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367B1 -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367B1
KR102412367B1 KR1020200161578A KR20200161578A KR102412367B1 KR 102412367 B1 KR102412367 B1 KR 102412367B1 KR 1020200161578 A KR1020200161578 A KR 1020200161578A KR 20200161578 A KR20200161578 A KR 20200161578A KR 102412367 B1 KR102412367 B1 KR 102412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waste collection
agricultural waste
waste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894A (ko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주)그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룬 filed Critical (주)그룬
Priority to KR102020016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3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20Analytics; Diag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40Maintenance of 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폐기물을 종류별로 분리 수거하고, 폐기물 종류별 분리 수거량을 센싱 및 통보하는 다수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IoT 통신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리포팅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리포팅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의 폐기물 수거 현황을 통합 관리하고,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가 수거 대상함으로 검출되면 수거 업체 단말에 상기 수거 대상함의 폐기물 수거를 요청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gricultural waste collection boxes in a non-face-to-face manner}
본 발명은 영농폐기물 수거함을 비대면 방식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농폐기물은 사용하고 버려진 폐비닐과 폐농약용기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017년 기준 영농 폐비닐 미수거량(=발생량-수거량)은 11만톤(=31만톤-20만톤)이고, 폐농약용기 미수거량은 1천3백만개(=7천4백만개-6천1백만개)에 이르고 있다. 2010~2017년 연평균 폐비닐 및 폐농약용기의 미수거율(발생량 대비 미수거량 비율)은 각각 42%와 24%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농폐기물은 결국 불법소각, 불법매립, 방치로 인한 인근 수계 유입 등으로 다양한 환경적, 경관적, 사회·경제적, 정책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의 여러 지원정책과 수거정책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 폐비닐은 연간 32만톤 발생하고 있다. 이중 26만톤은 민간과 국가에서 수거 및 재활용되고 있으며, 약 6만톤은 매몰 또는 불법 소각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폐농약용기는 연간 약 7천3백만개 발생, 이 중 약 82%인 6천만개 수거, 1천3백만개는 미수거 방치되어 환경과 경제적 측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환경적으로는 수거되지 못한 6만톤의 폐비닐과 1천3백만개의 폐농약용기는 불법매립으로 인해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을 유발시키고 있고, 불법소각으로 인해 산불발생의 단초를 제공하거나 미세먼지 발생을 유발하는 등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무단방치로 인해서 인근 수계로 유입되면서 수질을 오염시키는 등 피해의 범위를 확산시키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영농폐기물의 미수거로 인한 재활용 차원의 비용 손실과, 산불 및 미세먼지 발생, 토양 및 지하수, 수질오염으로 인한 정화 및 복구 등과 같은 2차적 손실 비용을 높이고 있다.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은 기본적인 생산기능 외에 환경보전, 경관가치, 농촌사회유지, 식량안보 등과 같은 다원적 기능으로 설명할 수 있다. 문제는 영농폐기물이 농촌다움이 유지·보전되는 공익적 기능, 특히 경관가치를 크게 훼손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농업비점오염 증가(난분해성물질 및 독성물질 수계 유입)는 이에 대한 저감 기술과 관련된 정책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실제 농민들이 영농현장에서 저감 활동에 참여하지 않으면 제어하기 어렵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심각한 것은 농약류의 대부분이 다이옥신류로 분류되는데, 이는 난분해성 물질로 잘 분해가 되지 않으며 전 세계적으로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사례를 들면, 새만금지역 수질관리에 있어 새만금 유역에서 발생하는 영농폐기물인 폐농약용기 안의 잔류 농약이 수계 내 총 유기탄소량(Total Organic Carbon: TOC)의 증가를 초래하여 새만금 수질관리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이를 둘러싼 지자체 및 연관 유관단체, NGO 간 갈등요인으로 작용하여 사회적 문제가 야기 되고 있다.
한편, 코로나 19 사태로 비대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대규모 영농폐기물 수거행사와 체계적 관리에 취약한 수거시스템으로 인해서 농촌지역이 집단감염의 발원지가 될 수 있으며, 특히 고령화 지수가 높은 농촌지역의 경우 보건안전에 대한 우려가 매우 크다.
