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936B1 -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936B1
KR100872936B1 KR1020067027114A KR20067027114A KR100872936B1 KR 100872936 B1 KR100872936 B1 KR 100872936B1 KR 1020067027114 A KR1020067027114 A KR 1020067027114A KR 20067027114 A KR20067027114 A KR 20067027114A KR 100872936 B1 KR100872936 B1 KR 100872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washing
delete delete
disinfection
disinf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769A (ko
Inventor
도시아끼 노구찌
에이리 스즈끼
마사노리 고오쪼
히사시 구로시마
히또시 하세가와
사또시 이또야
아끼오 오가와
노리아끼 이또오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936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61B1/12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using wash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61B1/12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using fluid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A61B2090/701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for flexible tubular instruments, e.g.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의 세척 소독조(4)에, 내시경 본체(101)의 커넥터부(105a)에 접합하는 내시경 접속부(31)를 설치하는 동시에, 내시경 본체(101)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접속하는 받침 측 접속용 금속 부재(36a 내지 39a)를 마련한다. 내시경 본체(101)를 세척 소독할 때에는 커넥터(105a)를 내시경 접속부(31)에 소정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대향 설치시킨 후, 스위치를 온하면, 내시경 접속부(31)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석이 여자되고, 발생한 자력에 의해 커넥터부(105a)를 흡착 고정한다.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 세척 소독조, 내시경 본체, 커넥터부, 관로, 내시경 접속부

Description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ENDOSCOPE CLEANING AND DISINFECTING SYSTEM}
본 발명은, 사용한 내시경을 자동적으로 세척 소독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에 의해 세척 소독되는 내시경, 및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강 내의 검사나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내시경은, 체강 내에 삽입하는 삽입부의 외측 표면뿐만 아니라, 송기 송수관로, 흡인관로, 또는 겸자관로 등의 각 내시경 관로 내에도 오물이 부착된다. 그로 인해, 다 사용한 내시경은 반드시 세척, 소독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세척 소독 장치를 이용해서 내시경의 세척 처리, 및 소독 처리를 행할 경우, 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2-263066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세척 소독조 내에 다 사용한 내시경을 세트하는 동시에, 세척 소독 장치 측과 내시경에 개구하는 관로 접속구를 세척 튜브를 거쳐서 접속한다.
계속해서, 처리 개시 스위치를 온(ON)한다. 그러면, 처음에 세척 공정이 개시되고, 이어서 소독 공정이 개시된다.
세척 공정에서는, 우선 세척 소독조 내에 세척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이 세척수가 소정 수위에 이른 후, 세척이 개시된다. 세척수는 순환하고 있으며, 그 수류에 의해 내시경의 외측 표면이 세척된다. 또한, 각 내시경 관로 내는, 세척 소독조 내의 세척수를 순환 펌프로 흡인하여, 순환 펌프로부터의 토출되는 수압으로 세척이 행해진다.
그리고, 세척 공정이 종료되면, 소독 공정으로 이행하지만, 그 전에, 수돗물로 세척수를 씻어 버린다. 소독 공정으로 이행하면, 상술한 세척 공정에 있어서 공급한 세척수 대신에, 소정의 농도로 엷게 한 소독액을 세척 소독조에 공급하는 동시에, 순환 펌프에 의해, 세척 소독조 내의 소독액을 흡인하고, 그곳으로부터 토출되는 수압에 의해 내시경 관로 내에 소독액을 공급한다. 내시경 관로 내에 소독액이 공급된 후는, 내시경을 소독액에 잠시동안 침지해서 소독한다. 소독 공정이 소정 종료된 후, 수돗물로 소독액을 씻어 버리고, 그 후에 내시경을 건조시키고, 일련의 공정이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시경의 세척, 소독은 내시경 외측 표면뿐만 아니라, 내시경 관로 내도 행해야만 하므로, 내시경을 세척 소독조에 세트할 때에는, 내시경 내의 모든 관로에 대하여 세척 튜브를 접속할 필요가 있다.
세척 튜브의 접속은, 내시경 측에 개구하는 각 관로 접속구에 세척 튜브의 한쪽을 각각 접속하고, 이 세척 튜브의 다른 쪽을, 각 관로 접속구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는, 세척 소독 장치 측의 세척 튜브 커넥터에 접속해야만 해, 관로수가 많을 경우, 접속에 수고가 들어 세척 소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그 만큼, 내시경의 가동률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척 소독을 시작하기 전에, 내시경 외측 표면의 누수 체크를 행할 경우에는, 세척용 튜브 이외에 누수 체크용 튜브의 접속도 필요해져, 튜브의 접속수가 점점 증가한다.
