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382B1 -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382B1
KR100880382B1 KR1020070035465A KR20070035465A KR100880382B1 KR 100880382 B1 KR100880382 B1 KR 100880382B1 KR 1020070035465 A KR1020070035465 A KR 1020070035465A KR 20070035465 A KR20070035465 A KR 20070035465A KR 100880382 B1 KR100880382 B1 KR 100880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ice bran
weight
fermenta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107A (ko
Inventor
윤심
Original Assignee
윤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심 filed Critical 윤심
Publication of KR2008006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및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짐에 따라, 벼의 도정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미강의 영양성분과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파괴되지 않으면서 음식이나 다른 여러 식품을 만드는데 주재로나 첨가재료로 활용이 가능하여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각종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균형있는 영양의 섭취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미강, 당분, 발효유, 분쇄마늘, 과즙, 인삼가루, 견과류가루

Description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RICE BRAN, METHOD FOR MANUFACTURING FERMENT COMPOSITION OF RICE BRAN THEREFROM, AND FERMENT COMPOSITION OF RICE BRAN THEREBY}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미강 발효 조성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미강, 당분, 발효유가 배합되어 숙성된 미강 발효 조성물을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서 검사한 성분을 나타낸 시험성적서.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미강, 당분, 발효유 및 분쇄마늘이 배합되어 숙성된 미강 발효 조성물을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서 검사한 성분을 나타낸 시험성적서.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미강, 당분, 발효유 및 올리브유와 배합되어 숙성된 미강 발효 조성물을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서 검사한 성분을 나타낸 시험성적서.
본 발명은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식량자원으로서 오랜 역사가 있는 벼는 도정하는 정도에 따라 현미 또는 백미의 형태로 얻게 되고, 또한 이들 현미나 백미를 제외하고 남게 되는 벼의 껍질인 왕겨, 쌀겨, 쌀눈, 싸라기 등의 부산물인 미강을 얻게 된다.
그 중 현미의 경우에는 현대에 이르러 건강식으로서 섭취를 권장하고 있으나 밥을 해서 섭취하게 되면 입에서 씹혀지는 감촉이 거칠고 맛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 섭취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또한 그 중 백미의 경우에는 밥을 해서 섭취하는 경우 현미보다는 훨씬 맛이나 감촉이 부드럽고 현대인의 경우에 이미 오랫동안 백미를 위주로 하는 식단에 익숙해져 있는 관계로 선호도가 높은 백미를 주로 섭취하고 있는 게 현실이어서, 균형식이 되지 못하고 건강상 바람직하지 아니한 문제가 계속하여 발생되고 있다.
또한, 벼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도정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것으로서 겉껍질에 해당하는 왕겨나 이 왕겨를 제외하고 얻어지는 쌀눈과 싸라기를 포함하는 쌀겨는 각각 몸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백미를 제외하고는 식용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사료나 거름을 위한 퇴비로 활용되거나 아니면 별도로 활용하지 않고 그 중 왕겨의 경우에는 특정폐기물로서 별도의 많은 비용을 들여 처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쌀겨의 경우에는 가용성 당질이 34 내지 52%, 조지방이 15 내지 20%, 조단백질이 11 내지 15%, 녹말이 14% 내외, 조섬유가 7 내지 11%, 회분이 7 내지 10%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쌀의 영양성분을 분석해 보면 쌀눈에 66%, 쌀겨에 29%, 그리고 나머지 부분에 5% 정도의 영양이 분포되어 있으며, 결국 미강에는 쌀이 가지고 있는 영양분의 95%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풍부한 영양성분을 도정하는 과정에서 모두 제거해 버린 백미를 주식으로 하면서 미강은 가축의 사료나 비료 등으로 제한되고 있어 좀더 폭넓은 산업적 이용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벼의 도정 후에 부산물로 얻어지는 미강을 당 및 발효유와 배합 후 5℃∼6℃의 온도에서 3∼4일 정도 발효 되도록 숙성시켜 천연 건강 물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중량% 및 발효유 0.4∼0.5 중량%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65∼70 중량% 및 분쇄마늘 30∼3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65∼70 중량%와; 분쇄마늘 30∼3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79∼81 중량% 및 인삼가루 19∼21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65∼70 중량%와; 분쇄마늘 30∼3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79∼81 중량% 및 견과류가루 19∼21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74∼75 중량% 및 과즙 25∼26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58∼60 중량% 및 올리브유 40∼42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65∼70 중량% 및 양파 30∼3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를 배합하는 배합단계(S10)와; 상기 배합단계(S10)에서 배합된 조성물을 용기에 채우고, 조성물이 용기에 채워지면 용기의 상부를 밀봉시켜, 5℃∼6℃의 저온에서 3∼4일 발효시키는 발효단계(S20)와; 상기 발효단계(S20)에서 발효된 조성물을 여과망으로 감싼 뒤 압착하여 발효된 조성물의 액상을 채유하는 채유단계(S30)와; 상기 채유단계(S30)에서 조성물의 액상을 필터링 하도록 필터망에 채유 된 액상을 부어 액상과 분을 분리하는 필터링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상기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중량%, 발효유 0.4∼0.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미강은 쌀겨의 한자어로서, 현미(玄米)를 도정(搗精)하여 정백미(精白米)를 만들 때 생기는 과피(果皮) ·종피(種皮)·호물층(糊物層) 등의 분쇄혼합물로, 지방질, 단백질, 필수지방산,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식이섬유 및 미량원소가 풍부하다.