영농폐기물의 경우 주민의 1차 수거(농경지 ■ 공동집하장)와 민간위탁업자의 2차 수거(공동집하장 → 공단사업소), 이후 처리(재활용, 소각)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데, 주민의 니즈를 파악하지 못한 행정 편의적 정책집행으로 각 단계마다 문제가 있어 정부정책을 불신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환경부는 "2019년 기준 공동집하장이 전국적으로 총 8,686곳이고, 2021년까지 매년 815~950곳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힌 가운데, 공동집하장의 관리와 폐기물의 분류가 문제되고 있다. 즉, 공동집하장의 경우 여러 종류의 폐기물이 뒤엉켜 배출되면서 집하장 관리와 정리에 적잖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와 더불어 영농폐기물이 제때 수거되지 않아 폐기물 산을 이루거나, 오염원의 방치와 유출로 주민들의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편, 2019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비율은 14.9%인데 비해, 농촌의 고령화율은 46.6%로 3배 높게 나타남(통계청, 2020). 이러한 농촌 인구의 높은 고령화로 인해 영농폐기물의 자발적 수거와 공동집하장까지 이동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지 못한 보여 주기식의 정책과 행정의 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중간 민간수거업자 부족 및 낮은 비용보전(52원/kg, 거리병산제)으로 폐기물의 적기 수거가 어려운 실정임. 즉 민간수거업체의 비용문제로 인해 수거 요청을 해도 제대로 수거되지 않고 특정한 날에만 수거하고 있어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사례를 들면, 마을 내 설치되어 있는 수거함이 가득차도 수거가 제대로 되지 않는 수거 시스템 미비와 무관심 때문에 대부분 소각되고 있다(새만금유역 농촌마을 농업비점 기초현황 및 인식조사_농민 인터뷰 내용, 전라북도 2020.2).
영농폐기물은 상시적, 중점적인 수거와 관리가 필요한 품목인데, 각급 지자체의 경우 열악한 재정상황과 인력??장비 확보의 어려움을 이유로 연중 2회(봄 3~5월과 가을 11~12월) 한시적으로 수거하고 있어 진정한 주민편의적 행정과는 거리가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96622호(공개일자 2012년08월31일)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IoT 통신 기능을 가지는 영농폐기물 수거함을 이용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의 폐기물 수거 현황을 파악하고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폐기물 수거 현황에 관련된 다양한 부가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폐기물을 종류별로 분리 수거하고, 폐기물 종류별 분리 수거량을 센싱 및 통보하는 다수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IoT 통신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리포팅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리포팅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의 폐기물 수거 현황을 통합 관리하고,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가 수거 대상함으로 검출되면 수거 업체 단말에 상기 수거 대상함의 폐기물 수거를 요청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수거 대상함이 검출되면, 상기 수거 대상함에 가장 인접 위치되며 폐기물 수거가 가능한 주변 영농폐기물 수거함을 탐색한 후, 상기 수거 대상함을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에 안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수거 대상함이 다수개인 경우, 상기 수거 대상함들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폐기물 수거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수거 업체 단말에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의 폐기물 수거 현황을 폐기물 종류별로 구분하여 확인한 후, 수거 대상 폐기물의 종류에 기반하여 수거 업체를 달리 호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의 센싱 정보의 수신 패턴에 기반하여, 영농폐기물 수거함 고장 발생을 확인 및 통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 발생이 확인되면, 고장 상태의 영농폐기물 수거함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거함 수리 업체 단말에 전송하면서 고장 수리를 요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은 수거함 본체; 상기 수거함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폐기물이 종류별로 분리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수거함; 및 상기 수거함 각각에 분리 설치되어, 폐기물 종류별 수거량을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여 IoT 통신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 저장하고, 배터리 전원을 통해 구동 전력을 생성 및 공급하는 태양광 자가 발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을 이용한 능동형 스마트 폐농약용기 수거함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 방식으로 폐농약을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 관리 편이성과 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유독성 물질로부터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폐기물 수거 현황에 관련된 다양한 부가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보다 상세하고 다양한 정보에 기반한 폐기물 관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폐기물 수거함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관리 서버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수의 영농폐기물 수거함(1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 중앙 관리 서버(300) 및 수거 업체 단말(400) 등을 포함한다.
