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958B1 -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958B1
KR100877958B1 KR1020070051476A KR20070051476A KR100877958B1 KR 100877958 B1 KR100877958 B1 KR 100877958B1 KR 1020070051476 A KR1020070051476 A KR 1020070051476A KR 20070051476 A KR20070051476 A KR 20070051476A KR 100877958 B1 KR100877958 B1 KR 100877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temperature
support pin
temperature sens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555A (ko
Inventor
우경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아이
Priority to KR102007005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95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10Measuring moisture content, e.g. by measuring change in length of hygroscopic filament; Hygro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콘크리트의 내부에 간편하게 매립할 수 있는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단면이 원형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핀(200)과, 상기 지지핀(200)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측 중앙부가 점점 좁아지는 원뿔 형상의 끼움핀(202)과, 상기 지지핀(200) 및 끼움핀(202)의 외측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201)과, 상기 삽입홈(201)에 삽입되는 전선(220)과, 상기 전선(220)에 설치된 온도센서(210)와, 상기 온도센서(210)를 보호하도록 온도센서(210)를 감싸도록 지지핀(200)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보호막(23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콘크리트, 양생, 온도, 습도, 센서

Description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Temperature measurement equipments for Curing on Concrete}
도 1은 종래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측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지지핀 201 : 삽입홈
202 : 끼움핀 210 : 온도센서
211 : 습도센서 220 : 전선
230 : 보호막 231 : 노출부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콘크리트의 내부에 간편 하게 매립할 수 있는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등에 물을 혼합하여 목적지에 타설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는 양생하게 된다.
상기 양생은 콘크리트 다지기가 끝난 다음 온도 ·하중 ·충격 ·파손 등의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콘크리트의 내부 및 노출면을 충분히 보호 관리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보양(保養)이라고도 한다.
상기 콘크리트는 경화를 계속하여 28일이 지나면 거의 최종압축강도에 도달하며 이때까지는 시멘트의 화학작용이 계속되므로 양생 시에는 직사광선, 한기, 비바람 등을 피하고 콘크리트의 수화작용(Hydration)을 촉진하기 위하여 젖은 가마니나 포장 등을 덮어씌워 하절기에는 7일 이상, 보통은 5일 이상 물을 공급하여 수분을 유지하고 겨울철에는 5일간은 2℃ 이하가 되지 않도록 보온을 하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모든 콘크리트 건물 및 구축물의 시공에 있어서는 모든 것을 사람이 판단하고 제어를 해야만 했으므로 양생 중에는 사람이 현장에 계속 상주하며 계절에 따라 콘크리트에 젖은 가마니나 톱밥으로 덮어주어 온도를 유지시켜 주어야 했고 또는 물을 뿌려 수분을 유지시켜 주어야 했으므로 규격화된 기준에 의거하여 온도나 수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의 현장 경험에 의존하여 온·습도의 유지가 이루어져 왔다고 할 수 있다.
콘크리트 자연양생 시 콘크리트 주변의 온도 및 습도의 변화는 일정하고 규칙적으로 변화하여야 하며, 급격한 상승이나 하강은 콘크리트의 물성을 변화시켜 압축강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온도의 급격한 하강은 겨울철 관리 소홀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콘크리트 표면의 결빙으로 인해 결빙된 부분과 결빙되지 않은 부분의 물성이 다르게 나타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두 부분의 결합력을 저하시켜 표면의 균열을 생성시키게 되며, 습도의 급격한 하강은 여름철에 콘크리트 위에 쏟아지는 직사광선을 젖은 가마니 등으로 제대로 보호해주지 못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 역시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저하시켜 콘크리트의 균열을 생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콘크리트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양생시 노출면은 물론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콘크리트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측정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온도 측정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판(100)의 중앙부에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끼움공(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100)의 하단부에는 콘크리트(140)에 간편하게 매립하기 위하여 하부측 중앙부가 점점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상의 끼움편(10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공(101)에는 콘크리트(14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1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온도센서(110)에는 측정값을 전송하기 위한 전선(12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100)의 표면에는 온도센서(110) 및 전선(12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13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콘크리트(140)를 타설한 후 그 콘크리트(140)의 내부에 지지판(100)을 매립 설치하고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지지판(100)에 형성된 끼움편(102)이 하부로 향하도록 매립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판(100)을 콘크리트(140)에 매립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100)의 끼움공(101)에 삽입된 온도센서(110)는 콘크리트(140)의 내부에 표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것이고, 상기 온도센서(110)에 연결된 전선(120)의 단부에 제어부(150)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50)는 온도센서(110)의 측정값을 변환하고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컴퓨터 및 PDA 등 통상의 제어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110)의 측정값은 전선(120)을 통하여 제어부(150)로 전송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150)는 콘크리트(140) 내부의 온도를 각각 표시하는 것으로서, 작업자는 양생중인 콘크리트(140)의 온도를 확인하여 최적의 양생조건이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온도센서(110)가 삽입되는 지지판(100)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판(100)을 