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056B1 -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 Google Patents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056B1
KR100878056B1 KR1020070124038A KR20070124038A KR100878056B1 KR 100878056 B1 KR100878056 B1 KR 100878056B1 KR 1020070124038 A KR1020070124038 A KR 1020070124038A KR 20070124038 A KR20070124038 A KR 20070124038A KR 100878056 B1 KR100878056 B1 KR 10087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gasoline
engine oi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철
이태길
Original Assignee
박주철
이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철, 이태길 filed Critical 박주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2Arrangements of lubrican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01M2001/0253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characterised by the pump driving means
    • F01M2001/0269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characterised by the pump driving means driven by the crank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01M2001/066Connecting rod with passag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 행정 사이클(이하 "2 사이클")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크랭크 실 또는 실린더 상부에 캬부레터(이하 "기화기")를 통하여 연료를 공급할 때, 가솔린과 2 사이클용 엔진오일을 25/1 또는 약 50/1 등의 비율로 혼합한 연료탱크로부터 공급함으로 발생하는 부작용 즉, 정량이나 부정량의 혼합비율로 발생하는 불완전연소에 의한 매연과, 피스톤과 실린더의 마모 용착 및, 가솔린에 희석된 엔진오일이 침전되면서 기화기(5)의 연료노즐(56)이 막히는 부작용 즉, 엔진 시동성 불량을 개선 보완하고자 제안하는 것으로서,
소형 예,제초기, 엔진 톱, 등등의 작업기기와, 소형 스쿠터 등의 주행기기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2 사이클 엔진에, 순수 가솔린을 저장 공급하는 연료탱크와, 엔진오일을 저장 공급하는 오일탱크를 분리하여 각각 구성한 다음,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가솔린은 기화기로 공급되고, 상기 오일탱크에 저장된 엔진오일은, 크랭크축 상에 연계되는 오일펌프(400)로부터 펌핑되어 크랭크 축과, 커낵팅 로드의 내부에 개설되는 유로와, 호스 관으로 구성되는 제2유로(420)를 경유하여 실린더의 내벽 또는 피스톤의 외벽까지 이송되어 마찰이 일어나는 운동 부재 상에 엔진오일을 공급하는 윤활시스템과, 윤활이 끝난 엔진오일은, 커낵팅로드와, 크랭크축을 경유한 다음 크랭크실 하부측으로 구비되는 리턴유로(430)를 경유하여 상기 오일탱크로 순환되는 제1 실시 예의 2 사이클 엔진을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가솔린은 기화기로 공급되고, 상기 오일탱크에 저장된 엔진오일은, 크랭크축 상에 연계되는 오일펌프(40)로부터 펌핑되어 이송되는 제2유로와, 기화기 후미에 위치하는 인슈레터 등의 부재 상에 구비되는 오일 공급관을 경유한 다음, 기화기로 공급되는 가솔린과, 공기가 실린더 또는 크랭크 실 내측으로 흡입될 때, 상기 엔진오일도 동시에 흡입되어 비산되면서 실린더의 내벽 또는 피스톤의 외벽 등에 착상되어 마찰이 일어나는 운동 부재 상에 윤활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을 제공하고자 목적하는 것이다.
2 행정 사이클, CC오일, 정량, 부정량, 혼합기, 4 사이클, 소기부, 연결관.

Description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2 Cycle Engine of Gasoline or Engine Oil Decouple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압축.팽창의 2 행정으로 1 사이클 즉, 크랭크축이 1 회전하는 사이에 1회 연소(폭발)하는 작동형식의 2 사이클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엔진의 실린더에, 기화기를 통하여 연료를 공급할 때, 가솔린과 2 사이클용 엔진오일을 25/1의 비율이나, 약 50/1 등의 비율로 혼합한 연료(이하 "혼합연료")를 연료탱크로부터 공급함으로 발생하는 부작용, 즉 정량이나 부정량의 혼합비율로 발생하는 불완전연소에 의한 매연 및 피스톤과 실린더의 마모 용착과, 가솔린에 희석된 엔진오일이 침전되면서 기화기의 연료노즐에 카본 유막이 형성되어 연료투입구인 노즐 구멍이 막히게 되므로, 엔진 시동 불량에 의한 잦은 유지보수를 개선 보완하고자 제안하는 것으로서, 가솔린과 엔진오일을 각각 분리하여 공급하는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2 사이클 엔진이 탑재되어 사용되는 기기로는, 잡초나, 잔디 제초용으로 사용되는 휴대형 예,제초기(도1)와, 정원수 등의 가지치기로 사용되는 전 정기, 나무를 자르는 엔진 톱, 전답에 심어진 채소나 곡물류에 유,무기질 비료를 살포할 때 사용하는 비료살포기, 상기 채소 곡물류에 농약 등을 살포할 때 사용하는 분무기, 또는 거리 주행을 하는 소형 스쿠터, 소형 발전기 등등의 기기에 탑재되어 사용하는 통상적인 2 사이클 엔진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기기들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2 사이클 엔진들은, 실린더와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실린더 내에서 상하로 왕복동시키는 크랭크축 등의 구조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나, 상기 엔진의 실린더 또는 크랭크 실 내측에 가솔린과 엔진오일, 즉 2 사이클용 엔진오일인 CC오일을 25/1 또는 50/1 등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연료를 기화기에 공급하는 방법과, 연료탱크의 설치 위치에 따라 크게 2가지의 타입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 한가지로 탑재된 엔진(1)이나 실린더(2)의 위치보다 상부에 연료탱크를 설치하고(도1의 C), 가솔린과 엔진오일이 혼합된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자연 낙하 되어 기화기(5)에 공급된 다음, 상기 기화기에 개설된 공기 흡입구(300)로 공기가 실린더 또는 크랭크 실(4) 내측으로 빨려들어갈 때, 상기 혼합 연료도 연료노즐(56)을 경유해 동시에 빨려들어가면서, 상기 공기와 연료가 뒤 섞여 변화된 혼합기(8)가 크랭크 실(4) 내측에 머무른 다음, 피스톤(3)이 하강할 때, 소기구(2A)를 통하여 실린더 상부에 공급되는 동안, 가솔린에 희석된 엔진오일이 실린더의 내벽 (2B)과, 피스톤(3) 및 피스톤 링(3A) 등의 부재 상에 골고루 착상되거나 도포 되어 윤활이 이루어지는 풀로트 타입의 엔진(도 1의 C)과,
그 두번째로 탑재된 엔진의 실린더(2) 위치보다 하부에 설치되는 연료탱크( 도 1의 A,B 또는 도 13의 20)와, 가솔린과 엔진오일이 혼합 저장된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혼합연료를 상부로 퍼 올리는 연료펌프(58)와, 다이아프렘이 겸비된 기화기 (도 13, 의 5) 및, 상기 기화기에 개설된 공기 흡입구(300)로 공기가 실린더 내측으로 빨려들어갈 때, 상기 혼합연료도 연료노즐을 경유해 동시에 빨려들어가면서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어 변화된 혼합기(8)가 크랭크 실(4) 내측에 머무는 동안, 또는 피스톤이 하강할 때, 소기구(2A)를 통하여 상기 혼합기(8)가 실린더 상부로 공급되는 동안, 혼합연료에 함유된 엔진오일이 실린더의 내벽(2B)과, 피스톤(3) 및 피스톤 링 (3A) 등의 부재 상에 착상되거나 도포 되어 윤활이 이루어지는 다이아프렘 타입의 엔진(도 1의 A,B)으로 분류되고 있다.
