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629B1 -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629B1
KR100874629B1 KR1020020013208A KR20020013208A KR100874629B1 KR 100874629 B1 KR100874629 B1 KR 100874629B1 KR 1020020013208 A KR1020020013208 A KR 1020020013208A KR 20020013208 A KR20020013208 A KR 20020013208A KR 100874629 B1 KR100874629 B1 KR 100874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diameter
value
synthetic resin
extrud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715A (ko
Inventor
이시까와이사무
오우찌다까시
기무라히로시
Original Assignee
우베-니토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베-니토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베-니토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5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114Dimensions
    • B29C2948/92123Diameter or circum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428Calibration, after-treatment, or cool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438Conveying, transporting or storage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61Time, e.g. start, termination, duration or interru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8Velocity
    • B29C2948/9259Angular 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609Dimensions
    • B29C2948/92619Diameter or circum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857Extrusion unit
    • B29C2948/92876Feeding, melting, plasticising or pumping zones, e.g. the melt itself
    • B29C2948/92885Screw or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923Calibration, after-treatment or cooling 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번거로운 메인터넌스 (maintenance) 를 필요로 하지 않고, 수지 조각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
(해결수단) 제조장치는 소정의 속도로 주행하는 강선이나 섬유강화 합성수지제 등의 연속 봉형상체 (12) 의 바깥둘레에,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기 (16,18) 로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피복한 후에 냉각고화시켜 피복층을 형성한다. 압출기 (18) 의 후류측에는 냉각고화후의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제조외경(外徑)값을 측정하는 외경측정기 (20) 가 설치되고, 제어부 (22) 를 갖는다. 제어부 (22) 는 외경측정기 (20) 로 검출한 상기 제조외경값에 기초하여 압출기 (18) 의 합성수지의 압출량을 제어하고, 제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설계외경값에 대해 허용가능한 범위가 되는 편차값을 미리 설정하고, 외경측정기 (20) 로 얻어진 복수의 제조외경값이 편차값내의 값을 한번이라도 만족하면 압출기 (18) 의 압출량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OF PLASTIC ROD}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로 제조하는 봉형상물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배치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제조장치의 제어부에서 행하는 제어수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낸 제조장치의 제어부에서 행하는 제어수순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흐름도에서 행해지는 판단상태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2 : 연속 봉형상체
14 : 피복층 14a : 제 1 피복층
14b : 제 2 피복층 16 : 1차 압출기
18 : 2차 압출기 20 : 외경(外徑)측정기
22 : 제어부
본 발명은 강선 (鋼線) 이나 섬유강화 합성수지제 봉형상체 등에 열가소성 수지를 피복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예컨대 광파이버 담지용 (擔持用) 나선 스페이서의 항(抗)장력선 등에 사용되는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4272 호에 제안되어 있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에서는 소정의 속도로 주행하는 연속 봉형상체의 바깥둘레에 열가소성 수지를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피복한 후에, 용융상태의 열가소성 수지를 냉각고화시켜 피복층을 형성하고, 이 피복층을 소정의 내경 (內徑) 을 갖는 정경기 (整徑器) 에 삽통하여 가열하에서 기계적으로 지름을 조정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제조방법에서는 특히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지름을 조정한 후의 외경 (外徑) 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대응하여 피복압출기의 기어펌프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외경정밀도의 균일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종래의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기술적인 과제가 있다.
즉, 상기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제조방법에서는 피복압출기의 압출량을 제어하기 위해 기어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하고 있지만, 기어펌프의 시동 내지는 정지시의 메인터넌스가 번잡해져서 잘못된 조작을 하면 기어펌프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제조방법에서는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정경기에 의한 절삭가공을 채용하고 있지만, 절삭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수지 조각은 원재료의 손실이 되므로 그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번거로운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수지 조각이 발생하지 않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속도로 주행하는 강선이나 섬유강화 합성수지제 등의 연속 봉형상체의 바깥둘레에, 열가소성 수지를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피복한 후에 냉각고화시켜 피복층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조하고자 하는 상기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설계외경값에 대해 허용가능한 범위가 되는 편차값을 미리 설정하고, 상기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외경값을 상기 냉각고화후에 소정시간 측정하고, 얻어진 복수의 제조외경값이 상기 편차값내의 값을 한번이라도 만족하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량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이 같이 구성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설계외경값에 대해 고정밀도의 제조외경값을 구비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을 정경(整徑)가공을 하지 않고 얻을 수 있고, 수지 조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이 같은 제어방법을 채용한 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이유에 근거한다.
