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893B1 -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893B1
KR100877893B1 KR1020080064912A KR20080064912A KR100877893B1 KR 100877893 B1 KR100877893 B1 KR 100877893B1 KR 1020080064912 A KR1020080064912 A KR 1020080064912A KR 20080064912 A KR20080064912 A KR 20080064912A KR 100877893 B1 KR100877893 B1 KR 10087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air
vertical member
waterway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형
이광호
이상근
박세진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유)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일 filed Critical (유)신일
Priority to KR1020080064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므로 소형이나 중형 수로에 적합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세워진 상태로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레일과, 지지레일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수직부재의 하부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L"형상을 이룬 상태로 유지되도록 수평부재를 수직부재에 지지시키는 각도유지구와, 수직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수로, 스크린, 이물질, 소형, 제거, 레일, 이동, 회전, 각도, 연결

Description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Waste Removing Device for Middle and Small Size Waterway}
본 발명은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및 취급이 간편하므로 중형이나 소형 수로에 설치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수장이나 정수장, 양수장, 배수장 등에는 강이나 바다, 하천, 저수지 등으로부터 물을 끌어들이기 위한 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수로에는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서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처리시설이 설치된다.
종래 수로용 이물질 처리시설에 있어서는 주로 이물질을 거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앞쪽에 설치되어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을 수로 밖으로 옮겨서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갖추게 된다.
상기에서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물질 처리량이 비교적 많은 대형 수로에 적용하기 적합하도록 대형 규모이고 자동으로 동작을 제어하는 구조가 대부분인데, 이 경우 설치가격이 고가이고 구조가 복잡한 편이다.
따라서 이물질 처리량이 그다지 많지 않은 중형이나 소형 수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이물질 제거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제조 및 설치가격에 비하여 효용성이 낮은 문제가 있고, 작업자가 일일이 이물질을 직접 제거하는 경우 불편함이 많을 뿐만 아니라 익사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수동으로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하면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므로 소형이나 중형의 수로에 사용시도 효용성이 있는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제안하는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세워진 상태로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 사이에서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L"형상을 이룬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수평부재를 수직부재에 지지시키는 각도유지구와,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지지레일은 "ㄷ" 단면을 갖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구쪽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콘크리트구조물에 각각 설치 고정한다.
상기에서 한쌍의 지지레일은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구조물에 각각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수로의 앞쪽에 설치되고 하부 끝부분이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레일이 각각 고정 지지되는 한쌍의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의 위쪽 끝부분을 연결하는 가로바와, 상기 세로바와 콘크리트구조물을 연결하며 고정하는 복수의 연결바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하이동장치는 원동축에 핸들이 연결되고 종동축에 스프로킷이 연결되는 감속기어를 사용하는 권양기 본체와, 상기 수직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권양기 본체의 스프로킷과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을 돌려서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수직부재와 함께 상하이동하는 체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부재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굽어져 연장되며 모서리가 톱니형상의 형성되는 갈퀴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도유지구는 상기 수직부재의 양쪽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이동홈이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위치안내부재와, 상기 위치안내부재의 상하이동홈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는 한쌍의 위치고정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위치고정구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수평부재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로는 쇠사슬, 로프, 체인 등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위치고정구는 상기 상하이동홈을 각각 관통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연결편과 상기 한쌍의 볼트부재의 끝부분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로 구성한다.
