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147B1 -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147B1
KR100873147B1 KR1020060115322A KR20060115322A KR100873147B1 KR 100873147 B1 KR100873147 B1 KR 100873147B1 KR 1020060115322 A KR1020060115322 A KR 1020060115322A KR 20060115322 A KR20060115322 A KR 20060115322A KR 100873147 B1 KR100873147 B1 KR 10087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traffic island
intersection
pas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351A (ko
Inventor
사토시 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7005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3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user preferences are taken into account or the user selects one route out of a plur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44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complete route is dynamically recomputed based on new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목적지가 지정되면, 현재지(S)로부터 최초의 목적지(G1), 목적지(G1)로부터 다음의 목적지(G2)로 주행 경로를 차례로 설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과 목적지(G1)가 교통섬(traffic island) 내에 있는 경우에는 교차점(C)에서 보아 다음의 목적지(G2)는 우회전ㆍ좌회전ㆍ직진 중 어느 쪽의 방향에 있는 것인지를 판정하고, 목적지(G2)가 우회전 방향에 있으면 교통섬에서 우회전 가능한 우회로(迂廻路)(L) 상에 목적지(G1)를 설정하며(도3(a) 참조), 목적지(G2)가 좌회전 방향에 있으면 교차점(C)을 좌회전한 교차로 상에 목적지(G1)를 설정하고(도3(b) 참조), 목적지(G2)가 직진 방향에 있으면 교차점(C)을 직진한 주행로 상에 목적지(G1)를 설정하여, 교통섬 내에서의 경로(일점쇄선)를 확정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차량을, 통과 목적지를 경유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주행시키는 주행 경로가 설정 가능한 장치에 있어서, 교차점 주위에 진로 변경용의 우회로가 배치된 교통섬 내에 통과 목적지가 설정되었을 때 다음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주행 경로, 통과 목적지, 최종 목적지, 교통섬, 교차점, 우회로

Description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 및 프로그램{TRAVELING ROUTE ESTABLISHING APPARATUS, NAVIGATION APPARATUS AND PROGRAM FOR VEHICLE}
도1은 네비게이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2는 주행 경로 설정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3은 통과 목적지가 교통섬 내에 있을 때 설정되는 주행 경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4는 주행 경로 설정 처리의 변형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5는 목적지 변경 안내 화상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네비게이션 장치 4: 차속 센서
6: 가속도 센서 8: 각속도 센서
12: GPS 수신기 14: 조작 스위치군
16: 외부 정보 입출력 장치 18: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
20: 표시 장치 22: 음성 출력 장치
24: 리모컨 26: 리모컨 센서
30: 제어 회로 C: 교차점
L: 우회로(쇼트 컷 레인) S: 현재지
G1, G2: 목적지
[특허 문헌 1] 특개평06-221862호 공보
본 발명은 차량을 통과 목적지를 경유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경로가 설정 가능한 주행 경로 설정 장치, 이 장치를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컴퓨터를 주행 경로 설정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 운전자에 대하여 주행 안내를 행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에는, 운전자 등의 탑승자가 목적지를 지정하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현재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경로를 연산하는 주행 경로 설정 장치로서의 기능이 들어 있다.
또한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는, 차량의 최종 도달점인 최종 목적지와는 별도로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에 차량을 통과시켜야 할 통과 목적지(이른바 경유지)를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도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장치에서는 최종 목적지에 추가하여 통과 목적지가 지정되면, 현재지로부터 다음의 통과 목적지까지의 경로, 그 통과 목적지로부터 다시 다음의 통과 목적지까지의 경로, ㆍㆍㆍ, 최후의 통과 목적지로부터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라는 식으로 차량의 현재지로부터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통과 목적지마다 구획하여 연산하는 것에 의해 차량을 통과 목적지를 경유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경로를 설정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 참조).
그런데 차량이 주행 가능한 도로의 교차점에는, 그 주위에서 교차로끼리 접속함으로써 차량이 교차점을 통과하는 일 없이 주행로로부터 교차로로 진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이른바 교통섬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교통섬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점(C)을 둘러싸도록 교차로끼리 접속하는 우회로(이른바 쇼트 컷 레인)(L)를 설치한 것으로, 예를 들면, 차량이 도로의 우측을 통행하도록 규정된 우측 통행의 나라나 지역(예를 들면, 한국)에서는 교차점(C)의 바로 앞에서 주행로 우측의 우회로(L)로 차량을 진입시키는 것으로 교차점(C)을 지나는 일 없이 차량을 우회전시킬 수 있으며, 차량이 도로의 좌측을 통행하도록 규정된 좌측 통행의 나라나 지역(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교차점(C)의 바로 앞에서 주행로 좌측의 우회로(L)로 차량을 진입시키는 것에 의해 교차점(C)을 지나는 일 없이 차량을 좌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통과 목적지가 교통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지정되면, 그 다음의 목적지(통과 목적지 또는 최종 목적지)가 우회로(L)를 지나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이어도, 교통섬의 우회로(L)를 지나지 않고 교차점(C)에 진입하도록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현재지(S)의 다음 목적지(G1)가 교통섬 내에, 또한 차량의 교통섬으로의 진입 방향에서 보아 교차점(C)을 통과한 지점에 설정되면, 그 다음의 목적지(G2)가 교통섬의 교차점(C)에서 차량의 주행로와 교차하는 교차로 상에 존재하는 경우이어도, 차량의 주행 경로는 교통섬의 교차점(C)을 곧바로 통과하도록 설정되어 버려서 다음의 목적지(G2)에 이르는 경로가 길어져 버리는 것이다(도면에 점선으로 도시한 경로 참조).