즉,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에서는 압출량의 제어를, 제조외경값이 미리 설정된 편차값으로부터 벗어날 때마다 변경하면 압출량의 변경에 수반하여 제조외경값이 편차값의 플러스측에서 마이너스측, 내지는 이와는 반대측으로 크게 변동되는 이른바 헌팅 (난조) 현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바와 같은 강선이나 섬유강화 합성수지제 봉형상체 등에 열가소성 수지를 피복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에서는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외경정밀도가 상당히 안정된 상태에서 제조되고, 제조외경값이 미리 설정된 편차값으로부터 벗어나더라도 극히 약간으로서, 헌팅 (난조) 현상으로 이어지는 압출량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보다 편차값내의 값을 한번이라도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량을 그대로 유지하는 제어가, 제조외경값이 안정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압출량의 제어를 채용한 것으로, 이 같은 제어에 의하면 번거로운 조작을 회피하면서 설정하는 편차값의 폭을 작게 함으로써, 제조외경값의 더 한층의 고정밀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외경값을 소정시간 측정하였을 때에, 얻어진 복수의 제조외경값이 상기 편 차값내의 값을 한번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편차값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방향에 따라 상기 압출량을 증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외경값은 상기 소정시간내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하고, 이들 최대값 내지는 최소값으로부터 상기 편차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복층은 다단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압출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압출량의 제어를 최후단에 설치된 압출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연속 봉형상체는 원형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복층을 상기 연속 봉형상체의 바깥둘레에 둥근 고리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속도로 주행하는 강선이나 섬유강화 합성수지제 등의 연속 봉형상체의 바깥둘레에,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기로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피복한 후에 냉각고화시켜 피복층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의 후류측에 설치되고, 냉각고화후의 상기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외경값을 측정하는 외경측정기와, 상기 외경측정기로 검출한 상기 제조외경값에 기초하여 상기 압출기의 상기 합성수지의 압출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조하고자 하는 상기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설계외경값에 대해, 허용가능한 범위가 되는 편차값을 미리 설정하고, 상기 외경측정기로 얻어진 복수의 제조외경값이 상기 편차값내의 값을 한번이라도 만족하면 상기 압출기의 압출량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한다.
이 같이 구성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제조방법과 마찬가지로 번거로운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수지 조각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압출기의 압출량의 제어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다이스에 공급하는 스크루의 회전수의 변경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피복층은 다단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압출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출량의 제어를 최후단에 설치된 압출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경측정기로 검출한 상기 제조외경값에 기초하여 상기 압출기의 상기 합성수지의 압출량을 제어할 때에, 상기 외경측정기의 검출값을 취득하는 감시시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는 다이스와, 상기 다이스에 수지를 공급하는 스크루의 회전제어부와, 상기 회전제어부의 구동용 인버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수지의 압출량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용 인버터에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차값이나 상기 감시시간을 설정하는 터치 패널식의 입력수단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 는 본 발명에 관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서는 도 1 에 횡단면을 나타내는 합성수지제 봉형상체물 (10) 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속도 (v) 로 주행하는 강선이나 섬유강화 합성수지제 등의 연속 봉형상체 (12) 의 바깥둘레에,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고리형상으로 피복한 후에, 용융상태의 열가소성 수지를 냉각하여 피복층 (14) 을 형성하는 것이 기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속 봉형상체 (12) 는 외경이 D0 인 원형단면으로서, 피복층 (14) 은 연속 봉형상체 (12) 의 바깥둘레에 직접 피복형성되는 제 1 피복층 (14a) 과, 제 1 피복층 (14a) 의 바깥둘레에 피복형성되는 제 2 피복층 (14b)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연속 봉형상체 (12) 에 소정두께의 고리형상의 제 1 피복층 (14a) 을 입혔을 때의 외경이 D1 이 되고, 상기 제 2 피복층 (14a) 을 입혔을 때의 외경이 D2 가 되며, 이 외경 (D2) (설계외경값) 이 제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체 (10) 의 설계외경값으로 되어 있다.