상술한 2 행정 사이클 엔진에 관한 선행 정보들이 대한민국 국내의 특허공개공보 10-1999-0066820호 및 10-0714643호 등에 게시되어 있고, 참고로 상술한 풀로트 타입의 2 사이클 엔진은, 상기 엔진이 탑재되는 등받이 받침대와, 멜빵끈, 작업대나, 분무대 등으로 형성되어 등에 메고 사용하는 배부 식(도 1의 B,C)의 예,제초기, 또는 분무기, 비료살포 기기들이 있으며,
상기 엔진과, 작업대 및 멜빵끈 등으로 형성된 상기 기기를 목에 걸거나, 옆구리에 차던지 또는 주로 들고 사용하는 견착 식(도 1의 A)으로 분류되는 예,제초기와, 전정기 또는 엔진 톱 등이 다이아프렘 타입의 엔진기기들이 있다.
한편 상술한 풀로트 타입의 엔진(도1의 C)이나, 다이아프렘 타입의 엔진(도1의 A,B)이란, 엄밀하게 말해서 엔진(1)의 크랭크 실(4)이나, 실린더(2) 및 피스톤의(3) 구조가 상이한 것이 아니라, 연료탱크의 탑재위치와 캬브레타(5)의 구조에 따라 풀로트 타입 또는 다이아프렘 타입으로 분류되는 것으로서,
연료의 공급구조 및 상기 연료를 공급받는 캬브레타의 구조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함이 마땅하나, 연료 공급방법과, 그의 구조에 따라 편의적으로 엔진을 분류한 것이다.
한편 통상적인 4 행정기관을 사용하는 자동차 등의 엔진 크랭크 실 하부에는 오일휀, 다시 말하면 엔진오일이 저장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간에서 크랭크 축이 회전할 때, 상기 크랭크축에 착상되는 엔진오일과의 마찰로 일정규모의 부하가 발생하고 있으나, 엔진의 출력이 크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상기 오일휀에 저장된 엔진오일은, 크랭크축과 연계된 오일펌프로 펌핑하여 크랭크축과 커낵팅로드의 연결부, 상기 콘넥팅 로드와 피스톤의 연결부에 수용된 매달 베어링과, 피스톤 링과 밸브 태핏, 부시 로드 등, 마찰이 일어나는 운동 부재에, 상기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로 오일급유가 이루어져 윤활이 이루어지는 동안 가솔린과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가 실린더의 상부 측, 다시 말하면 피스톤의 상단으로 연료가 공급됨으로 오일휀과 분리되는 구조로 기관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4 행정 엔진들은, 2 행정 엔진의 부작용과, 매연으로부터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탈피할 목적으로, 소형엔진에도 적용되어 순수 가솔린을 저장 공급하는 연료탱크와, 점도가 5W~30W 정도의 엔진오일을 저장 공급하는 오일 탱크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는 4 행정, 다시 말하면 압축·팽창·배기·흡입의 4 행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크랭크축이 2 회전하면서 1 연소하는 4 사이클 엔진이 국내의 특허공개공보 20-0311731호 또는 10-0376062호 등으로 실시되고 있으나,
상기 4 사이클 엔진을 탑재한 소형기기는, 흡,배기 밸브 및 밸브 태핏과, 부시 로드 등의 구성 요소가 복잡하여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크며, 수리정비의 편의성이 배제되어 있고, 고가의 부품비와 제품가에 비하여 동일용량의 엔진 출력이 2 사이클 엔진에 미치지 못하는 한편, 엔진의 경사도가 심하면 엔진오일이 적정하게 윤활되지 않거나 실린더로 역류하여 연소 되면서 힌 연기가 배출되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으므로, 이들을 적절히 조율하고 개선하여 가솔린과 엔진오일을 분리한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을 제공하고자 목적하는 것이다.
통상적인 2 사이클 엔진들은, 가솔린과 엔진오일을 25/1 또는 50/1의 비율 로 혼합 희석한 혼합연료를 기화기로 공급하여 엔진 주요부의 운동 부재 상에 윤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솔린과 엔진오일의 혼합비율 수치를 정확하게 책정하기 어려웠고, 혼합비율 수치의 고,저에 따라 불완전 연소가 심하여 매연이 많거나, 엔진이 붙어버리는 용착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며, 가솔린에 희석된 엔진오일이 침전되어 연료투입구인 노즐구멍이 막혀버려 엔진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반복된다.
상술한 현상은 기기에 탑재된 엔진의 위치보다 상부에 연료탱크를 설치한 배부(등짐)식 기기, 타입이 심하고, 옆구리에 차고 사용하는 견착식 기기는 조금 덜한 편이나, 가솔린과 엔진오일의 혼합비율 25/1 또는 50/1 등의 비율 수치를 정확하게 책정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고, 설령 개량 컵을 이용하여 가솔린과 엔진오일의 혼합 비율 수치를 정량으로 사용했다. 하더라도, 사용이 끝난 상기 2 사이클엔진 탑재 기기들을 보관할 때는, 연료탱크(20)에 잔존하는 혼합연료와, 연료호스 및 기화기(5)에 잔존하는 혼합연료를 모두 제거한 다음 기기를 보관하여야 하고, 이를 게을리하면 기화기(5)의 연료공급구인 연료노즐(56)이 어김없이 막혀버려 엔진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반복되던 것을 개선 보완하고자 제안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엔진, 즉 가솔린과 CC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2 사이클 엔진에, 순수 가솔린을 저장 공급하는 연료탱크(20)와, 엔진오일을 저장 공급하는 오일탱크(10)를 각각 분리하여 구비하고,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공급받는 엔진오일은, 크랭크축(7)과 연계된 오일펌프(400)로 펌핑하여 상기 크랭크축(7)과, 커낵팅로드(75)의 몸체 내부에 천공된 내부의 유로와, 연결관(도 8의 421b)과, 분배기(도 7의 422) 및 유연성 내열 호스 관 등으로 구비되는 외부의 유로로 형성되는 제2유로(도7의 420)를 경유하여 실린더(2)의 내벽(2B) 또는 피스톤(3)의 외벽까지 이송하여 마찰이 일어나는 운동 부재상에 급유하여 윤활하고, 윤활이 이루어진 상기 엔진오일은, 리턴관(도 7의 435)을 경유하여, 커낵팅로드와 피스톤결합부의 니들베어링(76)에 윤활을 하거나, 또는 리턴관(435)으로부터 연장되는 호스 관, 또는 커낵팅로드(75) 상에 연계되는 유로를 상기 커낵팅 로드(75)의 하부까지 구비한 다음, 크랭크실(4)의 최하단부를 천공하여 릴리스 밸브(431A)가 구비된 회수관(431)을 구비한 다음, 리턴유로(430)의 호스 관으로 상기 오일탱크(10)와 연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엔진오일 순환방식의 2 사이클 엔진을 제공하거나(도 7),
또는 상기 분리된 오일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엔진오일은, 크랭크축(7)과 연계된 오일펌프(40)로 펌핑하여 기화기(5)의 후미에 위치하는 인슈레타(31)의 오일공급관(30)으로 공급하여, 상기 기화기(5)를 경유해 공급되는 가솔린과 공기가 실린더 또는 크랭크실(4) 내측으로 흡입될 때, 상기 엔진오일도 함께 흡입되어 비산 되면서 실린더(2)의 내벽(2B)과 피스톤(3)의 외벽(F) 및 피스톤 링(3A) 등의 운 동 부재 상에 윤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가솔린과 엔진오일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2 사이클 엔진에 공급됨으로, 실린더 상부로 유입되는 혼합기의 순도가 청결하여 점화플러그로부터 발생하는 불꽃에 효율적으로 점화되어 엔진의 시동 성이 탁월하게 향상되고,