또한 도3에 도시한 교통섬은 차량이 도로의 우측을 통행하도록 규제된 나라 또는 지역의 교통섬이며, 우회로(쇼트 컷 레인)(L)로서 차량 통과 전용의 외측의 도로와 차량을 주정차 가능한 내측의 도로의 2개의 도로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3에 있어서, (a)는 2번째의 목적지(G2)가 차량의 현재지(S)에서 보아 교차점(C)을 우회전하는 방향에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2번째의 목적지(G2)가 차량의 현재지(S)에서 보아 교차점(C)을 좌회전하는 방향에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교통섬 내의 교차점(C)에서는 통상 우회로(L)를 이용하여 진로 변경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진로 변경은 금지됨에 따라,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의 목적지(G2)가 교통섬의 우회로(L)를 지나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도면에서는 교차점(C)을 우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목적지(G1)가 교통섬 내에서 교차점(C)보다 앞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었다고 해도 주행 경로는 교차점(C)을 직진하도록 설정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을 통과 목적지를 경유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주행시키는 주행 경로가 설정 가능한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교차점 주위에 진로 변경용의 우회로가 배치된 교통섬 내에 통과 목적지가 설정되어도 다음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목적지 지정 수단에 의해 주행 경로 설정용의 목적지로서 최종 목적지와 통과 목적지가 지정되면, 교통섬 판정 수단은, 그 지정된 통과 목적지가 교차점 주위에서 교차로끼리 접속하는 우회로가 형성된 교통섬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이 교통섬 판정 수단에 의해 통과 목적지가 교통섬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제1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은, 그 통과 목적지의 다음 목적지가 차량의 교통섬으로의 진입 방향에서 보아 우회로를 지나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 제1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의해 교통섬 내에 존재하는 통과 목 적지의 다음 목적지가 우회로를 지나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다고 판단되면, 주행 경로 연산 수단은, 차량이 우회로를 주행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따르면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과 목적지인 최초의 목적지(G1)가 교통섬 내에 지정되어 있었다고 해도, 다음의 목적지(상세하게는 다음의 통과 목적지 또는 최종 목적지)(G2)가 교통섬 주위의 우회로(쇼트 컷 레인)(L)를 지나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차량이 그 우회로(쇼트 컷 레인)(L)를 지나도록(바꾸어 말하면 차량이 교통섬 내에 진입하지 않도록) 주행 경로가 설정되게 된다(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경로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통과 목적지가 교통섬 내에 지정된 경우에 주행 경로가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따르면,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 다음의 목적지가 교통섬의 우회로를 이용하여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위치할 때에는 통과 목적지를 통과하지 않도록 주행 경로가 설정되게 되는데, 본 발명을 네비게이션 장치에 적용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 운전자에게 주행 경로를 안내하도록 한 경우에는 차량이 통과 목적지 부근에 도달한 것을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교통섬 부근에서 대기하거나 짐을 싣고 내리는 일 등을 문제 없이 행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통과 목적지는 주행 경로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지정한 통과 목적지를 반드시 통과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다.
그래서 주행 경로 연산 수단에는 제1 선택 안내 수단과 제1 통과 목적지 변경 수단을 설치하고, 제1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의해 다음의 목적지가 우회로를 지나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다고 판단되면, 제1 선택 안내 수단이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우회로 상으로 변경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고, 이 제1 선택 안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통과 목적지의 변경을 선택하면, 제1 통과 목적지 변경 수단이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우회로 상으로 변경함으로써 당해 주행 경로 연산 수단에 대하여 차량이 우회로를 주행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시키게 해도 된다.
그리고,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따르면, 제1 선택 안내 수단의 동작에 대하여 사용자가 통과 목적지의 변경을 선택하지 않으면, 교통섬에서의 통과 목적지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부터 변경되는 일이 없고, 주행 경로는 종래대로 사용자가 지정한 통과 목적지를 지나도록 설정되게 되어도 된다.
따라서, 교통섬 내에 설정한 통과 목적지의 다음 목적지가 교통섬 주위의 우회로를 지나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을 때, 사용자는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대하여 스스로가 지정한 통과 목적지를 지나는 주행 경로를 설정시키는지, 또는 교통섬 주위의 우회로 상으로 통과 목적지를 변경하여 그 통과 목적지(즉 우회로)를 지나는 주행 경로를 설정시키는지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사용 편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는, 교통섬 판정 수단에 의해 통과 목적지가 교통섬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통과 목적지의 다음 목적지가 교통섬 내의 교 차점으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제2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의해 다음의 목적지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다고 판단되면, 주행 경로 연산 수단은 차량이 그 교차점에서 다음의 목적지 방향으로 진로 변경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따르면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통섬 내의 목적지(통과 목적지)(G1)의 다음 목적지(다음의 통과 목적지 또는 최종 목적지)(G2)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C)을 좌회전(또는 우회전)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그 교통섬 내의 목적지(G1)로서 차량이 교차점(C)을 곧바로 통과하는 지점을 지정했다고 해도, 주행 경로로서는 교차점(C)을 좌회전(또는 우회전)하도록 설정되게 된다(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경로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통과 목적지가 교통섬 내에 지정된 경우에 주행 경로가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교통섬 내에서 교차점을 직진하는 직진로 상에 통과 목적지를 지정해도, 다음의 통과 목적지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으면 사용자가 지정한 통과 목적지를 지나지 않도록 주행 경로가 설정되어 버림에 따라, 지정한 통과 목적지를 반드시 통과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사용하기 불편해진다.