또한, 세척 튜브의 접속 작업은 사람에게 의존하는 것이므로, 접속하는 튜브수가 증가하면, 그만큼, 접속 잊음을 없애기 위해 접속 작업이 신중해지고, 또한 정확하게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시간도 필요해져, 접속 작업이 점점 번잡화, 장시간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시경의 내부에는, 송기 송수관로, 겸자구 등 복수의 관로를 갖고 있다. 이들 관로, 즉 채널 내는, 충분히 세척액 및 소독액이 통과하여, 확실하게 세척 및 소독이 될 필요가 있다. 내시경의 각종 채널과 복수의 접속 튜브의 각각의 접속부에는, 채널 내에 흐르는 세척액 등이 소정의 유속이나 유량을 얻기 위해, 소정의 접속 강도가 필요하며, 내시경의 각종 채널에 대하여 세척액 등이 공급되는 접속 튜브를 확실하게 밀착 상태로 해야만 해, 그 접속은 사용자의 작업에 맡기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내시경의 각종 관로의 막힘 검출, 내시경 내부의 누수 검출 등의 기능 체크, 배터리 충전량의 체크 등을 수동으로 행해야만 한다. 즉, 내시경의 각종 기능 체크의 정밀도는, 사용자에게 맡기게 되어, 그 정밀도는 균일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내시경에는 내장되는 각종 기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배터리 유닛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배터리 유닛을 구비하는 내시경 본체에 있어서는, 내시경 검사 중에 내시경 본체에 내장되는 각종 기기에 충분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충분한 배터리 유닛의 충전이 행해져야만 한다. 이 배터리 유닛에의 충전 작업은, 별개의 부재의 충전기 등에 내시경 본체를 접속 등 하여 행해야만 한다. 충전기에 내시경 본체를 접속하는 작업이 필요해지고, 또한 충전 시간도 필요해지므로, 내시경의 가동률이 낮아지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세척 소독 시에, 내시경에 마련한 각 관로 등에 대한 접속을 쉽게 하고, 장치 측과 내시경과의 접속을 단시간에, 게다가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시경의 세척 및 소독을 행할 때,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에 세트된 내시경의 각종 채널에 세척액 등을 공급하는 접속관을 확실하게 밀착 상태로 해서, 세척액 등을 각종 채널에 공급할 수 있는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시경 본체의 배터리 유닛에 대하여 충전을 행할 수 있고, 내시경의 각종 기능 체크의 정밀도가 향상되는 내시경용 세척 소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은, 내시경과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로 구성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이며, 상기 내시경 측에 마련된 커넥터부와,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에 있어서의 세척 소독조에 고정 설치된 내시경 접속부를 구비하고, 내시경 세척 소독 시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과 상기 내시경 접속부를 직접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은, 내시경과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로 구성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이며, 상기 내시경 측에 마련되어, 상기 내시경의 본체와 유니버설 코드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부와,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에 있어서의 세척 소독조에 고정 설치된 내시경 접속부를 구비하고, 내시경 세척 소독 시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의 본체로부터 상기 유니버설 코드를 이탈시켜서, 상기 내시경의 본체와 상기 내시경 접속부를 직접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은, 내시경 본체와 상기 내시경 본체를 세척 소독하는 세척 소독 장치의 쌍방에, 쌍방향 무선 통신 가능한 정보 전달 수단과, 전기적으로 비접촉 상태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은,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 전원 수단과, 상기 배터리 수단과 접속되는 전기적으로 비접촉 상태에서 전력을 전송하는 내시경 측 전력 전송 수단을 구비하는 내시경 본체와, 상기 내시경 본체의 세척 및 소독을 행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는, 전기적으로 비접촉 상태에서 전력을 전송하는 장치 측 전력 전송 수단을 갖고, 상기 장치 측 전력 전송 수단이 상기 내시경 측 전력 전송 수단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전원 수단에 전력이 공급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내시경은, 체강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전방 측에 마련된 조작부를 갖는 내시경 본체에, 유니버설 코드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에 있어서의 세척 소독조에 있어서 고정 설치한 내시경 접속부에 직접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는, 체강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전방 측에 마련된 조작부를 갖는 내시경 본체에, 유니버설 코드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한 커넥터부를, 직접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내시경 접속부를 세척 소독조에 있어서 고정 설치해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는, 세척조 내에 세트된 내시경의 세척 및 소독을 행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이며, 적어도 세척액이 공급되는 접속관과, 상기 세척조 내에 세트된 상기 내시경의 채널구의 방향으로, 상기 접속관을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접속관과 상기 채널구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이며,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접속관과 상기 채널구 사이의 밀봉 상태와 비밀봉 상태를 형성 가능한 제1 인공 근육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2는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3은 상기 도2의 우측면도이다.
도4는 상기 도1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5는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6은 상기 세척 소독조의 평면도이다.
도7은 상기 도6의 VII-VII 단면 개략도이다.
도8은 상기 도6의 VIII-VIII 단면 개략도이다.
도9는 상기 내시경 본체를 세트한 상태의 세척 소독조의 평면도이다.
도10은 상기 도9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11은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내부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12는 상기 내시경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13은 상기 도12의 XIII부 확대도이다.
도14는 상기 세척 소독 실행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5는 상기 세척 소독 실행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계속)이다.
도16은 상기 각종 기능 체크 실행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캡슐형 내시경 본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18은 상기 세척 소독조의 평면도이다.
도19는 상기 캡슐형 내시경 본체를 세트한 상태의 세척 소독조의 평면도이다.
