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678B1 -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678B1
KR100878678B1 KR1020020062008A KR20020062008A KR100878678B1 KR 100878678 B1 KR100878678 B1 KR 100878678B1 KR 1020020062008 A KR1020020062008 A KR 1020020062008A KR 20020062008 A KR20020062008 A KR 20020062008A KR 100878678 B1 KR100878678 B1 KR 100878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inner diameter
reel
ultra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110A (ko
Inventor
김용규
박순복
김언식
김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678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21C47/18Unwinding or uncoiling from reel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초박판코일을 풀어서 연속공정에 투입하는 때에 페이오프릴(PAY-OFF REEL)에 남은 내경부를 페이오프릴에서 부터 간단하게 분리 제거토록 하는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는, 페이오프릴측으로 이동하는 코일카의 내측에 회전 구동토록 배치되어 코일카의 상승시 코일과 접촉하여 페이오프릴에서 부터 제거하는 코일내경부 제거벨트; 와, 상기 코일카의 외곽측에 경사방향으로 이동토록 설치된 구동축에 설치되어 구동축의 경사이동시 상기 제거벨트와 접촉하여 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피니언; 및, 상기 코일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과 와이어 연결된 회전아암이 저부에 설치된 가이드에 그 상단이 체결되며, 상기 지지축에 체결되는 스프링이 연결되어 제거된 코일내경부를 지지하는 가이드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벨트는 코일카의 내부 전,후측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에 탄성적으로 궤도 운동토록 조립되고, 상기 제거벨트의 양측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구동피니언이 맞물리는 랙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거벨트는 외주면의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코일내경부 원주면과의 접촉부위를 증대토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공정에 투입되는 초박판코일의 내경부를 페이오프릴의 맨드일에서 부터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분리 제거시키는 한편, 이로 인하여 새로운 코일의 연속공정투입을 원활하게 하여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20062008
페이오프릴, 초박판코일, 코일내경부,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 코일카

Description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AN APPARATUS FOR DISJOINING THE INNER PART OF A STRIP COIL FROM A PAY-OFF REEL}
도 1은 종래 페이오프릴에서 풀리고 남은 초박판코일의 내경부를 페이오프릴의 맨드릴에서 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코일내경부 제거장치 2.... 페이오프릴
4.... 맨드릴 10.... 코일카
20.... 코일내경부 30.... 제거벨트
34.... 회전축 36.... 랙부
50.... 구동피니언 52.... 구동축
54.... 가이드레일 56,62.... 모터
58.... 볼스크류 60.... 이동블록
64.... 가이드롤 66.... 가이드
본 발명은 초박판코일을 풀어서 연속공정에 투입하는 때에 페이오프릴(PAY-OFF REEL)에 절단되어 남은 내경부를 페이오프릴에서 부터 간단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로는 연속공정에 투입되는 초박판코일의 내경부를 페이오프릴의 맨드일에서 부터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분리 제거시키는 한편, 이로 인하여 새로운 코일의 연속공정투입을 원활하게 하여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일반적으로 강판 제조시, 코일을 풀어서 강판을 연속적으로 공정 진행시키는경우에는 통상 코일카로서 코일을 페이오프릴(PAY-OFF REEL)에 장착한 다음, 상기 페이오프릴을 가동시키어 코일을 풀면서 연속공정에 투입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오프릴(100)의 맨드릴(110)에 코일의 내경부(120)가 삽입되어 풀리는 경우, 코일의 강판 두께가 0.18t이하인 초 박판코일의 경우에는 코일이 거의 풀렸을 경우에 그 내경부(120)를 공정에 투입시키기 않고, 이를 폐기처리하는데, 이는 초박판코일의 경우 그 내경부(120)에는 맨드릴 (110)의 블록홈, 긁힌홈과 같이 표면에 결함이 손쉽게 발생되기 때문에, 일정량을 폐기처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코일의 내경부(120)는 페이오프릴(100)의 맨드릴(110)에서 부터 분리 제거시켜야 하는데, 종래에는 코일카(130)로 초박판코일 내경부(120)를 약간 들어올려서 맨드릴(110)과 내경부(120)사이에 공간이 발생되면 코일카(130)를 전진시키어 코일내경부(120)를 맨드릴(110)에서 부터 분리시켰다.
