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130B1 - 드라이아이스 자판기 - Google Patents

드라이아이스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130B1
KR100877130B1 KR1020070050228A KR20070050228A KR100877130B1 KR 100877130 B1 KR100877130 B1 KR 100877130B1 KR 1020070050228 A KR1020070050228 A KR 1020070050228A KR 20070050228 A KR20070050228 A KR 20070050228A KR 100877130 B1 KR100877130 B1 KR 100877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y ice
vending machine
supply devic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3211A (ko
Inventor
송정미
Original Assignee
송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미 filed Critical 송정미
Priority to KR102007005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130B1/ko
Publication of KR20080103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아이스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고 동전투입에 따른 작동명령에 의해 드라이아이스를 용기에 담아서 자동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드라이아이스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드라이아이스 자판기에 의하면, 자판기 형태로 구현되므로 설치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며, 동전투입에 의한 작동명령에 의해 드라이아이스를 용기에 담아 자동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무엇보다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드라이아이스 자판기,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 용기 공급장치

Description

드라이아이스 자판기{A dry ice automatic vend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자판기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의 사시도이고, "나"는 이송수단의 A-A선 단면도.
도 3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자판기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드라이아이스 자판기 110 : 자판기 본체
112 : 코인기 114 : 배출구
116 : 제어부 118 : 버튼부
120 : 용기 공급장치 130 :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
140 : 뚜껑 공급장치 150 : 이송수단
152 : 프레임 154a,154b : 이송롤러
156 : 이송벨트 158 : 배출판
159 : 구동모터 B : 회동벨트
160 : 센서부 162 : 제1센서
164 : 제2센서 166 : 제3센서
C : 용기 D : 뚜껑
본 발명은 드라이아이스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고 동전투입에 따른 작동명령에 의해 드라이아이스를 용기에 담아서 자동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드라이아이스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고화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예로부터 주로 냉장 및 냉동에 주로 사용되거나 승화시 만드는 안개를 이용하는 등 그 응용이 제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표면세정 기술이 고성능, 범용성, 저공해성으로 입증된 뒤로 이의 응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드라이아이스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에 의해서 제조되어져 판매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즉, 유통과정도 복잡하고, 소비자가 손쉽게 접근하기에 무리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고 동전투입에 따른 작동명령에 의해 드라이아 이스를 용기에 담아서 자동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드라이아이스 자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 코인기와 버튼부 및 배출구를 각각 구비하고, 내부에는 코인투입과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자판기 본체; 상기 자판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회용 용기를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용기를 하향 배출하는 용기 공급장치; 상기 용기 공급장치 전방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드라이아이스를 제조하여 배출하는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 전방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용기의 뚜껑을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뚜껑을 하향 배출하는 뚜껑 공급장치; 상기 용기 공급장치와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 및 뚜겅 공급장치 하부에 길이 방향대로 설치되어져 상기 제어부의 작동명령에 의해 상기 용기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기를 자판기의 배출구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자판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져 배출되는 용기의 이송과 뚜껑 공급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부는 상기 용기 공급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져 용기의 배출을 인식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발생하는 제1센서;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져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용기를 인식하여 이송수단의 작동 중지 신호를 발생하는 제2센서; 및 상기 뚜껑 공급장치에 구비되어져 용기의 이송에 따라 뚜껑 배출 신호를 발생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수단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 전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를 감싸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의 전방 끝단에 구비되는 배출판; 및 상기 이송롤러를 회동시키도록 적어도 일측의 이송롤러와 회동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드라이아이스 