그래서,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주행 경로 연산 수단을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즉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주행 경로 연산 수단에는, 제1 통과 목적지 위치 판정 수단과, 제2 선택 안내 수단과, 제2 통과 목적지 변경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2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의해 다음의 목적지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다고 판단되면, 우선 제1 통과 목적지 판정 수단은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다음의 목적지 방향으로 진로 변경했을 때의 교차로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 제1 통과 목적지 위치 판정 수단에 의해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가 교차로 상에 없다고 판단되면, 제2 선택 안내 수단이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교차로 상으로 변경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고, 제2 선택 안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통과 목적지의 변경을 선택하면, 제2 통과 목적지 변경 수단이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교차로 상으로 변경함으로써, 당해 주행로 연산 수단에 대하여 차량이 교통섬 내의 교차점으로 진로 변경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시킨다.
따라서,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따르면, 제2 선택 안내 수단의 동작에 대하여 사용자가 통과 목적지의 변경을 선택하지 않으면, 교통섬에서의 통과 목적지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부터 변경되는 일이 없고, 주행 경로는 종래대로 사용자가 지정한 통과 목적지를 지나도록 설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따르면, 교통섬의 다음 목적지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로서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다음의 목적지를 향하여 진로 변경할 수 없는 지점을 지정했을 때, 사용자는, 그 지정한 통과 목적지를 지나는 주행 경로를 설정시키는지, 또는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다음의 목적지 방향으로 진로 변경했을 때의 교차로 상으로 변경하여 교차점에서 다음의 목적지 방향으로 진로 변경하는 주행 경로를 설정시키는지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사용 편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의해 부정 판정되면(즉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의 다음 목적지는 우회로나 교통섬 내의 교차점으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는 없다고 판정되면), 주행 경로 연산 수단은 차량이 교통섬 내의 교차점을 직진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따르면,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의 다음 목적지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을 직진하는 방향에 위치할 때, 사용자가, 그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교차점을 직진하는 직진로 상에 지정하지 않았다고 해도(예를 들면, 교차점을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교차로 상에 설정했다고 해도), 차량이 교통섬 내의 교차점을 직진하도록 주행 경로가 설정되게 되어 주행 경로가 불필요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다음의 목적지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을 직진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의 위치에 관계 없이 교차점을 직진하도록 주행 경로가 설정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교차점을 좌회전 또는 우회전한 교차로 상에 지정한 통과 목적지를 지나도록 차량을 주행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사용하기 불편해진다.
그래서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주행 경로 연산 수단을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즉,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주행 경로 연산 수단에는, 제2 통과 목적지 위치 판정 수단과, 제3 선택 안내 수단과, 제3 통과 목적지 변경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의해 부정 판정되면 우선 제2 통과 목적지 판정 수단이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을 직진했을 때의 직진로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 제2 통과 목적지 위치 판정 수단에 의해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가 직진로 상에 없다고 판단되면, 제3 선택 안내 수단이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직진로 상으로 변경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고, 제3 선택 안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통과 목적지의 변경을 선택하면, 제3 통과 목적지 변경 수단이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직진로 상으로 변경함으로써 당해 주행로 연산 수단에 대하여 차량이 교통섬 내의 교차점을 직진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시킨다.
따라서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따르면, 제3 선택 안내 수단의 동작에 대하여 사용자가 통과 목적지의 변경을 선택하지 않으면, 교통섬에서의 통과 목적지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부터 변경되는 일이 없고, 주행 경로는 종래대로 사용자가 지정한 통과 목적지를 지나도록 설정되게 되어도 된다.
이 때문에,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따르면, 교통섬 다음의 목적지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을 직진하는 방향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로서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진로 변경되는 교차로 상의 지점을 지정했을 때, 사용자는, 그 지정한 통과 목적지를 지나는 주행 경로를 설정시키는지, 또는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교통섬 내의 교차점을 직진하는 직진로 상으로 변경하여 주행 경로를 설정시키는지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사용 편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네비게이션 장치는 본 발명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를 구비하고, 이 장치에서 설정된 주행 경로에 따라서 주행 안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네비게이션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 등의 사용자에 의해 통과 목적지가 교통섬 내에 설정되었다고 해도, 그 교통섬을 지나서 다음의 목적지(통과 목적지 또는 최종 목적지)까지 차량을 주행시키는 데 최적의 주행 경로를 설정하여 운전자 등에게 주행 안내를 행할 수 있음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을 불필요하게 우회시키는 일 없이 다음의 목적지까지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교통섬 판정 수단,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 및 주행 경로 연산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네비게이션 장치 등을 구성하고 있는 차량 탑재 컴퓨터나 주행 경로 탐색용으로 이용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로서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그램 기록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 형태의 네비게이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네비게이션 장치(2)는 차량의 속도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4), 차량의 전후 방향에 가해지는 가속도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6), 차량의 선회시에 발생하는 각속도(상세하게는, 차량의 수평면에 직교하는 축 주위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8)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립계(自立系)의 센서와, GPS용의 인공 위성으로부터의 송신 전파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속도, 진행 방향 등을 검출하는 GPS 수신기(12)와, 사용자가 각종 지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군(14)과,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외부 정보 입출력 장치(16)와, 기억 매체로부터 지도 데이터 등을 읽어들이기 위한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18)와, 지도나 경로 안내 화면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20)와, 각종 가이드용의 음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음성 출력 장치(22)와, 원격 조작용의 리모트 컨트롤 단말(이하 단순히 리모컨이라 한다)(24)과, 이 리모컨(24)으로부터 송신된 지령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하는 리모컨 센서(26)와, 이들 각 부에 접속되어 주행 안내용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회로(3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조작 스위치군(14)은 표시 장치(2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20)의 주위에 설치된 기계적 키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외부 정보 입출력 장치(16)는 외부 장치로서 도로에 부설된 비컨(beacon)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함으로써 정보 센터로부터 도로 교통 정보를 취득하거나, 또는 차량에 탑재된 각종 제어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 으로써 차량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취득하는 장치로, 각종 통신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18)는, CD-ROM, DVD-ROM,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로부터 위치 검출 정밀도 향상을 위한 맵 매칭용 데이터나 경로 안내용의 음성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읽어들여서 제어 회로(30)에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표시 장치(20)는 컬러 표시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표시 장치(20)의 표시 화면에는, 제어 회로(30)의 제어 하에, 차량의 현재 위치 주위의 지도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등이 표시된다.