상기 각도유지구는 상기 수직부재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수평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한쪽 끝부분과 제2연결부재의 한쪽 끝부분 사이에 설치되고 제2연결부재의 한쪽 끝부분이 제2연결부재의 한쪽 끝부분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연결부재에 반대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L"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재의 상향회전을 방지하는 상향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향회전방지부는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 끝부분 모서리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을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는 걸림축과, 상기 수평부재의 한쪽 끝부분에 고정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L"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재의 상향시 상기 걸림축에 걸리는 걸림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수동으로 간편하게 조작이 가능하므로 제조 및 설치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
따라서 농수로 등과 같이 소형이나 대형의 수로에 설치하는 경우 효용성을 높일 수 있고 이물질을 간편하게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발명에 따른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면,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스크린의 설치각도나 작업 여건 등에 따라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명에 따른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면, 수평부재의 상향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향 이동시 수평부재가 상향 회전하여 접히는 것을 방지하고 "L"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발명에 따른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면, 수평부재가 상향 회전하여 접힌 후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원래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완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면,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기존 수로에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기존 수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효용성이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지지레일(20)과, 지지프레임(30)과, 상하이동장 치(40)와, 상기 한쌍의 지지레일(20) 사이에 설치되는 수직부재(50)와, 상기 수직부재(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평부재(60)와 "L"형상을 이루는 수평부재(60)와, 상기 수평부재(60)와 수직부재(50)가 "L"형상을 이룬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수평부재(60)를 수직부재(50)에 지지시키는 각도유지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레일(20)은 상기 수직부재(50)의 양쪽 끝부분이 삽입되어 상하이동가능하게 형성하여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레일(2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ㄷ" 단면을 갖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세워진 상태로 개구쪽이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수로(2)에 설치되는 스크린(10)은 콘크리트구조물(4)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설치되는 위치는 각각 다를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레일(20)의 설치되는 위치가 정해지게 되는데, 상기 지지프레임(30)은 상기 스크린(10)이 수로(2)의 맨 앞쪽 끝부분에 설치되거나 수로(2)의 앞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물(4)에 직접 지지시키기 어려운 경우 유용하다.
상기 지지프레임(30)의 한가지 구성을 예로 들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구조물(4)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수로(2)의 앞쪽에 설치되고 하부 끝부분이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레일(20)이 각각 고정 지지되는 한쌍의 세로바(31)와, 상기 세로바(31)의 위쪽 끝부 분을 연결하는 한쌍의 가로바(37), (38)와, 상기 세로바(31)와 콘크리트구조물(4)을 연결하며 고정하는 복수의 연결바(36)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세로바(31)는 상기 지지레일(20)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되는 한쌍의 기둥(32), (33)과, 상기 한쌍의 기둥(32), (33) 하부 끝부분을 서로 연결하며 앙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바닥에 고정되는 판형상의 브래킷(34)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로바(37), (38)는 상기 한쌍의 기둥(32), (33) 위쪽 끝부분을 각각 연결한다.
상기 연결바(36)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한쌍의 기둥(32), (33)을 서로 연결하며 고정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콘크리트구조물(4)에 앙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에서 연결바(36)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상기 콘크리트구조물(4)과 접한 상태로 앙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판형상의 브래킷(36)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둥(32), (33) 및 가로바(37), (38), 연결바(36)는 각각 "ㄱ"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지지프레임(30)의 구성은 상기 스크린(10)이 설치된 기존 수로(2)에 적용하는 경우 효과적이며, 수로(2)를 신규로 시공하거나 수로(2)의 중앙에 스크린(10)이 설치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로(2)를 신규로 시공하거나 상기 스크 린(10)이 상기 수로(2)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상기 콘크리트구조물(4)의 양측벽에 상기 지지레일(20)을 앙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직접 지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콘크리트구조물(4)의 양측벽에는 상기 지지레일(2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직부재(50)는 막대형상의 프레임이 가로 및 세로로 연결되어 대략 사각형상을 이루며 상기 상하이동장치(40)에 의해 양쪽 끝부분이 상기 지지레일(20)의 내부를 따라 안내되며 상하이동한다.
상기 수평부재(60)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50)와 대략 "L"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50)와 함께 상하이동한다.
