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544B1 - 조립식 물탱크 - Google Patents

조립식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544B1
KR100876544B1 KR1020070058883A KR20070058883A KR100876544B1 KR 100876544 B1 KR100876544 B1 KR 100876544B1 KR 1020070058883 A KR1020070058883 A KR 1020070058883A KR 20070058883 A KR20070058883 A KR 20070058883A KR 100876544 B1 KR100876544 B1 KR 100876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s
vertical
water tank
thickness
prefabric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0306A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to KR1020070058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544B1/ko
Publication of KR2008011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20Frames or nets, e.g. for flexibl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부를 단차지게 결합단부를 가공하지 않은 가로대를 사용하면서도 그 외면이 수직지주의 외면과 동일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벽판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설현장에서 가로대 들의 사용에 융통성을 부여하는 조립식 물탱크를 제공하기 위한 조립식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하부가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벽체부와 상기 벽체부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벽체부가 좌우에 끼움홈이 확보된 H형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수직지주들과 상기 수직지주들의 끼움홈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지지되는 가로대들과 상기 수직지주들과 상기 가로대들에 지지되는 합성수지 벽판재들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들과 상기 수직지주들의 두께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단차는 그 두께 차이만큼의 두께를 가지는 별도의 평탄 부재들을 끼움홈에 끼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가로대의 외면에 덧대어서 제거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제 벽판재들이 수직지주들과 가로대들에 단차 없이 밀착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수직지주, 가로대. 벽판재, 평탄부재, 방수시이트

Description

조립식 물탱크{Sectional water tank}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물탱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 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물탱크의 일부절결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일체형 평탄부재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분리형 평탄부재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부 11: 바닥지지대
12: 바닥판재 20: 덮개부
21: 덮개지지대 22: 덮개판재
30: 벽체부 31: 수직지주
32: 가로대 33: 벽판재
34: 평탄부재 40: 방수시이트
본 발명은 용수를 대량을 소비하는 빌딩이나 집단주거지 등지에 사용되어서 많은 량의 용수를 저장하였다가 필요시에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되어 제조되면서도 큰 수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종래에 합성수지제 물탱크를 개발하여 국내특허 제352388호로서 특허받은 사실이 있다. 이 종래의 특허는 최하부에 일정간격마다 배치되는 하부 수평부재(111)들로서 바닥용 중공수지판(112)들이 수평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하부 수평부재(111)들과 직각으로 연결된 수직지주(121)들 및 가로대(122)들로서 벽체용 중공수지판(123)들이 수직으로 지지되어서 4각통형으로 설치되는 벽체부(120)와 상기 벽체부(120)의 수직지주(121)들과 직각으로 연결된 상부 수평부재(131)들로서 덮개용 중공수지판(132)들이 수평하게 설치되는 덮개부(13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20)의 수직지주(121)들은 소정의 단면형상으로서 중간부를 경계로 좌우측에 길이방향으로 트여지는 양측의 끼움홈(121a)들이 확보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수직지주(121)의 두께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가로대(122)들을 구비하되, 그 각각의 가로대(122) 양끝단에 상기 수직지주(121)의 끼움홈(121a)와 상응하도록 폭이 좁아지게 단차지는 양측의 결합단부(122a)를 형성하여서, 상기 수직지주(121)들의 끼움홈(121a)에 끼워 맞춰진 결합단부(122a)를 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가로대(122)의 내외표면이 수직지주(121)들과 동일선상의 지지면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물탱크이다.
이러한 기술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합성수지제 물탱크는 벽체용중공수지판(123)에 대하여 수직지주(121)와 가로대(122)들이 밀착되어서 지지하여 주도록 조립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벽체부(120)의 하중감당능력을 향상시켜 주어서 다량의 용수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가지는 나름대로 유용한 기술이다.