이 같은 피복층 (14) 을 형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는 1차 및 2차 압출기 (16,18) 가 연속적으로 2단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1차 및 2차 압출기 (16,18) 는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는 다이스 (16a,18a) 와, 각 다이스 (16a,18a) 에 수지를 공급하는 스크루의 회전수 제어부 (16b,18b) 와, 각 회전수 제어부 (16b,18b) 의 구동용 인버터 (16c,18c) 를 구비하고 있다.
2차 압출기 (18) 의 후류측에는 냉각고화후의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제조외경값 (Dn) 을 측정하는 외경측정기 (20) 가 설치되어 있다. 외경측정기 (20) 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이 삽통되고, 그 외경을 검출하는 본체 (20a) 와, 본체 (20a) 에서 검출한 측정값을 표시하는 표시부 (20b)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냉각고화에는 자연공랭이 채용되고, 2차 압출기 (18) 의 다이스 (18a) 에서 이 냉각에 필요한 길이 (L) 를 사이에 둔 장소에 외경측정기 (20) 의 본체 (20a) 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냉각방법은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자연공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강제공랭이나 수냉방법일 수도 있고, 또한 이들을 적절히 조합한 냉각방법일 수도 있다.
1차 및 2차 압출기 (16,18) 의 각 인버터 (16c,18c) 는 선경(線徑)제어부 (22) 에 접속되어 있다. 선경제어부 (22) 에는 선경제어 설정용 터치 패널 (24) 이 접속됨과 동시에 외경측정기 (20) 의 검출신호가 송출된다.
선경제어부 (22) 는 외경측정기 (20) 의 검출신호를 받아 최후단에 배치되어 있는 2차 압출기 (18) 의 압출량을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제어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압출기를 2단 형상으로 배치하고, 복수단으로 피복층 (14) 을 형성하고 있지만, 제조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제조외경값 (Dn) 은 최종단의 압출기의 압출상태에만 의존하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최종단에 배치되어 있는 2차 압출기 (18) 의 압출량만을 다음과 같은 수순으로 제어하고, 그 전단의 1차 압출기 (16) 의 압출량은 언제나 일정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제어수순에서는 제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설계외경값 (D2) 에 대해 허용가능한 범위가 되는 편차값 (δ) 을 미리 설정하고,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제조외경값 (Dn) 을 소정시간 (감시시간과 동일) 측정하고, 외경측정기 (20) 에서 얻어진 복수의 제조외경값 (Dn) 이 편차값 (δ) 내의 값을 한번이라도 만족하면 2차 압출기 (18) 의 압출량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제어수순이 스타트하면, 단계 1 에서 제품명이 입력되고, 이어지는 단계 2 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설계외경값 (D2) 이 입력된다.
다음에, 단계 3 에서, 설계외경값 (D2) 에 대한 외경허용편차값 (δ) 이 입력된다. 이 허용편차값 (δ) 은 설계외경값 (D2) 의 상한값 (DHi) 및 하한값 (DLo) 으로서 설정되고, 예컨대 이 편차값 (δ) 의 폭은 ±0.01 ㎜ 등으로 설정된다.
이어지는 단계 4 에서는 감시시간 T1 및 T2 가 설정된다. 이 감시시간 T1, T2 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외경측정기 (20) 에 의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제조외경값 (Dn) 을 측정하는 소정시간으로서, 예컨대 감시시간 T1 은 450 초, 감시시간 T2 는 600 초로 설정한다.