순수 가솔린만이 연료탱크(20)와 연료공급라인 및 기화기(5)의 연료통(51)에 보관되므로 오일 카본에 의한 연료노즐(56)이 막히지 않아 잦은 유지보수가 개선되고, 가솔린과 엔진오일의 혼합비율인 25/1, 또는 50/1 등의 정량 부정량의 혼합비율이 해소되어 불완전 연소가 개선됨으로 인체와 밀착한 상태로 사용하는 2 사이클엔진 탑재기기 사용자들에게 매연이 감소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이 제공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통상적인 2 사이클 엔진에 가솔린과, 엔진오일을 각각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공급함으로 서, 목적하는 매연감소와 선택된 정량의 엔진오일 공급으로 균일한 윤활이 이루어지므로 엔진의 시동성 향상 및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확보되는 2 사이클 엔진이 제공되는 것으로, 대표도로 도시한 도면7과, 엔진의 구성도(도5) 및 엔진과 부품의 구조단면도(도6)와,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도8) 등을 참고하 여 실시된 1 실시 예의 2 사이클 엔진을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 예의 2 사이클 엔진은, 통상적인 오일탱크(10)나, 또는 사방이 밀폐화되고 오일주입구와 오일 공급구 및 오일 회수구가 개설되는 합성수지의 통에 엔진오일을 저장 공급하는 오일탱크(10)를 구비하되, 상기 오일탱크(10)의 연료주입구 뚜껑(25)에는 공기 배출구(도 7의 10F)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이송하는 직경 5mm 내외의 호스 관의 제1유로(410)와,
상기 제1유로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펌핑하는 통상적인 오일펌프(40,400) 또는, 내부가 밀폐화 되는 케이싱 상에, 내,외치 기어 또는, 암수의 스크루 블레이드와, 상기 부재를 수용하는 샤프트 축과 부시 등의 마찰 부재로 형성되는 오일펌프(40,400)를 구비하되,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는 엔진오일이 누유 되지않게 리테너가 구비되는 오일펌프(400)가 크랭크축(7) 상에 연계하여 구비되고,
크랭크축(7)과, 커낵팅 로드(75)의 부재 내부로 커낵팅로드 상부까지 연결되는 직경 1mm 내지 5mm 내,외의 제2유로(420)를 천공하여 개설한 다음, 커낵팅 로드(75)의 상부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유연성 호스 관(도8의 421c)과, 관 결합되는 연결관(421)을 구비하거나,
상기 커낵팅 로드(75)와, 피스톤(3)을 결합하는 핀 샤프트(3C) 상에 연계하여 제2유로(420)를 개설하고, 상기 핀 샤프트가 결합 되는 피스톤의 외주부에 유연성 호스 관과, 관 결합되는 연결관(421)을 구비(도 8의 420 참조)한다.
상술한 연결관(421)이란, 직경 1mm 내지 5mm 내외의 파이프형 관으로 외부에 볼트의 나사 산(421b)과, 커낵팅 로드(75) 상에 상기 나사 산(421b)과 상응하는 너트의 나사 산(421a)이 개설되어 체결되는 연결관(421)을 의미하는 것이고, 그 상부로 피스톤(3)의 내측(도 8의 3F) 공간에 위치하는 오일 분배기(4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란, 호스 관이 여러 갈래로 결합 될 수 있는 여러 갈래의 관 파이프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소켓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분배기는 선택적으로 적용될수 있는데, 제2유로(420)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분사하거나, 피스톤 외벽에 천공되는 홈(도 6의 3B)의 수에 따라 유연성 호스 관이 다수 적용될 때 필요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부재들로 엔진오일이 공급되는 제2유로(420)가 형성된 다음, 피스톤(3)에 결합되는 피스톤 링(3A,3A) 사이의 공간, 다시 말하면 피스톤 링(3A)과 피스톤 링(3A) 사이의 피스톤(3) 몸체 외벽(F)에 깊이와 폭이 적어도 0,1mm 내지 5mm 내외의 오일통로(도 8의 423)를 개설하되, 피스톤 링(3A)이 결합되는 "ㄷ"홈과 같은 형태로 360도로 한바퀴 돌아가도록 절개하여 개설한 다음, 상기 오일통로 상의 피스톤(3) 내,외벽이 천공되는 홈(도 6의 3B)을 적어도 2개 이상 개설하여 나사결합되거나, 성형 되는 오일공급관(423b)과 리턴관(435)이 구비된 다음, 상기 오일공급관을 경유하여 오일통로(423)에 엔진오일을 공급하고, 오일통로(423)에 공급된 엔진오일이 목적하는 부재 상에 윤활을 마치고나면 회수되는 리턴관(435)이 상술한 연결관(421)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에서 피스톤(3)의 외벽(F)에 개설되는 오일통로(423)는, 피스톤(3)의 불 특정 된 외벽(F) 상에 다수의 홈(도 6의 3B)을 천공한 다음, 상술한 오일펌프(400)의 펌핑 압력으로 제2유로(420)를 경유하여 오일공급관(423b)으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실린더(2)의 내벽(2B) 상에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피스톤 링(3A,3A) 의 결합부 홈에 연계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마찰이 일어나는 운동 부재 상에 균일한 윤활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실시할 수도 있음을 설명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오일 공급관(423b)의 일 측은 피스톤(3)과 연계되고, 또한 일 측은 오일 분배기(422)와 유연성 호스 관(421c)으로 결합 되거나, 커낵팅 로드(75) 상에 구비되는 연결관(도 8의 421)으로 연계 결합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턴 관(435)은, 피스톤에 개설된 오일통로(423)의 일 측 상에 결합 되고, 또한 일 측은 피스톤(3)과 커낵팅 로드(75)가 니들 베어링(76)을 수용하여 핀 샤프트(3C)로 결합 되는 부위에 노출된 다음, 상기 제2유로(420)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이 오일통로(423)와 리턴관(435)을 경유하여 흘러내리면서 니들베어링(76)의 윤활을 마치고 커낵팅 로드(75)를 경유하여 하부로 흘려보내거나,
또는 커낵팅 로드(75)의 상부에 나팔관(도8의 75a)을 구비하여 상기 니들베어링의 윤활을 마치고 흘러내리는 엔진오일을 한곳으로 모아 상기 커낵팅 로드(75)의 하단부까지 이송하는 유로 관(도8의 75b)을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유로 관으로 흘러내리는 엔진오일은, 크랭크축(7)과 커낵팅 로드가 결합되는 부위의 니들베어링(720) 상에 추가 윤활을 하거나,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는데, 크랭크 실(4) 하부로 흘러내리는 엔진오일을 오일탱크(10)로 되돌려보낼 수 있도록 크랭크 케이싱의 저면에 직경 10mm 내외의 구멍을 천공하여 나사 산을 개설 한 다음, 대응되는 관의 외부에 볼트의 나사 산을 개설하여 체결하는 회수관(431)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회수관 상에 일 측으로 개폐되는 닐리스 밸브(431A)를 구비하여 회수관(431)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회수관(431)과, 호스 관을 오일탱크(10)와 연결하는 리턴유로(430)를 설정하는 것이다.
