 표시하기 위한 LCD 표시부(275),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사용가능 여부를 안내하기 위한 LED전광판(204),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고유 ID를 저장하고 있는 ID저장부(206a), ID를 저장하고 있는 RFID 태그(206), 상용 교류(AC)전원이나 태양전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각부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78), 메인 하우징부(220)나 발효 하우징부(240), 이송부(230) 등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각종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처리부(271)로 전달하는 센서부(276)와, 메인 하우징부(220)나 발효 하우징부(240), 이송부(230) 등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제어처리부(271)의 제어에 따라 각종 동작을 일으키는 작동부(277), 센서부(276)로부터 각종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부(273)로부터 조작을 입력받아 작동부(277)를 제어하여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전체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동작상태를 LED표시부(274)와 LCD 표시부(275)에 표시하고, 에러가 감지되면 ID저장부(206a)의 고유 ID와 함께 통신 패킷을 형성하여 CDMA 통신부(272)를 통해 관제서버(110)에 보고하고, 관제서버(110)로부터 CDMA통신부(272)를 통해 수신된 명령을 실행하여 LED전광판(204)에 사용안내 정보를 표시하며 전원상태를 감시제어하는 제어처리부(271)로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관제서버가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각 지역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200)는 통신망(102,104)을 통해 관제서버(110)에 접속하여 등록하고, A/S용 요원이나 관리자가 소지하는 RFID 리더기능이 있는 PDA(122)도 관제서버(110)에 등록한다(S1,S2). 이러한 등록절차는 운영자가 관제 단말기(112)를 통해 일괄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관제서버(110)는 등록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200)와 PDA(122)를 관리하기 위하여 다음 표1과 같은 관리 데이터베이스(DB)를 생성한다(S3).
감량처리장치ID 모델 설치위치 담당자성명 담당자PDA 담당자핸드폰
FF11222D xxxx 관악구 드림타운 1 홍길동 010-2311-0021 011-239-4241
FF114432 xxxx 감남구 역삼동 829-1 김갑돌 010-233-0123 011-389-3241
... ... ... ... ... ...
... ... ... ... ... ...
이후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가 에러를 검출하면 CDMA통신망(104)과 인터넷(102)을 통해 관제서버(110)에 에러를 보고하고, 이에 따라 관제서버(110)는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로 복구명령을 내린다(S4,S5). 복구동작을 시도해도 에러가 해소되지 않으면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는 관제서버(110)로 복구실패를 보고하고, 이에 따라 관제서버(110)는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200)의 에러상태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 후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로 사용중지를 표시하도록 명령하고, 이에 따라 감시제어전장부(270)는 LED전광판(204)에 사용중지 안내와 A/S관련정보를 표출한다(S6~S9).
그리고 관제서버(110)는 관리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관리담당자나 A/S요원의 PDA(122)로 에러상태를 전송하여 출동을 지시한다(S10).
A/S요원이나 관리담당자는 현장에 출동하여 PDA(122)의 RFID 리더로 RFID 태그(206)를 읽은 후 적당한 조치를 취하고, 조치내역을 PDA(122)로 입력하여 관제서버(110)로 조치결과를 보고한다(S11). 만일, A/S작업이었으면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는 정상동작을 검출하여 정상동작상태를 보고한다(S12).
관제서버(110)는 조치결과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정상동작을 확인한 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A/S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에 사용을 표시하도록 명령하며, 이에 따라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LED 전광판(204)은 사용가능 상태를 표출한다(S13~S15).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200)의 고장(에러)시 신속한 A/S를 가능하게 하고, 고장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사용을 중지하도록 안내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고장(오류)정보를 처리하는 세부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는 감량처리장치의 고장 및 오류가 발생하면 CDMA 통신망(104)으로 원격지의 관제서버(110)로 고장/오류정보 패킷을 송신하고, 관제서버(110)는 오류목록에 정보를 추가한 후 해당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에 3분 정도의 짧은 시간 간격으로 3회 정도 오류에 따른 정상동작 제어명령을 하달(전송)하도록 한다(S301~S303).
그런데도 정상동작을 하지 못하는 쓰레기 감량처리장치가 있을 경우 관제서버(110)는 A/S 요원의 휴대형 RFID PDA(122)에 오류정보와 해당 감량처리장치의 ID를 통지하고, 감량처리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LED 전광판(204)에 오류 안내 메시지 및 출동 예정시간이 표출되도록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에 명령을 전송한다(S304~S307). 그리고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200)에서 사용자 접근시 커버 자동 열림동작을 차단한다(S308).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수거작업정보 처리절차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관제서버(110)는 수거 작업자의 휴대형 RFID PDA(122)에 수거할 감량처리장치의 ID 목록을 전송하고, 현장 수거자는 출동 후 휴대형 RFID PDA(122)를 이용하여 감량처리장치의 RFID 태그(tag)를 인식시킨다(S401,S402).
