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733B1 - 탈착형 외장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탈착형 외장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733B1
KR100876733B1 KR20070024700A KR20070024700A KR100876733B1 KR 100876733 B1 KR100876733 B1 KR 100876733B1 KR 20070024700 A KR20070024700 A KR 20070024700A KR 20070024700 A KR20070024700 A KR 20070024700A KR 100876733 B1 KR100876733 B1 KR 100876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key input
display uni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2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3894A (ko
Inventor
장환기
권동욱
고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24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733B1/ko
Priority to US11/850,816 priority patent/US9160831B2/en
Publication of KR20080083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형 외장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위치되는 표시부 및 키입력부와,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이 상기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결과 휴대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 상기 커버에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일면에 위치된 표시부 및 키입력부는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커버에 접근이 감지된 일면에 위치된 표시부 및 키입력부는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장형 케이스, 감지부

Description

탈착형 외장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IN A WIRELESS TERMINAL WITH REMOVABLE OUTER CA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케이스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과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과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한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한 휴대단말기의 접근 여부에 따라 표시부 및 키입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장형 케이스의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한 휴대단말기의 접근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은 보편화되었으며,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시대에 맞추어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을 구현하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여AOD(Audio On Demand)와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통화 당사자들이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보며 화상통화를 하거나, 게임을 다운로드하여 플레이한다. 특히, 초고속이동통신(HSDPA) 서비스를 통한 고품질의 컨텐츠(예를 들어, 고화질의 동영상 또는 온라인 게임)의 이용이 가능해지고 있는데, 이는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의 크기가 대형화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동성으로 인해 크기에 제약이 있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표시부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키입력부를 배제(예를 들어, Apple사의 i-Phone과 같은)하거나 키입력부의 키 개수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휴대단말기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음을 의미하게 된다. 이렇게 표시부를 크게 하고 키입력부를 최소화하게 되면,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는데 여러가지 불편함을 겪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두 개의 디스플레이(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는 멀 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대형의 표시부와 최소한의 키입력부를 특징으로 하는 제1면과, 일반적인 통신 환경에 적합한 소형의 표시부와 다수의 키가 포함된 키입력부를 특징으로 하는 제2면으로 구성되는 양면 휴대단말기이다. 이러한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는 멀티미디어 환경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보다 많은 전원을 소모하여 휴대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단축시킨다. 따라서, 지속적인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배터리가 내장된 외장형 케이스를 필요로 하는데, 외장형 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늘리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두 개의 표시부 사이의 화면 전환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외장형 케이스는 듀얼 디스플레이 휴대단말기의 각 표시부를 보호하기 위해 표시부 외부를 덮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사용자는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외장형 케이스를 열고 닫는 수고를 겪어야 한다. 외장형 케이스가 없더라도 사용자는 화면 전환키를 사용하여 두 개의 표시부 사이를 필요에 따라 전환하여야 한다. 따라서,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별도의 키 입력 없이도 자유로운 화면 전환이 가능한 휴대단말기를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키 입력 없이도 복수의 표시부 사이에서 자유롭게 화면 전환을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탈착형 외장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위치되는 표시부 및 키입력부와,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이 상기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결과 휴대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 상기 커버에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일면에 위치된 표시부 및 키입력부는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커버에 접근이 감지된 일면에 위치된 표시부 및 키입력부는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키입력부(27A) 및 제2 키입력부(27B)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키입력부(27A)는 제1 표시부(50A)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대응되는 키입력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키입력부(27B)는 제2 표시부(50B)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대응되는 