상술한 엔진오일 공급 부재와 시스템들은, 오일휀이 없는, 다시 말하면 상기 오일탱크(10)가 오일휀 역활을 병행하는 엔진오일 순환방식의 2 사이클 엔진이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수관(431) 상에 부설되는 닐리스밸브(431A)는, 피스톤이 왕복동할 때 형성되는 부압으로 상기 크랭크실(4) 하부에 일시 고여있을 수 있는 엔진오일을 빠른 속도로 밀어내어 오일탱크(10)로 리턴되게 하거나, 오일탱크(10)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공기 또는 오일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병행하는 장치로, 얇은 금속판과 보조 판(431b)을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는 개폐장치로, 원하는 일 방향으로만 ON / OFF 되는 밸브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피스톤 링(3A,3A) 사이에 개설되는 상기 오일통로(423)는, 실린더(2)의 내벽(2B)과 접촉되는 거리 또는 근접한 거리인 1000/2~5 미크론에 위치하여 제2유로(420)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이 상기 실린더(2)의 내벽(2B)과, 피스톤의 외벽(F)에 착상되거나 도포되어 균일한 윤활이 이루어지고, 윤활이 이루어진 상기 엔진오일은 오일펌프(400)의 펌핑 압력과, 자연 낙하현상으로 리턴관(435)과 커낵팅로드(75)를 경유하여 설정되는 리턴 유로(430)를 따라 오일탱크(10)로 되돌아 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오일통로(423)는, 피스톤이 왕복동할 때, 실린더(2)와, 크랭크 실(4)에 연계된 소기구(2A)에 노출될 수 있는데, 상기의 노출로 오일통로(423)를 순환하는 엔진오일이 소기구 등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가령 홈이 다수로 천공된 보조 링을 추가로 구성하여 상기 오일통로에 결합하면 엔진오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는 곧 제3의 피스톤 링이 추가 구성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엔진오일의 소모가 거의 없는, 다시 말하면 엔진오일이 기화기(5)로 유입되는 가솔린과 공기에 직접노출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실린더 상부로 유입될 수 있는 엔진오일이 극소량이므로 연소에 의한 매연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2 사이클 엔진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술한 제1실시 예에서 오일탱크(10)는, 필연적으로 엔진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오일순환에 바람직하고, 엔진오일은 통상적인 2 사이클 엔진오일인 CC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점도가 5W~30W 정도의 통상적인 엔진오일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은 첨부도면 제9도 내지 제13도를 참고하여 제2 실시된 2 사이클 엔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연료탱크(20)와, 엔진오일을 저장 공급하는 오일탱크(10) 및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이송하는 호스 관의 제1유로(41)와, 상기 제1유로로부터 공급받는 엔진오일을 펌핑하는 오일펌프(40)가 크랭크축(7) 상에 연계되고, 상기 오일펌프로부터 펌핑되는 엔진오일을 이송하는 제2유로(42)와, 상기 제2유로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은, 직경 1mm 내지 5mm 내외의 관으로 외부 일 측에 볼트의 나사 산이 개설되는 오일공급관(30)으로 공급되고, 상기 오일공급관은, 상기 나사 산과 대응하는 너트의 나사 산이 개설되는 인슐레타(31)에 구비되어 체결된다.
상기 인슐레타(31)는 통상적으로 기화기(5)의 후미에 위치하여 실린더(2)와 볼트결합되는 것이다.
상술한 유로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은, 가솔린과 분리되어 공급하게 되고, 상기 기화기(5)를 경유해 공급되는 가솔린과 공기가 실린더 또는 크랭크 실(4) 내측으로 흡입될 때, 상기 엔진오일도 가솔린 대비 100/1 비율 내지 200/1 비율 중에서 세팅되는 비율의 정량화 된 엔진오일이 함께 빨려들어가 윤활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실시 예에서 가솔린 대비 100/1~200/1의 엔진오일 공급 비율의 조율은 크랭크축(7) 상에 연계되는 오일펌프(40)에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오일공급관(30)의 관 내경 크기로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엔진오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2 사이클 전용 오일인 CC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제1,2 실시 예에서, 연료탱크(20)란, 가솔린(휘발유)을 저장하는 통으로 기존에 실시되는 연료탱크(도1 참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오일탱크(10)만을 추가로 구비하거나, 연료탱크(20)와, 오일탱크(10)를 일체화한 오일/연료탱크 (도 17)를 구성할 수 있는데, 기기의 종류와 기종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기기를 등에 메고 사용하는 배부식(도 1의 B,C) 기기는, 연료탱크(20) 의 장착위치가 엔진(1) 또는 실린더(2)의 장착 위치보다 상부에 설치되고, 기기를 통상적으로 들고 사용하는 견착식(도 1의 A) 기기는, 엔진(1) 실린더(2)의 설치위치보다 하부에 연료탱크(20)가 설치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배부식 기기에 탑재되는 오일/연료탱크(도 17의 20A)는, 내부에 가솔린 1~3리터 내외와, 엔진오일 1리터 내외의 수용부가 밀폐되게 구성하고, 좌,우측으로 분리되도록 격벽이 설치된 통을 형성한 다음, 상부에는 상기 각각의 통에 가솔린 주입구 뚜껑(25)과, 엔진오일 주입구 뚜껑(25A)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저장된 가솔린이나 엔진오일의 찌꺼기가 엔진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촘촘한 망으로 형성되는 아미(23)가 형성되고 그 하단으로 연료호스(22) 또는 제1유로(41)와 결합 되는 공급구 소켓이 형성되는데, 오일탱크(도 17의 10)의 하단에는 또 하나의 리턴유로 (43) 호스 관과, 관 결합 되는 회수구 소켓이 선택적으로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턴유로(43)란, 오일펌프(40)에서 펌핑 된 엔진오일이 펌핑 부압에 의하여 제2유로(42)와 오일 공급관(30)을 경유하여 실린더(2) 또는 크랭크 실(4) 내측으로 공급되고 남는 잔존 엔진오일이 리턴 된 다음, 오일탱크(도 17의 상단 10)로 되돌아가는 회수 유로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견착식 기기에 탑재되는 연료탱크(도 17의 20)는, 통상적인 연료탱크(도1의 A,B참조)를 그대로 사용하고, 오일탱크(도 13의 10)만을 추가로 더 구비하여 엔진(1)의 