이어 수거 작업자는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에 있는 배출 버튼(K4)을 누르고, 이에 따라 해당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는 슬러지 배출 프로세스를 작동하게 된다(S403,S404). 그리고 수거작업이 종료되면 배출종료(K5) 버튼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는 수거작업 후 변동상태 정보를 관제서버(110)에 전송하게 된다(S405,S406).
관제서버(110)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수거정보 DB를 갱신하게 되고, 수거자의 PDA(122)의 수거목록 또한 자동 갱신하게 된다(S407,S408).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A/S작업정보 처리절차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A/S 요원의 휴대형 RFID PDA(122)를 이용하여 해당 감량처리장치의 RFID 태그(tag)를 인식하면 PDA(122)에 기 수신된 고장목록을 tag ID를 이용하여 검색한 후 PDA의 디스플레이에 표출한다(S501,S502).
이어 표출된 정보를 참조하여 A/S 요원은 고장 수리를 처리한 후 작업정보를 입력하여 관제서버(110)에 전송하면 관제서버(110)는 수신된 수리정보를 갱신하게 된다(S503,S504).
그리고 관제서버(110)는 고장상태에서 수리 후 정상상태로 변화된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270)에 LED 출력 정보를 고장에서 정상으로 갱신하도록 갱신명령을 전송한다(S505,S506). 이에 따라 현장의 LED 전광판(204)은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의 제어에 따라 수신받은 정보를 갱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감시제어전장부(270)는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200)에서 사용자 접근시 커버 자동 열림동작을 허용한다(S507).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전체 구성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메인 하우징부의 상세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메인 하우징부의 동작 순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발효 하우징부의 상세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발효 하우징부의 동작 순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의 전면패널의 예,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의 상세 구성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를 관제서버가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고장오류 정보처리절차의 세부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수거작업 정보처리절차의 세부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A/S작업 정보처리절차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인터넷 104: 통신망
110: 관제서버 112: 관제단말기
122: RFID PDA 124: 핸드폰
202: CDMA 안테나 204: LED전광판
206: RFID태그 210: 지붕형 태양광 발전장치
212: 충전밧데리 220: 메인 하우징부
230: 이송부 240: 발효 하우징부
250: 정화부 260: 탈취부
270: 감시제어전장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각 지역에 분산설치되어 있고 식별을 위한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있으며, 전광판을 통해 사용 여부를 안내하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와 통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상기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고 관리대상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유지보수정보와 슬러지 수거정보와 고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할 수 있으며 조치내용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들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들을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함과 아울러 각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유지보수정보와 슬러지 수거정보와 고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통합하여 관리하며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전광판에 사용가능 여부를 표시하게 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유지보수 명령과 보고를 받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관리 시스템에서의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관리방법은,
    각 지역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에 대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에 접속하여 등록하는 제1단계;
    A/S용 요원이나 관리자가 소지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상기 관제서버에 등록하는 제2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등록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관리하기 위하여 관리 데이터베이스(DB)를 생성하는 제3단계;
    상기 등록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가 에러를 검출하면 CDMA통신망과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에 에러를 보고하는 제4단계;
    에러를 보고받은 상기 관제서버가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상기 감시제어전장부로 복구명령을 내리는 제5단계;
    복구동작을 시도해도 에러가 해소되지 않으면 상기 감시제어전장부가 상기 관제서버에 복구실패를 보고하는 제6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에러가 해소되지 않은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에러상태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제7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에러가 해소되지 않은 상기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로 사용중지를 표시하도록 명령하는 제8단계;
    상기 에러가 해소되지 않은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가 LED전광판에 사용중지 및 A/S 안내를 표시하는 제9단계;
    상기 관제서버가 관리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관리담당자나 A/S요원의 무선통신 단말기로 에러상태를 전송하여 출동을 지시하는 제10단계;
    출동지시를 받은 A/S요원이나 관리담당자는 현장에 출동하여 조치를 취하고, 조치내역을 무선통신 단말기로 입력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조치결과를 보고하는 제11단계;
    A/S작업이었으면 상기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가 정상동작을 검출하여 정상동작상태를 상기 관제서버에 보고하는 제12단계;
    상기 관제서버는 조치결과 상기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정상동작을 확인한 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제13단계;
    상기 관제서버는 A/S가 완료된 상기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감시제어전장부에 사용을 표시하도록 명령하는 제14단계;
    정상동작상태가 확인된 상기 해당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LED 전광판에 사용가능 상태를 표출하는 제15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의 관리 방법.