키입력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키입력부(27A) 및 제2 키입력부(27B)는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키입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 키입력부(27A) 및 제2 키입력부(27B)는 홀드키(미도시)에 의해 비활성화되어 원치않는 키 입력을 방지(Key Lock)하거나, 활성화되어 정상적으로 키 입력을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 키입력부(27A) 및 제2 키입력부(27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표시부(50A) 및 제2 표시부(50B) 사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화면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화면 전환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0)에는 외장형 케이스의 각 커버에 대한 휴대단말기의 접근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될 기능들에 대한 설정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제1 표시부(50A) 및 제2 표시부(50B)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표시부(50A) 및 제2 표시부(50B)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여 제1 키입력부(27A) 및 제2 키입력부(27B)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감지부(60A) 및 제2감지부(60B)는 휴대단말기에 연결된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한 휴대단말기의 접근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감지부(60A) 및 제2감지부(60B)는 홀 센서(Hall Senso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구비된 자석(210A 및 210B)을 통해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한 휴대단말기가 접근여부(접근되거나 접근되지 않는 것)를 감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동작 또는 구동모드를 전환 및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외장형 케이스가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면제1감지부(60A) 및 제2감지부(60B)를 통해 외장형 케이스의 각 커버에 대한 휴대단말기의 접근 여부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이러한 접근 여부의 확인을 통해 여러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외장형 케이스가 휴대단말기에 연결되었음은 휴대단말기와 외장형 케이스의 연결단자에 포함된 CF(Current Feedback)단자를 통해서 확인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와 외장형 케이스(200)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장형 케이스(200)는 휴대단말기(100)의 전면(예를 들어, 제1표시부 및 제1키입력부에 대응되는 면)과 후면(예를 들어, 제2표시부 및 제2키입력부에 대응되는 면)을 에 대응되는 각각의 커버가 여닫히는 플립(Flip) 형태의 외장형 케이스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외장형 케이스(200)는 각 커버에 자석(210A, 210B)을 구비한다. 여기서 자석(210A, 210B)은 감지부(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가 외장형 케이스(200)의 각 커버에 대한 휴대단말기의 일면(전면 또는 후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는 감지수단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자석과 같은 감지수단은 감지부가 다른 장치로 대체될 경우, 대체된 장치에 대응되도록 하는 자석 이외의 수단으로 대치될 수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은 제1 표시부(50A), 제1 키입력부(27A) 및 제1 감지부(60A)를 특징으로 하는 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은 이에 대응되는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도 2에 도시된 자석(210A)이 위치하는 커버)에 대응되는 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1 표시부(50A)는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대형의 화면을 제공하며, 제1 키입력부(27A)는 제1 표시부(60A)를 통해 출력되는 여러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환경에 최적화된 키입력(예를 들어, 터치패드 입력)을 가진다. 제1 감지부(6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에 대응되는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도 2의 자석(210A)이 위치하는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접근되거나 접근되지 않음을(예를 들어, 커버가 전면에 대해서 닫히거나 열리는 것) 도 2에 도시된 자석(210A)를 통해 감지한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은 제2표시부(50B), 제2 키입력부(27B) 및 제2 감지부(60B)를 특징으로 하는 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2 키입력부(27B)는 편리한 키 입력을 위해 다수의 키를 포함하며, 제2 표시부(50B)는 제1 표시부(50A)에 비해서 작은 화면 크기로 종래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표시부에 해당한다. 제2 감지부(6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도2의 자석(210B)이 위치하는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휴대단말기의 후면이 접근되거나 접근되지 않음을 도2의 대응되는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가 접근되거나 접근되지 않음을(닫히거나 열림을) 자석(210B)를 통해 감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면과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후면과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한 예시도이다.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의 전면에 대응되는 외장형 케이스(200)의 커버에 휴대단말기(100)의 전면이 접근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의미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의 후면에 대응되는 외장형 케이스(200)의 커버에 휴대단말기(100)의 후면이 접근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의 후면에 대응되는 외장형 케이스(200)의 커버에 휴대단말기(100)의 후면이 접근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도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의 전면에 대응되는 외장형 케이스(200)의 커버에 휴대단말기(100)의 전면이 접근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6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한 휴대단말기의 접근 여부에 따라 표시부 및 키입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 6및 도7의 흐름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장형 케이스가 연결되면(S601),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되는지 확인하고(S602), 휴대단말기의 후면이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되는지 확인한다(S603).