그리고 미강의 표준 화학조성을 보면 수분 13.5%, 단백질 13.2%, 지방 18.3%, 당질 38.3%, 섬유 7.8%, 회분(灰分) 8.9%이고 비타민 B1은 100g 중 2.5mg이나 들어 있으며 비타민 E도 많다.
특히, 미강에 가장 많이 들어있는 미량원소는 인(燐)과 칼륨이고 그 다음이 마그네슘이며, 실리콘과 칼슘이 들어 있으며, 미강에 들어 있는 총 식이섬유 함량은 20~25%가 되고 이중 수용성 식이섬유는 1.8 ~ 2.6%에 지나지 않는다.
더욱이, 미강에는 소화효소인 트립신이나 펩신의 작용을 억제시키는 성분이나 적혈구에 응집반응을 일으키는 헤마글루티닌, 금속이온과 쉽게 가위 모양의 착염을 만드는(킬레이트) 작용을 가진 피틴산 등 소위 반영양적 화합물이 미량으로 들어있지만 다행스럽게도 이들은 열을 가하였을 경우 대부분 불활성화되거나 활성이 낮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상기 당분은 우리가 섭취하는 다양한 형태의 음식에 들어있으며, 당분의 가장 기초적인 형태는 포도당으로 신체의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로, 당의 종류를 살펴보면, 흔히 말하는 설탕으로, 사탕수수나 사탕무우에서 만들어내는 자당과, 과일과 야채에 있는 과당과, 젖에 들어 있는 유당과, 곡식에 들어 있는 맥아당 등이 있다.
이러한 당분은 음식을 통해 섭취한 다음에 소화흡수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4가지 형태로 존재하는 당분은 포도당과 다른 형태의 당분으로 변화가 되는데, 자당의 경우에 포도당 한분자와 과당 한분자로 이루어져 있어, 소장을 지나면서 포도당이 분리가 되고 과당 역시 포도당으로 변하게 되며, 유당의 경우에는 조금 차이가 나는데, 유당의 경우에는 포도당과 갈락토오즈로 분해가 된다.
상기 발효유는 우유 ·염소젖 ·말젖 등에 젖산균 또는 효모를 배양, 젖당(락토오스)을 발효시켜 젖산이나 알코올을 생성시켜 특수한 풍미를 가지도록 만든 음료서, 한국공업규격에 의하면 “발효란 원유 또는 유제품을 유산균 또는 효모로 발효시켜 호상, 액상 및 동결한 것으로서 무지유 고형분이 3% 이상인 것을 말한다.”고 정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발효유는 제품의 유형에 따라 액상발효유, 농후발효유, 크림발효유, 농후크림 발효유, 버터발효유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는 액상발효유와 농후 발효유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아울러, 주로 젖산균을 배양하여 젖산만을 함유하는 산성우유(acid milk)와 젖산균 및 효모의 작용에 의하여 젖산발효 및 알코올 발효를 동시에 일으킨 알코올 발효유로 크게 나눈다.
그리고 산성우유에는 요구르트(yoghurt), 발효 버터밀크, 아시도필루스 밀크(acidophilus milk) 등이 있다.
또한, 알코올 발효유에는 양젖 ·염소젖을 원료로 하는 케퍼(kefir), 말젖을 원료로 하는 쿠미스(kumyz) 등이 있는데, 1∼3 % 정도의 알코올을 함유하므로 젖술(milk wine)이라고도 하며 중앙아시아 ·카프카스 지방에서 애용하고 있다.
