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563B1 - 휴대형 방향캡슐 - Google Patents

휴대형 방향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563B1
KR100879563B1 KR1020070107706A KR20070107706A KR100879563B1 KR 100879563 B1 KR100879563 B1 KR 100879563B1 KR 1020070107706 A KR1020070107706 A KR 1020070107706A KR 20070107706 A KR20070107706 A KR 20070107706A KR 100879563 B1 KR100879563 B1 KR 10087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ylinder
fragrance
button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완준
류치훈
Original Assignee
강완준
류치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완준, 류치훈 filed Critical 강완준
Priority to KR102007010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563B1/ko
Priority to PCT/KR2008/003981 priority patent/WO200905459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방향캡슐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유출구가 형성된 향기통과; 향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벽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중앙영역에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바를 가지고, 상기 실린더의 하측 개구가 상기 유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향기통의 상단에 결합된 캡슐몸체와; 내부 바닥면에는 지지관이 기립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버튼삽입공이 상기 지지관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관이 상기 지지바를 향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결합된 캡과; 상기 캡을 상기 실린더에 결합할 때 상기 지지관을 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안내관과; 버튼바디부와 상기 버튼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버튼기둥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바디부가 노출되고 상기 버튼기둥부가 상기 버튼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캡에 설치된 버튼과; 상기 축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개폐축과, 상기 개폐축의 하단에 결합된 개폐판과,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유출구가 상기 개폐판에 의해 밀폐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유출구가 상기 개폐판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위치사이를 상기 개폐축을 이동시키는 개폐구동부를 갖는 개폐부와;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관과 상기 실린더의 사이영역에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상기 지지바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하부복귀스프링과 상기 피스톤과 상기 캡의 내부바닥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복귀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향기통에 저 장된 향기가 상기 향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작용을 촉진하는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향기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향기, 펌핑부, 개폐축, 개폐판

Description

휴대형 방향캡슐{Hand-held type Aromatic Diffusing Capsul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방향캡슐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방향캡슐의 결합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캡슐몸체의 평면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개폐부영역의 분해사시도,
도6은 도1에 도시된 개폐부영역의 작동상태도,
도7a 및 도7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방향캡슐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향기통 11 : 저장통부
12 : 쇼울더부 20 : 캡슐몸체
21 : 실린더 22 : 지지바
30 : 캡 31 : 지지관
40 : 버튼 50 : 개폐부
51 : 개폐축 52 : 개폐판
60 : 개폐구동부 61 : 축복귀스프링
62 : 회전캠 63 : 록킹캠
70 : 펌핑부 71 : 피스톤
72 : 하부복귀스프링 73 : 상부복귀스프링
81 : 안내관 82 : 클립
본 발명은 휴대형 방향캡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방향캡슐에 관한 것이다.
정신안정, 스트레스 해소의 목적으로 향기를 배출하는 방향장치가 안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종래의 방향장치는 실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향기의 배출은 압출동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 실내 방향장치는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에 휴대형으로 방향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방향장치의 부피를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나 방향장치의 부피가 감소되면, 향기를 압출할 수 있는 구성을 구현하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방향장치의 부피가 감소되면 자연배출방식을 채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자연배출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충분한 향기배출량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기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형 방향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면에 유출구가 형성된 향기통과; 향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벽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중앙영역에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바를 가지고, 상기 실린더의 하측 개구가 상기 유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향기통의 상단에 결합된 캡슐몸체와; 내부 바닥면에는 지지관이 기립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버튼삽입공이 상기 지지관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관이 상기 지지바를 향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결합된 캡과; 상기 캡을 상기 실린더에 결합할 때 상기 지지관을 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안내관과; 버튼바디부와 상기 버튼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버튼기둥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바디부가 노출되고 상기 버튼기둥부가 상기 버튼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캡에 설치된 버튼과; 상기 축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개폐축과, 상기 개폐축의 하단에 결합된 개폐판과,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유출구가 상기 개폐판에 의해 밀폐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유출구가 상기 개폐판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위치사이를 상기 개폐축을 이동시키는 개폐구동부를 갖는 개폐부와; 상기 안내관과 상기 실린더의 사이영역에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상기 지지바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하부복귀스프링과 상기 피스 톤과 상기 캡의 내부바닥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복귀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향기통에 저장된 향기가 상기 향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작용을 촉진하는 펌핑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방향캡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향기배출을 촉진시키고 상부복귀스프링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은 상면에 하중관부가 기립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복귀스프링은 상기 하중관부와 상기 안내관의 사이영역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캡과 실린더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는 상면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관은 상기 캡을 상기 실린더에 결합할 때 하단이 상기 고정홈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방향캡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방향캡슐의 결합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4는 도1에 도시된 캡슐몸체의 평면도이며, 도5는 도1에 도시된 개폐부영역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방향캡슐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유출구(12a)가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의 향기통(10)과, 향기통(10)의 상단에 결합된 캡슐몸체(20)와, 캡슐몸체(20)의 상단에 결합된 캡(30)과, 캡(30)에 결합된 안내관(81)과, 캡(30)의 상단에 결합된 버튼(40)과, 누름버튼(40)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유출구(12a)를 개폐하는 개폐부(50)와, 향기통(10)에 저장된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촉진하는 펌핑부(70)와, 캡(30)에 결합된 클립(82)을 갖고 있다.