단, 상기 특허기술은 골조부가 되는 수직지주(121)와 그 단면상의 두께가 동일한 가로대(122)들을 구비하되, 그 각각의 양끝단에 상기 수직지주(121)의 끼움홈(121a)와 상응하도록 폭이 좁아지게 단차지는 양측의 결합단부(122a)를 형성하여서, 상기 수직지주(121)들의 끼움홈(121a)에 끼워 맞춰진 결합단부(122a)를 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가로대(122)의 내외표면이 수직지주(121)들과 동일선상의 지지면을 이루도록 하였다.
이는 수직지주(121)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가로대(122)를 양단부를 단차지는 결합단부(122a)로 가공하여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한다.
이와 같이 가로대(122)의 양단부를 단차지게 결합단부(122a)를 가공하여 사용하는 것은 건설현장의 속성상 나름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양단부가 단차지게 결합단부(122a)를 가지도록 가공된 가로대(122)는 그 사용길이가 이미 설정되는 것이므로 그 사용길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 그 사용이 불가하다. 즉, 본인의 이전 특허기술은 건설현장의 속성상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융통성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가로대(122)의 양단부를 단 차지게 결합단부(122a)를 가공하지 아니하면서도 가로대(122)의 외면이 수직지주(121)의 외면과 동일면을 유지하도록 하는 다른 기술을 사용하면 해결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단부를 단차지게 결합단부를 가공하지 않은 가로대를 사용하면서도 그 외면이 수직지주의 외면과 동일면을 유지한 상태로 벽판재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건설현장에서 가로대 들의 사용에 융통성을 부여하는 조립식 물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최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하부가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벽체부와, 상기 벽체부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벽체부가 좌우에 끼움홈이 확보된 H형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수직지주들과 상기 수직지주들의 끼움홈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지지되는 가로대들과 상기 수직지주들과 상기 가로대들에 지지되는 합성수지 벽판재들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들과 상기 수직지주들의 두께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단차는 그 두께 차이만큼의 두께를 가지는 별도의 평탄 부재들을 끼움홈에 끼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가로대의 외면에 덧대어서 제거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제 벽판재들이 수직지주들과 가로대들에 단차 없이 밀착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는 조립식 물탱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물탱크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B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일체형 평탄부재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분리형 평탄부재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바닥부(10)는 물탱크의 최하부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바닥부분을 구성하는 구조부로서,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바닥지지대(11)들과, 상기 바닥지지대(11)들의 상부에 놓여지도록 배치되는 바닥판재(12)들로 구성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덮개부(20)는 물탱크의 최상부에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천정부분을 구성하는 구조부로서,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덮개지지대(21)들과, 상기 덮개지지대(21)들의 상부에 놓여지도록 배치되는 덮개판재(22)들로 구성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벽체부(30)는 바닥지지대(11)들과 덮개지지대(21)들을 수직으로 연결하며 일정간격마다 배치되며 좌우에 끼움홈이 확보된 H형강으로 만들어지는 수직지주(31)들과, 상기 수직지주(31)들의 끼움홈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지지되는 가로대(32)들과, 상기 수직지주(31)들과 상기 가로대(32)들에 지지되는 벽판재(33)들과, 일반적으로 4각 파이프로 제조되는 상기 가로대(32)들이 H형강의 수직지주(31)들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H형강의 플랜지 두께의 차이를 보 상하는 평탄 부재(34)들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판재(12), 덮개판재(22) 및 벽판재(33)는 모두 가운데에 일정간격마다 중공부들이 형성되는 중공합성수지 판재가 사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는 바닥판재(12), 덮개판재(22) 및 벽판재(33) 모두 재료의 사용량에 비하여 단면성능을 향상시켜서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이 증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다른 구조의 합성수지 판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물탱크의 내부에 담겨지는 물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바닥부(10)와 벽체부(30)의 내표면에는 별도의 방수시이트(40)를 밀실하게 용착하여 물탱크의 방수기능을 더욱 확실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부가 되는 평탄부재(34)는 여러가지의 형태로서 제작될 수 있다. 이 평탄부재(34)는 일반적으로 강재의 4각 파이프로 제조되는 가로대(32)의 양단 끼움부를 제외한 중간외면을 덮어서 고정되어 상기 가로대(32)들이 H형강의 수직지주(31)들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H형강의 플랜지 두께의 차이를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평탄부재(34)는 가로대(32)와 같은 강재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며, 물탱크의 내부 표면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과 도 8에는 이러한 여러가지 형태의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첫째는 H형강 수직지주(31)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양단부를 제외하고 개개의 가로대(32)들의 중간외면을 덮어서 고정되어 개개의 가로대(32)와 일체로 만들어지는 일체형이 있으며, 둘째는 H 형강 수직지주(31)의 끼움홈에 소정의 간격으로 끼워져서 고정된 복수개의 가로대(32)들의 중간외면을 동시에 덮어서 고정되는 분리형이 있다.
