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933B1 -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 Google Patents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933B1
KR100877933B1 KR1020060123838A KR20060123838A KR100877933B1 KR 100877933 B1 KR100877933 B1 KR 100877933B1 KR 1020060123838 A KR1020060123838 A KR 1020060123838A KR 20060123838 A KR20060123838 A KR 20060123838A KR 100877933 B1 KR100877933 B1 KR 100877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vertical connecting
unit
thicknes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1957A (ko
Inventor
박갑철
정홍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12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93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1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17/0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조 구조물의 내화피복의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부(110)와 상기 수직부(110)의 상단부가 90° 굴절되어 연장된 수평부(120)로 구성되는 수직연결봉(100);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단부에 결합되는 검측부(200); 및,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직부(11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검측부(200)의 검침 정보를 유무선으로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수신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에 관한 것이다.
수직연결봉, 수직부, 수평부, 검측부, 이동부재, 회동부재, 검측용 송곳, 두께측정부, 회동핀, 잠금핀, 잠금핀수용홈, 수신부,

Description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Fire-proofing coat thickness detector with extension bar}
도1은 종래기술을 도시하고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3은 이동부재와 회동부재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4는 이동부재와 회동부재의 내부구조 및 수평부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5는 (a)회동부재와 수직연결봉의 수평부 결합구조, 및 (b)회동부재를 회동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검측을 실시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6은 이동부재와 회동부재의 내부구조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수직연결봉
110:수직부
120:수평부
200:검측부
210:회동부재
220:검측용 송곳
230:이동부재
231:중공 232:탄성스프링
240:두께측정부
300:수신부
310:경고음발생부
11:회동축
22:잠금핀
33:잠금핀수용홈
기술분야
본 발명은 내화피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검측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수직부(110)와 상기 수직부(110)의 상단부가 90° 굴절되어 연장된 수평부(120)로 구성되는 수직연결봉(100);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단부에 결합되는 검측부(200); 및,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직부(11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검측부(200)의 검침 정보를 유무선으로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수신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철골조 건축물의 철골에는 내화 뿜칠을 일정 두께 이상으로 시공하여야 내화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바, 시공 후 검측자가 검측기로 내화피복의 두께를 검측하게 된다.
종래의 방법은 도1(a)와 같이 송곳의 적당한 길이(그림에서는 50 mm)부분에 유색테이프 등으로 표시하고 내화피복을 송곳으로 찔러 송곳의 끝이 철골에 접촉되어 더 이상 들어가지 않는 상태에서 유색테이프 부분이 내화피복의 표면에 도달하지 않으면 내화피복의 두께가 50 mm 이내인 것으로 판단하고, 유색테이프 부분이 내화피복의 표면에 도달하거나 내화피복의 표면 내부로 유색테이프가 유입되면 내화피복의 두께가 50 mm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를 조금 개선하여 내회피복의 두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도1(b)에 도시된 검측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강철로 된 송곳과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 구동부를 잡고 뿜칠 한 곳에 찌르면 고정부는 내화피복의 표면에 정지하고 송곳이 들어가는 깊이만큼 구동부가 움직이면서 고정부에 표시된 눈금과 만나는 부분을 눈으로 읽어 내화피복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내화피복의 두께를 검측하는 대상은 주로 높은 곳에 위치하여 기존의 두 가지 방법은 모두 사다리 등 별도의 고소장비를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고, 검측자가 직접 고소장비에 올라가 손으로 송곳을 찌르고 눈으로 눈금을 읽어야 하는 바,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 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검측 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다리와 같은 별도의 고소장비가 소요되지 않는 내화피복 검측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높은 위치의 내화피복 검측 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내화피복 검측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내화피복의 두께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내화피복 검측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수직부(110)와 상기 수직부(110)의 상단부가 90° 굴절되어 연장된 수평부(120)로 구성되는 수직연결봉(100);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단부에 결합되는 검측부(200); 및,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직부(11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검측부(200)의 검침 정보를 유무선으로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수신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3은 이동부재와 회동부재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고, 도4는 이동부재와 회동부재의 내부구조 및 수평부와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5는 (a)회동부재와 수직연결봉의 수평부 결합구조, 및 (b)회동부재를 회동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검측을 실시하는 것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수직연결봉(100)은 고소 검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직부(110)와 상기 수직부(110)의 상단부가 90° 굴절되어 연장된 수평부(120)로 구성된다.
작업자는 수직부(110)의 하부를 파지하고 고소 검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수평부(120)의 단부에는 검측부(200)가 결합된다.
검측부(200)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210), 검측용 송곳(220), 탄성스프링(232), 이동부재(230), 및 두께측정부(240)로 구성된다.
