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583B1 - 터미널 블록 - Google Patents

터미널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583B1
KR100876583B1 KR1020070010532A KR20070010532A KR100876583B1 KR 100876583 B1 KR100876583 B1 KR 100876583B1 KR 1020070010532 A KR1020070010532 A KR 1020070010532A KR 20070010532 A KR20070010532 A KR 20070010532A KR 100876583 B1 KR100876583 B1 KR 10087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groove
longitudinal direct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166A (ko
Inventor
이원재
이문재
Original Assignee
이원재
이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재, 이문재 filed Critical 이원재
Priority to KR102007001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58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2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08Fastening means for mounting on support rail or strip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이 간편함은 물론 조립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고, 지지레일에 간편하게 결합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터미널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횡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며 중앙에는 터미널단자편(200)이 종방향으로 수평설치되되 상기 터미널단자편(200)의 양단부 상면에는 가압단자편(250)이 고정볼트(290)로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단위블록(100)과, 상기 각각의 터미널단자편(200)의 직상부에 교차되도록 각각의 단위블록(100) 상측 중앙에 수평상태로 횡방향으로 관통 끼움결합되는 공통도선판(300)과, 상기 공통도선판(300)에 일정간격으로 관통하여 상기 각각의 터미널단자편(200)에 체결되거나 분리되어 공통회로를 구성하거나 오프(off)시킬 수 있는 쇼트볼트(400)와,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100) 중 횡방향 양단에 위치되는 단위블록(100)의 외측을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블록(500,550)으로 이루어진 터미널 블록(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100)과 한 쌍의 커버블록(500,5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종방향으로 결합홈(600)과 결합돌기(650)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600)의 상하측 내벽면과 상기 결합돌기(650)의 상하측 외벽면에는 서로 종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걸림홈(610)과 걸림턱(660)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을 제공한다.
터미널 블록, 공통단자, 쇼트볼트, 고정브래킷, 단위블록, 끼움홈, 끼움돌기

Description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
도 1은 종래 터미널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터미널 블록의 정단면도
도 3은 종래 터미널 블록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의 평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4의 A - A 단면도
도 8은 도 4의 B - B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의 단위블록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의 커버블록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터미널 블록 2. 지지레일
100. 단위블록 200. 터미널단자편
250. 가압단자편 290. 고정볼트
300. 공통도전판 320. 관통공
400. 고정볼트 500,550. 커버블록
600. 결합홈 610. 걸림홈
650. 결합돌기 660. 걸림턱
700. 제1홈 750. 제2홈
800. 고정브래킷 900,950. 레일결합홈
본 발명은 터미널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이나 신호선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분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터미널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이나 각종기계장치의 제어판넬, 건물의 단자함 등에는 전원이나 신호선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기하기 위한 터미널 블록이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터미널 블록의 일례 중 복수의 단위블록을 연결 조립하되 단위블록의 터미널 단자편을 공통회로를 구성하거나 오프(off)시킬 수 있는 공통단자용 터미널 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터미널 블록(1)은 횡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며 중앙에는 터미널단자편(20)이 종방향으로 수평설치되고 상기 터미널단자편(20)의 양단부 상면에 가압단자편(25)이 고정볼트(29)에 의해 안착 고정되되 서로 접하는 양측면에는 일렬로 배치되도록 서로 맞물리는 끼움홈(15)과 끼움돌기(17)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단위블록(10)과, 상기 터미널단자편(20)의 직상부에 위치되도록 단위블록(10)의 상측 중앙에 횡방향으로 관통 끼움결합되되 상기 터미널단자편(20)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관통공(32)이 형성된 공통도선판(30)과, 상기 공통도선판(30)의 관통공(32)을 통해 각각의 단위블록(10) 터미널단자편(20)에 체결되거나 분리되어 공통회로를 구성하거나 오프(off)시킬 수 있는 쇼트볼트(40)와,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10)의 양단에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블록(50,55)과, 상기 한 쌍의 커버블록(50,55) 양측면에 배치되어 터미널 블록을 피고정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60)과, 상기 고정브래킷(60)과 커버블록(50,55) 및 단위블록(10)을 일체화되도록 고정브래킷(60)과 커버블록(50,55), 단위블록(1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80) 및 너트(85)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블록(10)과 커버블록(50,55)의 저면 양측에는 배전반이나 단자함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레일(2)에 끼워서 걸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끼움홈(7)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위블록(10)과 커버블록(50,55)의 끼움홈(7)을 통해 지지레일(2)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끼워서 지지레일(2)에 고정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번호 3은 단위블록(10)의 일측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명판이며, 번호 4는 상기 단위블록(10)의 직상부를 커버하도록 착탈가능 하게 결합되는 안전커버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터미널 블록은 단위블록(10)과 커버블록(50,55) 및 고정브래킷(60)을 일체로 하기 위해 각각 관통공(지지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스크류(80)와 너트(85)도 구비하여야 하고 상기 단위블록(10)과 커버블록(50,55) 및 고정브래킷(60)을 스크류(80)와 너트(85)로 일일이 체결하여야 하므로, 부품수가 많고 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블록은 