상기 상하이동장치(40)는 일반적으로 수문(floodgate)의 문짝을 상하이동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권양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상하이동장치(40)로는 수동식 권양장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전동식 권양장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동식 권양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상하이동장치(4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동축(43)에 핸들(44)이 연결되고 종동축(45)에 스프로킷(46)이 연결되는 감속기어(42)를 사용하는 권양기 본체(41)와, 상기 수직부재(50)와 연결되고 상기 권양기 본체(41)의 스프로킷(46)과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44)을 돌려서 상기 스프로킷(46)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직부재(50)와 함께 상하이동하는 체인부재(4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권양기 본체(41)는 상기 한쌍의 지지레일(20) 위쪽 끝부분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권양기 본체(41)는 상기 지지프레임(30)을 구성하는 가로바(37), (38)의 중앙에 설치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에서 지지프레임(3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한쌍의 지지레일(20) 위쪽 끝부분 또는 콘크리트구조물(4)의 위쪽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의 중앙에 상기 권양기 본체(41)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상하이동장치(40)로는 윈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평부재(60)의 한쪽 끝부분은 상기 수직부재(50)의 하부 끝부분에 힌지축(70)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수평부재(60)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향으로 경사지게 굽어져 연장되고 끝부분 모서리에 사다리꼴의 톱니모양으로 요철부가 형성되는 갈퀴부(62)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갈퀴부(62)의 요철부는 돌출된 부분이 상기 스크린(10)에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도유지구(8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 재(50)의 양쪽 끝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이동홈(52)이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위치안내부재(81)와, 상기 위치안내부재(81)의 상하이동홈(8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는 한쌍의 위치고정구(84)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위치고정구(84)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수평부재(60)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부재(8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고정구(8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홈(82)을 각각 관통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볼트부재(85)와, 상기 볼트부재(85)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88)와 연결되는 고정편(86)과, 상기 한쌍의 볼트부재(85)의 끝부분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87)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88)는 쇠사슬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로프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체인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수평부재(60)와 수직부재(50)가 "L"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재(60)의 상향회전하여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상향회전방지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향회전방지부(90)는 도 11~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50)의 하부 끝부분 모서리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편(92)과, 상기 고정편(92)을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는 걸림축(94)과, 상기 수평부재(60)의 한쪽 끝부분에 고정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재(60)와 수직부재(50)가 "L"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 재(60)의 상향회전시 상기 걸림축(94)에 걸리는 걸림편(9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편(92)은 상기 수직부재(50)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하나 또는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씩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고정편(92)을 2개씩 형성하는 경우, 2개의 고정편(92) 사이로 상기 걸림편(96)이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축(94)으로는 볼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편(92)에는 상기 걸림축(94)과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구멍(9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축(94)과 고정편(92)이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걸림축(94)을 고정편(92)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평부재(60)의 상향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걸림축(94)을 상기 고정편(92)으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수평부재(60)의 상향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분리시킨 걸림축(94)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부재(50)의 위쪽 모서리에 한쌍의 보조고정편(98)을 각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고정편(98)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수평부재(6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조고정편(98)은 상기 고정편(92)과 마찬가지로 암나사구멍(99)이 형 성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도유지구(100)가 상기 수직부재(50)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102)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결부재(102)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수평부재(6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104)와, 상기 제1연결부재(102)의 한쪽 끝부분과 제2연결부재(104)의 한쪽 끝부분 사이에 설치되고 제2연결부재(102)의 한쪽 끝부분이 제2연결부재(104)의 한쪽 끝부분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연결부재(104)에 반대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연결부재(102) 및 제2연결부재(104)는 각각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둘 중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106)로는 인장코일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연결부재(102) 또는 제2연결부재(104)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102)와 제2연결부재(104)는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핀(106)을 관통 설치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핀(106)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102) 또는 제2연결부재(104) 중 어느 하나에는 연결핀(106)이 고정되고 다른 하나에는 연결핀 이(106)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구멍(107)을 형성한다.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 및/또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하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각도유지구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각도유지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로의 내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서 하향회전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향회전방지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향회전방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9)

  1. 삭제