회동부재(210)는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20)와 회동부재(210)의 연결구조에는 회동축(11), 잠금핀(22), 및 잠금핀수용홈(33)이 포함된다.
회동축(11)은 회동부재(210)와 일체로 결합되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를 관통한 후 스프링이 삽입결합되어 회동부재(210)가 수평부(120)에 탄성지지되도록 한다.
잠금핀(22)은 회동축(11) 둘레의 회동부재(210)와 접촉되는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표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잠금핀수용홈(33)은 잠금핀(22)을 수용하도록 회동축(11)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회동부재(210)의 표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회동부재(210)가 회동하다가 잠금핀수용홈(33)에 잠금핀(22)이 수용되면 일종의 잠금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각도(예를 들어 상하로 90°)만큼 회동부재(210)가 회동되면 잠금핀수용홈(33)에 잠금핀(22)이 수용되도록 하여 검측 대상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회동부재(210)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회동축(11), 잠금핀(22), 및 잠금핀수용홈(33)은 도6에 도시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회동축(11)은 상기 회동부재(210)와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를 관통하여 결합하며, 회동축(1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부재(210)가 회동하게 된다.
잠금핀(22)은 상기 회동축(11) 둘레의 상기 회동부재(210)와 접촉되는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표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된다.
다시 말하면, 잠금핀(22)은 수평부(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어 수평부(120) 표면에 돌출되는 구조이며, 잠금핀(22)을 눌러주면 수평부(120) 내부에 마련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잠금핀(22)이 수평부(120) 내부로 후퇴하게 된다.
잠금핀수용홈(33)은 상기 잠금핀(22)을 수용하도록 상기 회동축(11)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상기 회동부재(210)의 표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회동부재(210)가 회동하다가 잠금핀수용홈(33)에 잠금핀(22)이 수용되면 일종의 잠금작용이 이루어지게 되고, 도5(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검측 대상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회동부재(210)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내화피복의 내부로 침투하는 검측용 송곳(22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210)와 일체로 결합된다.
이동부재(230)는 검측용 송곳(220)의 외부를 둘러싸고, 전방단부에는 검측용 송곳(220)이 통과하는 중공(231)이 형성되어 있다.
검측용 송곳(220)은 이동부재(230)가 회동부재(210)를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면 중공(231)을 통하여 돌출되어 내화피복의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검측용 송곳(220)에 삽입결합되는 탄성스프링(232)은 후방단부가 검측용 송곳에 후방에 거치되고 전방단부는 이동부재(230)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검측용 송곳(220)이 내화피복을 뚫고 들어가는 만큼 내화피복의 표면에 이동부재(230)의 전방단부가 접촉되어 회동부재(210)를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고, 검측이 완료되어 내화피복 내부로 침투한 상기 검측용 송곳(220)을 제거하면 탄성스프링(232)에 의하여 이동부재(230)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검측용 송곳(220)이 내화피복의 내부로 침투함에 따라 회동부재(210)와 이동부재(230)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대적 이동거 리가 바로 내화피복의 두께를 의미한다.
두께측정부는 이동부재(230)의 이동거리(다시 말하면, 회동부재(210)에 대한 상대적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수신부(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두께측정부(240)는 이동부재(230)와 회동부재(210) 사이에 설치되는 직선형 가변저항기를 이용하여 이동부재(230)의 이동거리에 따라 변환되는 저항값을 내화피복의 두께로 환산할 수도 있고, 이동부재(230)와 회동부재(210) 사이에 설치되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내화피복의 두께로 환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직선형 가변저항기나 광센서를 이용하여 거리측정에 활용하는 기술은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에 해당하는 바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검측부(200)는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별도의 검측용 송곳(220)을 사용하지 않고 회동부재(2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초음파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초음파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초음파센서를 내화피복의 표면에 밀착시킨 후 초음파를 발사하여 철골조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내화피복의 두께로 환산한다.