그러나, 초박판코일의 경우에는 그 두께가 작기 때문에, 일정량의 내경부 (120)는 손쉽게 찌그러지고, 실제로 맨드릴(110)에서 부터 초박판코일의 내경부 (120)를 분리 제거시키는 작업은 상당히 지연되는 것이다.
그리고, 초박판코일의 내경부(120)가 일부 맨드릴(110)의 블록사이에 끼이는 등의 심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별도의 치구를 이용하여 강제로 페이오프릴의 맨드릴에서 부터 초박판코일의 내경부를 분리시키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속공정에 투입되는 초박판코일의 내경부를 페이오프릴의 맨드일에서 부터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분리 제거시키는 한편, 이로 인하여 새로운 코일의 연속공정투입을 원활하게 하여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초박판 코일의 내경부 페이오프릴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오프릴측으로 이동하는 코일카의 내측에 회전 구동토록 배치되어 코일카의 상승시 코일과 접촉하여 페이오프릴에서 부터 제거하는 코일내경부 제거벨트; 와, 상기 코일카의 외곽측에 경사방향으로 이동토록 설치된 구동축에 설치되어 구동축의 경사이동시 상기 제거벨트와 접촉하여 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피니언; 및, 상기 코일카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과 와이어 연결된 회전아암이 저부에 설치된 가이드에 그 상단이 체결되며, 상기 지지축에 체결되는 스프링이 연결되어 제거된 코일내경부를 지지하는 가이드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벨트는 코일카의 내부 전,후측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에 탄성적으로 궤도 운동토록 조립되고, 상기 제거벨트의 양측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구동피니언이 맞물리는 랙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거벨트는 외주면의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코일내경부 원주면과의 접촉부위를 증대토록 구성된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1)의 전체구성을 사시도로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1)는 크게 코일내경부 제거벨트(30)와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피니언 (50) 및, 페이오프릴(2)의 맨드릴에서 부터 분리 제거된 코일내경부(20)를 지지하는 가이드테이블(70)로 나누어 지는데, 이들 각 구성요소(30)(50)(70)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코일내경부 제거벨트 (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일내경부 제거벨트(30)는, 페이오프릴(2)의 맨드릴(4)측으로 이동하는 코일카(10)의 내측에 회전 구동토록 배치됨으로서, 상기 코일카(10)의 상승시 코일내경부(20)와 접촉하여 페이오프릴(2)의 매드릴(4)에서 부터 코일내경부(20)를 신속하게 분리 제거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거벨트(30)는 코일카(10)의 내부 전,후측에 브라켓트상에 제공된 베어링(32)사이에 체결되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4)에 탄성적으로 궤도 운동토록 조립되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거벨트(30) 양측 모서리부분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구동피니언(50)이 맞물리는 랙부(3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동피니언(50)의 구동시 궤도 이송되면서 상부측에 접촉한 맨드릴(4)상의 코일내경부(20)를 전진시키어 제거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피니언(50)은 상기 제거벨트(30)의 리턴방향을 기준으로 하 부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거벨트(30)의 랙부(36)는 상기 구동피니언(50)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되어 구동력 전달이 확실하게 수행되고,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거벨트(30)는 외주면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코일내경부 원주면과의 접촉을 가능한 넓은 부위에서 이루어 지도록 한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1)의 상기 구동피니언(5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동피니언(1)은, 상기 코일카(10)의 측벽이 절개된 부분의 외측으로 경사방향으로 이동토록 설치된 구동축(52)에 설치되어 구동축(52)의 경사 이동시, 상기 제거벨트(30)와 접촉하여 벨트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도 3 및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피니언(50)이 설치된 구동축(52)은, 그 일단이 상기 코일카(10)의 외곽측에 경사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54)상에 안착된 일측 이동블록(60a)상의 제 2 구동모터(62)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52)의 타단은 상기 이동블록(60a)의 반대측에 경사진 가이드레일(54)상에 체결된 이동블록(60b)에 베어링(B)으로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구동모터(62)의 구동시 상기 구동축(52)과 일체로 구동피니언(50)이 회전하여 이에 맞물리는 랙부(36)를 갖춘 코일내경부 제거벨트(30)는 