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780B1 -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780B1
KR101917780B1 KR1020180050232A KR20180050232A KR101917780B1 KR 101917780 B1 KR101917780 B1 KR 101917780B1 KR 1020180050232 A KR1020180050232 A KR 1020180050232A KR 20180050232 A KR20180050232 A KR 20180050232A KR 101917780 B1 KR101917780 B1 KR 101917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late
plate
auxiliary iron
measuring
cr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워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워브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워브레인
Priority to KR102018005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5/04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wid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 시작되는 부위에 부착한 후, 균열이 진행되는 상태를 수시로 확인 가능하고, 확인 시 균열의 진행 상태를 먼 거리에서도 아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 보수를 제 때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Measure Apparatus for Crack Width Change of Structural}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부에 부착하여, 균열의 진행 폭을 수시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빌딩, 교량, 도로, 건축구조물, 그 밖의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사용년도가 지날수록 수명을 다하여 부식 등의 이유로 균열이 발생되기 마련이지만, 기타 여러가지 원인으로 조기에 균열이 발생되기도 한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원인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균열과, 경화중의 균열과, 굳은 콘크리트의 균열로 대비되고 있다.
상기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균열은 콘크리트 타설 후 묽은 콘크리트가 침하되면서 수 시간 내에 철근 등이 지나는 자리에 발생하는 침하균열과, 타설된 콘크리트가 점차로 유동성을 잃으며 굳어져 가는 시점에서 고정물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거푸집 변형에 의한 균열과, 타설을 완료할 즈음에 콘크리트 근처에서 말뚝을 박거나 기계류 등의 진동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진동 균열과, 외부의 건조한 바람이나 고온 저습한 외기에 노출되면서 급격한 습윤 손실이 일어나며 발생하는 소성수축 균열 등이 있다.
상기 경화 중의 균열은 콘크리트 중 시멘트가 완전하게 수화될 때, 그 중 일부의 물이 시멘트 조직에 침투되어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바, 이때의 화학적 반응에 의한 응력이 시멘트와 골재의 부착 강도를 초과하면 발생되는 균열을 말한다.
상기 굳은 콘크리트의 균열은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에 포화되어 있는 화학적 성분에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침투하여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면서 발생하는 탄성화에 의한 균열과, 경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공극에 잔존하는 수분이 표면으로 이동하여 대기 중으로 증발하면서 나타나는 건조수축 균열과, 시멘트의 알칼리 성분과 알칼리 용해성 규산을 함유한 골재와 의 화학적 반응으로 체적이 팽창하여 발생하는 화학 반응에 의한 균열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열응력에 의한 균열이 있고, 그밖에 동절기의 동해 및 제설제 사용에 따른 균열 및 철근부식에 의한 균열, 설계 잘못에 의한 균열 등이 있다.
이렇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은 구조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최악의 경우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 시작되는 부위에 부착한 후, 균열이 진행되는 상태를 수시로 확인 가능하고, 확인 시 균열의 진행 상태를 먼 거리에서도 아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 보수를 제 때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는 구조물에 형성된 균열부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구조물에 고정 체결된 보조철판부; 상기 일측의 보조철판부와 타측의 보조철판부 사이에 그 양측이 접촉되어 일측의 보조철판부와 타측의 보조철판부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된 판 형상의 측정판; 일측의 보조철판부 및 측정판의 전면에 각각 구비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고리부 및 일측의 보조철판부에 구비된 고리부와 측정판에 구비된 고리부를 연결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정판은 구조물과 대비되는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정판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되어 균열부가 일측 및 타측으로 폭이 벌어지면, 측정판은 일측의 보조철판부와 타측의 보조철판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측정판은 사다리꼴 형태의 하부 모서리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 시작되는 부위에 부착한 후, 균열이 진행되는 상태를 수시로 확인 가능하고, 확인 시 균열의 진행 상태를 먼 거리에서도 아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 보수를 제 때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판(100), 일측 및 타측의 보조철판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철판부(200)는 철 재질의 판 형상으로써, 구조물(10)에 형성된 균열부(50)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구조물(10)에 고정 체결된다.
일측의 보조철판부(200) 및 타측의 보조철판부(200)는 각각 한 쌍의 앵커 볼트(210)를 관통시켜 구조물(10)에 고정 체결된다.