지지레일(2)에 고정할 경우에는 단위블록(10)과 커버블록(50,55)을 지지레일(2)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끼어서 지지레일(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시켜야하고, 분리하기 위해서도 지지레일(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시켜 분리해야 하므로 지지레일(2)에 결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블록은 지지레일(2)에 고정할 경우 지지레일(2)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끼워야 하고, 상기 터미널단자편(20)에 단자를 고정할 경우 고정볼트(29)를 터미널단자편(20)에서 완전히 풀어서 분리시킨 후 분리된 고정볼트(29)를 다시 터미널단자편(20)에 일체화 되도록 체결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 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이 간편함은 물론 조립공정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고, 지지레일에 간편하게 결합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터미널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횡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며 중앙에는 터미널단자편이 종방향으로 수평설치되되 상기 터미널단자편의 양단부 상면에는 가압단자편이 고정볼트로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단위블록과, 상기 각각의 터미널단자편의 직상부에 교차되도록 각각의 단위블록 상측 중앙에 수평상태로 횡방향으로 관통 끼움결합되는 공통도선판과, 상기 공통도선판에 일정간격으로 관통하여 상기 각각의 터미널단자편에 체결되거나 분리되어 공통회로를 구성하거나 오프(off)시킬 수 있는 쇼트볼트와,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 중 횡방향 양단에 위치되는 단위블록의 외측을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블록으로 이루어진 터미널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과 한 쌍의 커버블록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종방향으로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의 상하측 내벽면과 상기 결합돌기의 상하측 외벽면에는 서로 종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걸림홈과 걸림턱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블록의 일단부에는 수직으로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체결볼트를 피고정물에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단자편의 양단부 폭방향 일측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단자편은 상기 슬롯에 슬라이드 승강되는 수직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부에서 직각 절곡되어 상기 터미널단자편에 고정볼트로 안착되거나 이격되는 단자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단자부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터미널단자편의 저면에 걸려지거나 이격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단자편의 걸림부 직하부에는 걸림부를 상향 탄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단자편의 양단과 상기 가압단자편의 단자부 중앙에는 고정볼트가 나사 결합되도록 제1나사공과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고정볼트의 나사부 상단은 나사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결합공의 내경보다 축경된 축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블록의 단위블록과 커버블록의 저면 전후측에는 터미널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한 한 쌍의 레일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레일결합홈 중 일측 레일결합홈의 외측 내벽면에는 터미널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타측 레일결합홈의 외측벽면에는 레일결합홈 방향으로 출몰되는 걸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단위블록 저면 중앙에는 터미널 블록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개구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제1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홈의 양측 내벽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향 돌출되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블록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제1홈과 연통되도록 단위블록측이 개구되는 제2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홈의 양측 내벽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향 돌출되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2홈에는 일단부에는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어 터미널 블록의 외 측으로 슬라이드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브래킷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제1,2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지도록 중앙부에 걸림공이 형성된 판형상의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단부에서 서로 평행하도록 단차지게 절곡되며 상기 고정공이 형성된 수평의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블록 제1,2홈의 바닥면 중앙에는 하향 돌출되게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래킷의 슬라이딩부 중앙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지도록 걸림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양단은 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의 평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A - A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4의 B - B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의 단위블록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의 커버블록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1)은 횡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며 중앙에는 양단부와 중앙에 제1,2나사공(202,205)이 형성된 터미널단자편(200)이 종방향으로 수평설치되고 상기 터미널단자편(200)의 양단부 상면에 가압단자 편(250)이 상기 제1나사공(202)에 고정볼트(290)로 안착 고정되며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블록(100)과, 상기 각각의 터미널단자편(200) 직상부에 교차되도록 각각의 단위블록(100) 상측 중앙에 횡방향으로 관통 끼움결합되며 상기 터미널단자편(200)의 제2나상공(205)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관통공(320)이 형성된 공통도선판(300)과, 상기 공통도선판(300)의 관통공(320)을 통해 각각의 단위블록(100) 터미널단자편(200)에 체결되거나 분리되어 공통회로를 구성하거나 오프(off)시킬 수 있는 쇼트볼트(400)와, 일렬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100) 중 횡방향 양단에 위치되는 단위블록(100)의 외측을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블록(500,55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 유사하다.