측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하 2단으로 밀폐된 통을 구비한 다음, 오일탱크(도 7의 10)와, 연료탱크(도 7의 20)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각각의 통에는 가솔린과 오일 주입구 뚜껑(25,25A)이 구비되고, 가솔린 저장탱크로 사용되는 연료탱크의 상단으로 가솔린 공급구(22)와, 공급된 가솔린이 기화기(5)에서 소비되고 남는 잔존 가솔린을 상기 연료탱크에 리턴하는 리턴구(22A)가 개설되며, 오일탱크에도 오일 공급구와, 리턴구가 개설되어 일체화로 형성된, 오일/연료탱크(도 17의 하단 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오일탱크(10)와, 연료탱크(20) 또는 오일/연료탱크(도 17의 20A/20)는, 금형으로 형성된 틀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 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 상기 오일탱크, 또는 연료탱크는 금속판을 성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중량이 무거운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오일탱크(10)의 외부에는, 오일저장량의 감지를 위하여 체크 선 (28)이 표시될 수 있으며, 첨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오일탱크(10)의 내부에 공기의 부력으로 상승하는 부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부래가 오일탱크(10)에 저장된 오일잔존량이 5/1선 이하로 떨어지면 같이 하강하면서 엔진의 마그네틱 점화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원을 단락하는 오일체크스위치를 구비하여 엔진오일의 잔존량을 사전에 감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오일 체크스위치는, 엔진오일의 잔존량에 따라 엔진의 시동이 ON, OFF 되도록 점화코일의 전원 선이 단락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인데, 이는 엔진오일이 떨어짐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엔진의 붙음(용착)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엔진오일, CC오일을 병기한 것은, 통상적인 2 사이클 엔진용으로 사용되는 CC오일과, 점성이 5W~30W 정도의 엔진오일을 구분하는 단어로 CC오일은, 상기 제2 실시 예의 2 사이클 엔진에 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고, 엔진오일은, 상기 제1 실시 예의 엔진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1 실시 예의 엔진에는 CC오일 또는 엔진오일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윤활용 엔진오일들을 분류 지칭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실시 예의 엔진에 공급되는 엔진오일은, 크랭크 실(4) 내측으로 유입되는 혼합기(8)에 가솔린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가솔린이 함유된 혼합기가 크랭크 실(4) 내측에 머무는 동안, 와류현상에 의하여 상기 엔진오일과 희석되어 오일의 점성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들의 변화를 감안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엔진오일에 희석되는 가솔린의 휘발(기화되어 날아감)을 위하거나, 리턴되는 엔진오일의 찌꺼기를 걸러주도록 공기 구멍이 다수 천공되고 거름용 아미가 구비되는 오일 힐터를 상기 회수관(431) 또는 리턴유로(430) 상에 더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오일펌프(40,400)는, 케이싱과, 그 내부에 구비되는 암,수의 스크루 블레이드(45) 및 상기 스크루 불레이드와 연계되는 축 및 축과 연계되는 톱니기어형 치차(齒車)로 구성되거나, 실린더와 샤프트 축과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케이싱의 일 측에는 제1유로(41,410)와 제2유로(42,420)가 구비되고, 제1, 제2 실시 예의 엔진 구분에 따라 제3유로(43,430)가 연결 결합 되는 공급 구, 회수 구 소켓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펌프(40)의 치차(47)는, 크랭크축(7)의 일 측에 형성되는 톱니기어 또는 나사 산 형 치차(71)와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거나, 크랭크축(7) 상에 적어도 1 이상의 캠(Cam)을 형성하여 크랭크축이 회전할 때마다, 오일펌프를 적어도 1번 이상 펌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술한 오일펌프(40,400)는 리코일스타터(92)의 클러치(9)가 수용되는 리코일스타터용 하우징(9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톱니기어형 치차란, 암,수의 톱니기어나, 나사 산이 동일한 비율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치차(47,71)의 크기는, 암수의 톱니기어나, 치차에 연계된 기기의 회전비율 조율을 위하여 암,수의 크기를 틀리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오일펌프(40,400)의 펌핑 유량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에서 크랭크축(7) 상에 설치되는 톱니기어나 치차(71)는, 리코일스타터용 클러치(9)의 후미(9A)나, 상기 크랭크축(7)과 연계되는 엔진 부재 상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인데, 엔진의 특성상 크랭크축(7)과 연계되는 엔진 부재는, 크랭크 축이 1회전 할 때마다 동일한 비율로 동기회전함으로, 상기 회전 부재 상에 톱니기 어나 캠(Cam) 또는 풀리나 스프로킷을 설치하고, 이와 연계되는 벨트나 체인으로 연결하도록 오일펌프(40,400)를 엔진의 몸통 외부에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엔진 기기의 간결 화를 위하여, 엔진(1)의 외부에 오일펌프(40,400)를 설치하기보다는 엔진 구성 부재의 내부 측에 설치하는 것이 기기의 간결 화나 외관이 미려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오일펌프(40)는, 오일탱크(10)에서 제1유로(41)로 이송되어 펌 핑된 엔진오일은, 제2유로(42)를 경유해 오일공급관(30)으로 이송되는데, 상기 오일공급관(30)은, 기화기(5)를 실린더(2)에 결합시켜주는 소켓형 인슐레터(3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인슐레터(31)는, T자 형상으로 알루미늄 압출된 케이싱에 볼트 투입구(32)와, 공기 흡입구(300)가 천공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300)의 상부 또는 후미 일 측에 천공되어 오일공급관(30)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술한 오일공급관(30) 또는 연결관(421b)이나 리턴관(435)은, 관의 내경이 도량형 미터법으로 약 1mm 내지 5mm 내외의 구멍이 내부에 천공된 파이프형 관을 의미하는 것이며, "ㄱ"자형 또는 "ㄴ"자형 "1"자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측에 