향기통(10)은 컵형태의 저장통부(11)와, 저장통부(11)의 상단에 결합된 쇼울더부(12)를 갖고 있다.
저장통부(11)의 내부에는 향기에센스가 흡수된 솜뭉치(13)가 내장되어 있다.
쇼울더부(12)는 중앙영역에 유출구(12a)가 형성되어 있고, 유출구(12a)의 하측에는 링스프링(14)을 통해 차단망(15)이 설치되어 있다.
캡슐몸체(20)는 향기배출공(21a)이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실린더(21)와, 실린더(21)의 내벽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지지바(22)를 갖고 있다.
지지바(22)는 중앙영역에 축공(22a)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고정홈(22b)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홈(22b)의 외측에는 스프링홈(2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캡슐몸체(20)는 실린더(21)의 하측 개구가 유출구(12a)에 연통하도록 향기통(1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된다.
캡(30)은 내부 바닥면에는 지지관(31)이 기립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버튼삽입공(32)이 지지관(31)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관(31)은 내표면에 다수의 안내홈(31a)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홈(31a)은 후술하는 걸림리브(62a)와 안내돌기(63b)가 함께 통과할 수 있는 것과 안내돌기(63b)만 통과할 수 있는 것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홈(31a)의 사이구간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캡(30)은 지지관(31)이 지지바(22)를 향하도록 실린더(21)의 상단에 결합된다.
안내관(81)은 캡(30)을 실린더(21)에 결합할 때 지지관(31)을 넘어 실린더(21)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지지관(31)의 외표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안내관(81)은 캡(30)을 실린더(21)에 결합할 때 하단이 고정홈(22b)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버튼(40)은 대략 원판형의 버튼바디부(41)와, 버튼바디부(4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버튼기둥부(42)를 갖고 있다.
버튼기둥부(42)에는 하단으로부터 버튼결합홈(4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버튼(40)은 버튼바디부(41)가 노출되고, 버튼기둥부(42)가 버튼삽입공(32)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개폐부(50)는 축공(22a)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개폐축(51)과, 개폐축(51)의 하단에 결합된 개폐판(52)과, 누름버튼(40)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개폐축(51)을 이동시키는 개폐구동부(60)를 갖고 있다.
개폐축(51)은 외표면 중간영역에 지지돌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축(51)의 상단은 회전캠(62)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억지끼움된다.
개폐판(52)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개폐구동부(60)는 지지돌부(51a)와 지지바(22)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축복귀스프링(61)과, 개폐축(51)의 상단에 결합된 회전캠(62)과, 버튼기둥부(42)에 결합된 록킹캠(63)을 갖고 있다.
회전캠(62)은 외표면에 걸림리브(62a)가 형성되어 있고, 각 걸림리브(62a)의 상단에는 같은 방향으로 캠경사면(6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캠(62)은 상단에 회전캠기둥부(62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회전캠(62)은 회전캠기둥부(62c)가 후술하는 캠결합홈(63d)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록킹캠(63)은 상단에 록킹캠기둥부(63a)가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안내돌기(63b)가 안내홈(31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톱니부(63c)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돌기(63b)는 걸림리브(62a)보다 낮은 높이(지지관의 중심선에 대하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록킹캠(63)은 저면에는 캠결합홈(63d)이 록킹캠기둥부(63a)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캠결합홈(63d)은 회전캠기둥부(62c)가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록킹캠(63)은 록킹캠기둥부(63a)가 버튼결합홈(42a)에 억지끼움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개폐구동부(60)는 녹크식(knock Type) 볼펜에 적용되는 기술로서 도6을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튼(40)을 가압하면 록킹캠(63)은 회전캠(62)을 가압하고 회전캠(62)은 개폐축(51)을 유출구(12a)를 향해 가압한다.