감시시간 T1 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경측정기 (20) 에서 얻어진 복수의 제조외경값 (Dn) 이 편차값 (δ) 내의 값을 한번이라도 만족한 경우에, 적용되는 외경측정기 (20) 에 의한 측정시간이고, 감시시간 T2 는 외경측정기 (20) 에서 얻어진 복수의 제조외경값 (Dn) 이 편차값 (δ) 내의 값을 한번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되는 외경측정기 (20) 에 의한 측정시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감시시간 T1 에서 얻어진 제조외경값 (Dn) 이 편차값 (δ) 내의 값을 한번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2차 압출기 (18) 에 의한 압출량을 변경하므로, 그 후의 외경측정기 (20) 에 의한 측정시간, 즉, 감시시간 T2 를 T1 보다 길게 하여 제조외경값 (Dn) 의 변동의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이어지는 단계 5 에서는 2차 압출기 (18) 의 스크루의 회전수가 설정되고, 다음의 단계 6 에서, 외경측정기 (20) 에 의해 합성수지제 봉형상체 (10) 의 제조외경값 (Dn) 이 측정되고, 이 측정과 동시에 감시시간 T1 로 설정된 타이머가 스타트한다.
합성수지제 봉형상체 (10) 의 제조외경값 (Dn) 의 측정은 단계 7 에서 타이머가 감시시간 T1 이 되었다고 판단되기까지 계속되고, 이 감시시간 T1 내에 복수의 제조외경값 (Dn) 이 취득되고, 각 제조외경값 (Dn) 은 제어부 (22) 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단계 7 에서 감시시간 T1 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8 에서 타이머를 정지시켜 단계 9 로 이행한다. 단계 9 에서는 감시시간 T1 내에서 얻어진 복수의 제조외경값 (Dn) 의 최대값 (Dmax) 과 최소값 (Dmin) 이 연산된다.
다음의 단계 10 에서는 최소값 (Dmin) 이 단계 3 에서 설정된 설계외경값 (D2) 에 대한 하한값 (DLo) 보다 큰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최소값 (Dmin) 이 하한값 (DLo) 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11 로 이행한다.
단계 11 에서는 최대값 (Dmax) 이 하한값 (DLo) 보다 큰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최대값 (Dmax) 이 하한값 (DLo) 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12 로 이행한다.
단계 12 에서는 2차 압출기 (18) 의 압출량을 증가시키도록 스크루 회전의 가속처리가 행해지고, 이 가속신호가 제어부 (22) 에서 2차 압출기 (18) 의 인버터 (18c) 로 송출된다.
이 같은 압출량의 증가처리를 행하는 것은 단계 10 및 11 을 거쳐 단계 12 에 도달한 상기 기술한 수순에서는 도 5 에 ①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시시간 T1 내에 측정된 제조외경값 (Dn) 의 최대값 (Dmax) 과 최소값 (Dmin) 이 모두 미리 설정된 편차값 (δ) 의 하한값 (DLo) 보다 작게 되어 있어, 이들로부터 하방으로 이간되어 있으므로, 제조외경값 (Dn) 이 하한값 (DLo) 보다 커지도록 압출량의 증가를 도모한다.