나아가, 산성우유는 두부와 같이 응고되어 있으므로 요구르트와 같이 그대로 마시기도 하지만, 이것을 부수어 설탕 ·향료 등을 가하고 젖산균이 살아남도록 가공한 젖산균 음료, 또는 가공 후 살균하여 저장성을 가지게 한 칼피스(calpis)와 같은 젖산음료로 이용된다.
또 마가린에 천연 버터와 같은 풍미를 주기 위하여 산성우유를 유상액(乳狀液) 상태로 혼합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 의 공정 순서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미강을 80∼85 중량%, 당분을 14.6∼19.5 중량%, 발효유를 0.4∼0.5 중량%를 배합단계(S10)에서 배합한다.
이렇게 배합되면 배합된 조성물을 용기에 적층되게 채우고, 조성물이 용기에 채워지면 용기의 상부를 밀봉시켜 발효단계(S20)에서 5℃∼6℃의 저온에서 3∼4일 숙성되도록 발효시킨다.
그리고 발효단계(S20)에서 발효된 조성물을 여과망으로 감싼 뒤 압착하여 채유단계(S30)에서 채유하여 숙성된 조성물의 액상을 얻는다.
여기서 여과망은 목화에서 뽑은 섬유와 같이, 가늘고 유연하며 습기를 잘 흡수하는 면을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렇게, 채유단계(S30)에서 얻어진 액상을 필터링단계(S40)에서 필터망으로 필터링하여 액상에 포함되어 있는 분을 분리하여 미강 발효 조성물을 얻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은, 도 2의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서 검사한 성분 검사 성적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비타민B1, 비타민E, 나이아신, 엽산, 철, 인, 칼슘, 마그네슘, 탄수화물, 조지방, 회분 등이 검출되어 인체에 필요한 성분들이 검출됨으로 건강음료, 건강식품의 첨가물로서 유망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성분의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65∼70 중량%에 살균 및 항균작용, 체력증강, 강장효과 및 피로회복 작용, 동맥경화 개선, 신체노화 억제, 냉증, 동상을 개선작용, 고혈압 개선작용, 당뇨 개선작용, 항암작용, 아토피성 피부염의 알레르기억제 작 용, 정장 및 소화 작용, 해독작용, 신경안정 및 진정효과가 있는 분쇄마늘 30∼35 중량%을 더 혼합하였다.
이렇게 미강, 당분 발효유 및 분쇄마늘이 더 배합되어 발효된 미강 발효 조성물은, 도 3 의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서 검사한 성분 검사 성적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셀렌, 칼륨이 더 검출되었다.
아울러, 상기 분쇄마늘은 혼합하여 발효과정에서 마늘 특유의 냄새가 약 80% 정도 제거된다.
그리고,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65∼70 중량%와; 분쇄마늘 30∼3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79∼81 중량%로 혼합하여 숙성된 상태에서 강장, 강심, 건위, 보정, 진정, 자양등의 약으로 사용되고 위장 등의 기능 쇠약에 의한 물질대사 기능의 저하에 부활제로 사용되며 병약자의 위부정체감, 소화불량, 구토, 흉통, 이완성 설사, 식욕부진 등에도 응용되는 인삼가루 19∼21 중량%을 혼합하여 환으로 제조하여 복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65∼70 중량%와; 분쇄마늘 30∼3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79∼81 중량%로 혼합하여 숙성된 상태에서 밤ㆍ호두ㆍ잣 등으로 이루어진 견과류가루 19∼21 중량%을 혼합하여 환으로 제조하여 복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 루어진 조성물 74∼75 중량%에 포도·사과·복숭아·딸기·토마토·감귤·레몬·파인애플 등 대부분의 과일을 원료로 하여 과일에서 짜낸 100%의 순수한 과즙 25∼26 중량%을 혼합하여 음료로 제조하여 섭취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58∼60 중량%에 혈액 중에 좋은 콜레스테롤(HDL)은 증가시켜 주고 나쁜 콜레스테롤(LDL)은 낮춰주는 올레산도 매우 풍부한 올리브유 40∼42 중량%을 혼합으로 도 4의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서 검사한 성분 검사 성적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성분이 검출된 영양유로 제조하여 섭취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65∼70 중량%에 각종 비타민과 함께 칼슘·인산 등의 무기질이 비늘줄기에 들어 있어 혈액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고, 샐러드나 수프, 그리고 고기 요리에 많이 사용되며 각종 요리에 향신료 등으로 이용되며, 잎은 100g 중에 비타민A 5,000IU, 비타민C 45mg, 칼슘 80mg, 마그네슘 24mg, 칼륨 220mg이 들어 있는 양파를 30∼35 중량%로 혼합으로 양파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양파의 영향성분을 어린이들도 섭취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은 벼의 도정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미강을 그대로 이용하고, 당분, 발효유가 숙성되면서 영양성분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가공 중에 거의 파괴되지 않아 여러 식품을 만드는데 주재료나 첨가재료로 활용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미강 발효 조성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각종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면 균형있는 영양의 섭취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은 미강과 당분, 발효유가 숙성되어 채유된 액상이 항산화력 및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여 항산화용 약제, 식품의 산패억제를 위한 식품첨가물 및 건강보조식품 등의 