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3Y1 -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 - Google Patents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3Y1
KR200400293Y1 KR20-2005-0024418U KR20050024418U KR200400293Y1 KR 200400293 Y1 KR200400293 Y1 KR 200400293Y1 KR 20050024418 U KR20050024418 U KR 20050024418U KR 200400293 Y1 KR200400293 Y1 KR 200400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een box
moving
box
lifting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취켓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취켓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취켓
Priority to KR20-2005-0024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오수중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양체인에 결속되어 장치의 안내레일을 따라 일주하는 스크린박스가 후방에서 하강하면서 일정각도 젖혀져 스크린박스와 스크린박스 사이로 유입수의 배출되게 함으로써 유입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는 구동모터(9)와, 구동모터(9)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로킷(14)과, 이 스프로킷(14)에 결속되어 안내레일(8)상을 일주하는 인양체인(2)과, 이 인양체인(2)에 고정되어 유입수내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박스(100)를 갖는 무빙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박스(100)는 인양체인(2)을 관통한 복수의 체결부재(B)가 체결되는 통공(111)과 장공(112)이 양측에 각각 형성된 사각의 프레임(110)과, 이 프레임(110)의 정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 고정되는 스크린바(120)를 형성하며, 무빙스크린장치(10)의 후방에서 인양체인(14)에 고정된 스크린박스(100)가 통공(111)을 중심으로 장공(112)의 길이만큼 회동하여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 {Screen box of Moving screen apparatus}
본 고안은 오수중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에 관한 것으로, 인양체인에 결속되어 장치의 안내레일을 따라 일주하는 스크린박스가 후방에서 하강하면서 일정각도 젖혀져 전방 스크린박스를 통과한 유입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펌프장 및 각종 처리장의 유입수 중에는 각종 찌꺼기, 불순물, 부유물 및 각기 다른 크기와 종류의 협잡물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집중호우 및 홍수시에는 빗물과 함께 떠내려온 각종 협잡물이 취수펌프장의 취수구 및 배수펌프장의 유수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수에 섞여 유입되는 협잡물을 빨리 제거하지 않으면, 수로를 범람시키고, 각종 펌프장에서 펌프의 막힘 등 각종 문제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협잡물을 유입수중에서 확실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박스(1)와, 인양체인(2)으로 이루어진 이송수단과, 스크린박스(1)를 장착한 인양체인(2)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주축(11,15,18)들에 구비된 스프로킷(14,16,19)들로 이루어진 제1, 제2회동수단으로 구성된 회동수단을 이용한 무빙스크린장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무빙스크린장치는 수로내부에 설치되는 두개의 몸체(5)와 이 몸체(5)의 상부에 부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상부케이스(6)로 형성된다. 이 상부케이스(6)의 하면에는 협잡물이 배출되는 배출슈트(7)를 구비하고, 일측면에는 협잡물이 배출되는 것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창(3)을 구비하며, 몸체(5)와 상부케이스(6)의 내측벽에는 인양체인(2)의 이탈과 처짐을 방지하는 가이드레일(8)을 소정구간 구비하고 있다.
먼저 제1회동수단은 상부케이스(6)의 상부에 위치하며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9)와, 이 구동모터(9)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 주동스프로킷(10)과, 이 주동스프로킷(10)과 상부 케이스(6)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인양주축(11)의 구동 종동스프로킷(12)은 수직으로 구동체인(13)을 걸어 회동하게 된다. 제2회동수단은 인양주축(11)에 복수의 인양주동스프로킷(14)을 소정간격으로 장착하고 있고, 이 인양주축(11)과 동일선상으로 소정간격 떨어져 인양테이크업축(15)을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크업축(15)에는 복수의 인양주동스프로킷(14)과 동일간격으로 복수의 인양 테이크업 스프로킷(16)을 장착하고 있으며, 인양체인(2)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테이크업장치(1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면과 소정간격 떨어진 몸체(5)의 내측벽에는 인양 종동축(18)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인양 종동축(18)에는 인양 종동스프로킷(19)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스프로킷(19)들상에는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박스(1)를 장착한 인양체인(2)이 권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박스(1)는 도 1b와 같이, 앞뒤가 뚫린 사각형상의 지지틀(1a)을 구비하고 웨지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스크린바(1b)를 다수 구비하여, 이 스크린바(1b)를 스크린지지틀(1a)에 소정간격으로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지지틀(1a)의 측면에 복수의 통공(1c)을 형성하여 이 통공(1c)을 관통한 체결부재로 인양체인(2)에 체결함으로써 인양체인(2)과 함께 이동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무빙스크린장치는 스크린박스가 장치내의 안내레일을 따라 일주하므로, 전방의 스크린박스를 통과한 유입수가 또다시 후방에서 하강하는 스크린박스를 통과하여야 하므로 유속이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크린박스의 지지틀에 스크린바를 고정함에 있어서 스크린바의 간격을 일정하게 용접하기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인양체인에 결속되어 장치의 안내레일을 따라 일주하는 스크린박스가 후방에서 하강하면서 일정각도 젖혀져 전방 스크린박스를 통과한 유입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크린박스와 