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433B1 - 지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지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433B1
KR100876433B1 KR1020070049271A KR20070049271A KR100876433B1 KR 100876433 B1 KR100876433 B1 KR 100876433B1 KR 1020070049271 A KR1020070049271 A KR 1020070049271A KR 20070049271 A KR20070049271 A KR 20070049271A KR 100876433 B1 KR100876433 B1 KR 10087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pport
cage
fixed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613A (ko
Inventor
유영제
Original Assignee
유영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제 filed Critical 유영제
Priority to KR102007004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433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38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to be placed on the ground
    • E04H12/2246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to be placed on the ground filled with water, sand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각종 안내 표지 판넬이나 팬스(울타리)를 지면으로부터 간편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지주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지주 어셈블리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일측 단부를 지면 아래쪽에서 고정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비한 매립용 고정케이지와,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의 내부 공간 일측면과 상기 지주의 일측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수단과,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면서 상기 지주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용 충진재를 포함한다.
지주, 기초 작업, 매립용 고정케이지(cage), 내부 공간, 고정용 충진재, 시공 시간 및 공정 단축

Description

지주 어셈블리{prop assembly}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및 분해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의 매립용 고정케이지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매립용 고정케이지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의 연결수단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의 고정용 충진재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의 고정용 충진재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의 지지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의 지지수단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지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안내 표지 판넬이나 팬스(울타리)를 지면으로부터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지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이나 인도변 또는 야외 공원이나 등산로 등에 설치되는 각종 안내 표지 판넬이나 팬스의 지주들은 아래쪽 단부가 콘크리트 구조물과 고정되어 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지면에서 세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지주 고정 방식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려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하는 작업들을 매번 거쳐야 하므로 지주 고정을 위한 기초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시공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더욱이, 지대가 높은 곳이나 경사면에 시공할 때 상기 거푸집과 콘크리트 원료의 운반 및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지주 고정 방식은 예를들어, 안내 표지 판넬이나 팬스의 노후 및 파손시 폐콘크리트 구조물의 재활용이 어렵고, 폐콘크 리트 구조물의 폐기 처리를 위한 추가 비용이 소요된다.
특히, 상기 콘크리트 원료의 90% 이상을 지중에 타설하므로 상기 원료 중에 함유된 침출수에 의해 주변의 토양이 변화(알카리성)되면서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오염 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FRP 박스 구조물 내부에 물을 채워서 지주를 고정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 방법은, 특히 동절기에 물이 쉽게 결빙되면서 박스 구조물의 잦은 파손(동파)을 유발하여 만족할 만한 시공 안정성을 얻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시공이 간단하면서 친환경적인 지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주;
상기 지주의 일측 단부를 지면 아래쪽에서 고정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비한 매립용 고정케이지;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의 내부 공간 일측면과 상기 지주의 일측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수단;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면서 상기 지주를 세워진 상태 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용 충진재;
를 포함하는 지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를 안내 표지판용 지주체로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지주를 지칭한다.
상기 지주(2)는 원기둥이나 다각기둥 형태의 금속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아래쪽 부분이 일정 깊이로 지중에 매립된 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통상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지주(2)의 위쪽 부분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지판용 판넬(4)이 통상의 방법으로 부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는, 매립용 고정케이지(6)를 포함한다.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2)의 일측 단부(아래쪽 단부)를 지면 아래쪽에서 고정하기 위한 내부 공간(S)을 구비하여 이 루어진다.
즉,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는, 상기 내부 공간(S)의 바닥면과 둘레면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판(C1)과 둘레판(C2)으로 구성되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공간(S)의 윗면이 개방된 케이지(cag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C1)과 상기 둘레판(C2)은 와이어(W)들이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들 사이사이에 통공(W1)들이 형성된 통상의 금속 망판(網版)을 사용한다.
그리하여, 상기 바닥판(C1)과 상기 둘레판(C2)의 결합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S)이 망판들로 둘러싸인 망체 형태로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내부 공간(S)의 면적이 점차 커지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를 지중에서 매립한 상태에서 안정적인 고정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C1)과 상기 둘레판(C2)은 이들의 결합면 둘레를 따라 한 군데 이상의 지점을 통상의 방법으로 연결 결합한다. 예를들어, 와이어를 감아서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C1)과 상기 둘레판(C2)은, 합성수지 원료를 금형틀에 부어서 통상의 방법으로 성형한 합성수지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의 외관 형태는 상기와 같이 사다리꼴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의 외관을 가지거나 도 5에 나타 낸 바와 같이 다각통형(육면체)의 외관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원통이나 다각통으로부터 변형된 여러 가지의 외관을 가지는 케이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매립용 고정케이지(6)를 원통이나 다각통의 망체로 형성하면,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특히 운반시 상기 둘레판(C2)들을 적층 상태로 쌓아서 부피를 줄인 상태로 여러 개를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는 예를들어, 각종 표지 판넬이나 팬스용 지주체를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FRP(섬유 강화 플라스틱) 박스 구조물들의 시공 및 운반 상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 내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수단(8)이 위치된다.
