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316B1 -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316B1
KR100879316B1 KR1020070037575A KR20070037575A KR100879316B1 KR 100879316 B1 KR100879316 B1 KR 100879316B1 KR 1020070037575 A KR1020070037575 A KR 1020070037575A KR 20070037575 A KR20070037575 A KR 20070037575A KR 100879316 B1 KR100879316 B1 KR 100879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hamber
manhole cover
hole
pressure
acces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619A (ko
Inventor
이환기
Original Assignee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3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36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overflow or explosion control means, e.g. check or relief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9Annular 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실의 출입구 측에 설치되는 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시설물 없이 밸브실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장치인 맨홀뚜껑을 통하여 우수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고 밸브실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내부 공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밸브실을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부에 매설되는 받침프레임과 그 받침프레임의 받침리이브 상에 올려지는 맨홀뚜껑으로 구성되는 출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에 외부와 통하도록 관통된 통공을 형성하고, 그 통공의 하부에 밸브실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개폐되는 압력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밸브실, 출입장치, 맨홀뚜껑, 받침프레임, 부압, 이상압력, 압력조절수단

Description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an opening and apparatus with a pressure adjusting function for a valve box}
도 1은 본 발명이 밸브실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압력조절수단이 평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도.
도 3b는 밸브실 내에 부압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나타낸 요부도.
도 3c는 밸브실 내에 이상압력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8은 일반적인 밸브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력조절수단
10 : 본체하우징
12 : 통기공 14 : 관통공
16 : 망체
20 : 개폐부재
30 : 흡기부
32,32a : 탄지부재 34 : 흡기공
36,36a : 기밀부재 38 : 흡기부재
40 : 배기부
41 : 배기공 42 : 유입공
44 : 지지부재 44a : 배출공
46 : 차단부재
50 : 보호리이브
60 : 이탈방지수단
62 : 돌출턱 64 : 삽입홀
70 : 걸림홈
100 : 밸브실
400 : 출입장치
410 : 받침프레임 412 : 받침리이브
420 : 맨홀뚜껑
본 발명은 밸브실의 출입구 측에 설치되는 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시설물 없이 밸브실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장치인 맨홀뚜껑을 통하여 우수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고 밸브실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내부 공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8에서와 같이 밸브실(100)에 구비되는 관로(200)에는 공기밸브(210)가 설치되고, 그 공기밸브는 상기 관로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시켜 물의 흐름을 좋게 하거나 단수나 또는 누수 등으로 생기는 공기덩어리를 한꺼번에 배출하기도 하는 데, 이때 다량의 공기가 일시에 배출됨에 따라 밸브실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되면서 이상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밸브실의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장치인 받침프레임 상의 맨홀뚜껑이 날아가 위험한 상황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에 따라 종래에는 내부에 적층되는 염소나 오존 등 각종 잔류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밸브실(100)의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장치인 받침프레임 상의 맨홀뚜껑을 개방시켜 유해가스가 완전히 빠져 나갈때까지 장기간 존치하거나 또는 급배기 설비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점검시에만 일시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만 사용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단수시 외부의 많은 공기가 유입됨으로 인해 밸브실 내에는 부압(負壓)이 발생하면서 공기밸브를 통하여 관로 내로 유입되져 그 관로 내의 잔류하는 물을 자연 배수되도록 하는 데, 이렇게 밸브실에 부압이 발생하는 종 래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받침프레임 상의 맨홀뚜껑을 인위적으로 개방하여 많은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수작업이 일일이 병행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도 밸브실(100)에 여러 통로관을 연결하여 외부와 통하도록 에어벤트(300)를 설치하기도 하였으나, 이같은 에어벤트는 구조적인 특성상 외부와의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에어벤트를 설치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 상승은 물론 유지관리비의 비용부담과 함께 설치상 지표면으로 돌출됨으로 인한 주위 환경과 어울리지 않는 미관상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시설물 없이 밸브실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장치인 