자판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자판기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드라이아이스 자판기(100)는 크게 자판기 본체(110), 용기 공급장치(120),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 뚜껑 공급장치(140), 이송수단(150) 및 센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자판기 본체(110)는 전면에 코인기(112)와 복수의 버튼부(118) 및 배출구(114)를 각각 구비하고, 내부에는 코인투입과 버튼부(118)의 작동에 의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6)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이렇게 구성된 자판기 본체(110)는 공지되어져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 구성과 작동관계를 상술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 공급장치(120)는 상기 자판기 본체(1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일회용 용기(C)를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부(116)의 명령에 의해 용기(C)를 하향 배출하는 것으로, 이 또한 통상의 자판기에 사용되는 일회용 컵 배출장치와 동일한 작동을 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의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용기 공급장치(120)의 고정 방법은 미도시 되었지만 자판기 본체(110)에 통상의 브라켓을 통하여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는 상기 용기 공급장치(120) 전방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16)의 명령에 의해 드라이아이스를 제조하여 배출하는 기기이다. 이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 또한 이미 공지되어 종래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 제조장치에 대해서도 상술은 하지 않겠지만 간략하게 설명하면, 액체 이산화탄소 저장기에 고압으로 액화된 이산화탄소 가스를 대기압으로 분출하여 눈의 형태를 만들고 이를 실린더 안에 주입하여 유압장치에 연결된 피스톤으로 압출하여 드라이아이스 펠렛을 생성하여 배출하게 되는 제조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의 고정 방법 또한 미도시 되었지만 자판기 본체(110)에 통상의 브라켓을 통하여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뚜껑 공급장치(140)는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 치(130) 전방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용기(C)의 뚜껑(D)을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부(116)의 명령에 의해 뚜껑(D)을 하향 배출한다. 이 뚜껑 공급장치(140)는 상기 용기 공급장치(1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용기(C) 대신에 뚜껑(D)을 적재하여 배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수단(150)은 상기 용기 공급장치(120)와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 및 뚜껑 공급장치(140) 하부에 길이 방향대로 설치되어져 상기 제어부(116)의 작동명령에 의해 상기 용기 공급장치(120)로부터 배출되는 용기(C)를 자판기(110)의 배출구(114) 쪽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용기(C)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이송수단(150)은 하기에서 보다 상술토록 하겠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부(160)는 상기 자판기 본체(110) 내부에 구비되어져 배출되는 용기(C)의 이송과 뚜껑(D) 공급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된다.
좀 더 상술하면, 상기 센서부(160)는 제1센서(162), 제2센서(164) 및 제3센서(16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센서(162)는 상기 용기 공급장치(120)의 하부에 구비되어져 용기(C)의 배출 상태를 인식하여 제어부(116)로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제1센서(162)는 자판기 본체(110) 혹은 용기 공급장치(120)에 부착되어져도 무방하지만 이송수단(15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센서(164)는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의 하부 에 구비되어져 상기 이송수단(150)을 통해 이송되는 용기(C)를 인식하여 이송수단(150)의 이송 중지 작동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 또한, 자판기 본체(110) 내부 어디에 구비되어져도 무방하지만 이송수단(15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센서(166)는 상기 뚜껑 공급장치(140)의 하부에 구비되어져 용기(C)의 이송에 따라 뚜껑(D) 배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 또한, 자판기 본체(110) 내부 어디에 부착되어도 무방하지만 이송수단(15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 공급장치(120),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 뚜껑 배출장치(140), 이송수단(150) 및 센서부(160)는 미도시 하였지만 제어부(116)와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어져 동작되게 된다.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의 사시도이고, "나"는 이송수단의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이송수단(150)은 크게 프레임(152), 상기 프레임(152) 전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롤러(154a)(154b), 상기 이송롤러(154a)(154b)를 감싸는 이송벨트(156), 상기 이송벨트(156)의 전방 끝단에 구비되어져 프레임(152)에 고정되는 배출판(158) 및 상기 이송롤러(154a)(154b)를 회동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154a)(154b)와 회동벨트(B)를 통해 연결되는 구동모터(1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52)에는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센서부(160)의 제1센서(162), 제2센서(164) 및 제3센서(166)가 순차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제1센서(162)는 용기 공급장치(120)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2센서(164)는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 하부에 위치되고, 제3센서(166)는 뚜껑 공급장치(140)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셋팅된다.