전,후측 회전축(34)사이에서 궤도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블록(60a)(60b)들은 경사진 가이드레일(54)을 따라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는 상기 구동축(52)의 경사방향 이동으로 필요한 경우에만 코일내경부 제거벨트(30)에 구동피니언(50)이 접촉하여 제거벨트(30)를 구동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다음에 설명하는 가이드테이블(70)의 작동과 연계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이동블록(60a)(60b)에는 경사진 가이드레일(54)의 상부측에 설치된 제 1 구동모터(56)와 연결되고, 가이드레일(54)의 하부측에 베어링블록(58a)에 체결된 볼스크류(58)가 통과하면서 체결되고, 결국 상기 제 1 모터(56) 구동시 상기 이동블록(60a)(60b)들을 동시에 가이드레일(5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블록(60)들의 이동상태에 따라 구동축(52)과 일체로 구동피니언(50)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상기 이동블록(60)들이 상승되는 정도에 따라 구동피니언(50)과 제거벨트(30)간의 접촉력 즉, 제거벨트(30)의 텐션정도가 조정될 수 있고, 이는 제거벨트(30)의 마모상태에 따라 제 1 구동모터(56)의 작동을 조작하여 구동피니언(50)과 제거벨트(30)간의 밀착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54)의 내측으로 코일카(10) 외곽측에는 가이드(6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66)에는 상기 구동축(52)에 설치된 가이드롤(64)이 지지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롤(64)은 중앙이 오목하고 양끝이 돌출된 지지턱(64a)이 일체로 형성되는 고무롤로 형성되어 구동피니언(50)의 이동을 결정하는 구동축(52)의 상하 이동을 일정하게 한다.
다음, 도 2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1)의 상기 가이드테이블(7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이드테이블(70)은, 상기 코일카(1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축(72)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52)과 와이어(74) 연결된 회전아암(76)이 저부에 설치된 가이드(78)에 그 상단이 체결되며, 상기 지지축(72)에 체결되는 스프링(80)이 연결되어 제거된 코일내경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80)은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가이드테이블(70)은 하측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을 주고, 결국 상기 구동축(52)이 이동하면서 당겨지는 와이어 (74)의 힘으로 회전아암(76) 즉, 코일카(10) 전방으로 상기 지지축(72) 하부에 배치된 다은 지지축(76a)에 설치된 회전아암(76)은 그 상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78)가 설치된 가이드테이블(70)을 들어올리게 되고, 상기 구동축(52)이 하강하여 와이어 (74)가 풀리면 상기 스프링(80)에 의하여 가이드테이블(70)은 회전아암(76)을 역회전시키면서 초기 위치 즉, 코일카 전면에 밀착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0.18t 이하인 초박판코일을 풀어서 소둔공정과 같은 연속공정에 투입하는 경우, 페이오프릴(2)의 맨드릴(4)상에 남아서 폐기처리되는 코일내경부(20)를 맨드릴(4)에서 부터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분리시키도록 한 본 발명의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장치(1)는 코일카(10)상에 설치되어 페이오프릴(2)의 맨드 릴(4)에서 코일이 거의 풀리어 대략 맨드릴(4)에 5바퀴정도 감긴분량의 코일내경부 (20)가 남게되면, 상기 코일카(10)는 상승하여 상기 코일카(10)의 상부 개구(도 3)(10a)에 약간 돌출된 코일내경부 제거벨트(3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맨드릴(4)상의 코일내경부(20)를 받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오프릴(2)를 조작하여 맨드릴(4)의 세그멘트들의 직경을 축소시키면, 상기 맨드릴(4)과 코일내경부 (20)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코일내경부(20)의 맨드릴 분리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코일은 두께가 작은 초박판이므로 코일내경부는 좌굴 즉, 찌그러지면서 맨드릴(4)에서 부터 코일내경부(20)의 분리 제거를 어렵게 하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본 발명의 장치(1)를 가동시킨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코일카(10)의 외곽으로 경사진 가이드레일(54)상에 안착된 이동블록(60a)(60b)들을 제 1 구동모터(56)를 가동시키어 구동되는 볼스크류(58)로서 상승시키면, 상기 이동블록(60)들 사이에 일측 제 2 모터(62)와 이동블록(60b)간에 체결된 구동축(52)은 일체로 상승되면서, 상기 구동축(52)에 설치된 구동피니언(50)이 제거벨트(50)의 외표면측 랙부(36)에 밀착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이동블록(60a)상의 제 2 구동모터(62)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축(52)과 일체로 구동피니언(50)이 구동되어 코일내경부(20)의 하부표면에 밀착된 제거벨트(30)는 코일카 전후측의 회전축(34)사이에서 궤도 이송되면서 상기 코일내경부(20)를 강제로 페이오프릴(2)의 맨드릴 (4)상에서 신속하게 분리 제거시키게 된다.
