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452B1 -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452B1
KR100876452B1 KR1020070041204A KR20070041204A KR100876452B1 KR 100876452 B1 KR100876452 B1 KR 100876452B1 KR 1020070041204 A KR1020070041204 A KR 1020070041204A KR 20070041204 A KR20070041204 A KR 20070041204A KR 100876452 B1 KR100876452 B1 KR 100876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mast
fastening
welded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144A (ko
Inventor
윤치순
Original Assignee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1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452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posts, e.g. scaffolding, trees or m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마스트볼트가 체결되고 양측에 금형분리구배가 형성된 체결부; 내측면이 마스트의 수직파이프에 용접되고 외측면에 상기 체결부가 형성된 제1용접부와, 상기 제1용접부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수직파이프에 용접되는 제2용접부로 이루어진 용접부; 상기 체결부 및 제2용접부의 연결 부분이 보강되도록 이들 사이에 형성된 보강부; 상기 제2용접부 및 수직파이프 사이의 용접량이 증대되도록 상기 제2용접부의 일단에 형성된 원패스용접면;이 더 형성된다.
그러므로, 체결부 양측의 금형분리구배에 의해 성형된 제품이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체결부 및 제2용접부 사이의 보강부에 의해 체결구의 취약부분이 보강되며, 원패스용접면에 의해 제2용접부 및 수직파이프 사이의 용접면이 그만큼 증대될 뿐 아니라, 제2용접부 둘레를 한 번에 용접할 수 있어서 용접 작업의 단절에 따른 응력집중 현상이 방지된다.
마스트 체결구, 금형분리구배, 용접부, 보강부, 원패스용접면

Description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Mast joint for tower crane}
도 1은 일반적인 타워크레인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가 용접된 마스트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마스트 체결구를 보인 사시도 및 그 정면도
도 5a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5b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가 용접된 마스트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보강부의 여러 부위를 수평절단한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마스트 21 : 수직파이프
22 : 수평파이프 23 : 대각파이프
30 : 마스트 체결구 31 : 체결부
32 : 체결구멍 33 : 금형분리구배
34 : 용접부 35 : 제1용접부
36 : 제2용접부 37 : 보강부
38 : 제1수직용접면 39 : 제2수직용접면
40 : 원패스용접면 41 : 제1곡면
42 : 제2곡면 43 : 제1경사용접면
44 : 제2경사용접면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체결부와 용접부 사이의 취약부분이 보완되고, 제2용접부와 수직파이프 사이의 용접면이 증대되며, 제2용접부 둘레의 용접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지는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타워크레인은, 항만 하역용이나 고층 건물의 건축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플랜트 공사에서는 벌크(bulk) 작업과 스풀 홀딩(spool holding)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은 꼭대기 부분의 모양에 따라 지브형(jib type)과 해머헤드 형(hammer head type)으로 나눈다. 지브(팔 모양으로 돌출된 것) 형은 탑 꼭대기에 회전 프레임을 설치하고 지브를 붙여 회전운동이나 트롤리(trolley)의 직선운동으로써 화물을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한다. 해머헤드형은 탑 꼭대기에 선회 프레임을 설치하고 여기에 좌우 평형하도록 붐(boom)을 장치한 것으로서 하중의 이동이 수평으로 이루어진다.
타워크레인은 보통 그 용량을 달아올림 하중으로 나타내고 소형은 3t 미만, 중형은 5t 미만, 대형은 5t 이상으로 나눈다. 작업 범위는 30m 이상이 대부분이며, 그 자립고(Free Standing)는 타워의 강도로 정해지는데 18∼30m 범위가 많다. 데릭 크레인에 비하여 지주와 지지 케이블이 필요 없으며, 인접시설 등에 장해가 없는 상태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작업 범위가 넓고 작업 능력도 다른 크레인에 비하여 2배에 이른다.