맨홀뚜껑을 통하여 우수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고 밸브실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내부 공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맨홀뚜껑에 구비되는 압력조절수단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자 형태의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맨홀뚜껑과 받침프레임 사이로 우수나 토사 등과 같은 이물질 등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체의 통행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으로부터 맨홀뚜껑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맨홀뚜껑을 이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밸브실을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부에 매설되는 받침프레임과 그 받침프레임의 받침리이브 상에 올려지는 맨홀뚜껑으로 구성되는 출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에 외부와 통하도록 관통된 통공을 형성하고, 그 통공의 하부에 밸브실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개폐되는 압력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밑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통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맨홀뚜껑의 밑면으로 장착되는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에 밸브실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관통공 및 통공으로 통하여 흡기 및 배기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밸브실에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승하강되는 흡기부와, 상기 흡기부의 내부에 밸브실 내에서 발생되는 이상압력에 의해 승하강되는 배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흡기부는 밑면이 본체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탄지부재에 의해 지지되 고, 외측으로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기밀부재가 구비되는 흡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부는 그 흡기부의 흡기부재 상부면에 관통된 배기공과, 상기 흡기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입공과, 상기 배기공의 하부에 외측면으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장착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밑면으로 탄지부재와 함께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차단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의 외측 맨홀뚜껑의 밑면에는 그 압력조절수단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리이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뚜껑의 밑면과 받침프레임의 받침리이브 사이에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기밀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뚜껑의 밑면과 받침프레임의 받침리이브 사이에는 중량체의 통행으로 발생되는 진동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맨홀뚜껑의 밑면 외측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과 대응되는 위치의 받침리이브에 형성되는 삽입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뚜껑의 측면에는 그 맨홀뚜껑을 간편하게 이탈시키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밸브실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실(100)을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부에 매설되는 받침프레임(410)과 그 받침프레임의 받침리이브(412) 상에 올려지는 맨홀뚜껑(420)으로 구성되는 출입장치(400)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별도의 시설물 없이 밸브실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출입장치인 맨홀뚜껑을 통하여 우수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고 밸브실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즉 밸브실 내의 부압이 발생하거나 이상압력 발생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내부 공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맨홀뚜껑(420)에 외부와 통하도록 관통된 통공(422)을 형성하고, 그 통공(422)의 하부에 밸브실(100)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즉 밸브실 내에 구비된 관로의 단수나 통수시 발생되는 부압이나 이상압력 발생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내부 공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폐되는 압력조절수단(1)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압력조절수단(1)은, 밑면에 다수의 통기공(12)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통공과 대응되는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상기 맨홀뚜껑(420)의 밑면으로 통상적인 볼트 체결 등에 의해 장착되는 본체하우징(10)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에 밸브실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관통공 및 통공으로 통하여 흡기 및 배기되는 개폐부재(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14)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입자 형태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 주는 망체(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20)는 밸브실(100)에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즉 단수시 관로 내로 공기 유입에 따른 많은 량의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승하강되는 흡기부(30)와, 상기 흡기부(30)의 내부에 밸브실 내에서 발생되는 이상압력에 