나사 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이 바람직하고, 상기 부재들이 결합되는 부재에도 대응되는 나사 산이 구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나, 상술한 피스톤(3)에 구비되는 오일공급관(423b)이나, 리턴관(435)은, 피스톤의 제작시, 금형 압출하거나 성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제2 실시 예에서 상술한 오일공급관(30)은, 인슐레터(31), 또는 상기 인슐레터의 후미에 결합되는 인슐레터 결합용 케이싱(31A), 또는 기화기(5)의 후미나, 실린더(2)에 천공된 공기흡입구(도2의 300) 상에 더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엔진오일이 가솔린과 직접적인 혼합 희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가 흡입될 때 동시에 흡입되어 비산하면서, 실린더(2) 또는 크랭크 실(4)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장소에 설치 가능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제2 실시 예의 엔진은, 풀로트 타입 엔진(도 1의 C)과, 배부식 기기에서는 엔진(1)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오일탱크(10)에서 자연 낙화하는 엔진오일을 오 일공급관(30)에 곧바로 공급할 수도 있는데, 상기 직공급 방법은, 오일펌프(40)가 배제되어 기기의 간결 화는 이루어지지만, 실린더(2) 또는 크랭크 실(4) 내측으로 유입되는 엔진오일의 량을 조절하기가 부정확한 단점이 있으나, 유량조절기를 추가로 활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와 변형가능한 부재들을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고, 발명사상의 범위 또는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청구 범위 내에서의 변형 예는 본원 발명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술한 구성 부재로 완성되는 제1,2 실시 예의 2 사이클 엔진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기기에 탑재된 연료탱크(20)에 저장된 순수 가솔린이 기화기(5)에 공급되고, 오일탱크(10)에 저장된 엔진오일도 공급대기상태로 유지되고 있다가, 엔진(1) 리코일스타터(92)의 작동으로 크랭크축(7)을 회전하게 되고, 상기 크랭크축과 연계된 피스톤(3)이 실린더(2) 내부에서 상하 왕복동 하면서 공기와 가솔린을 흡입하여 변화된 혼합기(8)가 크랭크 실(4) 내측으로 유입된 다음, 소기구 (2A)를 통하여 실린더 상부로 유입되는 혼합기(8)가 점화플러그(200)로부터 발생하는 불꽃에 점화되어 엔진의 시동이 연속되고,
이때, 제2 실시 예의 엔진 오일펌프(40)로부터 펌핑 된 엔진오일이 제2유로(42)를 경유하여 오일공급관(30)으로 공급되면, 상기 공기와 가솔린이 흡입될 때 동시에 흡입되면서 비산되어 실린더(2)의 내벽(2B)과 피스톤(3)의 외벽(F) 및 피스톤 링(3A,3A) 등에 착상하거나 도포 되어 윤활이 이루어지는 2 사이클 엔진(도13) 을 제공하거나,
또는 오일펌프(400)로부터 펌핑되는 엔진오일이 제2유로(420)를 경유하여 피스톤(3)의 링(3A,3A) 사이에 개설된 오일통로(423)로 공급되면서, 실린더(2)의 내벽(2B)과 피스톤(3)의 외벽(F)에 도포되거나 착상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벽(2B) 또는 피스톤의 외벽(F)에 도포되거나 착상된 엔진오일이 피스톤 링(3A,3A)에도 착상되어 윤활이 이루어지고, 상기 부재에 윤활이 끝난 엔진오일은 리턴관(435)을 경유하여 회수되면서 피스톤(3)과 커낵팅로드(75)의 연결부 마찰 부재인 니들 베어링 (76)을 추가 윤활하거나, 커낵팅 로드(76)를 경유하여 크랭크 실(4) 하부로 흘러내린 다음, 회수관(431)을 포함하는 리턴 유로(430)를 경유하여 오일탱크(10)로 되돌아와 연속적으로 순환되면서 윤활이 이루어지는 2 사이클 엔진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술한 제1 2 실시 예의 2 사이클 엔진은, 가솔린과, 엔진오일이 각각 구분되어 공급되므로 서, 실린더 또는 크랭크 실(4) 내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와 가솔린의 혼합기(8)가 청결하여 엔진의 시동 성이 탁월하게 향상되고, 기기의 장기 보관에도 기화기(5)의 연료노즐(56)이 오일 카본으로부터 막힘 현상이 제거되므로, 재사용과,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제공되고, 연료의 불완전연소가 개선되므로 특히 매연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이상적인 2 사이클 엔진(도7)이 제공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불완전 연소에 의한 매연이 감소 되고, 기화기(5)의 연료노즐 (56)이 막히지않아 엔진 시동 성의 향상과, 유지보수가 간편한 예,제초기 및 비료 살포기, 분무기 및 엔진 톱과 전정기, 발전기 또는 소형 스쿠터 등의 기기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2 사이클 엔진과, 상기 엔진 탑재 기기들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2 사이클 엔진의 다이아프렘 타입(A)과, 4 사이클 엔진의 다이아 프렘 타입(B) 및, 2 사이클 엔진의 풀로트 타입(C)과, 견착식(A)과, 배부식(B,C)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초기용 2 사이클 엔진의 참고도.
도 2는, 실린더와 피스톤 및 피스톤 링의 실물 참고도.
도 3은. 실린더와, 피스톤이 하강한 상태의 크랭크 실 실물 참고도.
도 4는, 2 사이클 풀로트 타입 엔진의 캬브레타 구조 참고도.
도 5는, 제1 실시 예의 엔진 구성도.
도 6은, 제1 실시 예의 엔진과 부품의 구조 단면도.
도 7은, 제1 실시 예의 엔진 구조 단면도.
도 8은, 제1 실시 예의 엔진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 예의 엔진 구성도.
도 10은, 제2 실시 예의 엔진 좌,우측 구조 단면도.
도 11은, 크랭크축과 커낵팅 로드 및 피스톤의 결합 참고도.
도 12는, 크랭크축 상에 결합 된 오일펌프의 결합상태 구조 참고도.
도 13은, 제2 실시 예의 엔진 실물 구조 완성도.
도 14는, 엔진 시동용 리코일 스타터의 클러치 구조 참고도.
도 15는, 인슐레타 및 인슐레터 결합용 케이싱의 구조 참고도.
도 16은, 인슐레타와 캬브레타 및 케이싱의 구조 참고도.
도 17은, 일 실시 예의 오일/연료탱크의 구조 개략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A : 다이아프렘 타입의 2 사이클 엔진과, 견착식 예초기.
B : 다이아프렘 타입의 4 사이클 엔진과, 배부식 예초기.
C : 풀로트 타입의 2 사이클 엔진과, 배부식 예초기.
F : 피스톤의 외벽, 또는 마모 부.
C/F : 실린더와, 피스톤 및 피스톤 링의 접촉부.
1 : 엔진.
2 : 실린더, 2A : 소기구, 2B : 실린더의 내벽.
3 : 피스톤, 3A : 피스톤 링, 3B : 오일공급구, 3C : 핀 샤프트, 3F : 피스톤의 내부공간
4 : 크랭크 실.
5 : 기화기 (또는 캬브레타).
50 : 연료공급개폐밸브. 51 : 연료통. 52 : 연료호스 연결관. 53 : 초크. 53A : 초크레버. 55 : 스로틀 밸브. 56 : 연료노즐. 58 : 연료펌프.
7 : 크랭크 축.