이때, 연속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100)과 한 쌍의 커버블록(500,5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종방향으로 끼움되되 서로 결합되면 횡방향으로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는 결합홈(600)과 결합돌기(650)가 종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즉, 단위블록(100)의 서로 접하는 일측면과 일측 커버블록(500)의 단위블록(100)과 접하는 면에 종방향으로 길게 결합홈(600)이 형성되고, 단위블록(100)의 서로 접하는 타측면과 타측 커버블록(550)의 단위블록(100)과 접하는 면에 상기 결합홈(600)에 종방향으로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65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600)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하 양측면에는 결합홈(600)의 내측으로 갈수록 결합홈(600)의 폭이 넓어지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걸림홈(610)이 결합홈(600)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650)는 상기 단위블록(100)과 커버블록(550)의 결합홈(600)과 마주하는 면 종방향 양측에 상기 결합홈(600)가 상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돌기(650)의 상하 양측면은 단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져 상기 결합홈(600)의 걸림홈(610) 걸려질 수 있도록 그 외측면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걸림턱(660)이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100)과 커버블록(500,550)은 상기 결합홈(600)과 결합돌기(650)를 통해 서로 종방향으로만 끼움 결합한 후 상기 공통도선판(300)을 복수의 단위블록(100)에 결합하면 복수의 단위블록(100)이 서로 종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결합홈(600)과 결합돌기(650) 양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610)과 걸림턱(660)에 의해 복수의 단위블록(100)과 커버블록(500,550)이 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블록(500,550)의 종방향 일단부에는 각각 수직으로 결합공(590)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일체화 된 터미널 블록(1)을 상기 결합공(590)을 통해 체결볼트(595)로 피고정물에 체결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단위블록(100)의 상부 종방향 양측에는 스트립형상의 명판(3)을 안착 고정시키기는 안착홈(45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450)의 입구 양측에는 상기 명판(3)의 상측에 걸려지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지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450)에 명판(3)을 안착시키면 상기 돌출턱에 의해 명판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블록(500,500) 상면에는 종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한 고정홈(580)이 복수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쇼트볼트(400)를 터미널단자편(200)에서 분리하여 상기 고정홈(580)에 삽입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쇼트볼트(400)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블록(500,500) 상단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안전커버(4)의 양단이 걸려지도록 종방향으로 길게 걸림홈(지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안전커버(4)를 착탈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단자편(200)의 제1나사공(202) 일측에는, 즉, 상기 한 쌍의 제1나사공(202)이 마주하는 측 일측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외측으로 개구되는 슬롯(2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롯(210)을 통해 가압단자편(250)이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압단자편(250)은 단면 디귿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터미널단자편(200)의 슬롯(21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슬롯(210)에 슬라이드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의 가이드부(254)와, 상기 가이드부(254)의 상단부에서 직각 절곡되어 상기 제1나사공(202)의 직상부를 감싸며 중앙부에는 상기 제1나사공(202)과 연통되며 내벽면에 나사가 형성된 결합공(257)이 관통 형성된 단자부(256)와, 상기 가이드부(254)의 하단부에서 상기 단자부(256)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터미널단자편(200)의 저면에 걸려지거나 이격되는 걸림부(2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압단자편(250)의 걸림부(252) 직하부에는 걸림부(252)를 상향 탄지하는, 즉, 상기 가압단자편(250)을 상향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6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290)의 나사부(지시하지 않음) 상단은 나사가 형성되지 않고 나사부의 직경보다 축경된 축경부(295)가 마련된다. 