이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52)이 이동하면, 이에 연결된 와이어(74)는 코일카(10) 전방측의 지지축(72)에 지지된 가이드테이블(70)의 가이드 (78)에 상단부가 삽입된 회전아암(76)을 강제로 지지축(76a)을 축으로 회전시키어 상기 가이드테이블(70)은 코일카(10)의 전방에서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전 위치된다.
결국, 코일내경부 제거벨트(30)로서 맨드릴(4)상에서 분리 제거된 코일내경부 (20)는 상기 가이드테이블(70)상에 낙하 안착되면, 작업자는 호이스트등을 이용하여 상기 코일내경부(20)를 처리하게 되면, 코일카(10)는 작업 대기위치로 이동하는데, 상기 코일카(10)의 상부판상에 코일전체가 지지되어 새로이 맨드릴(4)에 취부되어 풀리면 새로운 코일내경부(20)는 본 발명의 장치(1)로서 맨드릴(4)에서 용이하게 분리 제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거벨트(30)가 사용중에 느슨하게 되면, 작업자는 제 1 구동모터 (56)를 가동시키어 이동블록(60a)(60b)들의 이동량을 증대시키어 이동블록 사이의 구동축(52)상에 배치된 구동피니언(50)이 상기 제거벨트(30)를 좀더 강하게 밀착함으로서, 제거벨트(30)의 텐션을 조정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은 이동블록(60)의 정밀한 이동을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1)에서는 볼스크류(58)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인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1)에 의하면, 두께가 적은 초박판코일을 연속공정에 투입하고 남은 소량의 코일내경부(20)를 페이오프릴(2)의 맨드릴(4)에서 상기 코일내경부의 좌굴현상시에도 신속하게 분 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에 의하면, 연속공정에 투입되는 초박판코일의 내경부를 페이오프릴의 맨드일에서 부터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분리 제거시키는 한편, 이로 인하여 새로운 코일의 연속공정투입을 원활하게 하여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1)에 있어서, 상기 페이오프릴(2)측으로 이동하는 코일카(10)의 내측에 회전 구동토록 배치되어 코일카의 상승시 코일(20)과 접촉하여 페이오프릴(2)에서 부터 제거하는 코일내경부 제거벨트(30); 와,
    상기 코일카(10)의 외곽측에 경사방향으로 이동토록 설치된 구동축(52)에 설치되어 구동축(52)의 경사이동시 상기 제거벨트(30)와 접촉하여 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피니언(50); 및,
    상기 코일카(1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축(72)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52)과 와이어(74) 연결된 회전아암(76)이 저부에 설치된 가이드(78)에 그 상단이 체결되며, 상기 지지축(72)에 체결되는 스프링(80)이 연결되어 제거된 코일내경부를 지지하는 가이드테이블(70);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벨트(30)는 코일카(10)의 내부 전,후측에 베어링 (3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4)에 탄성적으로 궤도 운동토록 조립되고, 상기 제거벨트(30)의 양측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구동피니언(50)이 맞물리는 랙부(36)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거벨트(30)는 외주면의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코일내경부 원주면과의 접촉부위를 증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피니언(50)이 설치된 구동축(52)은, 그 일단이 상기 코일카(10)의 외곽측에 경사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54)상에 안착되고 제 1 모터(56) 구동되는 볼스크류(58)가 체결된 이동블록(60a)상의 제 2모터(62)와 연결되며, 타단은 반대측 이동블록(60b)에 삽입된 베어링(B)에 체결되어 제1 모터 구동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토록 구성되고,