스크린박스 사이에 끼인 협잡물의 제거가 용이한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는 프레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용접고정되는 스크린바의 고정위치에 고정편을 마련하여 위치고정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제작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로킷과, 이 스프로킷에 결속되어 안내레일상을 일주하는 인양체인과, 이 인양체인에 고정되어 유입수내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박스를 갖는 무빙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박스는 인양체인을 관통한 복수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통공과 장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된 사각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정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 고정되는 스크린바를 형성하며, 무빙스크린장치의 후방에서 인양체인에 고정된 스크린박스가 통공을 중심으로 장공의 길이만큼 회동하여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는 스크린바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레이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의 상기 스크린바는 프레임의 상하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의 상기 프레임은 전면에 스크린바가 고정되는 고정편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의 상기 고정편은 상면에 안착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무빙스크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고안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는 구동모터(9)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로킷(14)에 결속되어 무빙스크린장치(10)의 안내레일(8)상을 일주하는 인양체인(2)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이 스크린박스(100)를 통과하는 유입수내의 협잡물을 걸러내 상측으로 인양하는 것으로,
상기 인양체인(2)에 체결부재(B)로 고정되는 통공(111)과 장공(112)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전면상하에는 각각 상면에 안착홈(113a)을 갖는 고정편(113)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 형성된 사각의 프레임(110)과, 이 프레임(110)의 정면에 형성된 고정편(113)의 안착홈(113a)에 안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프레임(110)의 상하로 돌출되는 스크린바(120)와, 스크린바(12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레이크(130)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의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4a, 4b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무빙스크린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양체인(2)에 각각 고정된 스크린박스(100)로 유입수가 통과하면서 유입수내의 협잡물이 스크린박스(100)에 걸러지게 되고, 상기 인양체인(2)은 구동모터(9)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로킷(14)에 결속되어 안내레일(8)을 따라 무빙스크린장치(10)내를 일주하게 되며, 스크린박스(100)에 걸러져 상측으로 인양된 협잡물은 무빙스크린장치(10)의 상단에서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협잡물은 상기 스크린박스(100)의 프레임(110)의 정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 형성된 고정편(113)에 용접고정된 스크린바(120) 사이로 유입수가 통과되면서 스크린바(120)에 걸러지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스크린박스(100)는 인양체인(2)에 의해 상부로 인양되며, 스크린바(120)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레이크(130)에 의해 스크린박스(100)에 걸려있는 큰 협잡물 또는 중량의 협잡물도 인양된다.
이러한 스크린박스(100)는 인양체인(2)의 측면을 관통한 복수의 체결부재(B)가 프레임(110)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111)과 장공(112)으로 각각 체결됨에 의해 인양체인(2)에 고정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상하부로 스크린바(120)가 연장형성되어 스크린박스(100)와 스크린박스(100)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협잡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스크린박스(100)의 프레임(110) 전면 상하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고정편(113)의 상면 안착홈(113a)으로 스크린바(1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용접하여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제작시 스크린바(120)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일일이 간격을 재고, 정확한 위치에 용접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였다.
상기와 같은 스크린박스(100)가 인양체인(2)을 따라 무빙스크린장치(10)의 정면에서 상승하면서 스크린박스(100)에 걸러진 협잡물을 인양한 후, 무빙스크린장치(10)의 상단 스프로킷(14)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스크린박스(100)의 프레임(110)측면과 인양체인(2)을 결속하고 있는 복수의 체결부재(B)중 프레임(110) 측면의 통공(111)으로 체결된 체결부재(B)를 중심으로 하여 장공(112)의 길이만큼 회동하게 되며, 이러한 회동작용은 스크린박스(100)를 통과하는 유입수의 압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방 스크린박스(100)를 통과한 유입수의 배출을 방해하는 후방의 스크린박스(100)가 일정각도 젖혀지면서 스크린박스(100)와 스크린박스(10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므로, 이 공간을 통해 유입수가 원활하게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는 스크린박스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인양체인상에서 회동하여 일정각도 젖혀져 스크린박스와 스크린박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전방의 스크린박스를 통과한 유입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스크린박스와 스크린박스 사이에 끼여있던 협잡물이 쉽게 이탈되는 효과도 발생된다.