이제, "나"를 참조로 하면, 이송수단(150)의 이송벨트(156) 후방 상부에는 용기(C)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제, 구동모터(159)의 회동에 의해 이송롤러(154a)(154b)와 이송벨트(156)가 회동을 시작하고 용기(C)는 전방으로 이송돼 배출판(158)에 안치된다. 이때, 상기 용기(C)는 이송돼 배출판(158)에 안치되므로 이송벨트(156)가 셋팅된 상태보다 더 회동되더라도 용기(C)가 낙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것이므로 이송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3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자판기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자판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용기 공급장치(120),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 및 뚜껑 공급장치(140)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장치의 하부에는 이송수단(150)이 구비되어 있다.
이제, "나"를 참조로 하면, 구매자가 자판기 본체(110) 전방에 구비된 코인기(112)에 동전 혹은 지폐를 코인하게 되면 제어부(116)가 이를 인식하여 작동준비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복수의 버튼부(118)가 점등된다. 그런 뒤, 구매자가 상기 버튼부(118) 중 하나를 선택하여 누르게 되면, 제어부(116)는 이 신호를 인식하여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로 하여금 드라이아이스를 제조토록 함과 동시에 용기 공급장치(120)를 작동시켜 용기(C)를 하부로 배출토록 한다.
이때, 상기 버튼부(118)는 공지된 자판기와 마찬가지로 복수개 배치하고, 그 버튼부(118)에는 각기 다른 드라이아이스 용량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용량에 따라 가격을 달리 측정함은 당연하다. 그리하여, 구매자는 필요한 용량에 해당되는 버튼부(118)를 누르게 되는데 만약, 1㎏이 표시되어 있는 버튼부(118)를 구매자가 누르게 되면 제어부(116)는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로 하여금 이에 해당되는 용량을 제조하게끔 한다.
계속해서, 용기 공급장치(120)에서 용기(C)가 배출되어져 이송수단(150)의 후방에 안치되면 프레임(152)에 구비된 제1센서(162)가 이를 인식하여 이송수단(150)의 작동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16)에서 이를 인식하여 이송수단(150)의 구동모터(159)를 회동시켜 용기(C)의 이송을 시작한다. 그리하여 이송되는 용기(C)는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 하부에 구비된 제2센서(164)가 다시 인식하게 되고, 이번에는 이송수단(150)의 작동중지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6)는 이송수단(150)의 구동모터(159)의 작동을 중지시켜 이송을 중단하게 되며, 용기(C)는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의 토출구(132) 하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에서 드라이아이스가 제조 완료되고 토출구(132)를 통해 토출되어져 드라이아이스는 용기(C)에 저장된다. 토출이 완료되면 제어부(116)는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130)로부터 이를 인식하여 이송수단(150)의 구동모터(159)를 재가동하여 용기(C)의 이송을 시작한다. 계속해서, 이송되는 용기(C)가 제3센서(166)에 인접하게 되면 제3센서(166)는 이를 인식하여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 신호를 제어부(116)가 인식하여 뚜껑 공급장치(140)를 작동시켜 뚜껑(D)을 배출토록 한다. 이때, 이송되는 용기(C)는 이송수단(150)의 배출판(158) 상부에 이미 위치되어 있으므로 이송벨트(156)의 회동에 간섭받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이송된 용기(C) 상면에 뚜껑(D)이 자연스럽게 위치되고, 뚜껑(D) 배출신호를 제어부(116)가 인식하여 최초 준비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코인기(112)는 투입된 동전 혹은 지폐에서 판매되는 금액을 차감하고 나머지는 반환하게 되며, 구매자는 배출구를 통해 드라이아이스가 저장된 용기(C)와 뚜껑(D)을 배출하므로 구매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드라이아이스 자판기(100)에 의하면, 자판기 형태로 구현되므로 설치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며, 동전투입에 의한 작동명령에 의해 드라이아이스를 용기(C)에 담아 자동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무엇보다 사용이 편리한 장 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라이아이스 자판기에 의하면, 자판기 형태로 구현되므로 설치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며, 동전투입에 의한 작동명령에 의해 드라이아이스를 용기에 담아 자동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무엇보다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전면에 코인기와 버튼부 및 배출구를 각각 구비하고, 내부에는 코인투입과 버튼부의 작동에 의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자판기 본체;
    상기 자판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회용 용기를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용기를 하향 배출하는 용기 공급장치;
    상기 용기 공급장치 전방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드라이아이스를 제조하여 배출하는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 전방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용기의 뚜껑을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뚜껑을 하향 배출하는 뚜껑 공급장치;
    상기 용기 공급장치와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 및 뚜껑 공급장치 하부에 길이 방향대로 설치되어져 상기 제어부의 작동명령에 의해 상기 용기 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기를 자판기의 배출구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자판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져 배출되는 용기의 이송과 뚜껑 공급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아이스 자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용기 공급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져 용기의 배출을 인식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발생하는 제1센서;
    상기 드라이아이스 펠렛 제조장치의 하부에 구비되어져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용기를 인식하여 이송수단의 작동 중지 신호를 발생하는 제2센서; 및
    상기 뚜껑 공급장치에 구비되어져 용기의 이송에 따라 뚜껑 배출 신호를 발생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아이스 자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 전후방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를 감싸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의 전방 끝단에 구비되는 배출판; 및
    상기 이송롤러를 회동시키도록 적어도 일측의 이송롤러와 회동벨트를 통해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아이스 자판기.
