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818B1 -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818B1
KR100878818B1 KR1020070021117A KR20070021117A KR100878818B1 KR 100878818 B1 KR100878818 B1 KR 100878818B1 KR 1020070021117 A KR1020070021117 A KR 1020070021117A KR 20070021117 A KR20070021117 A KR 20070021117A KR 100878818 B1 KR100878818 B1 KR 10087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driving device
flow path
switching unit
val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0856A (ko
Inventor
김성환
오세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818B1/ko
Publication of KR20080080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8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5Flow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팽창밸브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의 장치에 의해 팽창장치의 작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어 팽창장치의 작동의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고 고장유무를 신속하게 알 수 있어 전체 시스템의 오작동이나 고장, 파손 등에 따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EXPANS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장치에 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도 2b 그리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장치의 감지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a, 도 3b 그리고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장치의 감지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의 설명>
100:구동장치 110:회전자
120:코일 140:구동기어
200:밸브장치 210:보어
220:작동축 230:종동기어
252:유입관 254:유출관
300:감지장치 310:회전부재
320:스위칭부 322:고정전극
324:유동전극 325:접점부
본 발명은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팽창밸브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냉동사이클장치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를 응축시키는 열교환기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열교환기, 그리고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가 기본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팽창장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열교환기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열교환기 사이에 구비되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응축된 냉매의 압력을 강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동사이클장치, 특히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에서 냉방도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난방도 이루어지도록 해야하고, 이러한 이유로 냉매의 유동 방향이 매우 복잡하게 변화하므로 팽창장치는 단순히 냉매를 팽창만 시키는 것이 아니라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까지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팽창장치가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면서 냉매를 팽창도 시키도록 하는 것은 냉매가 지나가는 유로의 개방 정도, 즉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한데, 종래의 팽창장치는 이러한 팽창장치의 개도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 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즉 팽창장치가 파손됨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파손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없어 그러한 점들이 팽창장치의 작동의 신뢰성을 매우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등에 사용되는 팽창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단한 장치에 의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 그와 같은 작동 상태에 관한 피드백 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팽창장치는,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장치; 상기 밸브장치를 구동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밸브장치의 상기 유로에 대한 개도를 조절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밸브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대한 전기자기적 영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자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변환수단에 의하여 직선운동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축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회전자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소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다각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접촉되거나 인접하여 고정되는 고정전극과,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에 접촉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유동하여 상기 고정전극에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유동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둘레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그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그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지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에 의해 상기 감지스위치가 작동되어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회전자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둘레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면 및 상기 스위칭부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발광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면 및 상기 스위칭부의 내면 중 다른 하나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수광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빛을 상기 수광부가 받아서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디지털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 및 상기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때 상기 스위칭부에서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밸브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환장치에서 변환되는 디지털 펄스 신호와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때 입력하는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밸브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팽창장치의 제어방법은, (A) 유로의 개도 조절을 위해 밸브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는 단계; (B) 감지장치에서 상기 밸브장치 및 상기 밸브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감지장치에서의 감지 결과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밸브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장치의 고장임을 표시 또는 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감지장치에서의 신호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감지장치에서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장치의 고장임을 표시 또는 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코일에 대한 전류 인가 횟수와 상기 감지장치에서 신호 발생 횟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코일에 대한 전류 인가 횟수와 상기 감지장치에서의 신호 발생 횟수가 불일치 하는 경우에 장치의 고장임을 표시 또는 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감지장치에서의 신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b2) 상기 감지장치에서의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3) 상기 (b2)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감지장치에서의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신호를 디지털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b4) 상기 코일에 대한 전류의 인가를 위해 입력하는 입력 신호와 상기 (b3) 단계에서의 디지털 펄스 신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팽창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장치는 구동장치(100)와, 밸브장치(200), 그리고 감지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장치(100)는 상기 밸브장치(200)가 작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케이스(101)의 내부에 회전자(110)와 코일(120), 그리고 상기 회전자(11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14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자(110)는 그와 인접하여 주변을 둘러싸는 코일(120)과의 전기자기적 영향력으로 말미암아 회전하고, 상기 회전자(110)는 구동기어(140)를 회전시키는데, 상기 회전자(110)의 회전력을 구동축(130)이 상기 구동기어(14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140)가 작동한다.
상기 밸브장치(200)는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250)와 연통되는 보어(210)와, 상기 보어(210)를 왕복하면서 상기 유로부(250)에 대한 개도를 조절하는 코어(222)와 작동축(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축(220)의 상단에는 상기 구동기어(140)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종동기어(230)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축(220)의 하단에 상기 코어(222)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축(220)의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223)가 형성되고 상기 보어(210)의 상단 쪽에는 상기 스크류(223)와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안내부(224)가 형성된다.
종동기어(230)가 상기 구동기어(1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223)는 상기 안내부(224)에 의해 하향 이동하거나 상향 이동한다.