의해, 즉 통수시나 단수시 관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나 유해가스 등으로 인해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될 경우 내부 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승하강되는 배기부(4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기부(30)는 밑면이 본체하우징(10)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지부재(32)에 의해 지지되고, 외측으로 다수의 흡입공(34)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내부에 상기 탄지부재의 지지력에 의해 압착되어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중공부가 형성된 통상의 O-링 등과 같은 기밀부재(36)가 구비되는 흡기부재(38)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기밀부재는 밸브실에 부압이나 이상압력이 발생하지 않는 평상시 탄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흡기부재의 상면과 맨홀뚜껑의 밑면 사이에서 그 맨홀뚜껑에 형성된 통공과 본체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배기부(40)는 그 흡기부(30)의 흡기부재(38) 상부면에 관통된 배기공(41)과, 상기 흡기부재(38)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입공(42)과, 상기 배기공(41)의 하부에 외측면으로 다수의 배출공(44a)이 형성되어 장착된 지지부 재(44)와, 상기 지지부재의 밑면으로 통상의 스프링 등과 같은 탄지부재(32a)와 함께 상기 유입공(42)을 개폐하는 차단부재(4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먼저, 밸브실(100) 내에 부압이나 이상압력이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탄지부재(32)에 의해 지지되는 흡기부(30)의 흡기부재(38)가 상부로 위치하여 그 상면이 맨홀뚜껑(420)의 밑면과 맞닿고, 이때 상기 흡기부재(38)의 상면에 구비된 기밀부재(36)에 의해 맨홀뚜껑(420)의 통공(422)과 본체하우징(10)의 관통공(14) 및 흡기부재(38)에 형성된 배기부(40)의 배기공(41)을 통하여 유입되는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기부재에 형성된 배기부(40)의 배기공(41)과 지지부재(44)의 배출공(44a)를 통하여 유입되는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은 그 배기부(40)의 탄지부재(32a)에 의해 차단부재(46)가 유입공(42)을 차단하고 있는 관계로, 밸브실(100) 내로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본체하우징(10)에 형성된 관통공(14)에는 입도가 좁은 망체(16)를 구비함에 따라 맨홀뚜껑(420)의 통공(422)을 통하여 유입되는 입자 형태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밸브실 내에 부압이나 이상압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압력조절수단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나 우수 등과 같은 수분이 밸브실 내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단수 등에 의해 밸브실(100) 내에 부압이 발생할 경우에는 도 3b에서 와 같이 흡기부(30)의 흡기부재(38)에 내에 구비된 배기부(40)의 차단부재(46)가 유입공(42)을 차단하고 있고, 부압으로 인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탄지부재(32)로 지지되고 있던 흡기부재(38)가 그 흡입력으로 인하여 하부로 하강되면서 외부 공기가 맨홀뚜껑(420)의 통공(422)과 흡기부재(38)의 흡기공(34) 및 본체하우징(10)의 통기공(12)을 통하여 다량으로 유입되어 짐으로써, 밸브실(100) 내의 부압 발생시 종래 작업자가 일일이 맨홀뚜껑을 개방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밸브실 내에 부압이 발생할 경우에는 본원 발명의 압력조절수단인 흡기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필요로 하는 다량의 외부공기가 별도의 조치작업 없이도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는 것이고, 이렇게 다량의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밸브실 내의 부압이 해제될 경우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흡기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탄지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흡기부재를 상승시켜 평상시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밸브실(100) 내에 이상압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흡기부(30)의 흡기부재(38)는 탄지부재(32)에 의해 도 3a의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흡기부재 내의 배기부(40)인 차단부재(46)가 이상압력으로 인해 상승되면서 본체하우징(10)의 밑면에 형성된 통기공(12)과 흡기부재(38)에 형성된 유입공(42), 지지부재(44)의 배출공(44a), 흡기부재의 배기공(41), 본체하우징의 관통공(14) 및 맨홀뚜껑(420)의 통공(422)으로 통하여 밸브실(100) 내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이상압력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렇게, 밸브실 내의 이상압력으로 인하여 내부 공기가 배출되면서 이상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차단부재(46)는 탄지부재(32a)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하강되면서 이상압력 발생전의 상태인 유입공(42)을 차단시킴에 따라 평상시와 같이 도 3a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밸브실 내에 부압이나 이상압력이 발생할 경우에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장치인 맨홀뚜껑으로 구비되는 압력조절수단에 의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나 내부 공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부압에 따른 작업자가 일일이 맨홀뚜껑을 개방시키지 않아도 되고, 이상압력 발생으로 인한 맨홀뚜껑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맨홀뚜껑을 받침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켜 지면으로 놓을 때 그 맨홀뚜껑의 밑면으로 구비되는 압력조절수단이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조절수단(1)의 외측 맨홀뚜껑(420)의 밑면에는 그 압력조절수단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조절수단의 