71 : 톱니기어(또는 나사 산) 71A : 톱니기어(또는 치차, 나사 산)
72 : 리코일스타터용 클러치 결합부. 72A : 동력전달용 클러치 결합부, 75 : 커낵팅 로드. 75a : 나팔관, 75b : 유로 관, 76 : 니들 베어링,
710 : 크랭크 샤프트, 720 : 니들 베어링(또는 니들베어링과 리테너),
8 : 혼합기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혼합공기).
9 : 리코일스타터용 클러치. 9A : 리코일스타터용 클러치의 결합구(또는 후미). 90 : 리코일스타터의 하우징. 91 : 리코일스타더용 소킷. 92 : 리코일스타터.
10 : 오일탱크. 10F : 오일탱크 뚜껑의 공기 배출구,
20 : 연료탱크. 20A : 풀로트 타입 엔진의 연료통,
21 : 연료호스. 22 : 연료호스. 22A : 연료 리턴호스. 25 : 연료탱크 뚜껑. 25A : 오일탱크 뚜껑. 23 : 찌꺼기 거름용 아미. 28 : 잔존 오일량 측정선.
30 : 오일 공급관(또는 CC오일공급관). 31 : 인슐레타. 31A : 케이싱(또는 소켓). 32 : 볼트결합구.
40 : 오일펌프.
41 : 제1유로. 42 : 제2 유로. 43 : 리턴 유로 (또는 제3유로). 45 : 스크루 블레이드. 47 : 오일펌프용 톱니기어.
400 : 오일펌프, 410 : 제1 유로,
420 : 제2 유로, 421 : 연결관, 421a ; 커낵팅 로드에 개설된 나사 산, 421b : 연결관에 개설된 나사산, 422 : 분배기, 423 : 오일통로, 423b : 오일 공급관, 421c : 유연성 호스 관.
430 ; 리턴 유로. 430A : 오일배출구, 431 : 회수관, 431A : 릴리스밸브, 431b : 릴리스밸브 보조판. 431c : 릴리스 밸브 결합부, 435 : 리턴관,
200 : 점화플러그. 210 : 점화플러그 결합구.
300 : 공기 흡입구. 310 : 배기구. 320 : 머플러.

Claims (22)

  1. 2 사이클 엔진에 있어서,
    엔진오일을 저장 공급하는 오일탱크(10)와,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이송하는 제1유로(410)와,
    상기 제1유로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펌핑하는 오일펌프(400)와,
    상기 오일펌프(400)로부터 펌핑 되는 엔진오일을 엔진 내부로 이송하는 제2유로(420)와,
    상기 제2유로(420)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이 실린더(2)의 내벽(2B)과 피스톤(3)의 외벽 및 마찰 부재 상에 급유되어 이루어지는 윤활시스템과,
    상기 제2유로(420)로 공급되어 윤활이 이루어진 엔진오일을 회수하는 리턴 유로(430)와,
    상기 리턴 유로(430)를 경유한 엔진오일이 상기 오일탱크(10)로 되돌아가 연속적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2. 2 사이클 엔진에 있어서,
    가솔린을 저장 공급하는 연료탱크(20)와,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순수 가솔린을 공급받는 기화기(5)와,
    엔진오일을 저장 공급하는 오일탱크(10)와,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엔진오일을 이송하는 제1유로(410)와,
    상기 제1유로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펌핑하는 오일펌프(400)와,
    상기 오일펌프로부터 펌핑 되는 엔진오일을 크랭크축(7)과 커낵팅 로드(75)를 경유하여 피스톤(3)의 외벽(F)에 개설되는 오일통로(423)까지 이송하는 제2유로 (420)와,
    상기 제2유로(420)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이 오일통로(423)를 경유하면서 실린더(2)의 내벽(2A)과, 피스톤(3) 및 피스톤 링(3A,3A)에 착상되어 이루어지는 윤활시스템과,
    상기 제2유로(420)로 공급되고 오일통로(423)를 경유한 엔진오일이 리턴 관 (435)과, 커낵팅로드(75) 및 크랭크축(7)과, 크랭크 실(4) 하부에 개설되는 회수관 (431)을 포함하는 리턴 유로(430): 를 경유하여 상기 오일탱크(10)로 되돌아가 연속적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3.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는 2 사이클 엔진에 있어서,
    가솔린을 저장 공급하는 연료탱크(20)와,
    상기 연료탱크(20)로부터 가솔린을 공급받는 기화기(5)와,
    엔진오일을 저장 공급하는 오일탱크(10)와,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이송하는 제1유로(41)와,
    크랭크축(7) 상에 연계되어 상기 제1유로(41)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펌핑하 는 오일펌프(40)와,
    상기 오일펌프에서 펌핑 되는 엔진오일을 이송하는 제2유로(42)와,
    인슐레타(31)에 개설되는 오일공급관(30)과,
    상기 제2유로(42)와, 오일공급관(30)을 경유하여 공급되는 엔진오일로 마찰이 일어나는 운동 부재 상에 급유가 이루어져 윤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4.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는 2 사이클 엔진에 있어서,
    가솔린을 저장 공급하는 연료탱크(20)와,
    상기 연료탱크(20)로부터 가솔린을 공급받는 기화기(5)와,
    엔진오일을 저장 공급하는 오일탱크(10)와,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이송하는 제1유로(41)와,
    크랭크축(7) 상에 연계되어 상기 제1유로(41)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펌핑하는 오일펌프(40)와,
    상기 오일펌프에서 펌핑 되는 엔진오일을 이송하는 제2유로(42)와,
    인슐레타(31)에 개설되는 오일공급관(30)과,
    상기 제2유로(42)와 오일공급관(30)을 경유하여 이송되는 엔진오일은, 엔진(1)의 시동으로 기화기(5)와, 인슐레타(31) 및 케이싱(31A)과 실린더(2) 상에 개설된 공기 흡입구(300)로 가솔린과 공기가 흡입될 때, 상기 엔진오일도 동시에 흡입되어 비산하면서 실린더(2)의 내벽(2A)과, 피스톤(3) 및 피스톤 링 (3A,3A)과, 커낵팅 로드(75) 또는 크랭크축(7) 상에 결합 된 마찰 부재(76,720) 상에 착상되어 윤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20) 또는 오일탱크(10)는, 사방이 밀폐되는 통으로 어느 일 측에 격벽이 설치되고, 엔진오일과 가솔린의 주입구 및 공급구가 각각 성형 되는 일체형으로 오일/연료탱크(도 17의 20,20A)를 구성하되, 상기 오일/연료탱크(도 17의 20,20A)에는, 가솔린 또는 엔진오일의 회수구가 더 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6. 제1항 내지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탱크(10)는, 엔진(1) 크랭크실(4)의 측면 또는 하부 중의 선택된 장소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탱크(10)의 오일 주입구 뚜껑(25A)에는, 공기 배출구(도 8의 10F)가 더 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의 외벽(도 2의 F)에 개설되는 오일통로(423)에는, 엔진오일 배출 구멍이 다수로 천공된 제3의 피스톤 링(3A)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피스톤(3)은, 피스톤(3)의 링(3A)과 링(3A) 사이, 또는 상기 피 스톤(3)의 외벽(F) 상의 선택된 장소에 개설되는 오일통로(423)와, 상기 오일통로에는 피스톤(3)의 내,외벽체(3F,F)를 적어도 2 이상 관통하는 홈과, 상기 홈에는 오일공급관(도 8의 423b)과, 리턴관(435)이 구비되는 피스톤(3)에 특징이 있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12. 제1항 내지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유로(420) 또는 상기 제2유로(420)를 형성하는 연결관(421b) 또는 오일공급관(도 8의 423b)을 관 연결하는 호스 관(421c)은, 유연성과 내열성을 갖는 호스 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13. 제3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타(31)에 구비되는 오일공급관(30)은, 공기 흡입구(300)가 개설되는 기화기(5)의 후미나 인슐레타 케이싱(31A) 또는 실린더(2) 중의 선택된 부재 상에 오일공급관(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펌프(40,400)는, 엔진 시동용 리코일 스타터(92)가 수용되는 리코일 스타터용 하우징(90)의 내측 상에 위치하고, 크랭크축(7) 상에 상기 오일펌프가 연계되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 이클 엔진.