설치되어 사용되는 타워크레인은 '타워크레인의 방호조치에 관한 기술지침'에 따라 정격하중의 105% 이하에서 작동되는 과부하방지장치를 부착하여야 한다. 또 권과방지장치·하강제한장치·선회제한장치·주행제한장치·기복제한장치·로프이완방지장치·지브텔레스코핑 제한장치 등의 운동제한장치와 상승·하강·기복의 속도를 제한하는 성능제한장치가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도 1은 이러한 타워크레인의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로써, 이는, 기초앵커(basic anchor; 1) 위에 기초마스트(basic mast; 2)가 설치되고 이 기초마스트(2) 상에 다수의 마스트(mast; 3)들이 조립된다. 조립된 마스트(3)들의 상부에는 마스트(3)의 높이를 높일 때 사용되는 텔레스코핑케이지(telescoping cage; 4)가 설치된다. 텔레스코핑케이지(4)의 상부에는 선회장치(5)가 설치되며, 이 선회장치(5)의 상단에는 켓헤드(cat head; 6)가 설치된다.
켓헤드(6)는, 메인지브(10)와 카운트지브(8)를 연결하는 연결바(7)를 상호 지탱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운트지브(8)는, 타워크레인의 전,후방의 균형 유지를 위해 메인지브(10)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카운트지브(8)에는 균형추와 윈치를 사용한 권상장치(9)가 설치된다.
메인지브(10)는 선회축을 중심으로 한 외팔보 형태의 구조물로서, 메인지브(10)에는 트롤리(11)가 설치된다. 트롤리(11)는 메인지브(10)를 따라 이송되면서 권상작업을 위한 선회 반경을 결정하는 횡행장치이다. 이러한 트롤리(11)에는 훅어셈블리(13)가 설치된다. 이는, 트롤리(11)에서 내려진 와이어로프(12)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며, 권상장치(9)의 구동시 와이어로프(12)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이 훅어셈블리(13)가 상하로 이송된다. 이러한 훅어셈블리(13)는 와이어로프(12)에 연결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는 훅블럭과, 이 훅블럭의 하단에 결합되는 훅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워크레인 중 마스트(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트(3)의 네 모서리 부분을 이루는 수직파이프(3a)들과 이 수직파이프(3a)들에 서로 연결된 수평파이프(3b)들 및 대각파이프(3c)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스트(3)의 상하단 네 모서리 부분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트(3)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마스트 체결구(14)가 용접되어 있다. 이 마스트 체결구(14)는 마스트볼트(미도시)가 결합되는 체결부(15)와, 마스트(3)의 수직파이프(3a)에 용접되는 용접부(16)로 이루어진다. 이 용접부(16)는, 이 체결부(15)의 후방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마스트(3)의 수직파이프(3a)에 용접되는 제1용접부(17)와, 제1용접부(17)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수직파이프(3a)에 용접되는 제2용접부(18)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마스트 체결구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마트스 체결구(14) 중 제2용접부(18)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체가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용접부(18)를 갖는 마스트 체결구(14)는 비교적 두꺼운 부분인 체결부(15)와 얇은 부분인 제2용접부(18)가 만나는 연결 부분에 취약부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마스트 체결구(14)에 압축하중 또는 전단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취약부인 제2용접부(18)와 체결부(15)의 연결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제2용접부(18)의 양측면과 그 단부 평면을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2용접부(18)의 일측면과 그 단부의 평면을 한 번에 용접하기가 어렵다. 즉, 제2용접부(18)의 일측면을 그 하측에서 상측으로, 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진행하면서 용접한 후 제2용접부(18)의 단부 평면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용접 작업의 진행을 잠시 중단하고 제2용접부(18)의 단부 평면 일측에서 다시 용접 작업을 다시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제2용접부(18)의 측면 용접과 그 단부의 평면용접이 원패스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접작업의 단절이 발생되며, 결국 용접 작업의 단절에 따른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체결부와 용접부 사이의 취약부분이 보완되도록 한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2용접부와 수직파이프 사이의 용접면이 증대되도록 한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용접부 둘레의 용접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한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는,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에 있어서, 마스트볼트가 체결되도록 체결구멍이 형성된 체결부; 양측에 마스트의 수직파이프에 용접되도록 제1수직용접면 및 제2수직용접면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체결부가 형성된 제1용접부와, 상기 제1용접부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수직파이프에 용접되도록 제1수직용접면 및 제2수직용접면이 형성되는 제2용접부로 이루어진 용접부; 상기 체결부 및 제2용접부의 연결 부분이 보강되도록 이들 사이에 형성된 보강부; 상기 제2용접부 및 수직파이프 사이의 용접량이 증대되도록 상기 제2용접부의 일단에 형성된 원패스용접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의 다른 특징은, 상기 체결부의 양측에는, 성형된 제품이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금형분리구배가 더 형성된 다.