높이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보호리이브(50)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보호리이브는 맨홀뚜껑의 제작시 일체로 성형하여도 무방하고,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이나 볼트 체결 등에 의해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맨홀뚜껑을 받침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켜 지면으로 올려 놓을 때 그 압력조절수단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보호리이브에 의해 파손이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맨홀뚜껑과 받침프레임 사이로 유입되는 우수나 토사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맨홀뚜껑(420)의 밑면과 받침프레임(410)의 받침리이브(412) 사이에는 내부에 맨홀뚜껑의 무게에 의해 압착되면서 기밀성이 높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통상의 O-링 형태의 기밀부재(60)가 개재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기밀부재가 개재되는 부분의 맨홀뚜껑의 밑면과 받침프레임의 받침리이브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그 기밀부재의 상면과 밑면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맨홀뚜껑의 밑면과 받침프레임의 받침리이브 사이에 개재되는 기밀링에 의해 외부로부터 우수나 토사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밸브실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맨홀뚜껑의 상부로 중량체인 차량 등의 통행시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맨홀뚜껑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맨홀뚜껑(420)의 밑면과 받침프레임(410)의 받침리이브(412) 사이에는 중량체의 통행으로 발생되는 진동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60)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수단(60)은 맨홀뚜껑(420)의 밑면 외측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돌출턱(62)과, 상기 돌출턱과 대응되는 위치의 받침리이브(412)에 형성되는 삽입홀(6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맨홀뚜껑의 돌출턱과 그 돌출턱이 삽입홀로 기울기의 각도 만큼 슬라이드 삽입되고, 이탈시에도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탈되어 짐으로써, 맨홀뚜껑의 상부로 중량체인 차량의 통행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기울기를 갖도록 삽입되는 돌출턱에 의해 최소화되면서 상기 진동으로 인한 맨홀뚜껑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받침프레임의 받침리이브에 올려지는 맨홀뚜껑을 이탈시 그 맨홀뚜껑의 외측단과 받침프레임 내측면으로 삽입되는 여러 이물질로 인하여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을 원활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맨홀뚜껑(420)의 측면에는 그 맨홀뚜껑을 지렛대 원리에 의해 간편하게 이탈시키기 위한 걸림홈(70)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맨홀뚜껑을 이탈시 상기 걸림홈으로 지렛대의 끝단을 삽입한 후 받침프레임으로 지렛대를 지지하여 작업자가 큰 힘없이도 간편하게 이격시켜 용이하게 맨홀뚜껑을 이탈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시설물 없이 밸브실의 출입구에 설치되 는 맨홀뚜껑을 통하여 우수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고 밸브실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내부 공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압력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밸브실에 부압 발생시 작업자가 일일이 맨홀뚜껑을 개방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상압력 발생시도 별도의 복잡한 배기수단 없이 원활하게 내부 공기를 배기시켜 맨홀뚜껑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맨홀뚜껑에 구비되는 압력조절수단을 보호리이브에 의해 맨홀뚜껑을 이탈시킨 후 지면 등으로 올려 놓을 때 그 압력조절수단이 파손이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압력조절수단의 관통공에 망체를 형성함에 따라 입자 형태의 이물이 밸브실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청결한 상태로의 밸스실을 유지관리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맨홀뚜껑과 받침프레임 사이로 구비되는 기밀링에 의해 우수나 토사 등과 같은 이물질 등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밸브실 내로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밸브실 내를 더욱더 청결한 상태로 유리관리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중량체의 통행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으로부터 이탈방지수단에 의해 맨홀뚜껑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맨홀뚜껑의 이탈로 인한 위험한 요소를 제거함에 따라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맨홀뚜껑의 측면에 지렛대 원리에 의해 간단하게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 므로서, 맨홀뚜껑을 이탈이 최소한의 힘으로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밸브실을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부에 매설되는 받침프레임과 그 받침프레임의 받침리이브 상에 올려지는 맨홀뚜껑으로 구성되는 출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420)에 외부와 통하도록 관통된 통공(422)을 형성하고, 그 통공의 하부에 밸브실(100)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개폐되는 압력조절수단(1)을 구비하되,