  15. 제1항 내지 제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펌프(400)는, 스크루 또는 블레이드가 암수로 구비되고, 누유방지용 리테너를 수용하는 외부 케이싱이 크랭크축 상에 형성되어 구비되는 오일펌프와, 상기 오일펌프(400)는 크랭크축(7)이 회전할 때 엔진오일이 펌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펌프(40,400)는, 크랭크축(7) 상에 구비되는 풀리와 벨트, 또는 체인과 스프로킷 중에 선택된 부재를 연결 부재로 하여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오일펌프(40,400)가 엔진(1)의 어느 일 측에 결합 되어 엔진오일이 펌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17. 제1항 내지 제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피스톤(3)에 개설되는 리턴 관(435)으로부터 회수되는 엔진오일을 한곳으로 모으는 나팔관(75a)과, 모아 진 엔진오일을 크랭크실(4) 하부로 이송하는 유로 관(75b)이 더 구비되는 커낵팅 로드(75)에 특징이 있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18. 제1항 내지 제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사용자가 원하는 일 방향으로만 ON / OFF 되는 닐리스 밸브 (431A)가 개설되는 회수관(431)과, 상기 회수관(431)이 크랭크 케이싱 상에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19. 제1항 내지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리턴유로(430)를 경유하여 오일탱크(10)로 순환하는 엔진오일의 찌꺼기를 거르거나, 기화기(5)로 공급되는 가솔린이 크랭크실(4) 내측에 머무르는 동안, 엔진오일과 희석될 수 있는 상기 가솔린의 휘발을 위하여 공기 배출구멍이 천공되고 거름용 아미가 형성되는 오일 힐터가 상기 리턴 유로(430) 상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20. 제3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실린더(2)의 위치보다 상부에 탑재되는 오일탱크(10)와,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엔진오일을 이송하는 제1유로(41)와, 상기 오일탱크(10) 또는 제1유로(41) 상에 구비되는 유량조절기와, 상기 제1유로와 유량조절기를 경유한 엔진오일이 자연낙하 되어 오일공급관(30)으로 공급되고, 공기 흡입구(300)로 공급되는 가솔린과 공기가 크랭크실(4) 내측으로 흡입될 때, 상기 엔진오일도 동시에 흡입되어 비산하면서 운동 부재 상에 착상되어 윤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21.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사용하는 엔진오일은, 2 사이클 엔진 전용오일인 CC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22.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크랭크축(7) 또는 리코일스타터용 클러치(9) 상에, 적어도 1 개 이상의 캠(Cam)이 더 구비되고, 상기 캠이 구비된 크랭크축 또는 리코일스타터용 클러치(9)가 회전할 때 오일펌프(40,400)를 펌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KR1020070124038A 2007-09-28 2007-12-01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KR100878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161 2007-09-28
KR20070098161 2007-09-28
KR20070105748 2007-10-19
KR1020070105748 2007-10-19
KR20070106967 2007-10-24
KR1020070106967 2007-10-24
KR1020070111829 2007-11-04
KR20070111829 2007-1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056B1 true KR100878056B1 (ko) 2009-01-12

Family

ID=4048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038A KR100878056B1 (ko) 2007-09-28 2007-12-01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0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1746A (zh) * 2017-03-28 2018-10-16 株式会社斯巴鲁 机油供给装置
KR20220080499A (ko) * 2020-12-07 2022-06-14 한국기계연구원 가스 엔진의 오일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69A (ko) * 1996-12-11 1998-10-07 토다 마사오 차량용 2행정-사이클 엔진의 오일공급장치
KR100783541B1 (ko) 2006-12-14 200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밸브 리프트 시스템용 오일공급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469A (ko) * 1996-12-11 1998-10-07 토다 마사오 차량용 2행정-사이클 엔진의 오일공급장치
KR100783541B1 (ko) 2006-12-14 2007-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밸브 리프트 시스템용 오일공급회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1746A (zh) * 2017-03-28 2018-10-16 株式会社斯巴鲁 机油供给装置
CN108661746B (zh) * 2017-03-28 2022-01-04 株式会社斯巴鲁 机油供给装置
KR20220080499A (ko) * 2020-12-07 2022-06-14 한국기계연구원 가스 엔진의 오일 공급장치
KR102473754B1 (ko) * 2020-12-07 2022-12-02 한국기계연구원 가스 엔진의 오일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74492B (zh) 四冲程发动机
US6216660B1 (en) Lubricating system in a 4-cycle engine
KR100308545B1 (ko) 윤활유공급장치및그것을포함하는휴대용엔진
KR100459757B1 (ko) 엔진에있어서의윤활용오일분무생성장치
US6328004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10221732B2 (en) Lubrica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2007202948A1 (en) Lubrication Device for Four-Stroke Engine
CN104747310A (zh) 用于二冲程发动机的气缸润滑系统
CN101598046A (zh) 风冷式通用发动机的润滑装置
CN102378859A (zh) 二冲程内燃发动机
US5228414A (en) Valveless two-stroke-cycle oscillating engine
KR100878056B1 (ko) 가솔린 엔진오일 분리 공급 시스템의 2 사이클 엔진
US6397795B2 (en) Engine with dry sump lubrication, separated scavenging and charging air flows and variable exhaust port timing
US6260536B1 (en) Intake passage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10259294A1 (en) Lubricating System for a Two-Stroke Engine
TWI242622B (en) Lubrication device for four-stroke engine
US6401701B1 (en) Four-stroke cy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689293B2 (ja) 4サイクル内燃エンジン
US10502103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improved lubrication system
US2852046A (en) Complete lubricating system for engine-driven implement
US5915350A (en) Lubrication system for engine
CN205532874U (zh) 一种往复式独立润滑二冲程发动机
RU2809172C1 (ru) Двухтактный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RU2809172C9 (ru) Двухтактный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CN214741542U (zh) 一种汽油机机油强制循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