회전캠(62)에 의해 가압되는 개폐축(51)은 유출구(12a)에 접근하고, 이에 따라 개폐판(52)은 변형되면서 유출구(12a)를 밀폐한다. 개폐축(51)이 유출구(12a)에 접근하는 동안 축복귀스프링(61)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록킹캠(63)이 회전캠(62)을 가압하는 동안 톱니부(63c)와 캠경사면(62b)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캠(62)은 회전하게 된다.
다음에 버튼(4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축복귀스프링(61)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개폐축(51)은 회전캠(62) 및 록킹캠(63)과 함께 버튼(40)을 향해 이동한다.
개폐축(51)과 록킹캠(63)이 버튼(40)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안내홈(31a)영역에 형성된 경사면과 캠경사면(62b)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캠(62)은 다시 회전한다.
회전캠(62)의 회전위치에서 걸림리브(62a)가 걸림리브(62a)와 안내돌기(63b)가 함께 통과할 수 있는 안내홈(31a)에 대향하게 되면 축복귀스프링(61)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개폐축(51)과 회전캠(62)은 록킹캠(63) 및 버튼(40)과 함께 계속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개폐축(51)의 복귀위치는 유출구(12a)가 개폐판(52)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위치가 된다.
한편 회전캠(62)의 회전위치에서 걸림리브(62a)가 안내돌기(63b)만 함께 통과할 수 있는 안내홈(31a)에 대향하게 되면 개폐축(51)과 회전캠(62)은 원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이 저지된다. 여기서 개폐축(51)의 저지위치는 유출구(12a)가 개폐판(52)에 의해 폐쇄되는 폐쇄위치가 된다.
펌핑부(70)는 실린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관(81)과 실린더(21)의 사이영역에 설치된 피스톤(71)과, 피스톤(71)과 지지바(22)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하부복귀스프링(72)과, 피스톤(71)과 캡(30)의 내부바닥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복귀스프링(73)을 갖고 있다.
피스톤(71)은 상면에 하중관부(71a)가 기립 형성되어 있고, 하중관부(71a)의 둘레영역에는 향기통과공(71b)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하부복귀스프링(72)은 하단이 스프링홈(22c)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부복귀스프링(73)은 하중관부(71a)와 안내관(81)의 사이영역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펌핑부(70)의 동작을 도7a 및 도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린더(21)를 길이방향을 따라 흔들면 피스톤(71)은 하부복귀스프링(72)과 상부복귀스프링(73)에 축적되는 탄성력에 의해 버튼(40)과 향기통(10)을 향해 교대로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71)이 향기통(10)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실린더(21)내부는 압축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21)내의 향기는 향기배출공(21a)을 통해(직접 또는 향기통과공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도7a 참조).
피스톤(71)이 버튼(40)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실린더(21)내부에는 부압(負 壓)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유출구(12a)를 통해 실린더(21)의 내부로 향기가 흡입된다(도7b 참조).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방향캡슐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립(82)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몸에 부착한다.
향기를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버튼(40)을 조작하여 유출구(12a)를 개방시킨다.
유출구(12a)가 개방된 상태에서 향기통(10)내의 향기는 향기배출공(21a)을 통해 또는 버튼삽입공(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피스톤(71)이 버튼(40)과 향기통(10)을 향해 교대로 이동하도록 사용자가 운동을 하게 되면 향기배출은 촉진된다.