콘크리트(140)에 매립할 때 콘크리트(140)와 접촉되는 지지판(100)의 표면에 발생하는 접촉력으로 인하여 과다한 힘을 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두꺼운 콘크리트(140)에는 길이가 증가된 지지판(100)을 매립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이때에는 상기 지지판(100)을 매립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구(망치 등)를 이용하여 지지판(100)의 상단부를 타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다지기 작업이 완료된 콘크리트(14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온도센서(120)가 끼움공(10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판(100) 전면 및 배면의 온도는 측정할 수 있지만, 지지판(100) 양 측면의 온 도는 측정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방향(4 방향)의 온도값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지지판(100)이 서로 직각이 유지되게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하기 위한 시간이 증가됨은 물론 콘크리트(140)에 복수개의 지지판(100)을 삽입하게 되므로 콘크리트(14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온도센서(120)가 보호막(130)에 의해서 감싸여져 있으므로 콘크리트(14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양생기간 동안 콘크리트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봉 형상의 지지핀에 설치하여 상기 지지핀을 콘크리트에 매립할 때 접촉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는 단면이 원형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측 중앙부가 점점 좁아지는 원뿔 형상의 끼움핀과, 상기 지지핀 및 끼움핀의 외측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전선과, 상기 전선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를 보호하도록 온도센서를 감싸도록 지지핀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보호막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240)에 매립될 때 접촉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단면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핀(200)이 마련되어 있고, 그 지지핀(200)의 하단부에는 끼움핀(20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끼움핀(202)은 하부측 중앙부가 점점 좁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핀(200) 및 끼움핀(202)의 외측 둘레면에는 이후에 설명할 전선(220), 온도센서(210) 및 습도센서(211)가 삽입되는 삽입홈(201)이 형성되어 있되, 그 삽입홈(201)은 지지핀(200) 및 끼움핀(202)의 외측 둘레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01)에는 전선(220)이 각각 삽입되어 있고, 그 전선(220)의 단부 및 중앙부에는 온도센서(210)와 습도센서(211)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210)와 습도센서(211)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를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핀(200)의 외측 둘레면에는 온도센서(210)와 습도센서(21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막(230)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습도센서(211)를 보호하는 보호막(230)은 콘크리트(24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습도센서(211)의 일단부가 노출되게 노출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목적지에 타설된 콘크리트(240)의 다지지 작업 후 양생을 할 때 콘크리트(240)에 지지핀(200)을 매립하는 것이며, 상기 지지핀(200)을 콘크리트(240)에 매립할 때에는 지지핀(200)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 핀(202)이 하부로 향하도록 매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끼움 핀(202)을 하부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핀(200)의 상단을 콘크리트(240)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끼움 핀(202)은 중앙부가 뾰족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핀(200)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촉 면에 발생하는 접촉력이 최소화되어 적은 힘을 이용하여도 지지핀(200)을 간편하게 매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핀(200)을 콘크리트(240)에 매립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홈(201)에 형성된 온도센서(210) 및 습도센서(211)는 콘크리트(240)의 내부에 표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것이고, 상기 온도센서(210) 및 습도센서(211)에 연결된 전선(220)의 단부에 제어부(250)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50)는 온도센서(210)의 측정값을 변환하고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컴퓨터 및 PDA 등 통상의 제어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210)의 측정값은 전선(220)을 통하여 제어부(250)로 전송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250)는 콘크리트(240) 내부의 온도를 각각 표시하는 것으로서, 작업자는 양생중인 콘크리트(240)의 온도를 확인하여 최적의 양생조건이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습도센서(211)를 보호하는 보호막(230)에는 습도센서(211)의 일단이 노출되게 노출부(23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습도센서(211)는 콘크리트(24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그 측정값은 전선(220)을 통하여 제어부(250)로 전송되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250)는 콘크리트(240) 내부의 습도를 각각 표시하는 것으로서, 작업자는 양생중인 콘크리트(240)의 습도를 확인하여 최적의 양생조건이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핀(200)의 외측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201)에 온도센서(210) 및 습도센서(211)를 각각 삽입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콘크리트(240)를 파손시키지 않고도 콘크리트(240) 내부의 다양한 방향(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가 설치된 지지핀과 콘크리트의 접촉면이 최소화되어 적은 힘으로도 콘크리트에 지지핀을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되므로 콘크리트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핀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에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각각 삽입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다양한 방향에 대한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게되므로 최적의 양생조건이 유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핀을 삽입할 때 그 지지핀과 콘크리트의 접촉면이 최소화 되므로 두꺼운 콘크리트 내부에 지지핀을 삽입할 때 콘크리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단면이 원형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핀(200)과, 상기 지지핀(200)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측 