즉, 상기 고정볼 트(290)의 나사부 상단은 결합공(257)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축경된 축경부(295)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290)를 사용해서 가압단자편(250)의 단자부(256)를 터미널단자편(200)에 가압되도록 조이면 고정볼트(290)의 나사부 상단 축경부(295)에 단자부(256)의 결합공(257)이 위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290)를 풀면 고정볼트(290)의 나사부 축경부(295)가 단자부(256)의 결합공(257)에서 공회전되면서 제1나사공(202)에서만 풀리게 되고 가압단자편(250)은 터미널단자편(200)에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단자편(250)은 터미널단자편(200)의 제1나사공(202)에 체결 고정하면, 즉, 상기 가압단자편(250)의 단자부(256)의 결합공(257)을 통해 제1나사공(202)에 고정볼트(290)를 조이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단자편(250)의 단자부(256)가 터미널단자편(200)의 상면에 가압 밀착되고, 상기 고정볼트(290)를 제1나사공(202)에서 풀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290)는 단자부(256)의 결합공(257)에서 공회전되면서 제1나사공(202)에서 풀림과 동시에 스프링(260)에 의해 상향 탄지된 상기 가압단자편(250)의 걸림부(252)가 터미널단자편(200)의 저면에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290)를 풀면 가압단자편(250)의 단자부(256) 결합공(257)에서 공회전되어 항상 결합된 상태로 있고, 상기 가압단자편(250)의 걸림부(252)는 스프링(260)에 의해 터미널단자편(200)의 저면에 걸려진 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즉, 상기 고정볼트(290)와 가압단자편(250)은 터미널단자편(200)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항상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가압단자편(250)은 물론 고정볼트(290) 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단자 결합을 매우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터미널 블록(1)의 저면 양측에는, 즉, 터미널 블록(1)의 단위블록(100)과 커버블록(500,550)의 저면 전후측에는 터미널 블록(1)의 길이방향(단위블록과 커버블록의 두께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한 한 쌍의 레일결합홈(900,95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레일결합홈(900,950) 중 일측 레일결합홈(900)의 일측 내벽면에는, 즉, 블록의 외측에 위치되는 일측 내벽면에는 걸림홈(910)이 터미널 블록(1)의 길이방향(단위블록과 커버블록의 두께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레일결합홈(900,950) 중 타측 레일결합홈(950)의 일측 내벽면에는, 즉, 상기 커버블록(500,550) 위치의 레일결합홈(950)의 외측에 위치되는 일측 내벽 중앙에는 커버블록(500,550)의 외측에서 레일결합홈(950) 방향으로 출몰되는 걸림부재(9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레일결합홈(900,950)에 지지레일(2)의 폭방향 양측을 안착시키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레일(2)의 일측이 일측 레일결합홈(900)에 형성된 걸림홈(910)에 걸려지도록 레일결합홈(900,95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재(960)를 레일결합홈(950) 방향으로 출몰시켜 지지레일(2)의 타측에 결려지도록 하면 상기 터미널 블록(1)의 단위블록(100)과 커버블록(500,550)을 지지레일(2)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블록(1)의 단위블록(100)과 커버블록(500,550)은 종래와 같이 지지레일(2)의 일단부에서 일일이 끼우거나 빼내지 않 고, 지지레일(2)의 일측에서 걸어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터미널 블록(1)을 지지레일(2)에서 손쉽고 간편하게 고정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96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블록(500,550)에 구비하였으나, 단위블록(100)측에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터미널 블록(1)의 단위블록(100) 저면 중앙에는 이 단위블록(100)의 두께방향 양측이 개구되는, 즉, 터미널 블록(1)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개구되되 바닥면 중앙에는 하향 돌출되는 걸림돌기(720)가 형성된 제1홈(70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700)의 양측 내벽면 중앙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향 돌출되는 제1걸림턱(7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720)의 양단은 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부(지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걸림돌기(720)에 후술할 고정브라켓(800)의 걸림공(812)이 용이하게 걸려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블록(1)의 커버블록(500,550)의 저면 중앙에도 상기 제1홈(700)과 연통되도록 단위블록(100)측이 개구되는 제2홈(750)이 형성되되 상기 제2홈(750)의 양측 내벽면 중앙에는 상기 제1홈(700)과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향 돌출되는 