상기 작동축(220)은 그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거나 결합하여 구비되는 플랜지(225)가 구비되고, 상기 보어(210)는 그 내면 측에 스토퍼(226)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225)와 상기 스토퍼(226) 사이에 스프링(240)기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240)은 상기 작동축(220)의 상하 이동, 특히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작동축(220)의 상향 이동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작동축(220)의 이 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유로부(250)는 냉매가 상기 밸브장치(200) 쪽으로 유입되는 유입관(252)과, 냉매가 팽창장치의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관(254)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252)과 상기 유출관(254)은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상기 작동축(220)의 하단에 구비되는 코어(222)는 상기 유출관(254)의 입구를 개폐하며, 상기 유입관(252)을 통과하는 냉매가 상기 유출관(254)을 통해 빠져 나가는 유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코어(222)의 상기 유출관(254)의 입구에 대한 인접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개도가 조절된다.
즉 상기와 같은 코어(222)에 의한 개도 조절은 작동축(22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100)의 회전자(110)의 상단에는 상기 회전자(110)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11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310)와, 상기 회전부재(310)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팽창장치의 작동을 감지하는 스위칭부(320, 도 3a 참조)를 포함하는 감지장치(300)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장치(300)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장치의 감지장치(3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부재(310)와, 상기 회전부재(310)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부(320)는 상기 회전부재(310)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유 동전극(324)과, 상기 유동전극(324)과 인접하여 구비되는 고정전극(322)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전극(324)의 일측에는 접점부(325)가 마련되어 상기 고정전극(322)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각형상의 상기 회전부재(310)가 회전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10)의 모서리가 유동전극(324)을 밀면서 접점부(325)는 고정전극(322)으로부터 이격되고 여기서 좀 더 회전하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는 경우 유동전극(324)은 회전부재(310)의 다른 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접점부(325)가 고정전극(322)에 접촉되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회전부재(310)가 대략 90°회전할 때마다 접점부(325)가 고정전극(322)에 접촉되면서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상기 회전부재(310)를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시켜 회전부재(310)가 90°회전할 때마다(이때 회전자(110, 도 1 참조)도 똑같이 회전한다)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회전자(110, 도 1 참조)의 회전 정도와 작동축(220, 도 1 참조)의 이동 정도 등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310)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할 때 소정의 신호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회전부재(310)의 형상을 대략 정삼각형의 형상으로 한다면, 회전자(110, 도 1 참조)가 대략 120°회전할 때마다 소정의 신호가 발생되고, 회전부재(310)의 형상을 대략 정육각형의 형상으로 한다면, 회전자(110, 도 1 참조)가 대략 60°회전할 때마다 소정의 신호가 발생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장치의 감지장치(300)에 관한 도 3a 내지 도 3c에 대해 살펴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10)를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하고 그 주변에 마그네트(312)를 설치한다.
그리고 회전부재(310)와 인접하여 그 둘레에 스위칭부(320)를 설치하여 일측에 감지스위치(326)를 설치한다.
따라서 회전부재(310)가 회전함에 따라 마그네트(312)가 상기 감지스위치(326)를 지나게 되어 상기 감지스위치(326)에서 소정의 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스위치(326)는 홀소자나 리드스위치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즉 회전부재(310)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지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면서 마그네트(312)는 감지스위치(326)와 인접한 상태가 되고, 이때 마그네트(312)의 자기장에 의해 감지스위치(326)에서는 소정의 신호가 발생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회전부재(310)의 외주부에 90°간격으로 4개의 마그네트(312)가 구비된 경우에 관하여 도시하였으나, 상기 회전자(110, 도 1 참조)의 회전 정도와 작동축(220, 도 1 참조)의 이동 정도 등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310)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할 때 소정의 신호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마그네트(312)를 120°간격으로 배치하거나 60°간격으로 배치한다면, 도 2a에 도시된 회전부재(310)를 각각 정삼각형의 형상으로 하거나 정육각형의 형상으로 한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312)의 위치와 감지스위치(326)의 위치를 바꾸어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팽창장치의 작동과 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장치는 기본적으로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는 단계와, 감지장치에서 소정의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또는 감지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전류 인가를 위한 입력 신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장치에서 신호가 발생하지 않거나 발생하는 신호가 입력신호와 불일치하는 경우 팽창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고장임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유입관(252)을 통해 유동하는 냉매를 유출관(254)으로 팽창시켜 유출시킬 것인지, 유출관(254)으로 유출시키지 않도록 할 것인지, 또는 유출관(254)을 완전히 개방하여 팽창 없이 냉매를 그대로 유출시킬 것인지 등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도 4에 도시된 S10의 단계로 나타난다. 즉 제어부(미도시)는 먼저 팽창장치의 개도 조절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예컨대 공기조화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본 발명에 따른 팽창장치를 통과하는 경우 냉매를 팽창시켜야 하므로 코어(226)가 유출관(254)을 적절하게 개방하도록 구동장치(100)를 제어하여야 하고, 냉매의 유동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코어(226)가 유출관(254)을 폐쇄하도록 상기 구동장치(100)를 제어한다. 그리고 냉매를 그냥 보내는 경우에는 코어(226)가 유출관(254)을 완전히 개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S1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개도 조절을 요구하는 신호가 있다면 제어부(미도시)는 밸브장치의 초기화 단계를 수행한다(S20).