본 발명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금형분리구배는, 제1용접부 측에서 상기 체결부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보강부는, 그 수평단면적이 상기 체결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원패스용접면은, 상기 제2용접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그 단부 중앙이 오목한 V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체결부의 양측에는 제1용접부 측에서 체결부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금형분리구배가 더 형성되어 있으므로, 성형된 제품이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며, 그만큼 원자재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 및 제2용접부의 연결 부분에는 그 수평단면적이 상기 체결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된 보강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취약부인 체결부 및 제2용접부 사이의 연결부분이 보강되며, 이에 따라 마스트로부터 전달된 압축응력, 전단응력이 보강부를 통해 체결구의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므로 체결구의 일부분이 집중적으로 손상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그리고, 제2용접부의 일단에는 그 단부 중앙이 오목한 V자 형태로 이루어진 원패스용접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용접부 및 수직파이프 사이의 용접면이 그만큼 증대되므로 마스트 체결구가 마스트에 견고하게 용접되며, 이에 따라 마스 트들의 설치상태가 그만큼 견고해진다.
이러한 원패스용접면은, 제2용접부의 코너 부위에서 그 중앙부위로 용접할 시 용접봉의 용융액이 오목한 그 중앙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도록 하므로 제2용접부의 단부 중앙부분이 두텁게 용접되도록 하며, 결국 용접불량을 방지시킨다.
또한, 제2용접부의 코너부위에서 그 단부 중앙측으로 용접을 진행할 시, 제2용접부의 코너부위에서 용융된 용접봉의 용융액이 용접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원패스용접면의 중앙부위로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흐른다. 따라서 제2용접부의 코너부위에서 그 중앙부위로의 원패스용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용접 작업의 단절이 방지되며, 결국 용접 작업의 단절에 따른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가 용접된 마스트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그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며, 도 12a 내지 도 12d는 보강부의 여러 부위를 수평절단한 단면도들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30)는, 수직파이프(21), 수평파이프(22), 대각파이프(23)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마스트(20)의 상하단 네 모서리 부위에 용접된다. 이러한 마스트 체결구(30)는 체결부(31) 및 제1용접부(35), 제2용접부(36)로 이루어진 용접부(34)와, 체결부(31) 및 제2용접부(36) 사이에 형 성된 보강부(37)와, 제2용접부(36)의 단부에 형성된 원패스용접면(40)으로 이루어진다.
체결부(31)에는, 체결구멍(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구멍(32)에 마스트볼트(미도시)가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부(31)의 양측에는 성형된 제품이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금형분리구배(33)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금형분리구배(33)는, 제1용접부(35) 측에서 체결부(31)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31)의 양측에 제1용접부(35) 측에서 체결부(31)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금형분리구배(33)가 더 형성되어 있으므로, 성형된 제품이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또한 금형분리구배(33)만큼 체결부(31)의 양측이 그 전방측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므로 그만큼 원자재의 사용이 감소된다.
용접부(34)는, 제1용접부(35)와 제2용접부(36)로 이루어진다. 제1용접부(35)는, 내측면이 마스트(20)의 수직파이프(21)에 용접되고 외측면에 체결부(31)가 형성된다. 제2용접부(36)는, 제1용접부(35)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면이 수직파이프(21)에 용접된다. 이러한 제1용접부(35) 및 제2용접부(36)의 양측에는 제1수직용접면(38) 및 제2수직용접면(39)이 형성된다.