제2걸림턱(760)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홈(750)의 바닥면 중앙에도 제1홈(700)과 마찬가지로 걸림돌기(7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홈(700,750)에는 작동에 따라 터미널 블록(1)의 양단으로 출몰되어 터미널 블록(1)을 피고정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브래킷(80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브래킷(800)은 계단식으로 절곡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2 홈(700,75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2걸림턱(710,760)에 의해 터미널 블록(1)의 하측으로는 이탈이 방지되는 판형상의 슬라이딩부(810)와, 상기 슬라이딩부(810)의 단부에서 서로 평행하도록 단차지게 절곡되는 수평의 고정부(8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830)는 터미널 블록(1) 내측으로 슬라이드 위치 이동시켰을 때 터미널 블록(1)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2홈(700,75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절곡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810)의 중앙에는 상기 제1,2홈(700,750)에 형성된 걸림돌기(720)가 걸려지도록 걸림공(812)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고정부(830)에는 고정스크류(도시하지 않음)로 피고정물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공(832)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800)이 터미널 블록(1)의 양측으로 출몰시키더라도 슬라이딩부(810)는 제1,2홈(700,750)에 위치되어 단위블록(100)이 터미널 블록(1)의 전후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래킷(800)을 터미널 블록(1)의 내측으로 밀면 상기 고정브래킷(800)의 슬라이딩부(810)의 걸림공(810)에 제1홈(700)의 걸림돌기(720)가 걸려져 고정브래킷(800)의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필요시 터미널 블록(1)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출몰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 블록(1)은 터미널 블록(1)의 길이방향이 아닌 폭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록 단위블록(100)과 커버블록(500,550)에 종방향으로 결합홈(600)과 결합돌기(650)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단위블록(100)과 커버블 록(500,550)을 서로 종방향으로만 끼움 결합한 후 상기 공통도선판(300)과 고정브라켓(800)을 끼우면 조립이 완료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고정브래킷을 물론 스크류와 너트를 구비해서 상기 스크류와 너트를 통해 고정브래킷을 물론 단위블록과 커버블록을 일체화 되도록 체결하는 것에 비해, 부품수가 적고 조립이 매우 손쉽고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코스트가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단자편(250)은 고정볼트(290)를 풀면 단자부(256)의 결합공(257)에서 공회전되어 결합된 항상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가압단자편(250)의 걸림부(252)는 스프링(260)에 의해 터미널단자편(200)의 저면에 걸려진 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즉, 상기 고정볼트(290)를 풀어도 가압단자편(250)은 터미널단자편(200)에 고정볼트(290)는 가압단자편(25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가압단자편(250)을 터미널단자편(200)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압단자편(250)과 고정볼트(290)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손쉽고 간편하게 단자를 고정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블록(1)을 지지레일(2)의 일측에서 레일결합홈(900,950)에 안착 걸려지도록 한 후 상기 걸림부재(960)를 레일결합홈(950) 방향으로 출몰시켜 지지레일(2)의 타측에 결려지도록 하면 상기 터미널 블록(1)이 지지레일(2)에 간편하게 고정되고 상기 걸림부재(960)를 터미널 블록(1)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터미널 블록(1)을 지지레일(2)에서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터미널 블록은 단위블록과 커버블록을 종방향으로 끼움결합하고 공통도선판과 고정브라켓을 끼움결합하면 터미널 블록이 일체화 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고정브래킷과 스크류 및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와 너트로 일일이 체결하는 것에 비해, 부품수가 적음은 물론 조립이 손쉽고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되고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고정볼트를 터미널단자편에서 풀어도 가압단자편은 물론 고정볼트가 터미널단자편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일측에 구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고정단자편과 고정볼트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목적, 