이 같은 처리가 종료되면 단계 13 에서 타이머를 감시시간 T2 로 설정하여 단계 14 에서 외경제어를 종료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계속하여 외경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단계 6 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11 에서 최대값 (Dmax) 이 하한값 (DLo) 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15 로 이행하고, 이 단계에서 최대값 (Dmax) 이 상한값 (DHi) 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단계 15 에서 최대값 (Dmax) 이 상한값 (DHi) 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 5 에 ②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시시간 T1 내에 측정된 제조외경값 (Dn) 의 최대값 (Dmax) 과 최소값 (Dmin) 이, 미리 설정된 편차값 (δ) 의 하한값 (DLo) 과 상한값 (DHi) 을 걸치듯이 되어 있으므로, 제조외경값 (Dn) 이 이들 범위내에 속하도록 단계 16 에서 2차 압출기 (18) 에 감속 또는 가속신호를 송출하여 단계 13 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도 5 에 ② 로 나타낸 상태, 즉 제조외경값 (Dn) 의 최대값 (Dmax) 과 최소값 (Dmin) 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편차값 (δ) 의 폭보다 커져서, 이것이 하한값 (DLo) 과 상한값 (DHi) 을 걸치게 되는 경우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제조의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발생확률은 제로가 아니며, 발생하였을 경우에 방치해 두면 제조장치의 폭주로 이어지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17, 18 등을 마련하여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단계 15 에서 최대값 (Dmax) 이 상한값 (DHi) 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도 5 에 ③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시시간 T1 내에 측정된 제조외경값 (Dn) 의 최대값 (Dmax) 과 최소값 (Dmin) 이, 미리 설정된 편차값 (δ) 의 하한 값 (DLo) 을 걸치듯이 되어 있어, 제조외경값 (Dn) 이 적어도 한번은 허용편차값 (δ) 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같은 판단이 이루어지면 2차 압출기 (18) 에는 제어부 (22) 로부터 제어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압출량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여 단계 16' 에서 타이머를 감시시간 T1 로 설정하여 단계 14 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 10 에서 최소값 (Dmin) 이 하한값 (DLo) 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17 로 이행하여 단계 17 에서 최소값 (Dmin) 이 상한값 (DHi) 보다 작은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17 에서, 최소값 (Dmin) 이 상한값 (DHi) 보다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도 5 에 ④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값 (Dmax) 이 상한값 (DHi) 보다 작은 경우, 또는 큰 경우의 어느 경우에나, 제조외경값 (Dn) 이 적어도 한번은 허용편차값 (δ) 을 만족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2차 압출기 (18) 에는 제어부 (22) 로부터 제어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압출량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여 단계 16' 에서 타이머를 감시시간 T1 로 설정하여 단계 14 로 이행한다.
또한 단계 17 에서 최소값 (Dmin) 이 상한값 (DHi) 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도 5 에 ⑤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시시간 T1 내에 측정된 제조외경값 (Dn) 의 최대값 (Dmax) 과 최소값 (Dmin) 이, 모두 미리 설정된 편차값 (δ) 의 상한값 (DHi) 보다 커져 있어 이들 값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되어 있으므로, 제조외경값 (Dn) 이 상한값 (DHi) 보다 작아지도록 압출량의 감소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계 17 에서 이 같이 판단되면 단계 18 에서 2차 압출기 (18) 의 스크루 회전의 감속처리가 행해지고, 이 감속신호가 제어부 (22) 에서 2차 압출기 (18) 의 인버터 (18c) 로 송출된다.
그리고, 이 같은 처리가 종료되면 단계 19 에서 타이머를 감시시간 T2 로 설정하고, 단계 14 에서 외경제어를 종료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계속하여 외경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단계 6 으로 되돌아가고, 외경제어를 종료할 때에는 수순이 종료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의하면 설계외경값 (D2) 에 대해 고정밀도의 제조외경값 (Dn) 을 구비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을 정경가공을 행하지 않고 얻을 수 있고, 정경가공을 행하지 않으면 수지 조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설계외경값 (D2) 에 대해 허용가능한 범위가 되는 편차값 (δ) 을 미리 설정하고,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제조외경값 (Dn) 을 냉각고화후에 소정시간 (감시시간 T1) 측정하고, 얻어진 복수의 제조외경값 (Dn) 이 편차값 (δ) 내의 값을 한번이라도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량을 그대로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 같은 제어방법을 채용한 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이유에 기초하고 있다.