외장형 케이스(200)가 연결되면, 제어부(1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또는 양면 모두)이 외장형 케이스에 근접되는지를 제1 및 제2감지부(60A, 60B)와 감지수단(210A, 210B)을 통해 확인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4는 휴대단말기(100)이 전면이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촉되지 않은(예를 들어, 후면에 대해서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휴대단말기(100)의 후면이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촉되지 않은(후면에 대해서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이 모두 접근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예를 들어, 휴대단말기의 양면에 대해 케이스의 양쪽 커버가 모두 닫혀있을 때), 제어부(10)는 도 7의 A 단계로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S602 단계 내지 S603 단계를 통해 도 4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후면만이 휴대단말기의 케이스에 접근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제2표시부 및 제2키입력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60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후면만이 외장형 케이스(200)의 커버에 접근됨이(예를 들어, 전면에 해당하는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만이 열린것이) 확인되면,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대응되는 제2표시부(50B) 및 제2키입 력부(27B)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폴더 타입(Folder type, Clamshell Type)의 휴대단말기와 달리, 키입력부가 외부로 노출된 바 타입(Bar type)의 휴대단말기는 키입력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홀드키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 타입의 휴대단말기는 홀드키의 설정을 통해 키입력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함으로써 잘못된 키입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별도의 홀드키 없이도 키입력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키입력부(27A)에 대응되는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가 열리면(커버에 대해 휴대단말기의 전면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키입력부(27A)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가 닫히면(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접근되면) 제1키입력부(27A)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00)의 전면에 대응되는 제1표시부(50A) 및 제1키입력부(27A)를 사용하는데 있어, 제2키입력부(27B)에 의한 잘못된 키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제1표시부를 통해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S605), 제1키입력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606).
제어부(10)는 제1표시부(50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활성화된 제1표시부(50A)를 통해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예를 들어, 각종 표시 정보들)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제1키입력부(27A)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활성화된 제1키입력부(27A)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S602 단계에서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제1표시부 및 제1키입력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 후에(S607), 휴대단말기의 후면이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되었는지 확인한다(S608).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전면이 외장형 케이스(200)의 커버에 접근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전면에 위치된 제1표시부(50A) 및 제1키입력부(27A)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여 전력소모와 원치않는 키입력을 방지한다. 이후,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100)의 후면이 외장형 케이스(200)의 커버에 접근되었는지 확인한다.
S608 단계의 확인 결과로부터 휴대단말기의 후면이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제2표시부를 통해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S609), 제2키입력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610).
S602 단계 및 S608단계를 통해서 도 5와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후면만이 외장형 케이스(200)의 커버에 접근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100)의 후면에 위치된 제2표시부(50B) 및 제2키입력부(27B)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한다.
S602 및 S608단계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이 모두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0)는 제2표시부 및 제2키입력부가 비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611).S611 단계를 통해,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가 사용중이지 않을 때는 모든 표시부 및 키입력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도 7을 통해서, 휴대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이 모두 접근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을 때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양면에 대해 케이스의 양쪽 커버가 모두 열렸을 때, 제어부(10)는 기본 설정된 표시부 및 키입력부를 확인하고(S701), 기본 설정된 표시부를 통해 데이터를 출력하고(S702), 기본 설정된 키입력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S703), 기본설정으로 지정되지 않은 표시부 및 키입력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704).
도 2와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본체가 외장형 케이스(200) 커버의 어느 쪽으로도 접근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10)는 기본 설정(Default)된 표시부 및 키입력부를 확인하고, 기본 설정의 표시부 및 키입력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0)는 도 2와 같이 외장형 케이스의 양쪽 커버가 모두 열렸을 때는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7을 통해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서, 사용자는 소정 방향의 외장형 케이스 커버로 휴대단말기의 본체를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표시부 또는 키입력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장형 케이스의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한 휴대단말기의 접근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및 도 7의 실시 예가 외장형 케이스 커버에 대한 휴대단말기의 접근에 따라 표시부 또는 키입력부를 전환 사용하는 것임에 반해서, 도 8 및 도9에 의한 실시 예는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한 휴대단말기의 접근여부에 소정의 동작(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러한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장형 케이스가 연결되면(S801),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되는지 확인하고(S802), 휴대단말기의 후면이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되는지 확인한다(S803).
S801 단계 내지 S803 단계를 통해 도 4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후면만이 휴대단말기의 케이스에 접근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면 사용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804).