또한, 음성 출력 장치(22)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 회로(30)에 의한 제어 하에,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용의 가이드 음성이나, 외부 정보 입출력부를 통하여 취득한 도로 교통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음성을 출력한다.
다음으로, 제어 회로(30)는 CPU(32), ROM(34), RAM(36) 및 이들을 접속하는 버스 라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지의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CPU(32)는, ROM(34)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자립계의 센서(차속 센서(4), 가속도 센서(6), 각속도 센서(8))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검출 신호와 GPS 수신기(12)에 의한 측위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상세하게는, 차량의 현재 위치, 차속, 진행 방향, 경사 각도 등)를 검출하는 주행 상태 검출 처 리,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18)를 통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그 판독한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나 주행 궤적을 포함하는 도로 지도를 표시 장치(20)에 표시하는 지도 표시 처리, 조작 스위치군(14) 또는 리모컨 센서(26)로부터 입력되는 지령에 따라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설정하는 주행 경로 설정 처리, 주행 경로 설정 처리에서 설정된 주행 경로에 따라서 주행 경로 안내 화상을 표시 장치(20)에 표시하거나, 주행 경로 안내용의 가이드 음성을 음성 출력 장치(22)로부터 출력시키는 경로 안내 처리 등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주행 경로 설정 처리는 본 발명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로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제어 회로(30)(상세하게는 CPU(32))는, 조작 스위치군(14)이나 리모컨 센서(26)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목적지가 지정되면, 이 주행 경로 설정 처리를 개시하여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18)로부터 그 지정된 목적지나 차량의 현재지를 포함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그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연산한다.
또한, 제어 회로(30)(CPU(32))에 주행 경로 설정 처리를 실행시키는 데 있어서, 사용자는 주행 경로 설정용의 목적지로서, 주행순으로 복수의 목적지(G1, G2, G3, ㆍㆍㆍ)를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지정된 복수의 목적지(G1, G2, G3, ㆍㆍㆍ)는 목적지 데이터로서, 각 목적지(G1, G2, G3, ㆍㆍㆍ)의 위치(위도ㆍ경도)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와 함께 RAM(36) 내에 저장된다.
또한 이 목적지 데이터는 목적지의 수나 위치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각 목적지의 주행 순서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목적지(G1, G2, G3, ㆍㆍㆍ)를 지정하는 데 이용되는 조작 스위치군(14) 및 리모컨(24)과, 이들 각 부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목적지 데이터를 RAM(36) 내에 기입하는 제어 회로(30)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지 설정 수단으로서의 기능이 실현된다.
다음으로 도2는 CPU(32)에서 실행되는 주행 경로 설정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차량이 우측 통행하도록 규제되어 있는 나라 또는 지역에서 운전자에 대한 주행 안내를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며, 차량이 좌측 통행하도록 규제되어 있는 나라 또는 지역에서는 주행 경로 설정시의 판정 동작이 좌우 반대가 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32)는 주행 경로 설정 처리를 개시하면 우선 S100(S는 스텝을 나타낸다)에서 목적지(G)의 주행 순서를 나타내는 카운터(i)로 초기값 1을 설정하고, 이어지는 S110에서 주행 경로 설정용 시점의 위치 데이터로서, 차량의 현재지(S)의 위치 데이터를 설정하고, 이어지는 S120에서 카운터(i)의 값에 대응한 주행 순위의 목적지(Gi)(당해 주행 경로 설정 처리의 개시 직후에는 G1이 된다)의 위치 데이터를 RAM(36)으로부터 읽어들인다.
그리고 이어지는 S130에서는, S110 또는 후술하는 S240에서 설정된 시점의 위치 데이터와 S120에서 읽어들인 목적지(Gi)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점으로부터 목적지(Gi)까지의 주행 경로를 연산하는 데 필요한 지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18)를 통하여 기억 매체(CD-ROM, DVD-ROM, 하드 디스크 등)로부터 읽 어들이고, 그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점으로부터 목적지(Gi)까지의 주행 경로를 연산한다. 또한 이러한 주행 경로의 연산 순서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각종 방법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시점으로부터 목적지(Gi)까지의 주행 경로가 연산되면, 이번에는 S140에서, 목적지(Gi)가 차량을 주행시킬 때의 통과점이 되는 통과 목적지인지, 또는 차량의 최종 도달점이 되는 최종 목적지인지를 판단하고, 목적지(Gi)가 최종 목적지이면 그대로 당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140에서 목적지(Gi)가 통과 목적지라고 판단되면 S150으로 이행하여, S120에서 읽어들인 목적지(Gi)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해서 목적지(Gi)를 중심으로 하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지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18)를 통하여 기억 매체(CD-ROM, DVD-ROM, 하드 디스크 등)로부터 읽어들인다.