항산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은 기존에는 도정과정에서 분리되고 식용으로는 제외되었던 많은 량의 부산물인 쌀눈과 싸라기 등으로 이루어진 미강을 모두 식용으로 활용하여 영양성분을 그대로 얻게 되고, 그 영양성분을 안전하게 섭취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은 도정과정에서 발생하여 대부분 폐기 처분되는 미강을 재활용함으로써 미강의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은 도정시 분리되어 폐기되는 미강을 식품자원으로 활용함으로 미강에 포함된 영양성분이 탁월하여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 이용함으로써 농민소득의 증대와 생산자 및 사용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은 미강, 당분, 발효유에 분쇄마늘이 더 추가될 때 숙성되는 과정에서 마늘의 특유 냄새가 제거되어 마늘효능 작용인 살균 및 항균작용, 체력증강, 강장효과 및 피로회복 작용, 동맥경화 개선, 신체노화 억제, 냉증, 동상을 개선작용, 고혈압 개선작용, 당뇨 개선작용, 항암작용, 아토피성 피부염의 알레르기억제 작용, 정장 및 소화 작용, 해독작용, 신경안정 및 진정효과를 그대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은 마늘의 성분이 포함된 조성물에 인삼가루, 또는 견과류 가루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섭취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를 배합하는 배합단계와;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된 조성물을 용기에 채우고, 조성물이 용기에 채위지면 용기의 상부를 밀봉시켜, 5℃∼6℃의 저온에서 3∼4일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조성물을 여과망으로 감싼 뒤 압착하여 발효된 조성물의 액상을 채유하는 채유단계와;
    상기 채유단계에서 조성물의 액상을 필터링 하도록 필터망에 채유된 액상을 부어 액상과 분을 분리하는 필터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65∼70 중량% 및 분쇄마늘 30∼35 중량%를 배합하는 배합단계와;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된 조성물을 용기에 채우고, 조성물이 용기에 채위지면 용기의 상부를 밀봉시켜, 5℃∼6℃의 저온에서 3∼4일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조성물을 여과망으로 감싼 뒤 압착하여 발효된 조성물의 액상을 채유하는 채유단계와;
    상기 채유단계에서 조성물의 액상을 필터링 하도록 필터망에 채유된 액상을 부어 액상과 분을 분리하는 필터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65∼70 중량%와; 분쇄마늘 30∼3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79∼81 중량% 및 견과류가루 19∼21 중량%를 배합하는 배합단계와;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된 조성물을 용기에 채우고, 조성물이 용기에 채위지면 용기의 상부를 밀봉시켜, 5℃∼6℃의 저온에서 3∼4일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조성물을 여과망으로 감싼 뒤 압착하여 발효된 조성물의 액상을 채유하는 채유단계와;
    상기 채유단계에서 조성물의 액상을 필터링 하도록 필터망에 채유된 액상을 부어 액상과 분을 분리하는 필터링단계와;
    상기 필터링단계에서 얻어진 액상에 견과류가루 19∼21 중량%를 첨가하는 첨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74∼75 중량% 및 과즙 25∼26 중량%를 배합하는 배합단계와;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된 조성물을 용기에 채우고, 조성물이 용기에 채위지면 용기의 상부를 밀봉시켜, 5℃∼6℃의 저온에서 3∼4일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조성물을 여과망으로 감싼 뒤 압착하여 발효된 조성물의 액상을 채유하는 채유단계와;
    상기 채유단계에서 조성물의 액상을 필터링 하도록 필터망에 채유된 액상을 부어 액상과 분을 분리하는 필터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 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58∼60 중량% 및 올리브유 40∼42 중량%를 배합하는 배합단계와;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된 조성물을 용기에 채우고, 조성물이 용기에 채위지면 용기의 상부를 밀봉시켜, 5℃∼6℃의 저온에서 3∼4일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조성물을 여과망으로 감싼 뒤 압착하여 발효된 조성물의 액상을 채유하는 채유단계와;
    상기 채유단계에서 조성물의 액상을 필터링 하도록 필터망에 채유된 액상을 부어 액상과 분을 분리하는 필터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미강 80∼85 중량%, 당분 14.6∼19.5중량%, 발효유 0.4∼0.5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65∼70 중량% 및 양파 30∼35 중량%를 배합하는 배합단계와;
    상기 배합단계에서 배합된 조성물을 용기에 채우고, 조성물이 용기에 채위지면 용기의 상부를 밀봉시켜, 5℃∼6℃의 저온에서 3∼4일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조성물을 여과망으로 감싼 뒤 압착하여 발효된 조성물의 액상을 채유하는 채유단계와;
    상기 채유단계에서 조성물의 액상을 필터링 하도록 필터망에 채유된 액상을 부어 액상과 분을 분리하는 필터링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강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
KR1020070035465A 2007-01-22 2007-04-11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 KR100880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411 2007-01-22