또한, 스크린박스의 하단에 레이크가 형성되어 스크린박스에 걸러진 크기가 큰 협잡물이나 중량의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인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스크린박스의 프레임에 스크린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편을 마련하여 스크린바를 프레임에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고정시키기 편리해진 효과도 있다.
도 1a는 종래 무빙스크린장치의 측단면도,
도 1b는 종래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 발췌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무빙스크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의 사시도,
도 4a, 4b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무빙스크린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프레임 111:통공
112:장공 113:고정편
113a:안착홈 120:스크린바
130:레이크

Claims (5)

  1. 구동모터(9)와, 구동모터(9)에 의해 회전하는 스프로킷(14)과, 이 스프로킷(14)에 결속되어 안내레일(8)상을 일주하는 인양체인(2)과, 이 인양체인(2)에 고정되어 유입수내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박스(100)를 갖는 무빙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박스(100)는 인양체인을 관통한 복수의 체결부재(B)가 체결되는 통공(111)과 장공(112)이 양측에 각각 형성된 사각의 프레임(110)과, 이 프레임(110)의 정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 고정되는 스크린바(120)를 형성하며,
    무빙스크린장치(10)의 후방에서 인양체인(2)에 고정된 스크린박스(100)가 통공(111)을 중심으로 장공(112)의 길이만큼 회동하여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박스(100)는 스크린바(120)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레이크(1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바(120)는 프레임(110)의 상하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0)은 전면에 스크린바(120)가 고정되는 고정편(113)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113)은 상면에 안착홈(113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스크린장치용 스크린박스.
KR20-2005-0024418U 2005-08-24 2005-08-24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 KR200400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18U KR200400293Y1 (ko) 2005-08-24 2005-08-24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18U KR200400293Y1 (ko) 2005-08-24 2005-08-24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3Y1 true KR200400293Y1 (ko) 2005-11-04

Family

ID=4370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418U KR200400293Y1 (ko) 2005-08-24 2005-08-24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21B1 (ko) 2006-03-02 2007-05-17 이현우 수 처리장의 부유물 분리용 무빙스크린장치
KR100986730B1 (ko) 2008-11-11 2010-10-08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협잡물 제거용 세목 스크린판 및 그 스크린판의 제조방법
CN114904751A (zh) * 2021-02-09 2022-08-16 五原县金麦提升科技有限公司 带有筛床链条提升装置的机械振动分级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21B1 (ko) 2006-03-02 2007-05-17 이현우 수 처리장의 부유물 분리용 무빙스크린장치
KR100986730B1 (ko) 2008-11-11 2010-10-08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협잡물 제거용 세목 스크린판 및 그 스크린판의 제조방법
CN114904751A (zh) * 2021-02-09 2022-08-16 五原县金麦提升科技有限公司 带有筛床链条提升装置的机械振动分级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203B1 (ko)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KR100821690B1 (ko)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
KR200400293Y1 (ko)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
KR200396183Y1 (ko) 하수처리장 침사지용 미세목 스크린 장치
GB2403438A (en) Screening apparatus
DE102004055981A1 (de) Vorrichtung zum Abschaben und Sammeln von Schlamm
KR101425778B1 (ko) 제진기
KR200394557Y1 (ko) 오물제거장치를 구비하는 수문
KR101259093B1 (ko) 제진기
KR102243084B1 (ko) 제진기
KR101695428B1 (ko) 로타리 제진기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281001B1 (ko) 하수처리용 스크린 장치
KR100941622B1 (ko) 조립형 무빙스크린장치
KR20100135470A (ko) 제진기
KR102182705B1 (ko) 제진기
KR200397900Y1 (ko) 자동 스크린
KR101931526B1 (ko) 각종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로타리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737273B1 (ko) 조립식 비금속 무빙스크린장치
KR101082310B1 (ko) 부피가 큰 통나무와 같은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특수 제진기의 구성방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특수 제진기
KR102223383B1 (ko) 제진기
KR100366776B1 (ko) 무빙스크린장치
KR102221382B1 (ko) 각종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제진기
KR100655920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102123229B1 (ko)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