수신부(300)는 수직연결봉(100)의 수직부(11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검측부(200)의 검침 정보(다시 말하면 내화피복의 두께)를 유무선으로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부(3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연결봉(100)의 수직부(110) 하부에 구비되고 내화피복의 두께를 표시하는 표시창이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 이하게 내화피복의 두께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신부(300)에는 검측부(200)에서 측정된 내화피복의 두께가 기준값 이하로 판별되는 경우 경고신호(음향, 빛 또는 진동)을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31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경고신호발생부(31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내화피복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설계변경 등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다리와 같은 별도의 고소장비가 소요되지 않는 내화피복 검측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직부(110)가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의 손이 직접 닿지 않는 높은 위치의 내화피복 두께도 용이하게 검측할 수 있는 바, 사다리와 같은 별도의 고소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둘째, 높은 위치의 내화피복 검측 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다리와 같은 고소장비에 직접 올라가는 경우 언제든지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으나, 본원 발명의 경우에는 고소장비에 올라갈 필요가 없어 고소작업 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셋째, 내화피복의 두께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소장비에 직접 올라가는 과정이 생략되어 전체적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하여 작업자는 사고의 위험에서 해방되어 검측 작업에만 몰두할 수 있으며, 회동부재(210)의 방향을 조절하여 다양한 부위의 고소검측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하여 비용절감 및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8)

  1. 철골조 구조물의 내화피복의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부(110)와 상기 수직부(110)의 상단부가 90° 굴절되어 연장된 수평부(120)로 구성되는 수직연결봉(100);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단부에 결합되는 검측부(200); 및,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직부(11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검측부(200)의 검침 정보를 유무선으로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수신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검측부(200)는,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동부재(2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철골조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 시간을 내화피복의 두께로 환산하며,
    상기 수신부(300)에는 상기 검측부(200)에서 측정된 내화피복의 두께가 기준값 이하로 판별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310);가 포함되며,
    상기 회동부재(210)와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회동축(11);
    상기 회동축(11) 둘레의 상기 회동부재(210)와 접촉되는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표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잠금핀(22); 및,
    상기 잠금핀(22)을 수용하도록 상기 회동축(11)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상기 회동부재(210)의 표면에 구비되는 잠금핀수용홈(33);
    을 더 포함하여 상기 회동부재(210)의 회동 및 잠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2. 철골조 구조물의 내화피복의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부(110)와 상기 수직부(110)의 상단부가 90° 굴절되어 연장된 수평부(120)로 구성되는 수직연결봉(100);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단부에 결합되는 검측부(200); 및,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직부(11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검측부(200)의 검침 정보를 유무선으로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수신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검측부(200)는,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동부재(2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철골조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 시간을 내화피복의 두께로 환산하며,
    상기 수신부(300)에는 상기 검측부(200)에서 측정된 내화피복의 두께가 기준값 이하로 판별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310);가 포함되며,
    상기 회동부재(210)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를 관통한 후 스프링이 삽입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210)가 상기 수평부(120)에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회동축(11);
    상기 회동축(11) 둘레의 상기 회동부재(210)와 접촉되는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표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잠금핀(22); 및,
    상기 잠금핀(22)을 수용하도록 상기 회동축(11)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상기 회동부재(210)의 표면에 구비되는 잠금핀수용홈(33);
    을 더 포함하여 상기 회동부재(210)의 회동 및 잠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3. 철골조 구조물의 내화피복의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부(110)와 상기 수직부(110)의 상단부가 90° 굴절되어 연장된 수평부(120)로 구성되는 수직연결봉(100);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단부에 결합되는 검측부(200); 및,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직부(11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검측부(200)의 검침 정보를 유무선으로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수신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검측부(200)는,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동부재(210):
    상기 회동부재(210)와 일체로 결합하는 검측용 송곳(220);
    상기 검측용 송곳(220)의 외부를 둘러싸고, 전방단부에는 상기 검측용 송곳(220)이 통과하는 중공(231)이 형성되고, 상기 검측용 송곳(220)에 삽입결합된 탄성스프링(232)에 의하여 탄성지지되고, 상기 검측용 송곳(220)이 내화피복을 뚫고 들어가는 만큼 내화피복에 전방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회동부재(210)를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이동부재(230); 및,
    상기 이동부재(230)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수신부(300)로 전송하는 두께측정부(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신부(300)에는 상기 검측부(200)에서 측정된 내화피복의 두께가 기준값 이하로 판별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310);가 포함되며,