즉,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출량의 제어를, 제조외경값 (Dn) 이, 미리 설정된 편차값 (δ) 으로부터 벗어날 때마다 변경하면 압출량의 변경에 수반하여 제조외경값 (Dn) 이 편차값 (δ) 의 플러스측에서 마이너스측으로 크게 변동되는 이른바 헌팅 (난조) 현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바와 같은 강선이나 섬유강화 합성수지제 봉형상체 (12) 등에 열가소성 수지를 피복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의 제조에서는,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외경이 상당히 안정된 상태에서 제조되고, 제조외경값 (Dn) 이 미리 설정된 편차값 (δ) 으로부터 벗어나더라도 극히 약간으로서, 헌팅 (난조) 현상으로 이어지는 압출량의 제어를 실행하는 것보다 편차값내의 값을 한번이라도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량을 그대로 유지하는 제어가, 제조외경값이 안정됨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하는 감시시간 T1 내에 있어서의 제조외경값 (Dn) 의 최대값 (Dmax) 과 최소값 (Dmin) 을 구하고, 이들 값으로부터 편차값 (δ) 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편차값 (δ) 내의 값을 한번이라도 만족하면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량을 그대로 유지하는 제어를 채용한 것으로서, 이 같은 제어에 의하면 번거로운 조작을 회피하면서, 예컨대 설정하는 편차값 (δ) 의 폭을 작게 함으로써 제조외경값 (Dn) 의 고정밀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2단으로 배치한 압출기 (16,18) 을 사용하여 합성수지제 봉형상물 (10) 을 제조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출기는 1대 또는 3단 이상의 다단일 수도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의하면 번거로운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수지 조각이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11)

  1. 속도 V 로 주행하는 강선 (鋼線) 또는 섬유강화 합성수지제의 연속 봉형상체의 바깥둘레에, 열가소성 수지를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피복한 후에 냉각고화시켜 피복층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제조하고자 하는 상기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설계외경(外徑)값에 대해 외경허용편차값을 미리 설정하고,
    상기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외경값을 상기 냉각고화후에 제 1 시간 측정하고,
    얻어진 복수의 제조외경값이 상기 외경허용편차값내의 값을 한번이라도 만족하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량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외경값을 제 2 시간 측정하였을 때에, 얻어진 복수의 제조외경값이 상기 외경허용편차값내의 값을 한번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외경허용편차값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방향에 따라 상기 압출량을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외경값은 상기 제 1 시간내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하고, 이들 최대값 내지는 최소값으로부터 상기 외경허용편차값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다단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압출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압출량의 제어를 최후단에 설치된 압출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봉형상체는 원형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복층을 상기 연속 봉형상체의 바깥둘레에 둥근 고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6. 속도 V 로 주행하는 강선 또는 섬유강화 합성수지제의 연속 봉형상체의 바깥둘레에,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기로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피복한 후에 냉각고화시켜 피복층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장치로서,
    상기 압출기의 후류측에 설치되고, 냉각고화후의 상기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외경값을 측정하는 외경측정기와, 상기 외경측정기로 검출한 상기 제조외경값에 기초하여 상기 압출기의 상기 합성수지의 압출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조하고자 하는 상기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설계외경값에 대해, 외경허용편차값을 미리 설정하고,
    상기 외경측정기로 얻어진 복수의 제조외경값이 상기 외경허용편차값내의 값을 한번이라도 만족하면 상기 압출기의 압출량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의 압출량의 제어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다이스에 공급하는 스크루의 회전수의 변경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다단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압출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출량의 제어를 최후단에 설치된 압출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경측정기로 검출한 상기 제조외경값에 기초하여 상기 압출기의 상기 합성수지의 압출량을 제어할 때에, 상기 외경측정기의 검출값을 취득하는 감시시간을 미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장치.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하는 다이스와, 상기 다이스에 수지를 공급하는 스크루의 회전제어부와, 상기 회전제어부의 구동용 인버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성수지의 압출량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용 인버터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경허용편차값이나 상기 감시시간을 설정하는 터치 패널식의 입력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장치.