중앙부가 점점 좁아지는 원뿔 형상의 끼움핀(202)과, 상기 지지핀(200) 및 끼움핀(202)의 외측 둘레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201)과, 상기 삽입홈(201)에 삽입되는 전선(220)과, 상기 전선(220)에 설치된 온도센서(210)와, 상기 온도센서(210)를 보호하도록 온도센서(210)를 감싸도록 지지핀(200)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보호막(23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01)은 지지핀(200)의 외측 둘레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삽입홈(20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01)에는 온도센서(210)가 설치된 전선(220)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온도센서(210)를 보호하는 보호막(230)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220)에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의 온도센서(210)가 이격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220)에는 습도센서(211)가 더 설 치되고, 상기 습도센서(211)를 보호하는 보호막(230)에는 습도센서(211)의 일단부가 노출되게 노출부(23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
KR1020070051476A 2007-05-28 2007-05-28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 KR100877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476A KR100877958B1 (ko) 2007-05-28 2007-05-28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476A KR100877958B1 (ko) 2007-05-28 2007-05-28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555A KR20080104555A (ko) 2008-12-03
KR100877958B1 true KR100877958B1 (ko) 2009-01-14

Family

ID=40366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476A KR100877958B1 (ko) 2007-05-28 2007-05-28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055B1 (ko) 2021-06-07 2022-02-08 주식회사 토탈페리스 콘크리트 양생환경 측정을 위한 하우징캡 센서,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양생환경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환경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83377A1 (en) * 2010-02-17 2012-09-27 Pile Dynamics Inc Pile sens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597302B1 (ko) * 2014-12-17 2016-02-24 주식회사 동양센서 온도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11815504B2 (en) * 2016-07-11 2023-11-14 Quipip, Llc Sensor device, and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measurements of selected characteristics of a concrete mixture
CN106353007B (zh) * 2016-08-29 2017-11-03 长安大学 一种混凝土结构温度梯度精密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KR102351389B1 (ko) * 2019-11-07 2022-01-13 노형남 스마트 하이웨이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11413000B (zh) * 2020-04-10 2021-08-31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大体积混凝土施工数字化测温方法
CN111413001B (zh) * 2020-04-10 2021-08-31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大体积混凝土施工数字化测温系统
CN113532691B (zh) * 2021-07-15 2024-05-28 威海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大体积混凝土温度自动采集及其降温处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0261B2 (ja) * 1994-03-01 1997-11-19 戸田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天端の位置測定方法と位置測定装置
KR20020031004A (ko) * 2000-10-20 2002-04-26 고학봉 원추형 선단이 형성된 스크류의 말뚝공법
KR100709277B1 (ko) 2006-03-22 2007-04-19 한국원자력연구소 단축가속도계를 이용해 횡방향 봉 진동 측정을 위한 봉내삽입형 이축가속도 신호계측 치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0261B2 (ja) * 1994-03-01 1997-11-19 戸田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天端の位置測定方法と位置測定装置
KR20020031004A (ko) * 2000-10-20 2002-04-26 고학봉 원추형 선단이 형성된 스크류의 말뚝공법
KR100709277B1 (ko) 2006-03-22 2007-04-19 한국원자력연구소 단축가속도계를 이용해 횡방향 봉 진동 측정을 위한 봉내삽입형 이축가속도 신호계측 치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055B1 (ko) 2021-06-07 2022-02-08 주식회사 토탈페리스 콘크리트 양생환경 측정을 위한 하우징캡 센서, 이를 포함한 콘크리트 양생환경 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환경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555A (ko)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958B1 (ko)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장치
BR112012018126A2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introdução de um tubo para cabos ópticos em uma fundação de colocação sólida
KR101037784B1 (ko) 열선을 구비한 조립식 보도블럭
CA2946531C (en) Modified permanent cap
JP6179767B2 (ja) トンネル覆工アーチコンクリート打止管理方法
CN101660898A (zh) 一种光纤光栅路面应变传感器
US20040068945A1 (en) Concrete home building
KR20130132054A (ko) 광섬유 fbg 센서를 이용한 반복 사용형 콘크리트 양생 온도 측정 장치
JP3936864B2 (ja) ケーブル収納用ダクト装置
CN201508166U (zh) 一种光纤光栅路面应变传感器
CN113463934A (zh) 一种大体积混凝土温控防裂养护方法
KR20060068812A (ko) 현장타설 콘크리트구조물의 양생온도품질 검사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양생온도품질 검사시험방법
CN205066708U (zh) 监测混凝土结构内部冻融膨胀应变光纤传感器
KR101917780B1 (ko)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KR10111157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단열 및 보호 패널
CN101738368B (zh) Pccp管阴极保护测试探头及测试方法
KR20230081573A (ko) 신규 복합 단열층 건축물 거푸집 조립체
CN201347454Y (zh) 混凝土管阴极保护测试探头
KR100552348B1 (ko) 신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사전방식 시스템
JP7075658B2 (ja) 収縮評価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試験体
CN112814318A (zh) 一种隧道洞门墙石材饰面结构及施工方法
JP3581534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064161B (zh) 一种耐低温城市快速铺装道路
KR20070118902A (ko) 해저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콘크리트블록들이 연결된매트리스
JP6130123B2 (ja) 防水層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