도 4와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후면만이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되면, 제어부(10)는 소정의 동작 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의 전면은 대형의 표시부(제1표시부) 및 터치패드(제1키입력부)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대형의 표시부에서 실행되기에 적합한 동작 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DMB(DIGITAL MULTIMEDIA BROADCATING) 메뉴를 자동으로 실행하거나, 코덱 재생 메뉴(예를 들어, MP3 재생이나 MP4 재생 메뉴 등과 같은)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0)는 제1 키입력부(27A)를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비활성화 설정되었을 경우에)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1표시부(50A)에 대응되는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가 닫히면(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커버에 접근되면) 자동으로 실행되었던 동작모드가 종료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10)는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해서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접근됨이 확인되면, 자동으로 실행되었던 프로그램이 종료되도록 제어하거나, 제1 키입력부(27A)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의 후면이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되었는지 확인하여 접근되지 않았으면(S805), 제어부(10)는 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S806).
도 5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전면만이 외장형 케이스에 접근됨이 감지되면,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후면(또는 제2 표시부(50B))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하거나, 제2키입력부(2B)가 활성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자주 통화하는 통신 상대방들의 목록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호의 수신 시에는 통화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호를 자동으로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는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대해서 휴대단말기의 후면이 접근됨이 확인되면, 자동으로 실행되었던 프로그램이 종료되도록 제어하거나, 제2 키입력부(27A)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외장형 케이스의 양쪽 커버에 대해 휴대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이 모두 접근되지 않았을 때, 제어부(10)는 기본 설정된 일면(전면 또는 후면 중의 어느 하나)을 확인하고(S901), 기본 설정된 일면을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며(S902), 기본 설정으로 지정되지 않은 일면에 대응되는 표시부 및 키입력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S903).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전면이 기본 설정된 일면이면 S804 단계를 수행하며, 후면이 기본 설정된 일면이면 S806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부가 각각 위치된 양면 휴대단말기에서, 별도의 키입력 없이 사용하고자 하는 면을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편리하게 자동으로 실행 및 종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탈착형 외장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위치되는 표시부 및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이 상기 외장형 케이스의 커버에 접근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결과 휴대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 상기 커버에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일면에 위치된 표시부 및 키입력부는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커버에 접근이 감지된 일면에 위치된 표시부 및 키입력부는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홀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케이스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에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일면에 위치된 표시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표시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 중에서 어느 한 일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접근이 감지된 휴대단말기의 일면에 위치된 표시부를 통해 실행중이던 기능을 중지 또는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에 접근이 감지되지 않는 일면에 위치된 표시부가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된 표시부를 통해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20070024700A 2007-03-13 2007-03-13 탈착형 외장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장치 KR100876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4700A KR100876733B1 (ko) 2007-03-13 2007-03-13 탈착형 외장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장치
US11/850,816 US9160831B2 (en) 2007-03-13 2007-09-06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in wireless terminal with removable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4700A KR100876733B1 (ko) 2007-03-13 2007-03-13 탈착형 외장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894A KR20080083894A (ko) 2008-09-19
KR100876733B1 true KR100876733B1 (ko) 2008-12-31

Family

ID=3976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4700A KR100876733B1 (ko) 2007-03-13 2007-03-13 탈착형 외장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60831B2 (ko)
KR (1) KR100876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634B1 (ko) * 2013-10-29 2018-05-1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홀 센서를 이용한 센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336B1 (ko) * 2007-03-30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및장치
US20110077061A1 (en) * 2009-07-03 2011-03-31 Alex Danze Cell phone or pda compact case
KR20120082119A (ko) * 2011-01-13 2012-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 접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액세서리 구분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20256929A1 (en) * 2011-04-11 2012-10-11 Eric Koenig Expandable multi-core telecommunication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KR101772384B1 (ko) * 2012-03-25 2017-08-29 인텔 코포레이션 방향 감지 컴퓨팅 장치