측정판(100)은 일측의 보조철판부(200)와 타측의 보조철판부(200) 사이에 양측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판 형상으로써, 측정판(100)은 일측의 보조철판부(200)와 타측의 보조철판부(200) 사이에서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측정판(100)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구조물(10)과 대비되는 색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구조물(10)이 회색의 어두운 색상이면, 측정판(100)은 노란색으로 형성하여 구조물(10)로부터 선명하면서 뚜렷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정판(100)은 철판 또는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강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측의 보조철판부(200)의 전면에 고리부(230)를 구비하고, 측정판(100)의 전면에 고리부(230)를 구비한다.
이어서, 일측의 보조철판부(200)에 구비된 고리부(230)와 측정판(100)에 구비된 고리부(230)에 이탈방지줄(250)을 연결하여 측정판(100)이 일측의 보조철판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아울러, 일측의 보조철판부(200)와 타측의 보조철판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측정판(100)의 양측면은 각각 보조철판부(200)를 향하여 볼록하게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오목홈과 볼록부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오목홈이 측정판(100)의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어, 균열이 발생되어 측정판(100)이 보조철판부(200)로부터 이탈될 시에 보다 쉽게 떨어져 나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가 구성되고, 측정판(100)이 일측의 보조철판부(200) 및 타측의 보조철판부(200) 사이에서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다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50)에 균열이 발생되어 균열부(50)가 일측 및 타측으로 폭이 벌어지게 된다.
이때, 균열부(50)가 벌어짐에 따라 일측의 보조철판부(200) 및 타측의 보조철판부(200) 사이도 멀어지게 되고, 일측의 보조철판부(200) 및 타측의 보조철판부(200) 사이가 멀어짐에 따라 일측의 보조철판부(200) 및 타측의 보조철판부(200) 사이에 밀착되어 고정되던 측정판(100)이 이탈되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된다.
이어서, 측정판(100)은 하부로 이동되더라도 이탈방지줄(250)에 의해 일측의 보조철판부(2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측정판(100)은 사다리꼴 형태의 하부 모서리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고, 오목홈(205)이 측정판(100)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여, 균열부(50)가 벌어짐에 따라 일측의 보조철판부(200) 및 타측의 보조철판부(200) 사이가 멀어지게 되었을 때 보조철판부(200) 사이에서 잘 빠져나올 수 있다.
이렇게, 구조물(10)에 균열이 발생하여 균열부(50) 사이가 벌어져, 보조철판부(200)로부터 측정판(100)이 이탈되어 하부로 이동되면, 측정판(100)의 색상이 구조물(10)의 색상과 대비되므로, 측정판(100)이 하부로 이동된 것에 의해 균열의 진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측정판(100)의 색상이 구조물(10)의 색상과 대비되므로, 먼 거리에서도 균열의 진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망원경을 이용한다면, 더욱 쉽게 구조물의 균열의 진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의 균열의 진행 상태가 파악되어 구조물의 유지 보수를 제 때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큰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 시작되는 부위에 부착한 후, 균열이 진행되는 상태를 수시로 확인 가능하고, 확인 시 균열의 진행 상태를 먼 거리에서도 아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 보수를 제 때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구조물 50: 균열부
100: 측정판 200: 보조철판부
210: 앵커볼트 230: 고리부
250: 이탈방지줄

Claims (5)

  1. 구조물(10)에 형성된 균열부(50)를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이격되어 구조물에 고정 체결된 보조철판부(200); 상기 일측의 보조철판부(200)와 타측의 보조철판부(200) 사이에 그 양측이 접촉되어 일측의 보조철판부(200)와 타측의 보조철판부(200)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된 판 형상의 측정판(100); 일측의 보조철판부(200) 및 측정판(100)의 전면에 각각 구비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고리부(230) 및 일측의 보조철판부(200)에 구비된 고리부(230)와 측정판(100)에 구비된 고리부(230)를 연결하는 이탈방지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측의 보조철판부(200) 및 타측의 보조철판부(200)는 각각 한 쌍의 앵커 볼트(210)를 관통시켜 구조물(10)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측정판(100)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의 보조철판부(200)와 타측의 보조철판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측정판(100)의 양측면은 각각 보조철판부(200)를 향하여 볼록하게 볼록부가 형성되고; 구조물(10)에 균열이 발생되어 균열부(50)가 일측 및 타측으로 폭이 벌어지면, 측정판(100)은 일측의 보조철판부(200)와 타측의 보조철판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판은 구조물과 대비되는 색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측정판은 사다리꼴 형태의 하부 모서리 부분이 곡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KR1020180050232A 2018-04-30 2018-04-30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KR101917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232A KR101917780B1 (ko) 2018-04-30 2018-04-30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232A KR101917780B1 (ko) 2018-04-30 2018-04-30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780B1 true KR101917780B1 (ko) 2018-11-12