그리고 이어지는 S160에서는, S150에서 읽어들인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목적지(Gi) 주위의 도로 패턴을 인식하고, 목적지(Gi)가 교차점 주위에서 교차로끼리 우회로(쇼트 컷 레인)를 통하여 접속된 교통섬의 내측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160에서 목적지(Gi)가 교통섬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후술하는 S240으로 이행하고, S160에서 목적지(Gi)가 교통섬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이어지는 S170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S170에서는, RAM(36)으로부터 다음의 목적지(Gi+1)의 위치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본 다음의 목적지(Gi+1)의 방위를 연산한다.
S170에서 다음의 목적지(Gi+1)의 방위가 연산되면 S180으로 이행하여, 그 연산된 방위와 S130에서의 경로 연산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차량의 교통섬으로의 진입 방위로부터, 다음의 목적지(Gi+1)가 교통섬의 교차점을 우회전한 방향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다음의 목적지(Gi+1)가 교차점의 우회전 방향에 있으면 다음의 목적지(Gi+1)로는 교통섬의 우회로(즉 우회전용의 쇼트 컷 레인)를 이용하여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기 때문에, S190으로 이행하여 목적지(Gi)를 교차점 바로 앞의 우회전용 쇼트 컷 레인 상에 설정한다(도3(a)에 도시한 G1′ 참조).
다음으로 S180에서 다음의 목적지(Gi+1)가 교차점의 우회전 방향에는 없다고 판단되면 S200으로 이행하여, S170에서 구한 다음의 목적지(Gi+1))의 방위와 S130에서의 경로 연산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차량의 교통섬으로의 진입 방위로부터 다음의 목적지(Gi+1)는 교통섬의 교차점을 좌회전한 방향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다음의 목적지(Gi+1)가 교차점의 좌회전 방향에 있으면 S210으로 이행하여, 목적지(Gi)를, 교통섬의 교차점을 좌회전한 교차로 상에 설정한다(도3(b)의 G1′ 참조).
또한 반대로, S200에서 다음의 목적지(Gi+1)는 교차점의 좌회전 방향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즉 다음의 목적지(Gi+1)는 교차점의 직진 방향에 있으며, 교통섬에서 차량을 진로 변경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S220으로 이행하여 목적지(Gi)를, 교차점(C)을 직진한 주행로 상에 설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S190, S210, 또는 S220에서 교통섬 내에 설정된 목적 지(Gi)의 위치가 재설정되면 S230으로 이행하여, 그 재설정된 목적지(Gi)의 위치에 기초해서 교통섬으로의 진입 경로로부터 그 목적지(Gi)에 이르는 교통섬 내에서의 주행 경로를 재연산하고, S130에서 연산한 목적지(Gi)까지의 주행 경로를 보정한다.
이렇게 S230에서 목적지(Gi)까지의 주행 경로가 보정되거나, 또는 S160에서 목적지(Gi)는 교통섬 내에 없다고 판단되면 S240으로 이행하여, 다음의 목적지(Gi+1)까지의 주행 경로를 연산하는 데 필요한 시점의 위치 데이터로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목적지(Gi)의 위치 데이터를 설정하고, 이어지는 S250에서 카운터(i)의 값을 인크리먼트(increment)(+1)한 후 다시 S120으로 이행한다.
이 결과 S120 이후의 처리에서는, 상기한 처리에 의해 이번에 설정한 주행 경로의 종점으로부터 다음의 목적지(G)까지의 주행 경로가 연산되고, 이 연산 동작은 최종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가 연산되기까지 실행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2에 도시한 주행 경로 설정 처리 중 S140 ∼ S160의 처리가 본 발명의 교통섬 판정 처리에 상당하고, S170 및 S180의 처리가 본 발명의 제1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상당하며, S200의 처리가 본 발명의 제2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상당하고, S130, S190, S210, S220 및 S230의 처리가 본 발명의 주행 경로 연산 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이 우측 통행하도록 규제되어 있는 나라 또는 지역에서의 운전자에 대한 주행 안내를 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주행 경로의 설정 순서를 설명했는데, 일본 국내와 같이, 차량이 좌측 통행하도록 규제되어 있는 나 라 또는 지역에서는 우회로(쇼트 컷 레인)는 좌회전용이 되기 때문에, 도2에 도시한 주행 경로 설정 처리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면 된다.