일체형은 개개의 가로대(32)들에 일체로 고정되는 부분품으로서 취급되며, 분리형은 복수개의 가로대(32)들이 H 형강의 수직지주(31)에 끼워져 고정된 다음에 복수개의 가로대(32)들의 중간외면을 동시에 덮어주므로 별도의 부품으로 취급된다.
일체형의 경우 평탄부재(34)는 도 7a 내지 7d에 도시와 같이 일반적으로 강재의 4각 파이프로 만들어지는 가로대(32)의 중간외면들을 1면, 2면, 3면 또는 4면을 덮어서 고정되는 여러 가지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을 통하여 가로대(32)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중, 도 7c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외면들을 3면 또는 4면으로 덮어서 고정시킬 경우 가로대(32)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지지력을 갖게 되므로 반드시 나사못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의 경우 상기 평탄부재(34)는 복수개의 가로대(32)들의 중간외면을 동시에 덮어서 수직지주(31)와의 두께차이를 보상하는 판재의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평탄 부재(34)들로 H 형강의 수직지주(31)들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가로대(32)들과 수직지주(31)들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단차를 없애서 수직지주(31)들과 가로대(32)들에 지지되는 벽판재들이 수직지주(31)들과 가로대(32)들에 단차가 없이 밀착되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립식 합성수지 물탱크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중간 내력벽, 턴 버클 등의 구성들은 본인이 이전에 이미 공개된 특허기술들에 서술되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핵심내용도 아니므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인의 선발명과는 달리 가로대들의 양단부를 단차지게 가공하지 않고서도 별도의 평탄부재를 사용하여 H형강의 수직지주들과 가로대들사이에 존재하는 단차를 없애주기 때문에 가로대의 양단부를 단차지게 가공해야 하였던 종래에 비하여 건설현장의 수요에 따라서 가로대들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융통성이 부여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최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하부가 고정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벽체부와 상기 벽체부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벽체부가 좌우에 끼움홈이 확보된 H형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수직지주들과 상기 수직지주들의 끼움홈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지지되는 가로대들과 상기 수직지주들과 상기 가로대들에 지지되는 합성수지 벽판재들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들과 상기 수직지주들의 두께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단차는 그 두께 차이만큼의 두께를 가지는 별도의 평탄 부재들을 끼움홈에 끼워지는 부분을 제외한 가로대의 외면에 덧대어서 제거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제 벽판재들이 수직지주들과 가로대들에 단차없이 밀착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는 조립식 물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재는 강재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재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재는 상기 가로대의 중간외면을 커버한 상태에서 나사못을 통해 가로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재는 복수의 가로대들의 중간외면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상기 가로대와 상기 수직지주와의 두께차이를 보상하는 판재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물탱크.