KR20070006411 2007-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107A KR20080069107A (ko) 2008-07-25
KR100880382B1 true KR100880382B1 (ko) 2009-01-23

Family

ID=3982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465A KR100880382B1 (ko) 2007-01-22 2007-04-11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3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245B1 (ko) 2012-02-09 2012-08-24 윤선영 발효 현미 미강을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8446A (ko) 2021-01-19 2021-05-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을 이용한 미강 발효물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미강 발효물
KR20210048110A (ko) 2019-10-23 2021-05-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을 이용한 미강 발효물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미강 발효물
KR20210115664A (ko) 2020-03-16 2021-09-27 (주)이온바이오 연속 증강 배양기법과 미강을 이용한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794A (ko) * 1993-10-14 1995-05-15 김정순 숙취방지용 음료 조성물
KR20060023385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간장 보호 및 혈중 알코올 분해에 유효한 조성물
KR20060024247A (ko) * 2004-09-13 2006-03-16 주식회사 포스코 부정형 내화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794A (ko) * 1993-10-14 1995-05-15 김정순 숙취방지용 음료 조성물
KR20060023385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간장 보호 및 혈중 알코올 분해에 유효한 조성물
KR20060024247A (ko) * 2004-09-13 2006-03-16 주식회사 포스코 부정형 내화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245B1 (ko) 2012-02-09 2012-08-24 윤선영 발효 현미 미강을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8110A (ko) 2019-10-23 2021-05-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을 이용한 미강 발효물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미강 발효물
KR20210115664A (ko) 2020-03-16 2021-09-27 (주)이온바이오 연속 증강 배양기법과 미강을 이용한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친환경 바이오 조성물
KR20210048446A (ko) 2021-01-19 2021-05-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을 이용한 미강 발효물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미강 발효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107A (ko) 200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667B1 (ko) 미강과 쌀눈과 아마씨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CN102125090A (zh) 一种抗氧化酸奶及其制备方法
CN103168844A (zh) 一种玫瑰花复合营养酸奶
CN103989174A (zh) 一种辣木复合全营养素
CN105995933A (zh) 一种纳豆辣椒酱
Soni et al. Perspectives on global fermented foods
KR100880382B1 (ko)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미강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미강 발효 조성물
JP2012075390A (ja) 乳酸菌醗酵モズクとその製造方法
CN106857842A (zh) 解酒酸奶粉
CN104430848A (zh) 一种健脾清火低脂石斛薄荷酸奶及其制作方法
KR102523775B1 (ko) 단백질 분해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idcc 3501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N110463776A (zh) 草莓奶酪复合休闲果蔬制品及其制作方法
CN106857822A (zh) 自行发酵酸奶粉
KR102423025B1 (ko) 단백질 분해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N102344864A (zh) 一种木薯水果酒
CN106857878A (zh) 无糖酸奶粉
CN104381442A (zh) 一种抗衰老清肠道嫩肤养颜保健酸奶及其制作方法
CN107692047A (zh) 一种纳豆功能性食品的制备方法
CN103518842A (zh) 一种蜂蜜灵芝果蔬酸牛奶及其制作方法
WO2020018050A2 (en) A natural, nutrituous and a delicious gluten-free functional food with protective and supportive effects on health and its production method
CN104621482A (zh) 一种玫瑰紫薯营养纳豆甜酱及其制备方法
AU2021104751A4 (en) Fish Protein Yogurt for Enhancing Immun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1238881A (zh) 一种共轭亚油酸型降脂减肥多功能食品
JP2008179559A (ja) 疲労蓄積予防組成物
CN106857826A (zh) 养颜酸奶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