구성,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횡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며 중앙에는 터미널단자편(200)이 종방향으로 수평설치되되 상기 터미널단자편(200)의 양단부 상면에는 가압단자편(250)이 고정볼트(290)로 안착 고정되는 복수의 단위블록(100)과, 상기 각각의 터미널단자편(200)의 직상부에 교차되도록 각각의 단위블록(100) 상측 중앙에 수평상태로 횡방향으로 관통 끼움결합되는 공통도선판(300)과, 상기 공통도선판(300)에 일정간격으로 관통하여 상기 각각의 터미널단자편(200)에 체결되거나 분리되어 공통회로를 구성하거나 오프(off)시킬 수 있는 쇼트볼트(400)와,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100) 중 횡방향 양단에 위치되는 단위블록(100)의 외측을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블록(500,550)으로 이루어진 터미널 블록(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100)과 한 쌍의 커버블록(500,55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종방향으로 결합홈(600)과 결합돌기(650)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600)의 상하측 내벽면과 상기 결합돌기(650)의 상하측 외벽면에는 서로 종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걸림홈(610)과 걸림턱(660)이 종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블록(500,550)의 일단부에는 수직으로 관통하는 결합공(590)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590)을 통해 체결볼트(595)를 피고정물에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단자편(200)의 양단부 폭방향 일측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슬롯(2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단자편(250)은 상기 슬롯(210)에 슬라이드 승강되는 수직의 가이드부(254)와, 상기 가이드부(254)의 상단부에서 직각 절곡되어 상기 터미널단자편(200)에 고정볼트(290)로 안착되거나 이격되는 단자부(256)와, 상기 가이드부(254)의 하단부에서 상기 단자부(256)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터미널단자편(200)의 저면에 걸려지거나 이격되는 걸림부(25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단자편(250)의 걸림부(252) 직하부에는 걸림부(252)를 상향 탄지하는 스프링(2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단자편(200)의 양단과 상기 가압단자편(250)의 단자부(256) 중앙에는 고정볼트(290)가 나사 결합되도록 제1나사공(202)과 결합공(257)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고정볼트(290)의 나사부 상단은 나사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결합공(257)의 내경보다 축경된 축경부(29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록(1)의 단위블록(100)과 커버블록(500,550)의 저면 전후측에는 터미널 블록(1)의 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한 한 쌍의 레일결합홈(900,950)이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레일결합홈(900,950) 중 일측 레일결합홈(900)의 외측 내벽면에는 터미널 블록(1)의 길이방향으로 걸림홈(910)이 형성되고,
    타측 레일결합홈(950)의 외측벽면에는 레일결합홈(950) 방향으로 출몰되는 걸림부재(9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100) 저면 중앙에는 터미널 블록(1)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개구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제1홈(700)이 형성되되 상기 제1홈(700)의 양측 내벽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향 돌출되는 제1걸림턱(710)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블록(500,550)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제1홈(700)과 연통되도록 단위블록(100)측이 개구되는 제2홈(750)이 형성되되 상기 제2홈(750)의 양측 내벽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향 돌출되는 제2걸림턱(76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700)과 제2홈(750)에는 일단부에는 고정공(832)이 관통 형성되어 터미널 블록(1)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브래킷(8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800)은 상기 제1홈(700)과 제2홈(75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홈(700)과 상기 제2홈(750)의 걸림돌기(720)에 걸려지도록 중앙부에 걸림공(812)이 형성된 판형상의 슬라이딩부(810)와, 상기 슬라이딩부(810)의 단부에서 서로 평행하도록 단차지게 절곡되며 상기 고정공(832)이 형성된 수평의 고정부(8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100)의 제1홈(700)과 제2홈(750)의 바닥면 중앙에는 하향 돌출되게 걸림돌기(72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래킷(800)의 슬라이딩부(810) 중앙에는 상기 걸림돌기(720)가 걸려지도록 걸림공(812)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720)의 양단은 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록.