영농폐기물 수거함(100) 각각은 다수의 수거 공간을 구비하고, 다수의 수거 공간을 통해 폐기물 종류별로 분리수거한다. 이때, 폐기물은 폐농약, 폐농약 봉지, 폐농약 용기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수거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를 통해 폐기물 종류별 수거량을 센싱한 후, 센싱 결과를 취합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에 실시간 공유하도록 한다.
이때, 영농폐기물 수거함(100)은 IoT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도록 하는 데, 이는 사용자가 영농폐기물 수거함 설치 장소에 방문하여 영농폐기물 수거함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비대면 방식으로 필요 정보를 자동 공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휴대 및 조작되는 통신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영농폐기물 수거함(100)이 획득 및 제공하는 센싱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영농폐기물 수거함의 폐기물 수거 현황 등을 안내하는 리포팅 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안내하거나 중앙 관리 서버(300)에 통보하도록 한다.
중앙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 각각이 제공하는 리포팅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영농폐기물 수거함(100) 각각의 폐기물 수거 현황을 파악하고, 통합 관리한다.
특히, 영농폐기물 수거함(100) 각각의 폐기물 수거 현황을 통해 수거 필요 장치를 검출하여 수거 업체 단말(400)에 통보함으로써, 해당 수거함의 폐기물이 자동 수거되도록 한 후, 수거 업체 단말(400)로부터 폐기물 수거 처리 결과를 피드백받아 폐기물의 정상 수거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앙 관리 서버(300)는 수거 필요 장치를 단순 검출 및 통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수거 필요 장치의 위치 기반으로 폐기물 수거 동선을 산출 및 안내함으로써, 수거 업체가 이를 참고하여 최적 효율로 폐기물 수거를 처리할 수도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농폐기물 수거함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농폐기물 수거함은 수거함 본체(110), 다수의 수거함(121~123), 및 다수의 센서(131~13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거함 본체(110)는 다수의 수거함(121~123)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다수의 수거함(121~123)은 독립적인 수거 공간 다수개를 제공하고, 이들 각각을 통해 폐농약, 폐농약 봉지, 및 폐농약 용기 등과 같은 폐기물이 종류별로 분리 수거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수거함(121)을 통해서는 비닐 형태로 이루어진 폐농약 봉지를, 제2 수거함(122)은 플라스틱 형태로 이루어진 폐농약 용기를, 제3 수거함(123)을 통해서는 액상의 폐농약을 각각 수거할 수 있으며, 폐기물 종류에 따라 수거함의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다수의 센서(131~133) 각각은 다수의 수거함(121~123) 각각의 상단에 설치되는 거리 센서, 수위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폐기물 종류별 수거량을 센싱 및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센서(131~133) 각각은 IoT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과의 IoT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 자신의 센싱 결과를 해당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 공유함으로써, 사용자가 비대면 방식으로 영농폐기물 수거함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영농폐기물 수거함의 경우, 주로 전력 수급 상황이 좋지 않은 농어촌의 교외 지역에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경우, 영농폐기물 수거함이 외부 전력에 기반하여 구동된다면 영농폐기물 수거함의 설치 가능 장소가 매우 한정되거나, 외부 전력 공급을 위한 선로 설치 작업을 추가로 수행해야 하는 부가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4에서와 같이 태양광 패널을 통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 저장하고, 배터리 전원을 통해 구동 전력을 생성 및 공급하는 태양광 자가 발전 장치(140)를 수거함의 상측에 추가 설치함으로써, 영농폐기물 수거함의 구동 전력을 자체 조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태양광 자가 발전 장치(140)는 배터리 잔량을 일정 주기로 체크한 후 사용자 단말(200)에 통보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 또는 중앙 관리 서버(300)가 배터리 잔량에 기반하여 외부전력 충전이 필요함을 알람으로 제공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저전력으로 인해 본 발명이 구동되지 않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상시 운영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폐농약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200)은 IoT 통신부(210), 원거리 통신부(220), 제어부(2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oT 통신부(210)는 영농폐기물 수거함 정보를 사전 획득 및 저장한 후, 해당 영농폐기물 수거함 정보를 가지는 영농폐기물 수거함과의 IoT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한다.