즉 쇼트 컷 레인이 좌회전용인 경우에는 S190에 있어서, 목적지(Gi)를, 교차점을 우회전하는 교차로 상에 설정하고, S210에 있어서, 목적지(Gi)를, 교차점 바로 앞의 좌회전용 쇼트 컷 레인 상에 설정하도록 도2에 도시한 주행 경로 설정 처리를 변경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네비게이션 장치(2)에 있어서는, 차량을 주행시킬 때의 목적지로서 복수의 목적지가 지정되고, 그 중의 통과 목적지가 교통섬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통과 목적지의 위치에 관계 없이, 교통섬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한 다음 목적지의 방위와 차량의 교통섬으로의 진입 방위로부터 차량을 교통섬에서 직진시켜야 하는지 우회전 또는 좌회전시켜야 하는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서 교통섬 내에서의 통과 목적지의 위치를 재설정하여 차량의 주행 경로를 확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네비게이션 장치(2)에 따르면, 목적지(통과 목적지)(G1)가 교통섬 내에 설정되어 있어도 다음의 목적지(G2)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C)의 우회전 방향에 위치할 때에는, 도3(a)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교통섬에 진입하기 바로 전에 우회로(우회전용 쇼트 컷 레인)(L)를 통하여 진로 변경하도록 주행 경로가 설정되게 되고, 종래와 같이, 차량이 교통섬의 교차점(C)을 직진하여 우회하도록 주행 경로(도3(a)에 점선으로 도시한 경로 참조)가 설정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네비게이션 장치(2)에 따르면, 목적지(통과 목적지)(G1)가 교통섬 내에서 교차점(C)을 직진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어도, 다음의 목적지(G2)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C)의 좌회전 방향에 위치할 때에는, 도3(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그 교차점(C)을 좌회전하도록 주행 경로가 설정되게 되고, 종래와 같이, 차량이 교통섬의 교차점(C)을 직진하여 우회하도록 주행 경로(도3(b)에 점선으로 도시한 경로 참조)가 설정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를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과 목적지가 교통섬 내에 지정된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통과 목적지의 위치에 관계 없이 차량을 교통섬으로부터 다음의 목적지로 최단으로 이동시키는 데 적합한 주행 경로를 설정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지정한 통과 목적지를 반드시 지날 필요가 있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불편함을 느끼는 일도 있다.
그래서 주행 경로 설정 처리에서는 교통섬 내에 설정된 목적지(Gi)의 위치를 다음의 목적지(Gi+1)의 방위에 따라서 변경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사용자가 목적지(Gi)의 위치 변경을 승인한 경우에 목적지(Gi)를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부터 변경하여 교통섬에서의 경로를 재계산하며, 사용자가 목적지(Gi)의 위치 변경을 승인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Gi)에 기초하여 설정한 경로 (즉 S130에서 연산된 경로)를 그대로 주행 경로로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는 데는, 도2에 도시한 주행 경로 설정 처리에 있어서, S180 또는 S200에서 제1 또는 제2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으로서의 판정 처리를 실행한 후, 교통섬에서의 경로를 재계산하는 S230의 처리로 이행하는 동안에 실행되는 처리(S190, S210, S220)를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하면 된다.
즉 도4에 도시한 주행 경로 설정 처리에서는 S180에서 다음의 목적지(Gi+1)가 교통섬의 교차점을 우회전한 방향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192로 이행하여, 교차점 바로 앞의 우회전용 쇼트 컷 레인 상에 목적지(Gi)의 변경 후보지(Gi′)를 설정하고, 이어지는 S194로 이행하여, 목적지(Gi)를 그 변경 후보지(Gi′)(여기에서는 우회전 쇼트 컷 레인 상의 변경 후보지(Gi′))로 변경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목적지 변경 안내 화상(도5(a) 참조)을 표시 장치(20)에 표시하는, 제1 선택 안내 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S196에서는, 표시 장치(20)에 표시한 목적지 변경 안내 화상(도5(a) 참조) 상에서 사용자가 목적지(Gi)의 변경을 허가하는 “예”를 선택했는지, 목적지(Gi)의 변경을 거부하는 “아니오”를 선택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Gi)를 변경 후보지(Gi′)로 변경하는 것을 승인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목적지(Gi)의 변경이 승인된 경우에는, S198에서, 변경 후보지(Gi′)(여기에서는 우회전 쇼트 컷 레인 상의 변경 후보지(Gi′))를 목적지(Gi)로서 재설정하는 제1 통과 목적지 변경 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 후, S230으로 이행하고, 반대로 목적지(Gi)의 변경이 거부된 경우에는, S230의 처리를 실행하는 일 없이 그대 로 S240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S180에서 다음의 목적지(Gi+1)는 교차점의 우회전 방향에는 없다고 판단되고, S200에서 다음의 목적지(Gi+1)는 교차점의 좌회전 방향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212로 이행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Gi)는 교차점을 좌회전하는 교차로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통과 목적지 위치 판정 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목적지(Gi)가 교차점을 좌회전하는 교차로 상에 있으면 S130에서의 경로 연산으로 이미 교차점을 좌회전하도록 주행 경로가 연산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그대로 S240으로 이행한다.
또한 반대로 목적지(Gi)가 교차점을 좌회전하는 교차로 상에 없으면 S214로 이행하여, 교차점을 좌회전하는 교차로 상에 목적지(Gi)의 변경 후보지(Gi′)를 설정하고, 이어지는 S194에서, 목적지(Gi)를 그 변경 후보지(Gi′)(여기에서는 교차점을 좌회전하는 교차로 상의 변경 후보지(Gi′))로 변경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목적지 변경 안내 화상(도5(b) 참조)을 표시 장치(20)에 표시하는, 제2 선택 안내 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S196에서는, 표시 장치(20)에 표시한 목적지 변경 안내 화상(도5(b) 참조) 상에서 사용자가 목적지(Gi)를 변경 후보지(Gi′)로 변경하는 것을 승인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목적지(Gi)의 변경이 승인된 경우에는, S198에서, 변경 후보지(Gi′)(여기에서는 교차점을 좌회전하는 교차로 상의 변경 후보지(Gi′))를 목적지(Gi)로서 재설정하는 제2 통과 목적지 변경 수단으로서의 처리 를 실행한 후 S230으로 이행하며, 반대로 목적지(Gi)의 변경이 거부된 경우에는, S230의 처리를 실행하는 일 없이 그대로 S240으로 이행한다.