KR1020070058883A 2007-06-15 2007-06-15 조립식 물탱크 KR100876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883A KR100876544B1 (ko) 2007-06-15 2007-06-15 조립식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883A KR100876544B1 (ko) 2007-06-15 2007-06-15 조립식 물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306A KR20080110306A (ko) 2008-12-18
KR100876544B1 true KR100876544B1 (ko) 2008-12-31

Family

ID=4036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883A KR100876544B1 (ko) 2007-06-15 2007-06-15 조립식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54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389B1 (ko) * 2015-07-20 2016-02-18 (주)휴팩 물탱크용 프레임의 볼트식 연결구조
KR101665674B1 (ko) 2016-04-01 2016-10-13 주식회사 문창 보강와이어를 이용한 외부 보강 물탱크
KR101686795B1 (ko) 2016-05-03 2016-12-15 주식회사 문창 보강와이어와 외부보강지주를 이용한 외부 보강 물탱크
KR102153898B1 (ko) 2019-06-27 2020-09-09 주식회사 문창 외부 보강 내진 물탱크
KR102312189B1 (ko) *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KR102312188B1 (ko) *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동항균 pe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KR20220051680A (ko) 2020-10-19 2022-04-26 이미경 받침대 일체형 내진 물탱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388B1 (ko) 2000-08-03 2002-09-11 변무원 합성수지제 대형 물탱크
KR100460484B1 (ko) 2002-10-15 2004-12-08 변무원 조립식 물탱크
KR200389928Y1 (ko) 2005-04-29 2005-07-18 (주)베네테크 벽체의 결합구조를 개선시킨 조립식 물탱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388B1 (ko) 2000-08-03 2002-09-11 변무원 합성수지제 대형 물탱크
KR100460484B1 (ko) 2002-10-15 2004-12-08 변무원 조립식 물탱크
KR200389928Y1 (ko) 2005-04-29 2005-07-18 (주)베네테크 벽체의 결합구조를 개선시킨 조립식 물탱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389B1 (ko) * 2015-07-20 2016-02-18 (주)휴팩 물탱크용 프레임의 볼트식 연결구조
KR101665674B1 (ko) 2016-04-01 2016-10-13 주식회사 문창 보강와이어를 이용한 외부 보강 물탱크
KR101686795B1 (ko) 2016-05-03 2016-12-15 주식회사 문창 보강와이어와 외부보강지주를 이용한 외부 보강 물탱크
KR102153898B1 (ko) 2019-06-27 2020-09-09 주식회사 문창 외부 보강 내진 물탱크
KR20220051680A (ko) 2020-10-19 2022-04-26 이미경 받침대 일체형 내진 물탱크
KR102312189B1 (ko) *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KR102312188B1 (ko) * 2021-06-09 2021-10-14 주식회사 성지기공 동항균 pe시트 및 이를 이용한 건식패드 일체형 무용접, 무보강 pdf 내진물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306A (ko)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544B1 (ko) 조립식 물탱크
ITMI20060145A1 (it) Struttura modulare per costruzioni cimiteriali
RU2683446C2 (ru) Стеновой блок для стеновой конструкции
RU2010119771A (ru) Стро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RU2040646C1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й
KR20090060074A (ko) 거푸집형 블럭
CN211396784U (zh) 一种整体式卫生间
RU2589779C1 (ru) Платформенный сборно-монолитный стык
CN210917746U (zh) 一种组合式箱房
KR101385554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JP7045221B2 (ja)
JP6279251B2 (ja) 止水構造
RU2005135038A (ru) Расходуем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бетонной стеновой конструкции, бетонная 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отформованная с помощью указанного комплекта, и боковая пластин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этом комплекте
JP6771763B2 (ja) ストレーナ及びルーフドレイン
RU59097U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JP6510332B2 (ja) フラットスラブ構造
JP6585879B2 (ja) 構造物
RU124709U1 (ru) Сборное перекрытие из композитных материалов
RU2689104C1 (ru) Комплект профилей из поликарбоната
JP7122599B2 (ja) 床パン
RU95695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SU603737A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э. .гришаева
RU2037027C1 (ru) Решетчатая плита покрытия
JP5369280B2 (ja) 透孔付き塀、門扉等の外構材
JP5684009B2 (ja) 壁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