원거리 통신부(220)는 중앙 관리 서버(300)와의 원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한다.
제어부(230)는 IoT 통신부(210)를 통해 영농폐기물 수거함(100)의 센싱 결과를 제공받고, 이에 영농폐기물 수거함의 폐기물 수거 현황을 실시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안내해준다. 또한 센싱 정보를 소정 기간에 걸쳐 수집 및 분석하여 월/요일/시간대별 폐기물 분리 수거 패턴을 파악한 후 사용자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230)는 센싱 정보가 기 설정 시간 이상 정상 수신되지 않으면, 영농폐기물 수거함을 원격 제어하여 영농폐기물 수거함내 센서를 강제 구동시키도록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센싱 정보가 정상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영농폐기물 수거함(특히, 센서 또는 통신부)의 고장 발생을 확인 및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는 모니터, 스피커, 버튼 등을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사용자의 각종 제어값을 입력받거나, 제어부(230)의 실행 결과를 시청각적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관리 서버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앙 관리 서버(300)는 원거리 통신부(310), 수거함 관리부(320), 사용자 관리부(330), 통합 제어부(340) 및 제어 패널(3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거리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200) 각각과의 원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한다.
수거함 관리부(320)는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된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관리자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한다.
사용자 관리부(330)는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의 관리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 각각의 식별 정보, 신상 정보, 사용자 단말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한다.
통합 제어부(340)는 사용자 관리부(330)를 통해 영농폐기물 수거함(100) 모두의 폐기물 수거 현황을 확인하고, 통합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그리고 폐기물 수거량이 기 설정치 이상인 영농폐기물 수거함, 즉 수거 대상함이 검출되면, 수거 업체 단말(400)에 수거 대상함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면서 폐기물 수거를 요청하고, 수거 업체 단말(400)로부터 폐기물 수거 처리 결과를 피드백받아 폐기물의 정상 수거 여부까지 최종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폐기물 수거가 정상 수행되지 않는다면, 폐기물 수거를 재요청하거나 기 등록된 상위 관리 기관에 수거 업체 단말의 공유하는 등의 후속 조치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거 대상함에 가장 인접 위치되며 폐기물 수거가 가능한 주변 영농폐기물 수거함을 탐색한 후, 수거 대상함을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200)에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수거 대상함 대신에 인근에 위치한 또 다른 영농폐기물 수거함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수거 대상함이 다수개인 경우, 수거 대상함들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최소 거리 또는 최소 시간이 소요되는 폐기물 수거 경로를 산출한 후 수거 업체 단말(400)에 안내함으로써, 수거 업체가 이를 참고하여 최적 효율로 폐기물 수거를 처리할 수도 있도록 한다.
한편, 통합 제어부(340)는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의 폐기물 수거 현황을 폐기물 종류별로 구분하여 확인한 후, 수거가 필요한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수거 업체를 달리 호출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세밀하고 구체적인 폐기물 처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이 특정 영농폐기물 수거함의 고장 발생을 통보하면, 해당 영농폐기물 수거함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거함 수리 업체 단말(미도시)에 안내함으로써, 영농폐기물 수거함 고장에 따른 후속 조치까지 보다 신속 정확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패널(350)은 모니터, 스피커, 버튼, 프린터기 등을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서버 관리자의 각종 제어값을 입력받거나, 통합 제어부(230)의 실행 결과를 시청각적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중앙 관리 서버측에서 폐기물 통합 관리 기능 대부분을 수행하는 경우에 한해 설명하였지만, 실제의 적용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측에서도 상기의 기능 중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음을 물론 당연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

  1. 폐기물을 종류별로 분리 수거하고, 폐기물 종류별 분리 수거량을 센싱 및 통보하는 다수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IoT 통신 방식으로 상기 다수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리포팅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리포팅 정보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의 폐기물 수거 현황을 통합 관리하고,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가 수거 대상함으로 검출되면 수거 업체 단말에 상기 수거 대상함의 폐기물 수거를 요청하되, 상기 수거 대상함이 다수개인 경우, 상기 수거 대상함들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폐기물 수거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수거 업체 단말에 제공하고, 폐기물 수거량이 기 설정치 이상인 상기 수거 대상함이 검출되면, 상기 수거 대상함에 가장 인접 위치되며 폐기물 수거가 가능한 주변 영농폐기물 수거함을 탐색한 후, 상기 수거 대상함을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에 안내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다수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와의 IoT 통신을 지원하는 IoT 통신부;
    상기 중앙 관리 서버와의 원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원거리 통신부; 및