KR1020020013208A 2001-03-27 2002-03-12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874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90757A JP2002283440A (ja) 2001-03-27 2001-03-27 合成樹脂製棒状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JP-P-2001-00090757 2001-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715A KR20020075715A (ko) 2002-10-05
KR100874629B1 true KR100874629B1 (ko) 2008-12-17

Family

ID=1894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208A KR100874629B1 (ko) 2001-03-27 2002-03-12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283440A (ko)
KR (1) KR100874629B1 (ko)
CN (1) CN124613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6684C (zh) * 2003-10-28 2007-07-18 北京化工大学 挤出塑料制品内孔成型方法
JP4543279B2 (ja) * 2004-03-31 2010-09-15 Dowa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接合部材の製造方法
DE102006058754B4 (de) * 2006-12-04 2015-07-16 Sikora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r Produktionsanlage zur Herstellung eines Kabels
CN102107078A (zh) * 2009-12-23 2011-06-29 合肥杰事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全塑武术棒的制造方法
JP5455066B2 (ja) * 2010-09-09 2014-03-26 宇部エクシモ株式会社 光ファイバ収納スペーサの製造方法
CN111844689A (zh) * 2020-06-15 2020-10-30 江苏通光信息有限公司 一种挤塑设备的生产线智能联动控制方式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72A (ja) * 1991-06-25 1993-01-14 Ube Nitto Kasei Co Ltd 合成樹脂製棒状物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8281778A (ja) * 1995-04-12 1996-10-29 Yokohama Rubber Co Ltd:The 押出機に於ける押出し脈動の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193233A (ja) * 1996-01-12 1997-07-29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管の押出成形装置
JPH1128758A (ja) * 1997-07-10 1999-02-02 Sekisui Chem Co Ltd 合成樹脂管の製造方法
KR20030083462A (ko) * 2002-04-23 2003-10-30 주식회사 포스코 롤 가공용 선반기를 이용한 롤 외경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8363A (en) * 1977-08-31 1979-03-22 Toyoda Gosei Co Ltd Apparatus for automatic regulation of outer diameter of extrusion molded produc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72A (ja) * 1991-06-25 1993-01-14 Ube Nitto Kasei Co Ltd 合成樹脂製棒状物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8281778A (ja) * 1995-04-12 1996-10-29 Yokohama Rubber Co Ltd:The 押出機に於ける押出し脈動の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193233A (ja) * 1996-01-12 1997-07-29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管の押出成形装置
JPH1128758A (ja) * 1997-07-10 1999-02-02 Sekisui Chem Co Ltd 合成樹脂管の製造方法
KR20030083462A (ko) * 2002-04-23 2003-10-30 주식회사 포스코 롤 가공용 선반기를 이용한 롤 외경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715A (ko) 2002-10-05
JP2002283440A (ja) 2002-10-03
CN1377764A (zh) 2002-11-06
CN1246137C (zh)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7647B1 (en) Control apparatus for extruders
US5725814A (en) Extrusion of an article of varying content
US5695789A (en) Apparatus for extrusion of an article of varying content
CA1173617A (en) Method of producing an extrudate of controlled size and shape from a roller die
JPS5811046B2 (ja) エナメル線型の絶縁電線の製造法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KR100874629B1 (ko) 합성수지제 봉형상물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HU20646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ibbed tubes
US3989779A (en) Method of calibrating extruded filaments
US403693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tubes alternately having a thick wall portion and a thin wall portion
EP3093118B1 (en) An extrud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S59103735A (ja) 熱可塑性樹脂押出成形品の製造方法
EP0380499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some parameters in connection with manufacturing of plastic articles
EP0291136B2 (en) Plastic tube with solid crossribs on the outer surface, a moulding device therefor;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 device and a method for moulding a plastic tube
JP3392195B2 (ja) 製管装置
JPH05116201A (ja) 合成樹脂管押出し成形装置
JPH0460405B2 (ko)
JPH054272A (ja) 合成樹脂製棒状物の製造方法及び装置
SU939248A1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 толщины стенки трубчатого издели из термопласта
JPH01314136A (ja) 合成樹脂フイルムと、溶融押出式フイルム成形時におけるフイルム厚制御方法とその装置
CN116353034A (zh) 一种全闭环壁厚控制及轮廓跟随误差检测控制方法及系统
JP2000326392A (ja) 長尺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1110707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Pins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ated Optical Fiber Having Shaped Cross-Section
CN114851520A (zh) 一种可消除型坯长度偏差的吹瓶机及其控制方法
JPH0516204A (ja) 合成樹脂管押出し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