보강부(37)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31) 및 제2용접부(36)의 연결 부분이 보강되도록 이들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부(37)는,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수평단면적이 상측에서 체결부(31)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보강부(37)의 상부인 도 12a의 단면적에 비해 보강부(37)의 중간부분인 도 12b의 단면적이 더 넓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부(37)의 중간부분인 도 12b의 단면적에 비해 보강부(37)의 하부인 도 12c의 단면적이 더 넓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강부(37)의 하부는 체결부(31)와 제2용접부(36)의 연결부분으로서, 이 부분은 마스트 체결구(30)에 압축하중이나 전단하중이 작용할 시 파손되기 쉬운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따라서 이 부분의 보강부(37)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므로 마스트 체결구(30)의 취약부분을 보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트 체결구(30)는, 체결부(31) 및 제2용접부(36)의 연결 부분에 그 수평단면적이 상기 체결부(31)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된 보강부(37)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취약부인 체결부(31) 및 제2용접부(36) 사이의 연결부분이 보강된다. 그러므로, 마스트(20)로부터 전달된 압축응력, 전단응력이 보강부(37)를 통해 마스트 체결구(30)의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므로 마스트 체결구(30)의 일부분이 집중적으로 손상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원패스용접면(40)은, 제2용접부(36) 및 수직파이프(21) 사이의 용접량이 증 대되도록 제2용접부(36)의 일단에 형성된다.이러한 원패스용접면(40)은, 그 단부 중앙이 오목한 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이는, 제2용접부(36)의 단부 양측의 제1곡면(41) 및 제2곡면(42)과, 이 제1곡면(41) 및 제2곡면(42) 사이에 V자 형태로 형성된 제1경사용접면(43) 및 제2경사용접면(4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원패스용접면(40)의 '원패스(onepass) 용접'은 용접방향에 따라 진행되는 용접작업이 중단없이 한 번에 이어져 나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원패스용접면(40)은, 제2용접부(36)의 일단에 그 단부 중앙이 오목한 V자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제2용접부(18)의 단부가 일자 형태로 이루어진 종래보다 용접면이 증대된다. 따라서 마스트 체결구(30)가 마스트(20)의 수직파이프(21)에 그만큼 견고하게 용접된다.
또한 원패스용접면(40)은 양측의 제1곡면(41), 제2곡면(42)과, 이들 사이에 V자 형태로 오목한 제1경사용접면(43), 제2경사용접면(44)으로 이루어지므로 제2용접부(36)의 코너 부위에서 그 중앙부위로 용접할 때에 코너 부위를 통과한 용접봉의 용융액이 오목한 그 중앙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된다.
따라서 제2용접부(36)의 단부에 용접되는 용접봉의 용융액이 제2용접부(36)의 양측으로 흘러 내리는 것이 아니라 제2용접부(36)의 단부 중앙측으로 모이게 된다. 그러므로 제2용접부(36)의 단부 중앙부분이 두텁게 용접되며, 이에 따라 마스트 체결구(30)의 용접불량을 방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마스트 체결구(30)는, 제2용접부(36)의 단부에 형성된 원패스용접면(40)에 의해 원패스 용접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2용접부(36)의 코너부 위에서 그 단부 중앙측으로 용접을 진행할 경우, 제2용접부(36)의 코너부위에서 용융된 용접봉의 용융액이 용접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오목한 원패스용접면(40)의 중앙부위로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흐른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체결부(31)의 양측에는 제1용접부(35) 측에서 체결부(31)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금형분리구배(33)가 더 형성되어 있으므로, 성형된 제품이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며, 그만큼 원자재를 감소할 수 있다.
둘째, 체결부(31) 및 제2용접부(36)의 연결 부분에는 그 수평단면적이 상기 체결부(31)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된 보강부(37)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취약부인 체결부(31) 및 제2용접부(36) 사이의 연결부분이 보강되며, 이에 따라 마스트(20)로부터 전달된 압축응력, 전단응력이 보강부(37)를 통해 마스트 체결구(30)의 전체에 골고루 분산되므로 마스트 체결구(30)의 일부분이 집중적으로 손상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셋째, 제2용접부(36)의 일단에는 그 단부 중앙이 오목한 V자 형태로 이루어진 원패스용접면(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용접부(36) 및 수직파이프(21) 사이의 용접면이 그만큼 증대되므로 마스트 체결구(30)가 마스트(20)에 견고하게 용접되며, 이에 따라 마스트(20)들의 설치상태가 그만큼 견고해진다.
넷째, 원패스용접면(40)은 제2용접부(36)의 코너 부위에서 그 중앙부위로 용접할 시 용접봉의 용융액이 오목한 그 중앙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도록 하므로 제2용접부(36)의 단부 중앙부분이 두텁게 용접되도록 하며, 결국 용접불량을 방지시킨다.
다섯째, 제2용접부(36)의 코너부위에서 그 단부 중앙측으로 용접을 진행할 시, 제2용접부(36)의 코너부위에서 용융된 용접봉의 용융액이 용접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원패스용접면(40)의 중앙부위로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흐른다. 따라서 제2용접부(36)의 코너부위에서 그 중앙부위로의 원패스 용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용접 작업의 단절이 방지되며, 결국 용접 작업의 단절에 따른 응력집중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체결부 양측의 금형분리구배에 의해 성형된 제품이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체결부 및 제2용접부 사이의 보강부에 의해 체결구의 취약부분이 보강되며, 원패스용접면에 의해 제2용접부 및 수직파이프 사이의 용접면이 그만큼 증대될 뿐 아니라, 제2용접부 둘레를 한 번에 용접할 수 있어서 용접 작업의 단절에 따른 응력집중 현상이 방지된다.