    상기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폐기물 수거 현황 및 월/요일/시간대별 폐기물 분리 수거 패턴을 파악하여 사용자 안내하거나 상기 중앙 관리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중앙 관리 서버가 전송하는 정보를 사용자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의 폐기물 수거 현황을 폐기물 종류별로 구분하여 확인한 후, 수거 대상 폐기물의 종류에 기반하여 수거 업체를 달리 호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의 센싱 정보의 수신 패턴에 기반하여, 영농폐기물 수거함 고장 발생을 확인 및 통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서버는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 발생이 확인되면, 고장 상태의 영농폐기물 수거함의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거함 수리 업체 단말에 전송하면서 고장 수리를 요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은
    수거함 본체;
    상기 수거함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폐기물이 종류별로 분리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수거함; 및
    상기 수거함 각각에 분리 설치되어, 폐기물 종류별 수거량을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여 IoT 통신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농폐기물 수거함 각각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 저장하고, 배터리 전원을 통해 구동 전력을 생성 및 공급하는 태양광 자가 발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00161578A 2020-11-26 2020-11-26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12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578A KR102412367B1 (ko) 2020-11-26 2020-11-26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578A KR102412367B1 (ko) 2020-11-26 2020-11-26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894A KR20220073894A (ko) 2022-06-03
KR102412367B1 true KR102412367B1 (ko) 2022-06-27

Family

ID=8198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578A KR102412367B1 (ko) 2020-11-26 2020-11-26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3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732B1 (ko) * 2008-08-29 2009-02-02 (주)도울정보기술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그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65B1 (ko) * 2009-05-27 2011-09-26 주이스 주식회사 쓰레기처리 관제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쓰레기 수거장치
KR20120096622A (ko) 2011-02-23 2012-08-3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과방전 시 긴급 충전 차량에 의한 배터리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732B1 (ko) * 2008-08-29 2009-02-02 (주)도울정보기술 원격 관제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그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894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dris et al. Overview of waste disposal and landfills/dumps in Asian countries
Ike et al. Solid waste management in Nigeria: problems, prospects, and policies
Li et al. Mathematical modeling for identifying cost-effective policy of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under uncertainty
CN109636131A (zh) 一种应急通信智能应急决策支持系统
CN111242822A (zh) 一种智慧环保大数据服务集成管理系统
CN101582192A (zh) 一种水体环境预警系统的建立方法
CN10960037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分散式厨余垃圾回收处理系统
Lokuliyana et al. IGOE IoT framework for waste collection optimization
KR101923131B1 (ko) 물질유출감지 및 알림 시스템
Hoveidi et al. Industrial waste management with application of RIAM environmental assessment: a case study on toos industrial state, Mashhad
CN104609078A (zh) 垃圾监测方法
CN112298848A (zh) 一种基于网络控制垃圾分类处理方法
Thai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in Vietnam challenges and solutions
CN113822446A (zh) 一种智能垃圾中转系统
KR102412367B1 (ko) 비대면 방식의 영농폐기물 수거함 통합 관리 시스템
Ali et al. Policies and regulations for solar photovoltaic end-of-life waste management: Insights from China and the USA
Salehin et al. An IoT based proposed system for monitoring manhole in context of Bangladesh
Reshmi et al. Sensor unit for waste management: A better method for frequent data updating system
Krishna et al. A fuzzy logical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 for designed to effectively predict and manage the solid waste
CN110155568A (zh) 一种太阳能供电智能垃圾箱系统
Okoroigwe et al. Photovoltaic modules waste management: ethical issues for developing nations
CN112249532A (zh) 一种垃圾分类管理系统
CN110545331A (zh) 一种液体危险废物回收、储存及转运系统及其工作方法
Mapira Challenges of solid waste disposal and management in the city of Masvingo, Zimbabwe
Kayani et al. SmartBin: An approach to smart living community using IoT techniques and t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