KR1020070010532A 2007-02-01 2007-02-01 터미널 블록 KR100876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532A KR100876583B1 (ko) 2007-02-01 2007-02-01 터미널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532A KR100876583B1 (ko) 2007-02-01 2007-02-01 터미널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166A KR20080072166A (ko) 2008-08-06
KR100876583B1 true KR100876583B1 (ko) 2008-12-31

Family

ID=3988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532A KR100876583B1 (ko) 2007-02-01 2007-02-01 터미널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253B1 (ko) * 2009-04-30 2010-01-18 주식회사 에이엔티일렉트릭 배전반용 전원분배기
KR101067432B1 (ko) * 2010-12-03 2011-09-27 주식회사 제나드시스템 단자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6989A (zh) * 2020-09-12 2020-12-18 王卫东 一种新型高效能消防水带接口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936A (ja) 1996-08-27 1998-03-10 Yazaki Corp 合体コネクタ
KR200147510Y1 (ko) 1996-12-23 1999-06-15 윤흥식 접속단자대의 도선결속장치
KR100331579B1 (ko) 1994-10-21 2002-10-04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모듈러원거리통신단자블럭
JP2002352876A (ja) 2001-05-28 2002-12-06 Fuji Electric Co Ltd 回路しゃ断器の付属端子台
KR200345630Y1 (ko) 2003-12-10 2004-03-18 이처술 국선단자캡과 내선단자캡의 결합분리가 가능한 단자유니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579B1 (ko) 1994-10-21 2002-10-04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파니 모듈러원거리통신단자블럭
JPH1069936A (ja) 1996-08-27 1998-03-10 Yazaki Corp 合体コネクタ
KR200147510Y1 (ko) 1996-12-23 1999-06-15 윤흥식 접속단자대의 도선결속장치
JP2002352876A (ja) 2001-05-28 2002-12-06 Fuji Electric Co Ltd 回路しゃ断器の付属端子台
KR200345630Y1 (ko) 2003-12-10 2004-03-18 이처술 국선단자캡과 내선단자캡의 결합분리가 가능한 단자유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253B1 (ko) * 2009-04-30 2010-01-18 주식회사 에이엔티일렉트릭 배전반용 전원분배기
KR101067432B1 (ko) * 2010-12-03 2011-09-27 주식회사 제나드시스템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166A (ko)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2813B2 (en) Supporting frame construction for modular connectors
KR101402092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US5650917A (en) CPU card mounting structure
EP0698699B1 (en) Panel connector for office partition panels
US8319106B2 (en) Carrying device for busbars
US6561603B2 (en) Basic rack
KR101731680B1 (ko) 천정등 탈부착장치
KR100876583B1 (ko) 터미널 블록
WO2020233399A1 (zh) 一种大线径导线直接端子
CN101133533A (zh) 设备转接器
KR101766378B1 (ko) 플레이트 바 연결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US20100116945A1 (en) Apparatus for arranging and fastening electrical units in particular in a switchgear cabinet, and a fitting system with such an apparatus
KR20200001698U (ko) 단자대 고정용 스톱퍼
CN210779633U (zh) 一种动力柜的电气元件安装架
JP5800780B2 (ja) 枕木用固定具および安全帯支持装置
KR20110014469A (ko) 프레임 조립장치
KR102231529B1 (ko) 버스바아 홀더 및 대응 장치
CN210898436U (zh) 一种母线安装装置
KR102128177B1 (ko) 나사 이탈방지구조 단자대
WO2010015332A1 (de) Beleuchtungselement in ladenbau-bzw. präsentationssystemen
DE20203885U1 (de) Rahmenprofil
CN210628733U (zh) 一种断路器用低压柜体
CN109768403A (zh) 电源轨道装置
KR200243444Y1 (ko) 조립식 칸막이의 조립수단
KR101289135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