    상기 코일카(10)에는 상기 구동축(52)에 설치된 가이드롤(64)이 지지되는 가이드(6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
KR1020020062008A 2002-10-11 2002-10-11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 KR100878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08A KR100878678B1 (ko) 2002-10-11 2002-10-11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08A KR100878678B1 (ko) 2002-10-11 2002-10-11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10A KR20040033110A (ko) 2004-04-21
KR100878678B1 true KR100878678B1 (ko) 2009-01-13

Family

ID=3733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008A KR100878678B1 (ko) 2002-10-11 2002-10-11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067B1 (ko) * 2008-11-24 2011-06-16 김금연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KR101381279B1 (ko) * 2013-09-26 2014-04-04 주식회사 대성지티 파이프 내경용 도금막 제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7520A (ja) * 1990-11-29 1992-07-17 Kawasaki Steel Corp テンションリールに巻取ったスクラップコイルの搬出方法ならびに搬出装置
KR0112515Y1 (ko) * 1994-12-29 1998-04-16 김만제 슬리브 자동 교환장치
KR200199424Y1 (ko) * 1996-09-25 2000-12-01 이구택 코일 내경용 고무 슬리브의 자동 인입·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7520A (ja) * 1990-11-29 1992-07-17 Kawasaki Steel Corp テンションリールに巻取ったスクラップコイルの搬出方法ならびに搬出装置
KR0112515Y1 (ko) * 1994-12-29 1998-04-16 김만제 슬리브 자동 교환장치
KR200199424Y1 (ko) * 1996-09-25 2000-12-01 이구택 코일 내경용 고무 슬리브의 자동 인입·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10A (ko)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678B1 (ko) 초박판코일 내경부의 페이오프릴 제거장치
CN210763349U (zh) 一种开卷机
KR200250990Y1 (ko) 싱크롤 표면홈 내측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0041448A (ko) 페이오프릴의 원통형 슬리브 분리 및 이송 처리 장치
KR20040031143A (ko) 스트립 에지 스크랩 권취장치
JP2743108B2 (ja) リバース式冷間圧延設備
KR200251267Y1 (ko) 파이프 가공장치
KR200203654Y1 (ko) 스크랩코일 인출장치
KR100882093B1 (ko) 코일 내경부의 처짐단 가이드장치
KR100897774B1 (ko) 불량시트 전단기의 스트립 장력 부여장치
KR100423426B1 (ko) 레벨러의 롤 크리닝장치
KR20030092907A (ko) 스테인리스 스트립의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200181442Y1 (ko) 슬리브의 세척 및 공급장치
KR100878670B1 (ko) 초박판코일의 내경부 페이오프릴 분리장치
KR200166690Y1 (ko) 극박강 권취코일 내부결함 방지용 슬리브 파이프 자동 삽입장치
KR100752922B1 (ko) 미니밀 열연 압연코일의 말단부 불량 교정장치
KR100721861B1 (ko) 환도 통과 스트립 유도장치
KR100829806B1 (ko) 스케일 브레이커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7464168B (zh) 一种钢卷裁切装置
KR100544428B1 (ko) 코일밴드 자동 제거장치
JPH07314037A (ja) コイルオープナー用マグネットコンベア
KR100775481B1 (ko) 코일 결속용 폐 밴드 제거장치
KR100822973B1 (ko)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접속 폭 차 감소장치
KR200194331Y1 (ko) 코일 파편 제거장치
KR200218200Y1 (ko) 코일강판 연속 통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