Family

ID=6439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232A KR101917780B1 (ko) 2018-04-30 2018-04-30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7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286B1 (ko) * 2021-08-20 2023-01-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열 콘크리트 시험체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30254B1 (ko) 2022-10-27 2024-01-29 주식회사 아워브레인 사면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80Y1 (ko) * 2002-01-18 2002-04-17 김각경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진행 확인자
KR100767345B1 (ko) 2007-07-23 2007-10-17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콘크리트 토목구조물간의 틈새변화를 확인하는안전진단장비
JP2009085602A (ja) * 2007-09-27 2009-04-23 Bridgestone Corp 連結具の変位量表示装置
JP2015169462A (ja) 2014-03-05 2015-09-28 公立大学法人秋田県立大学 リミット型変位検出器
WO2016094311A1 (en) 2014-12-08 2016-06-16 Lowitz Gregory E Structural crack monitor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101655734B1 (ko) 2016-03-16 2016-09-08 탄탄안전 주식회사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측정기
KR101721821B1 (ko) 2017-02-03 2017-03-30 신윤섭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진행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80Y1 (ko) * 2002-01-18 2002-04-17 김각경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진행 확인자
KR100767345B1 (ko) 2007-07-23 2007-10-17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콘크리트 토목구조물간의 틈새변화를 확인하는안전진단장비
JP2009085602A (ja) * 2007-09-27 2009-04-23 Bridgestone Corp 連結具の変位量表示装置
JP2015169462A (ja) 2014-03-05 2015-09-28 公立大学法人秋田県立大学 リミット型変位検出器
WO2016094311A1 (en) 2014-12-08 2016-06-16 Lowitz Gregory E Structural crack monitor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101655734B1 (ko) 2016-03-16 2016-09-08 탄탄안전 주식회사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측정기
KR101721821B1 (ko) 2017-02-03 2017-03-30 신윤섭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진행 감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286B1 (ko) * 2021-08-20 2023-01-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열 콘크리트 시험체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30254B1 (ko) 2022-10-27 2024-01-29 주식회사 아워브레인 사면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780B1 (ko) 구조물의 균열 폭 변화 측정 장치
KR100869969B1 (ko) 맨홀인상보수공법
CN106150523B (zh) 一种高速铁路隧道水沟电缆槽整体模板施工工法
KR101457386B1 (ko) 누수를 방지하는 고인성 무조인트 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54043B1 (ko) 신축이음장치 후타콘크리트 교체공법
JP4947779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敷設方法
JP2008031821A (ja) コンクリート梁の開口部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JP2010150871A (ja) 型枠兼用外断熱材の化粧板取付工法と外壁取付用掛止め部材
JP3721005B2 (ja) 高強度軽量コンクリート床版を備えてなる橋梁
KR101658929B1 (ko) 공장제작된 조립식 프리캐스트 박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박스 구조물 시공방법.
CN218374567U (zh) 一种可定位可免抹灰的alc墙板加固结构
JP6761264B2 (ja) 水平部材の施工管理方法
JP5361668B2 (ja) マンホール蓋受枠の据付工法
CN103526830A (zh) 混凝土栈桥踏步与楼面的可变形衔接方法及可变形衔接结构
KR101742775B1 (ko) 스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매립형 보수/보강공법
JP2011149244A (ja) 床版上面増厚工法
KR102171659B1 (ko) 하이테크 장비의 기초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49131B1 (ko)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
Bhattacharjee Deterioration of concrete structures along with case studies in India
CN104088230B (zh) 预制钢筋混凝土块体装配式桥梁墩台的连接方法
JP2004052413A (ja) 塩害を受け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KR101609568B1 (ko) 내화성 망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JP6504838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上面の補修工法
KR100796021B1 (ko) 콘크리트 방식판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JP2011032855A (ja) 側溝の施工方法、および側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