Claims (5)

  1.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에 있어서,
    마스트볼트가 체결되도록 체결구멍(32)이 형성된 체결부(31);
    마스트(20)의 수직파이프(21)에 용접되도록 양측에 제1수직용접면(38) 및 제2수직용접면(39)의 일부분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상기 체결부(31)가 형성된 제1용접부(35)와, 상기 제1용접부(35)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파이프(21)에 용접되도록 양측면에 제1수직용접면(38) 및 제2수직용접면(39)의 나머지 부분이 형성되는 제2용접부(36)로 이루어진 용접부(34);
    상기 체결부(31) 및 제2용접부(36)의 연결 부분이 보강되도록 이들 사이에 형성되며, 그 수평단면적이 상측에서 상기 체결부(31)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된 보강부(37);
    상기 제2용접부(36) 및 수직파이프(21) 사이의 용접량이 증대되도록 상기 제2용접부(36)의 일단에 형성된 원패스용접면(4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1)의 양측에는,
    성형된 제품이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금형분리구배(3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분리구배(33)는,
    제1용접부(35) 측에서 상기 체결부(31)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패스용접면(40)은,
    상기 제2용접부(36)의 일단에 형성되고 그 단부 중앙이 오목한 V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용접부(36)의 단부 양측의 제1곡면(41) 및 제2곡면(42)과 이 제1곡면(41) 및 제2곡면(42) 사이에 V자 형태로 형성된 제1경사용접면(43) 및 제2경사용접면(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
KR1020070041204A 2007-04-27 2007-04-27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 KR100876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204A KR100876452B1 (ko) 2007-04-27 2007-04-27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204A KR100876452B1 (ko) 2007-04-27 2007-04-27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144A KR20080096144A (ko) 2008-10-30
KR100876452B1 true KR100876452B1 (ko) 2008-12-29

Family

ID=4015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204A KR100876452B1 (ko) 2007-04-27 2007-04-27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4509B1 (fr) * 2013-12-11 2016-01-01 Manitowoc Crane Group France Dispositif d’eclissage pour lier deux elements structurels d’une grue a tou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5481A (ja) 1999-10-21 2001-04-2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作業腕構造
KR200388758Y1 (ko) 2005-03-28 2005-07-07 한국타워크레인주식회사 타워크레인의 고정앵커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5481A (ja) 1999-10-21 2001-04-2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作業腕構造
KR200388758Y1 (ko) 2005-03-28 2005-07-07 한국타워크레인주식회사 타워크레인의 고정앵커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144A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465B1 (ko)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CN101549835B (zh) 桁架桅杆式起重机和桁架桅杆吊臂
KR100665718B1 (ko) 타워크레인 벽체지지용 보강장치
CN201024053Y (zh) 桁架结构模块式超大型桅杆式起重机
KR100828155B1 (ko)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KR101800147B1 (ko) 안전수단이 마련된 타워 크레인
JP3424616B2 (ja) クローラ走行式の作業機械
US20220178092A1 (en) Wind-resistant suspension bridge
KR100876452B1 (ko)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체결구
KR100846209B1 (ko) 타워크레인용 트롤리
KR100833970B1 (ko) 타워크레인용 선회장치
WO2015152235A1 (ja) 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
JP5470782B2 (ja) クレーン
AU776097B2 (en) Jib crane
CN210682995U (zh) 使用更安全适用性更广的桥式起重机
JP5524644B2 (ja) クレーン用ジブ
CN214652978U (zh) 一种建筑预制构件吊取转运装置
JP6393954B2 (ja) 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及びクレーンの製造方法
CN111453630A (zh) 桥面吊机及其使用方法
CN218619802U (zh) 一种可拼接式框架吊梁及桅杆式起重机
KR101800148B1 (ko) 타워 크레인
CN219341411U (zh) 一种预制t梁吊具
CN219217317U (zh) 钢管桩
KR101831409B1 (ko) 타워 크레인
CN207943801U (zh) 装配式吊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