    상기 압력조절수단(1)은 밑면에 다수의 통기공(12)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통공과 대응되는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상기 맨홀뚜껑의 밑면으로 장착되는 본체하우징(10)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에 밸브실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관통공 및 통공으로 통하여 흡기 및 배기되는 개폐부재(20)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부재(20)는 상기 밸브실(100)에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승하강되는 흡기부(30)와, 상기 흡기부의 내부에 상기 밸브실(100) 내에서 발생되는 이상압력에 의해 내부 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승하강되는 배기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30)는 밑면이 본체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탄지부재(32)에 의해 지지되고, 외측으로 다수의 흡입공(34)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기밀부재(36)가 구비되는 흡기부재(3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40)는 그 흡기부(30)의 흡기부재(38) 상부면에 관통된 배기공(41)과, 상기 흡기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입공(42)과, 상기 배기공의 하부에 외측면으로 다수의 배출공(44a)이 형성되어 장착된 지지부재(44)와, 상기 지지부재의 밑면으로 탄지부재(32a)와 함께 상기 유입공을 개폐하는 차단부재(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1)의 외측 맨홀뚜껑(420)의 밑면에는 그 압력조절수단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리이브(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420)의 밑면과 받침프레임(410)의 받침리이브(412) 사이에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기밀부재(36a)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9.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420)의 밑면과 받침프레임(410)의 받침리이브(412) 사이에는 중량체의 통행으로 발생되는 진동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60)은 맨홀뚜껑의 밑면 외측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돌출턱(62)과, 상기 돌출턱과 대응되는 위치의 받침리이브에 형성되는 삽입홀(6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11.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420)의 측면에는 그 맨홀뚜껑을 간편하게 이탈시키기 위한 걸림홈(7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KR1020070037575A 2007-04-17 2007-04-17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KR100879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575A KR100879316B1 (ko) 2007-04-17 2007-04-17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575A KR100879316B1 (ko) 2007-04-17 2007-04-17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619A KR20080093619A (ko) 2008-10-22
KR100879316B1 true KR100879316B1 (ko) 2009-01-19

Family

ID=4015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575A KR100879316B1 (ko) 2007-04-17 2007-04-17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872B1 (ko) * 2008-11-13 2009-04-17 (주)태평개발 맨홀의 악취방지용 배수커버
CN111155559B (zh) * 2020-01-10 2021-06-11 江苏健达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用井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9169U (ko) * 1977-03-23 1978-10-13
JP2002038511A (ja) * 2000-07-24 2002-02-06 Araki Seisakusho:Kk 地下施設の蓋装置
KR20050086079A (ko) * 2004-02-24 2005-08-30 정영진 가스배출구가 마련된 하수관용 맨홀뚜껑
KR100762735B1 (ko) * 2007-02-12 2007-10-02 주식회사 정원주철 배기밸브가 장착된 맨홀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9169U (ko) * 1977-03-23 1978-10-13
JP2002038511A (ja) * 2000-07-24 2002-02-06 Araki Seisakusho:Kk 地下施設の蓋装置
KR20050086079A (ko) * 2004-02-24 2005-08-30 정영진 가스배출구가 마련된 하수관용 맨홀뚜껑
KR100762735B1 (ko) * 2007-02-12 2007-10-02 주식회사 정원주철 배기밸브가 장착된 맨홀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619A (ko)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281B1 (ko) 압력 안전 밸브를 가진 덤프 가능 연료 시스템 먼지 필터
WO2015152472A1 (ko) 배수트랩
KR100879316B1 (ko)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KR200488092Y1 (ko) 미세먼지 차단기능이 구비된 창문시스템
KR100803537B1 (ko) 공기유통 및 배기, 배수가 가능한 터치펌프를 가지는 맨홀
KR100567433B1 (ko) 반도체제조장비의 오염가스 배출 장치
EP1153243B1 (en) Sealed light fixture
CA2450304C (en) Check valve floor drain
RU2741477C2 (ru) Воздухопроводящи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KR20160111357A (ko) 응축수 배출 장치
KR101416365B1 (ko) 흡기 보조 밸브 장치 및 흡기 보조 밸브 장치가 구비된 흡기 시스템
US20110195653A1 (en) Inverter building
KR200401077Y1 (ko) 상수도 에어밸브실의 에어벤트장치
KR20050055585A (ko) 배기관에 연결하기 위한 환기 장치 및 중앙 환기 장치
JP2020101203A (ja) 吸排気弁及び排水管構造
KR102008617B1 (ko) 하수토출구 악취차단장치
KR100847656B1 (ko) 파우더 트랩이 설치된 드라이 가스 스크러버
KR102228908B1 (ko) 상수도관 공기배출설비
KR100864439B1 (ko) 집진설비의 펄스밸브
KR20080078381A (ko) 댐퍼구조를 갖는 필터 유닛
KR102295088B1 (ko) 밸브실 유입물 배출 장치
KR0125817Y1 (ko) 유류 및 화학물질 운반 탱크의 공기 흡, 배출용 밸브장치
KR101498463B1 (ko) 집진기용 다이어프램밸브 및 그 검사방법
KR20190114119A (ko) 필터의 2차 오염방지를 위한 삿갓이 내장된 저소음 에어 펄스 집진기
KR102075015B1 (ko) 에어 브리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