한편 S180에서 다음의 목적지(Gi+1)가 교차점의 우회전 방향에는 없다고 판단되고, S200에서 다음의 목적지(Gi+1)가 교차점의 좌회전 방향에는 없다고 판단된 경우, 즉 다음의 목적지(Gi+1)는 교차점을 직진하는 방향에 있는 경우에는, S222로 이행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Gi)는 교차점을 직진하는 직진로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통과 목적지 위치 판정 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목적지(Gi)가 교차점을 직진하는 직진로 상에 있으면 S130에서의 경로 연산으로 이미 교차점을 직진하도록 주행 경로가 연산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그대로 S240으로 이행한다.
또한, 반대로 목적지(Gi)가 교차점을 직진하는 직진로 상에 없으면 S224로 이행하여, 교차점을 직진하는 직진로 상에 목적지(Gi)의 변경 후보지(Gi′)를 설정하고, 이어지는 S194에서, 목적지(Gi)를 그 변경 후보지(Gi′)(여기에서는 교차점을 직진하는 직진로 상의 변경 후보지(Gi′))로 변경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목적지 변경 안내 화상(도5(c) 참조)을 표시 장치(20)에 표시하는, 제3 선택 안내 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S196에서는, 표시 장치(20)에 표시한 목적지 변경 안내 화상(도5(c) 참조) 상에서 사용자가 목적지(Gi)를 변경 후보지(Gi′)로 변경하는 것을 승인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목적지(Gi)의 변경이 승인된 경우에는, S198에 서, 변경 후보지(Gi′)(여기에서는 교차점을 직진하는 직진로 상의 변경 후보지(Gi′))를 목적지(Gi)로서 재설정하는 제3 통과 목적지 변경 수단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 후 S230으로 이행하며, 반대로 목적지(Gi)의 변경이 거부된 경우에는, S230의 처리를 실행하는 일 없이 그대로 S240으로 이행한다.
이상과 같이 주행 경로 설정 처리에 있어서, 교통섬 내에 설정된 목적지(Gi)의 위치를 다음의 목적지(Gi+1)의 방위에 따른 변경 후보지(Gi′)로 변경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사용자가 목적지(Gi)의 위치 변경을 승인한 경우에 목적지(Gi)를 변경 후보지(Gi)로 변경하여 교통섬에서의 경로를 재계산하도록 하면, 사용자는 스스로가 지정한 통과 목적지(Gi)를 지나는 주행 경로를 설정시키는지, 다음의 목적지(Gi+1)에 최단 거리로 이동할 수 있는 주행 거리를 설정시키는지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장치의 사용 편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4는 도2에 도시한 주행 경로 설정 처리로부터의 변경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도2에 도시한 흐름도의 일부(S160에서 S240까지의 부분)를 발췌한 것이고, 다른 부분은 도2에 도시한 흐름도와 똑같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지도 데이터는 지도 데이터 입력 장치(18)를 통하여 CD-ROM, DVD-ROM,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로부터 읽어들이는 것으로서 설명했는데, 지도 데이터는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외부의 정보 센터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에 탑재되어 운전자에 대한 주행 안내를 행하는 네비게이션 장치(2)에 주행 경로 설정 장치로서의 기능을 넣은 것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이용하는 주행 경로 설정 전용의 장치로서 구성해도 되고, 또는 그 주행 경로 설정 기능을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도2에 도시한 주행 경로 설정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을 통과 목적지를 경유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주행시키는 주행 경로가 설정 가능한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 있어서, 교차점 주위에 진로 변경용의 우회로가 배치된 교통섬 내에 통과 목적지가 설정되어도 다음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 및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Claims (9)

  1. 주행 경로 설정용의 목적지로서, 차량의 최종 도달점인 최종 목적지와,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기까지 차량을 통과시켜야 할 통과 목적지를 지정할 수 있는 목적지 지정 수단;
    해당 목적지 지정 수단에 의해 상기 최종 목적지에 추가하여 상기 통과 목적지가 지정되면, 경로 탐색용의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통과 목적지를 경유하여 최종 목적지까지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경로를 연산하는 주행 경로 연산 수단;
    상기 목적지 지정 수단에 의해 상기 최종 목적지에 추가하여 상기 통과 목적지가 지정되면, 해당 통과 목적지가 교차점 주위에서 교차로끼리 접속하는 우회로(迂廻路)가 형성된 교통섬(traffic island)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교통섬 판정 수단; 및
    해당 교통섬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통과 목적지가 상기 교통섬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통과 목적지의 다음 목적지가 차량의 교통섬으로의 진입 방향에서 보아 상기 우회로를 지나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
    을 구비하고,
    해당 주행 경로 연산 수단은 해당 제1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교통섬 내에 존재하는 통과 목적지의 다음 목적지가 상기 우회로를 지나서 진로 변 경 가능한 방향에 있다고 판단되면 차량이 해당 우회로를 주행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하는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 연산 수단은,
    상기 제1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의해 다음 목적지가 우회로를 지나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상기 우회로 상으로 변경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제1 선택 안내 수단; 및
    해당 제1 선택 안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통과 목적지의 변경을 선택하면, 상기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상기 우회로 상으로 변경함으로써, 해당 주행 경로 연산 수단에 대하여 차량이 상기 우회로를 주행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시키는 제1 통과 목적지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섬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통과 목적지가 상기 교통섬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통과 목적지의 다음 목적지가 상기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 경로 연산 수단은 해당 제2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의해 다음의 목적지가 상기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다고 판단되면, 차량이 해당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다음의 목적지 방향으로 진로 변경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하는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 연산 수단은,
    상기 제2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의해 다음의 목적지가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가 해당 교차점에서 다음의 목적지 방향으로 진로 변경했을 때의 교차로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통과 목적지 위치 판정 수단;
    해당 제1 통과 목적지 위치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가 상기 교차로 상에 없다고 판단되면, 해당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해당 교차로 상으로 변경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제2 선택 안내 수단; 및