JP6202590B2 (ja) * 2012-08-31 2017-09-27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通信端末及び表示制御方法
KR102059825B1 (ko) 2013-04-24 2019-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커버를 구비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08118B1 (ko) * 2013-05-13 202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10003370B2 (en) * 2013-12-24 2018-06-19 Incipio, Llc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with displaced camera control
KR102480462B1 (ko) * 2016-02-05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226603A2 (en) * 2020-10-12 2023-08-16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schemes for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detected accessory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466B1 (ko) * 2005-11-10 2007-03-02 정종신 양면 사용을 위한 핸드폰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8985B1 (fr) * 1995-09-14 1997-10-17 Alcatel Mobile Comm France Terminal de radiocommunication agence pour recevoir un capot de protection
JPH113691A (ja) * 1997-06-09 1999-01-06 Sony Corp 電子機器
KR100307027B1 (ko) * 1999-06-17 2001-11-01 서평원 액정 표시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
KR200212437Y1 (ko) * 2000-08-16 2001-02-15 주식회사스탠더드텔레콤 탑뷰용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 전화 단말기
WO2005009055A2 (en) * 2003-07-10 2005-01-27 Nokia Corporation Mobile station
KR101023131B1 (ko) * 2003-11-26 2011-03-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양면 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JP4079143B2 (ja) * 2003-12-22 2008-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TWI244057B (en) * 2004-03-01 2005-11-21 Au Optronics Corp Dual display module
TWI240124B (en) * 2004-05-31 2005-09-21 Au Optronics Corp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US7443657B2 (en) * 2004-07-21 2008-10-28 Motorola Inc Dual position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US20060066227A1 (en) * 2004-09-24 2006-03-30 Virnich James L Electronic device with dual display arrangement
US20060139297A1 (en) * 2004-12-29 2006-06-29 Esa-Sakari Maatta Display for mobile phone
TWI289742B (en) * 2005-04-29 2007-11-11 Clevo Co Double screen device of portable compu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060281503A1 (en) * 2005-06-13 2006-12-1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dicating presence for an online service with 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20070013608A1 (en) * 2005-07-12 2007-01-18 Goo Siew C Dual display electronic device
US7414855B1 (en) * 2005-10-05 2008-08-19 Kyocera Wireless Corp. Modula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rchangeable outer housing assembly
US20070227939A1 (en) * 2006-03-29 2007-10-04 Inventec Corporation Storage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CN102035910B (zh) * 2009-09-29 2014-02-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多屏手机
JP6010036B2 (ja) * 2010-10-01 2016-10-19 ゼット124Z124 タッチセンサ式ディスプレイに画像を表示する方法及び通信デバイス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2195314B1 (ko) * 2013-08-28 202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466B1 (ko) * 2005-11-10 2007-03-02 정종신 양면 사용을 위한 핸드폰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634B1 (ko) * 2013-10-29 2018-05-1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홀 센서를 이용한 센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27505A1 (en) 2008-09-18
US9160831B2 (en) 2015-10-13
KR20080083894A (ko) 200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733B1 (ko) 탈착형 외장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장치
KR100849336B1 (ko) 복수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및장치
JP4587991B2 (ja) 携帯電話機
EP1758345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US20150061846A1 (en) Display apparatus
US201001317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of mobile terminal
US200402035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in an electronic device
US8755844B2 (en) Mobile terminal and vibration method thereof
JP2006109460A (ja) 環境光センサを有する電子機器
KR20130046846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구동 방법
JP2005045580A (ja) 折り畳み式情報処理装置
JPH0918566A (ja) 電話機
KR20060004876A (ko)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00766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JP5358957B2 (ja) 電子機器
KR200500240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와이드 스크린 제어 장치
KR101160359B1 (ko)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5110326A (ja) 折り畳み式情報処理装置
KR100641199B1 (ko) 터치스크린 오작동 방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810200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50019174A (ko) 터치스크린 엘씨디를 구비한 단말기의 엘씨디 전원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채택한 단말기
KR20040077192A (ko) 이중 스피커를 구비하고 그의 절체를 위한 상폴더 회전형이동통신 단말기
KR100987431B1 (ko) 터치센서를 이용한 메시지 확인 휴대폰 및 메시지 확인 방법
KR20070073680A (ko) 휴대폰의 전력 소모 감축 방법
KR1004035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