상기 연결수단(8)은 상기 지주(2)의 일측 단부를 상기 내부 공간(S) 바닥면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공간(S)의 바닥판(C1)에 고정용 밴드체(10)를 부착하여 이 고정용 밴드체(10)에 의해 상기 지주(2)의 아래쪽 단부가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고정용 밴드체(1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C1)측에 고정되는 플랜지(B)의 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용 밴드체(1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B) 둘레면(B1)을 "C"자 모양으로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며 양측 단부는 조임구(Q)로 체 결된다.
상기 조임구(Q)는 통상의 볼트와 나비 너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B)의 둘레면(B1)에는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 수직 방향으로 절개홈(B2)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용 밴드체(10)의 조임구(Q)를 조일 때 상기 절개부(B2)들에 의해 상기 둘레면(B1)이 중심부를 향하여 오므라지면서 상기 지주(2)의 아래쪽 단부를 상기 내부 공간(S)의 바닥면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는, 고정용 충진재(1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용 충진재(1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공간(S)에 채워지면서 상기 지주(2)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용 충진재(12)는 통상의 자갈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잔돌이나 큰돌을 사용한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용 충진재(1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의 개방된 윗면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S) 내부에 채워져서 상기 지주(2)가 세워진 상태로 위치하도록 고정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의 통공(W1)들은 상기 고정용 충진재(1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용 충진재(12)들이 상기 내부 공간(S)에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통공(W1)들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충진재(12)는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의 개방된 윗면을 통해 공급되어 상기 내부 공간(S)의 바닥면에서 점차 위쪽으로 쌓이면서 채워진다.
상기에서는 고정용 충진재(12)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잔돌이나 큰돌을 사용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사나 모래를 상기 고정용 충진재(12)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는, 커버부재(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4)는 상기 내부 공간(S) 내부에 담겨지는 고정용 충진재(12)들이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의 통공(W1)들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14)는 수분이 통과할 수 있는 통상의 직물 시트나 포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공간(S)의 내부면(바닥면과 둘레면)을 차단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커버부재(14)는 상기 내부 공간(S) 내부에서 상기 고정용 충진재(12)가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 내부에 채워진 상태에서 외부면의 통공(W1)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충진재(12)는 일정 비율로 잔돌(또는 큰돌)과 토사(또는 모래)를 공급하면서 상기 내부 공간(S)을 충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잔돌이나 큰돌 사이사이의 공극들을 토사나 모래로 메울 수 있으므로 한층 향상된 고정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는, 지지수단(1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16)은 상기 내부 공간(S) 내부에서 접촉 및 마찰 면적을 제공하여 상기 지주(2)의 고정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2)측에 지지구(F)를 부착하여 상기 내부 공간(S)내부에서 상기 지지구(F)에 의해 접촉 및 마찰을 위한 면적이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지지구(F)는 복수 개의 수직 접지면(F1)들이 상기 지주(2)의 외부면에 형성되도록 예를들어, 두 개의 망판(網版)을 "U"자 모양으로 각각 절곡하여 상기 지주(2)를 사이에 두고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수직 접지면(F1)들은 상기 내부 공간(S)에 세워진 상태에서 이 내부 공간(S)의 내벽면 모서리 지점과 각각 접촉 지지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도 11참조)
즉, 상기 지지구(F)는 상기 지주(2)측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직 접지면(F1)들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S)의 내벽면과 접촉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용 충진재(12)와 접촉 지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내부 공간(S)에서 상기 수직 접지면(F1)들에 의해 접촉 및 마찰력이 증대되면서 상기 지주(2)의 고정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구(F)는 상기 수직 접지면(F1)을 가지는 구조 이외에도 도 12에서 와 같이 상기 내부 공간(S)에서 수평한 자세로 위치하는 수평 접지면(F2)을 가지도록 원판이나 다각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접지면(F2)들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2)측에 고정되어 상기 내부 공간(S)에서 1단 이상이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평 접지면(F2)들은 상기 내부 공간(S)에서 상기 고정용 충진재(12)들에 의해 위,아래면이 각각 접촉 및 마찰 상태로 눌려지면서 상기 지주(2)의 고정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구(F)는 망판 이외에도 두께가 얇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박판을 사용하여 상기 수직 및 수평 접지면(F1, F2)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는,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6) 내부에 상기 고정용 충진재(12)를 채워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2)의 아래쪽 단부를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로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어셈블리를 표지판용 지주체로 사용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팬스(울타리)를 설치할 때 상기와 같이 지면에서 세워진 상태로 여러 개의 지주(2)를 이격 고정하여 이 지주(2)들 사이사이에 팬스를 연결 고정하면서 간편하게 시공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표지 판넬이나 팬스를 지면에 고정 설치할 때에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 내부에 고정용 충진재를 충진하는 방식으로 지주의 아래쪽 단부를 지면에 간편하게 매립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는, 망체 형태의 케이지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FRP 박스 구조물들이 가지는 무게 및 부피에 의한 운반 및 시공 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 내부에는 일정 크기를 가지는 잔돌이나 큰돌 또는 토사나 모래와 같이 친환경적인 고정용 충진재가 채워지므로 표지 판넬이나 팬스의 설치에 따른 토양의 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폐기 처리시 발생될 수 있는 추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8)