    상기 회동부재(210)와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회동축(11);
    상기 회동축(11) 둘레의 상기 회동부재(210)와 접촉되는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표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잠금핀(22); 및,
    상기 잠금핀(22)을 수용하도록 상기 회동축(11)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상기 회동부재(210)의 표면에 구비되는 잠금핀수용홈(33);
    을 더 포함하여 상기 회동부재(210)의 회동 및 잠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4. 철골조 구조물의 내화피복의 두께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부(110)와 상기 수직부(110)의 상단부가 90° 굴절되어 연장된 수평부(120)로 구성되는 수직연결봉(100);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단부에 결합되는 검측부(200); 및,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직부(11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검측부(200)의 검침 정보를 유무선으로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수신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검측부(200)는,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동부재(210):
    상기 회동부재(210)와 일체로 결합하는 검측용 송곳(220);
    상기 검측용 송곳(220)의 외부를 둘러싸고, 전방단부에는 상기 검측용 송곳(220)이 통과하는 중공(231)이 형성되고, 상기 검측용 송곳(220)에 삽입결합된 탄성스프링(232)에 의하여 탄성지지되고, 상기 검측용 송곳(220)이 내화피복을 뚫고 들어가는 만큼 내화피복에 전방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회동부재(210)를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이동부재(230); 및,
    상기 이동부재(230)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수신부(300)로 전송하는 두께측정부(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신부(300)에는 상기 검측부(200)에서 측정된 내화피복의 두께가 기준값 이하로 판별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310);가 포함되며,
    상기 회동부재(210)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를 관통한 후 스프링이 삽입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210)가 상기 수평부(120)에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회동축(11);
    상기 회동축(11) 둘레의 상기 회동부재(210)와 접촉되는 상기 수직연결봉(100)의 수평부(120) 표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잠금핀(22); 및,
    상기 잠금핀(22)을 수용하도록 상기 회동축(11)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상기 회동부재(210)의 표면에 구비되는 잠금핀수용홈(33);
    을 더 포함하여 상기 회동부재(210)의 회동 및 잠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두께측정부(240)는,
    상기 이동부재(230)와 상기 회동부재(210) 사이에 설치되는 직선형 가변저항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부재(230)의 이동거리에 따라 변환되는 저항값을 내화피복의 두께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두께측정부(240)는,
    상기 이동부재(230)와 상기 회동부재(210) 사이에 설치되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이동부재의 이동거리를 내화피복의 두께로 환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7. 삭제
  8. 삭제
KR1020060123838A 2006-12-07 2006-12-07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KR100877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838A KR100877933B1 (ko) 2006-12-07 2006-12-07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838A KR100877933B1 (ko) 2006-12-07 2006-12-07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957A KR20080051957A (ko) 2008-06-11
KR100877933B1 true KR100877933B1 (ko) 2009-01-14

Family

ID=3980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838A KR100877933B1 (ko) 2006-12-07 2006-12-07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2650A1 (en) * 2017-01-12 2018-07-19 The Toro Company Mobile turf instrument apparatus
CN113959390B (zh) * 2021-11-05 2024-02-09 扬州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一种远距离测膜标记用的一体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601A (ja) * 1993-09-14 1995-03-28 Sekisui Chem Co Ltd 発泡層の厚さ測定器
JP3023888U (ja) * 1995-10-18 1996-04-30 虹技株式会社 厚み測定器
JPH08304034A (ja) * 1995-04-28 1996-11-22 Sekisui Plastics Co Ltd 発泡シートの厚み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2004108954A (ja) 2002-09-19 2004-04-08 Jfe Steel Kk 油静圧式ガスホルダのシール板厚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601A (ja) * 1993-09-14 1995-03-28 Sekisui Chem Co Ltd 発泡層の厚さ測定器
JPH08304034A (ja) * 1995-04-28 1996-11-22 Sekisui Plastics Co Ltd 発泡シートの厚み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3023888U (ja) * 1995-10-18 1996-04-30 虹技株式会社 厚み測定器
JP2004108954A (ja) 2002-09-19 2004-04-08 Jfe Steel Kk 油静圧式ガスホルダのシール板厚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957A (ko)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66193A1 (en) Vehicle chassis and body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734390B1 (ko)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CN107314734B (zh) 地下工程围岩位移实时观测装置
CA2246927A1 (en) Non-contact measuring apparatus
KR20060136002A (ko)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CN106512373B (zh) 一种跳远测试装置及跳远成绩评估装置
CN115031624B (zh) 一种测量机构、测量系统及测量方法
KR100877933B1 (ko) 고소용 내화피복 검측기
CN107063476A (zh) 一种测量太赫兹波长的装置及方法
KR101179667B1 (ko) 크랙 측정기
KR20170119594A (ko) 드론을 이용한 암반사면 안정성 평가를 위한 절리특성 측정방법
EP1435506A1 (en) Optically triggered probe
KR102165287B1 (ko)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장치
CN105699293B (zh) 一种木材阻力仪用的探针方位约束托架
CN105571504B (zh) 一种桥梁挠度对称式光电自动测量装置
KR10207631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길이 측정장치
CN209386976U (zh) 一种快速测量激光套管尺
CN113474620B (zh) 水平垂直线检测装置及系统
KR101370294B1 (ko) 휴대용 레이저 변위센서를 이용한 데이터 측정 시스템
KR200491947Y1 (ko) 양 방향 레이저 거리 측정기
JP5197466B2 (ja) 密閉型給配電設備の点検装置
JP2008532028A (ja) 表面部に付着した霜の厚さを測定するプローブ
CN110850423A (zh) 一种移动设备位置测量装置
KR101949326B1 (ko) 레벨 측정용 디지탈 스타프
CN216246292U (zh) 一种建筑检测用垂直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