여기서 상기 초기화 단계(S20)는 코어(226)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처음의 위치로 코어(226)를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예컨대 코어(226)가 유출관(254)을 완전히 폐쇄시키도록 하는 위치를 초기 위치로 잡을 수도 있고, 코어(226)가 유출관(254)을 완전히 개방시키도록 하는 위치를 초기 위치로 잡을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초기화 단계(S20)에서 코어의 초기 위치를 유출관(254)을 폐쇄시키는 위치에 오도록 하는 경우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다.
한편, 제어부는 코일에 적절한 전류를 인가하여 개도를 조절한다(S30). 즉 코일에 순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면 구동기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종동기어를 회전시키고, 작동축을 상향 이동시키면서 코어가 유출관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코일에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면 구동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종동기어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작동축을 하향 이동시키면서 코어가 유출관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개도 조절 단계를 거치면서 제어부는 감지장치에서 소정의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만약 감지장치에서 소정의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회전부재가 회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코일에 대한 전류의 인가에도 불구하고 회전자가 작동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구동장치나 밸브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 다. 따라서 팽창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S51), 팽창장치가 고장임을 표시하거나 알리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2).
만약 감지장치에서 소정의 신호가 발생한다면, 제어부는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하는 입력신호와 스위칭부에서 발생하는 발생신호를 비교하는데(S50), 입력신호와 발생신호의 횟수를 비교할 수도 있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디지털 펄스의 패턴을 비교할 수도 있다.
즉 상기 S50 단계에서는 감지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디지털 펄스 신호로 변환시켜 입력 신호(코일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입력한 신호)와 비교하여, 일치한다면 작동에 문제가 없으므로 상기 S10의 단계로 피드백되지만, 만약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팽창장치의 작동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이므로 상기 S51 및 S52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간단한 구조의 장치에 의해 팽창장치의 작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어 팽창장치의 작동의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고 고장유무를 신속하게 알 수 있어 전체 시스템의 오작동이나 고장, 파손 등에 따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장치;
    상기 밸브장치를 구동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밸브장치의 상기 유로에 대한 개도를 조절하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소정의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밸브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다각형상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소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접촉되거나 인접하여 고정되는 고정전극과,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에 접촉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유동하여 상기 고정전극에 접촉 또는 분리됨으로써 온/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유동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장치.
  6.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장치;
    상기 밸브장치를 구동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밸브장치의 상기 유로에 대한 개도를 조절하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소정의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밸브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소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둘레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그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그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감지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에 의해 상기 감지스위치가 작동되어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장치.
  7. 냉매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장치;
    상기 밸브장치를 구동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밸브장치의 상기 유로에 대한 개도를 조절하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소정의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밸브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둘레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면 및 상기 스위칭부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발광부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면 및 상기 스위칭부의 내면 중 다른 하나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수광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빛을 상기 수광부가 받아서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70021117A 2007-03-02 2007-03-02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7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117A KR100878818B1 (ko) 2007-03-02 2007-03-02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117A KR100878818B1 (ko) 2007-03-02 2007-03-02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856A KR20080080856A (ko) 2008-09-05
KR100878818B1 true KR100878818B1 (ko) 2009-01-14

Family

ID=4002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117A KR100878818B1 (ko) 2007-03-02 2007-03-02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8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454B1 (ko) * 2000-05-17 2003-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냉방 장치의 전자식 팽창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454B1 (ko) * 2000-05-17 2003-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냉방 장치의 전자식 팽창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856A (ko) 200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749B2 (en) Indoor expansion valve initialization sequence for an air conditioner
EP3403033B1 (en) Centrifugal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EP2426428B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EP152448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US119613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tuator installation auto-verification
EP3403034B1 (en) Centrifugal compressor with hot gas injection
JP2010038219A (ja) 電動弁
CN104879996A (zh) 一种冷藏装置风门的检测限位结构
JP2011127807A (ja) 室外機、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装置の運転方法
KR100878818B1 (ko) 팽창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125751A (ja)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EP1167898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with reversible cycle
JP4240040B2 (ja) 冷凍装置用熱交換器の冷媒分流器制御装置
WO2021171448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79560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44717B1 (ko) 냉동사이클용 전자팽창밸브
KR100677891B1 (ko) 전동 팽창 밸브용 회전자 승하강 제한장치
KR102052341B1 (ko) 다양한 냉매에 적용되는 차량용 냉동 시스템을 위한 전자 팽창 제어 밸브 장치
WO2013172196A1 (ja) 空気調和装置
JP4408825B2 (ja) 空気調和機
KR101297603B1 (ko)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팬코일 유니트
WO2023005526A1 (zh) 风门组件及制冷设备
KR101297601B1 (ko)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터부와 밸브부를 갖는 팬코일 유니트
WO2023209969A1 (ja) 空気調和装置
KR100479114B1 (ko) 냉동 시스템의 팽창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