    해당 제2 선택 안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통과 목적지의 변경을 선택하면, 상기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상기 교차로 상으로 변경함으로써, 해당 주행 경로 연산 수단에 대하여 차량이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진로 변경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시키는 제2 통과 목적지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 연산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의해 부정 판정되면 차량이 교통섬 내의 교차점을 직진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하는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경로 연산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목적지 방향 판정 수단에 의해 부정 판정되면, 상기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가 해당 교통섬 내의 교차점을 직진했을 때의 직진로 상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통과 목적지 위치 판정 수단;
    해당 제2 통과 목적지 위치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가 상기 직진로 상에 없다고 판단되면, 해당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해당 직진로 상으로 변경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제3 선택 안내 수단; 및
    해당 제3 선택 안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통과 목적지의 변경을 선 택하면, 상기 교통섬 내의 통과 목적지를 상기 직진로 상으로 변경함으로써, 해당 주행 경로 연산 수단에 대하여 차량이 교통섬 내의 교차점을 직진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시키는 제3 통과 목적지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행 경로 설정 장치
    를 구비하고,
    해당 주행 경로 설정 장치에서 설정된 주행 경로에 따라서 주행 안내를 행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8. 차량의 주행 경로를 설정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최종 목적지에 추가하여 통과 목적지가 지정되면, 경로 탐색용의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을 상기 통과 목적지를 경유하여 상기 최종 목적지까지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 경로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통과 목적지가 교차점 주위에서 교차로끼리 접속하는 우회로(迂廻路)가 형성된 교통섬(traffic island)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통과 목적지가 상기 교통섬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통과 목적지의 다음 목적지가 차량의 교통섬으로의 진입 방향에서 보아 상기 우회로를 지나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섬 내에 존재하는 통과 목적지의 다음 목적지가 상기 우회로를 지나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다고 판단되면 차량이 해당 우회로를 주행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통과 목적지가 상기 교통섬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통과 목적지의 다음 목적지가 상기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다음 목적지가 상기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진로 변경 가능한 방향에 있다고 판단되면, 차량이 해당 교통섬 내의 교차점에서 다음의 목적지 방향으로 진로 변경하도록 주행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60115322A 2005-11-25 2006-11-21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 및 프로그램 KR100873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40703 2005-11-25
JPJP-P-2005-00340703 2005-11-25
JP2006206380A JP2007171161A (ja) 2005-11-25 2006-07-28 車両の走行経路設定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6-00206380 2006-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351A KR20070055351A (ko) 2007-05-30
KR100873147B1 true KR100873147B1 (ko) 2008-12-10

Family

ID=3827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322A KR100873147B1 (ko) 2005-11-25 2006-11-21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171161A (ko)
KR (1) KR100873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887B1 (ko) * 2008-03-04 2010-09-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안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1412A (ja) * 1990-01-17 1991-09-17 Hitachi Ltd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0193478A (ja) 1998-12-24 2000-07-14 Clarion Co Ltd ナビゲ―ション装置
KR20000070109A (ko) * 1997-01-14 2000-11-25 하기와라 가즈토시 차량 탑재용 네비게이션 장치
KR20040011946A (ko) * 2002-07-31 2004-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1412A (ja) * 1990-01-17 1991-09-17 Hitachi Ltd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00070109A (ko) * 1997-01-14 2000-11-25 하기와라 가즈토시 차량 탑재용 네비게이션 장치
JP2000193478A (ja) 1998-12-24 2000-07-14 Clarion Co Ltd ナビゲ―ション装置
KR20040011946A (ko) * 2002-07-31 2004-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887B1 (ko) * 2008-03-04 2010-09-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안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351A (ko) 2007-05-30
JP2007171161A (ja)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1497A (en) Navigation system for vehicles
EP0608113A2 (en) Navigation apparatus for vehicle
JP4748205B2 (ja) 経路設定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80065327A1 (en) Navigation device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
JP4487814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050159884A1 (en) Navigation apparatus
JPH1183518A (ja) 車両用走行経路案内装置
JP4442290B2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858150B1 (ko)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JP438001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記録媒体
US6636806B1 (en) Guide display method in on-vehicle navigator
KR100873147B1 (ko) 차량의 주행 경로 설정 장치, 네비게이션 장치 및 프로그램
JP2008045933A (ja) 車両用道路地図表示装置
JPH11311535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記憶媒体
JP381821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61378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S63163210A (ja) 自動車ナビゲ−シヨンシステム
JP200606466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5142996A (ja) ナビゲーシヨン装置
JP4313600B2 (ja) 経路案内装置
JP4775107B2 (ja) 車両用経路案内装置
JP200220214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41430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044991B2 (ja) 走行位置表示装置
JPH0875492A (ja) 車両の経路誘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