  2.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세워진 상태로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 사이에서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 끝부분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직부재와 "L"형상을 이루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L"형상을 이룬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수직부재에 지지시키는 각도유지구와,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유지구는 상기 수직부재의 양쪽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이동홈이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위치안내부재와, 상기 위치안내부재의 상하이동홈에 각각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이동홈의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는 한쌍의 위치고정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위치고정구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수평부재의 다른쪽 끝부분에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로프, 체인, 쇠사슬, 쇠막대 중에서 어느 한가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고정구는 상기 상하이동홈을 각각 관통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 사이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연결편과, 상기 한쌍의 볼트부재의 끝부분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L"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재의 상향회전을 방지하는 상향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향회전방지부는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 끝부분 모서리에 고정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을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는 걸림축과, 상기 수평부재의 한쪽 끝부분에 고정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L"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재의 상향회전시 상기 걸림축에 걸리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5.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세워진 상태로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한쌍의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 사이에서 상기 지지레일을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 끝부분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직부재와 "L"형상을 이루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가 "L"형상을 이룬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수평부재를 상기 수직부재에 지지시키는 각도유지구와,
    상기 지지레일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유지구는 상기 수직부재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연결부재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수평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한쪽 끝부분과 제2연결부재의 한쪽 끝부분 사이에 설치되고 제2연결부재의 한쪽 끝부분이 제2연결부재의 한쪽 끝부분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연결부재에 반대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굽어져 연장되며 끝부분 모서리가 사다리꼴 톱니모양의 요철부를 갖는 갈퀴부가 형성되는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장치는 원동축에 핸들이 연결되고 종동축에 스프로킷이 연결되는 감속기어를 사용하는 권양기 본체와, 상기 수직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권양기 본체의 스프로킷과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을 돌려서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수직부재와 함께 상하이동하는 체인부재를 포함하는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은 "ㄷ" 단면을 갖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구쪽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콘크리트구조물에 각각 지지되는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수로의 앞쪽에 설치되고 하부 끝부분이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레일이 각각 고정 지지되는 한쌍의 세로바와, 상기 세로바의 위쪽 끝부분을 연결하는 가로바와, 상기 세로바와 콘크리트구조물을 연결하며 고정하는 복수의 연결바로 구성하는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080064912A 2008-07-04 2008-07-04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7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912A KR100877893B1 (ko) 2008-07-04 2008-07-04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912A KR100877893B1 (ko) 2008-07-04 2008-07-04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893B1 true KR100877893B1 (ko) 2009-01-12

Family

ID=4048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912A KR100877893B1 (ko) 2008-07-04 2008-07-04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8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15B1 (ko) 2010-06-18 2013-12-09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오각형 바가 설치된 스크린
CN116180683A (zh) * 2023-02-16 2023-05-30 宁波科蓝中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闸门运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7518U (ko) 1981-06-11 1982-12-15
KR200316334Y1 (ko) * 2003-03-05 2003-06-18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갈퀴의 과부하 방지 로터리식 제진기
KR200327200Y1 (ko) * 2003-06-02 2003-09-19 봉하근 수문권양기의 역회전 방지장치
KR200349381Y1 (ko) * 2004-01-02 2004-05-04 김상훈 수직인양식 자동수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7518U (ko) 1981-06-11 1982-12-15
KR200316334Y1 (ko) * 2003-03-05 2003-06-18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갈퀴의 과부하 방지 로터리식 제진기
KR200327200Y1 (ko) * 2003-06-02 2003-09-19 봉하근 수문권양기의 역회전 방지장치
KR200349381Y1 (ko) * 2004-01-02 2004-05-04 김상훈 수직인양식 자동수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15B1 (ko) 2010-06-18 2013-12-09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오각형 바가 설치된 스크린
CN116180683A (zh) * 2023-02-16 2023-05-30 宁波科蓝中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闸门运行装置
CN116180683B (zh) * 2023-02-16 2024-01-09 宁波科蓝中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闸门运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973B1 (ko) 부유물 제거용 스크린 인양 및 전도식 로터리 제진기
KR101177923B1 (ko) 제진장치
KR102285379B1 (ko) 협잡물겸 침사 수거용 제진기
KR101167841B1 (ko) 계단식 여과기
CN201031151Y (zh) 一种抓斗格栅除污机
KR100877893B1 (ko) 중/소형 수로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CN111498890A (zh) 一种碳酸钙粉体除杂装置及方法
KR101259093B1 (ko) 제진기
KR20130016489A (ko) 가이드바퀴가 설치된 수 처리장치
CN212925976U (zh) 一种水利闸门启闭装置
KR101902615B1 (ko) 하수관로의 협잡물처리 스크린장치
KR100899774B1 (ko) 수로용 이물질 제거시설
WO2015026025A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978601B1 (ko) 조합형 바 스크린용 협잡물 제진기
KR102221382B1 (ko) 각종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제진기
KR200396184Y1 (ko) 하수처리장 침사지용 미세목 스크린 장치
KR102284268B1 (ko) 협잡물 탈락 및 이탈 방지용 레이크가 장착된 제진기
KR102291857B1 (ko) 제진성이 향상된 이동형 레벨 제진기
JP6805817B2 (ja) 除塵装置の固定金具
KR100778238B1 (ko) 로터리 제진기
KR200400293Y1 (ko)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
KR101877854B1 (ko) 체인 인양식 멀티 레이크 스크린장치
KR102182705B1 (ko) 제진기
CN110258718B (zh) 一种农田水利机井用捞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