KR20080084842A 2008-08-29 2008-08-29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그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0880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4842A KR100880732B1 (ko) 2008-08-29 2008-08-29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그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4842A KR100880732B1 (ko) 2008-08-29 2008-08-29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그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732B1 true KR100880732B1 (ko) 2009-02-02

Family

ID=4068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84842A KR100880732B1 (ko) 2008-08-29 2008-08-29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그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7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6242A (zh) * 2012-06-07 2013-12-25 深圳商联商用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分类管理的方法及系统
CN104889135A (zh) * 2015-05-14 2015-09-09 中欧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电子废弃物处理监管系统
CN105834197A (zh) * 2016-05-19 2016-08-10 四川天府立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处理及残油监督回收方法及系统
KR101779722B1 (ko) * 2016-10-13 2017-09-18 주식회사 에코저 SoC 기반의 친환경 음식물 처리 장치
KR20220073894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그룬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264A (ja) * 1997-03-19 1998-09-29 Seirei Ind Co Ltd 太陽電池を装備した生ごみ処理装置
KR100448668B1 (ko) * 2001-09-06 2004-09-1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산업시설 관리 시스템
KR100737942B1 (ko) * 2006-09-06 2007-07-13 (주)나노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8117364A (ja) * 2006-10-13 2008-05-22 Kansai:Kk 電子マニフェスト運用icカードシステム及び電子マニフェスト運用rfidタグ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264A (ja) * 1997-03-19 1998-09-29 Seirei Ind Co Ltd 太陽電池を装備した生ごみ処理装置
KR100448668B1 (ko) * 2001-09-06 2004-09-1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산업시설 관리 시스템
KR100737942B1 (ko) * 2006-09-06 2007-07-13 (주)나노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8117364A (ja) * 2006-10-13 2008-05-22 Kansai:Kk 電子マニフェスト運用icカードシステム及び電子マニフェスト運用rfidタグ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6242A (zh) * 2012-06-07 2013-12-25 深圳商联商用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分类管理的方法及系统
CN104889135A (zh) * 2015-05-14 2015-09-09 中欧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电子废弃物处理监管系统
CN105834197A (zh) * 2016-05-19 2016-08-10 四川天府立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处理及残油监督回收方法及系统
KR101779722B1 (ko) * 2016-10-13 2017-09-18 주식회사 에코저 SoC 기반의 친환경 음식물 처리 장치
KR20220073894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그룬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12367B1 (ko) * 2020-11-26 2022-06-27 (주)그룬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732B1 (ko)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그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N206032332U (zh) 智能分类回收垃圾箱
CN205023252U (zh) 一种垃圾桶及基于互联网的垃圾回收管理系统
CN105730411A (zh) 新能源汽车电池置换系统
CN110902188B (zh) 一种智能化垃圾分类垃圾箱
CN206492777U (zh) 一种实验室用通风柜系统
CN205169472U (zh) 带有称重功能的智能分类回收垃圾箱
CN105436188A (zh) 垃圾分类处理系统及其使用方法
CN105044370A (zh) 一种无人值守的重金属污水监测设备
CN205203921U (zh) 智能分类回收垃圾箱
CN105931454A (zh) 低功耗无线通信探测装置及探测方法
CN106882508A (zh) 垃圾站识别系统和方法
CN108328177B (zh) 一种包括备用电源的垃圾投放装置及控制方法
CN108037709A (zh) 干化机远程控制系统、方法及污泥低温干化机
CN206773562U (zh) 沼气远程监控及控制系统
CN215945632U (zh) 一种智能管理垃圾厢房
CN205721412U (zh) 智能遥控弱电箱
CN211997191U (zh) 一种智能垃圾桶监管系统
CN213324899U (zh) 一种智能垃圾回收设备
CN213264005U (zh) 一种垃圾分类箱
CN201142024Y (zh) 智能垃圾转运站控制系统
CN202897292U (zh) 城市垃圾管理系统
CN102935922A (zh) 城市垃圾管理系统
CN208060984U (zh) 一种智能水质监测控制设备
TW201318557A (zh) 具備飼料回收的可程式水產養殖餵食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