향기의 배출을 중지하고자 할 때에는 버튼(40)을 조작하여 유출구(12a)를 폐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향기배출을 촉진할 수 있는 펌핑부(70)를 갖도록 함으로써, 향기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71)의 상면에 하중관부(71a)를 형성함으로써, 향기배출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하중관부의 무게에 의해 피스톤의 이동거리와 이동속도가 증가함), 상부복귀스프링(73)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바(22)의 상면에 고정홈(22b)을 형성하고 안내관(81)이 고정홈(22b)에 억지끼움되도록 함으로써, 캡(30)과 실린더(21)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 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안내관과 지지바사이의 결합력은 간접적으로 캡과 실린더사이를 결합시키는 작용을 함).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향기배출을 촉진할 수 있는 펌핑부를 갖도록 함으로써, 향기배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상면에 유출구가 형성된 향기통과;
    향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벽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중앙영역에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바를 가지고, 상기 실린더의 하측 개구가 상기 유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향기통의 상단에 결합된 캡슐몸체와;
    내부 바닥면에는 지지관이 기립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버튼삽입공이 상기 지지관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관이 상기 지지바를 향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결합된 캡과;
    상기 캡을 상기 실린더에 결합할 때 상기 지지관을 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의 외표면에 결합되는 안내관과;
    버튼바디부와 상기 버튼바디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버튼기둥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바디부가 노출되고 상기 버튼기둥부가 상기 버튼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캡에 설치된 버튼과;
    상기 축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개폐축과, 상기 개폐축의 하단에 결합된 개폐판과,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유출구가 상기 개폐판에 의해 밀폐되는 폐쇄위치와 상기 유출구가 상기 개폐판에 의해 개방되는 개방위치사이를 상기 개폐축을 이동시키는 개폐구동부를 갖는 개폐부와;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관과 상기 실린더의 사이영역에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상기 지지바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하부복귀스프링과 상기 피스톤과 상기 캡의 내부바닥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복귀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향기통에 저장된 향기가 상기 향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작용을 촉진하는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방향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면에 하중관부가 기립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복귀스프링은 상기 하중관부와 상기 안내관의 사이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방향캡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면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관은 상기 캡을 상기 실린더에 결합할 때 하단이 상기 고정홈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방향캡슐.
KR1020070107706A 2007-10-25 2007-10-25 휴대형 방향캡슐 KR10087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706A KR100879563B1 (ko) 2007-10-25 2007-10-25 휴대형 방향캡슐
PCT/KR2008/003981 WO2009054597A1 (en) 2007-10-25 2008-07-07 Hand-held type aromatic diffusing caps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706A KR100879563B1 (ko) 2007-10-25 2007-10-25 휴대형 방향캡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563B1 true KR100879563B1 (ko) 2009-01-22

Family

ID=4048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706A KR100879563B1 (ko) 2007-10-25 2007-10-25 휴대형 방향캡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9563B1 (ko)
WO (1) WO20090545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510B1 (ko) * 2020-11-25 2021-09-15 최현수 휴대용 발향 캡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1168B2 (en) 2016-05-03 2019-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olatile composition dispenser with increased membrane exposure and volatile composition weight loss
CN107054864B (zh) * 2017-02-28 2019-01-11 广州绿拓贸易有限公司 一种设有按压盖的香料瓶
CN208877693U (zh) * 2018-03-22 2019-05-21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香薰座
US20230132890A1 (en) * 2021-10-29 2023-05-04 Scentral Zone, Llc Passive emission fragrance diffuser for personal 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383A (ja) * 1991-01-09 1993-02-02 Daikin Ind Ltd 芳香容器
JP2000308679A (ja) * 1999-02-26 2000-11-07 Hiroyuki Yamada 芳香発生器
JP2002035104A (ja) * 2000-07-27 2002-02-05 Musashino Engineering:Kk 芳香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383A (ja) * 1991-01-09 1993-02-02 Daikin Ind Ltd 芳香容器
JP2000308679A (ja) * 1999-02-26 2000-11-07 Hiroyuki Yamada 芳香発生器
JP2002035104A (ja) * 2000-07-27 2002-02-05 Musashino Engineering:Kk 芳香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510B1 (ko) * 2020-11-25 2021-09-15 최현수 휴대용 발향 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4597A1 (en)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563B1 (ko) 휴대형 방향캡슐
US7578417B2 (en) Airless type cosmetic container with quantified contents discharging, contents leakage preventing and contents deterioration preventing functions
KR101231786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JP5031832B2 (ja) ディスペンサー容器
ES2775973T3 (es) Recipiente de fluido y sistema de dispensación de fluido sin aire
KR101817077B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20090059320A (ko) 화장품용기
JP2007502755A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装置
JP2009543742A5 (ko)
ES2424768T3 (es) Dispositivo de distribución de producto fluido
KR200282746Y1 (ko)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JP2004000625A (ja) 混合式化粧料容器
KR20090003810U (ko) 액상화장품용기
JP2011016554A (ja) 簡易液体噴霧装置
KR20100136183A (ko)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용기
ITBS20090140A1 (it)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una sostanza
KR20120060043A (ko) 디스펜서용 펌프버튼
KR101082427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200297638Y1 (ko)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026270B1 (ko) 펌핑 잠금장치
KR200362339Y1 (ko) 화장품 용기
KR102205730B1 (ko) 스포이트형 액체 보관 용기
DE60015681D1 (de) Pumpe für einen Behälter
KR200288441Y1 (ko) 회전식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0855445B1 (ko) 좌우대칭의 버튼식 에어리스펌핑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