  1. 지주;
    상기 지주의 일측 단부를 지면 아래쪽에서 고정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비한 매립용 고정케이지;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의 내부 공간 일측면과 상기 지주의 일측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하기 위한 연결수단;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면서 상기 지주를 세워진 상태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용 충진재;
    를 포함하는 지주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태의 망체로 이루어지는 지주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지주의 외부면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가압 고정할 수 있는 고정용 밴드체로 이루어지는 지주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충진재는,
    일정 크기의 잔돌이나 큰돌 또는 토사나 모래 중에서 어느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지주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 어셈블리는,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고정용 충진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주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직물 시트나 포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면을 가리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 어셈블리는,
    상기 매립용 고정케이지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지주의 고정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접촉 및 마찰 면적을 제공하는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주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접지면을 가지는 지지구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접지면이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지주측에 부착 고정되는 지주 어셈블리.
KR1020070049271A 2007-05-21 2007-05-21 지주 어셈블리 KR100876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71A KR100876433B1 (ko) 2007-05-21 2007-05-21 지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71A KR100876433B1 (ko) 2007-05-21 2007-05-21 지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613A KR20080102613A (ko) 2008-11-26
KR100876433B1 true KR100876433B1 (ko) 2008-12-29

Family

ID=4028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271A KR100876433B1 (ko) 2007-05-21 2007-05-21 지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273B1 (ko) * 2017-03-17 2018-08-08 홍우기술산업㈜ 옹벽에 설치되는 펜스의 기초 지지물 형성 방법 및 기초 지지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273B1 (ko) * 2017-03-17 2018-08-08 홍우기술산업㈜ 옹벽에 설치되는 펜스의 기초 지지물 형성 방법 및 기초 지지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613A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6256A (ko)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KR101614129B1 (ko) 울타리용 조립식 기초 박스
CN100549310C (zh) 用于塔加固地基的装置和方法
KR100876433B1 (ko) 지주 어셈블리
KR20110107634A (ko) 배수성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28530B1 (ko) 콘크리트 법면보호공의 현장시공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법면보호공법
JP5007140B2 (ja) ハニカム構造体構築用支持具
KR102532945B1 (ko) 보수가 용이한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0799848B1 (ko) 결합구조를 보강한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
KR101401730B1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KR100679480B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US5673512A (en) Portable masonry pier
KR101636511B1 (ko) 건축물용 지하 집수정
KR102475707B1 (ko) 모듈형 보도 블럭로 및 그 시공방법
KR100780216B1 (ko) 벌집모양의 매트를 설치하는 공법
KR20120001556U (ko) 시설물의 기초 구조물
KR20130066094A (ko) 구조물의 버팀대용 베이스체
US20110243664A1 (en) Pond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20900Y1 (ko) 복개 공사용 콘크리트 구조체
JP3221491B2 (ja) 地下貯水槽および地下浸透槽
JP2002339383A (ja) 継手部材および構造体
JP2003020696A (ja) 貯水装置
JPH11124865A (ja) 柱状構造物の基礎
KR200448776Y1 (ko) 조립식 건축물의 주춧돌
JP7240622B2 (ja) 仕切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