KR1020070050228A 2007-05-23 2007-05-23 드라이아이스 자판기 KR100877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228A KR100877130B1 (ko) 2007-05-23 2007-05-23 드라이아이스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228A KR100877130B1 (ko) 2007-05-23 2007-05-23 드라이아이스 자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211A KR20080103211A (ko) 2008-11-27
KR100877130B1 true KR100877130B1 (ko) 2009-01-09

Family

ID=4028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228A KR100877130B1 (ko) 2007-05-23 2007-05-23 드라이아이스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7840A (zh) * 2021-11-30 2022-01-18 昆山金宏二氧化碳有限公司 一种新型干冰贩卖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522A (ko) * 1999-12-29 2001-07-11 손영석 아이스 바 자동 판매기
KR20010068886A (ko) * 2000-01-10 2001-07-23 손영석 얼음 자동 판매기
KR200240212Y1 (ko) 2001-04-26 2001-10-12 주식회사 코삼 아이스크림 자판기의 상품유동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522A (ko) * 1999-12-29 2001-07-11 손영석 아이스 바 자동 판매기
KR20010068886A (ko) * 2000-01-10 2001-07-23 손영석 얼음 자동 판매기
KR200240212Y1 (ko) 2001-04-26 2001-10-12 주식회사 코삼 아이스크림 자판기의 상품유동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211A (ko)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3789B2 (en) Refrigerator and ice making apparatus
KR101253219B1 (ko) 대형 상자용 자동 세척기 및 자동 세척기의 세척방법
JP4900880B2 (ja) 鋳型造型設備
KR100877130B1 (ko) 드라이아이스 자판기
KR20130020530A (ko) 정수기, 정수기의 제어방법 및 정수기의 얼음 취출장치
JP2005329039A5 (ko)
KR20130035545A (ko) 얼음 분쇄장치
KR20090118590A (ko) 얼음 저장 및 공급장치와 이를 갖는 제빙시스템
CN209281542U (zh) 一种旋转供应的售饭机
CN210804630U (zh) 一种可回收扭蛋的扭蛋机
JP3734460B2 (ja) 食品解し供給装置
CN108320376A (zh) 一种硬币回收找零装置
KR101308747B1 (ko)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KR100746584B1 (ko) 자동판매기
KR101322317B1 (ko) 얼음 취출 장치
JPH03194693A (ja) 飲料自動販売機
KR100362755B1 (ko) 자동 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CN108016915A (zh) 一种自动穿卷芯拔芯轴装置
JP2000007158A (ja) ばら物払出装置の払出システム
JP2567588Y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カップ搬出装置
KR200149640Y1 (ko) 계란 자동판매기의 계란 적재장치
KR0122458Y1 (ko) 캔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US2699243A (en) Coin-operated vending machine
KR101647050B1 (ko) 회전문 방식의 얼음투출 기구
RU2496146C2 (ru) Механизм выдачи штучного товара в торговом автомат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