도20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1은 상기 관로 자동 접속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22는 상기 내시경의 채널구와 2개의 접속관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이다.
도23은 상기 작동기가 신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4는 상기 작동기가 신장한 상태에서, 패킹이 외주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5는 상기 작동기가 신장한 상태에서, 패킹이 외주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6은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7은 상기 인공 근육 부재인 패킹을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8은 상기 세척 소독 공정의 처리의 흐름의 예를 게시하는 흐름도이다.
도29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작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30은 상기 작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31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채널구와 접속관의 밀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32는 상기 채널구와 접속관의 밀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33은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34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 내시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5는 상기 세척 소독조에 내시경이 세트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36은 상기 세척 소독조 및 내시경의 각 커넥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37은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장치 측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38은 상기 배터리 유닛과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39는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40은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41은 상기 내시경 본체의 각종 기능 체크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42는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세척 소독조에 내시경이 세트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43은 상기 내시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4는 상기 세척 소독조 및 내시경의 각 커넥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45는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장치 측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46은 상기 스코프 측 전원 제어 회로와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47은 상기 배터리 유닛과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 는 블럭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를 설명한다. 도1 내지 도16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1 내지 도3에는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평면도, 정면도, 및 도2의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는 장치 본체(2)와, 그 상부를 개폐하는 탑 커버(3)를 갖고 있으며, 장치 본체(2)의 상면(이하, 「본체 상면」이라 칭함)(2c)에 세척 소독조(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세척 소독조(4)는, 내시경(100)(도12 참조)의 본체(이하, 「내시경 본체」라 칭함)(101)를 세트하고, 이 내시경 본체(101)를 세척 소독하는 것이다.
또한, 본체 상면(2c)의 배면측 각부(도면에 있어서는 우각부)에, 급수 밸브를 겸용하는 급수 커넥터(5)가 마련되어 있다. 도1,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커넥터(5)는 장치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수도 마개에 급수 호스(6)를 거쳐서 접속된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의 하부에 배수 호스(7)를 지지하는 배수 브래킷(8)이 배치되어 있다. 배수 브래킷(8)은 급수 커넥터(5)와 동일한 중심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회전 중심에, 장치 본체(2) 내부에 배관되어 있는 배수 통로(도시 생략)의 단부가 접속되고, 이 배수 통로와 배수 호스(7)가 배수 브래킷(8)을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또한, 급수 커넥터(5)와 배수 브래킷(8)이 설치되어 있는 장치 본체(2)의 배면각부의 측면 도중에 모따기부(2a, chamfering)가 형성되어 있고, 이 모따기부(2a)로부터 외부의 AC 콘센트(81)(도5 참조)에 접속되는 전원 코드(9)가 연장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 내부에는 액체 세제를 저장하는 세제 탱크(11), 소정 농도로 희석된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 탱크(12), 알코올을 저장하는 알코올 탱크(13), 수도 마개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여과하는 물 필터(14), 및 에어 필터(15)가 설치되어 있다. 소독액 탱크(12)는 장치 본체(2) 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부호 12a는 소독액 드레인구이며, 통상은 밸브가 폐쇄되어 있다.
또한, 세제 탱크(11), 알코올 탱크(13), 물 필터(14), 에어 필터(15)는 각각 트레이(11a, 13a 내지 15a)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각 트레이(11a, 13a 내지 15a)는 장치 본체(2)의 전방면 도어(2b)를 해방함으로써,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소정의 액체를 보충하고, 또는 부품을 교환할 수 있다.
소독액 탱크(12)에 소독액을 보충할 때에는, 장치 본체(2)의 전방면 도어(2b)를 해방하고, 장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보틀(bottle) 커넥터(16)에 대하여, 소독액이 충전되어 있는 소독액 보틀(bottle)(17)을 접속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그때, 희석 밸브(18)를 거쳐서 물 필터(14)에 의해 여과된 수돗물이 소독액 탱크(12)에 공급된다. 따라서, 소독액 탱크(12)에는 소정 농도로 희석된 소독액이 저장된다. 한편, 도5에는 각 트레이(11a, 13a 내지 15a)가 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6에는 본체 상면(2c)이 탑 커버(3)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체 상면(2c)에 설치되어 있는 세척 소독조(4)는, 내시경 본체(101)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4a)가 가로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 오목부(4a)의 외주벽면, 및 내주벽면에 고압 노즐(19)이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4a)의 바닥면에 배수구(2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4a)의 외주벽면의 일측에 순환구(2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 상면(2c)의 급수 커넥터(5)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각부에 세제 노즐(22), 소독액 노즐(23), 급수·순환 노즐(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상면(2c)의 전방면 측에, 조작 패널(25), 액정 장치 등을 이용한 모니터(26)가 설치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제 노즐(22)은 세제 탱크(11)에 세제 펌프(27)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으며, 또한 소독액 노즐(23)은 약액 펌프(28)를 거쳐서 소독액 탱크(12)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급수·순환 노즐(24)은 3방 절환 밸브(29)를 거쳐서 물 필터(14)와 유액 펌프(30)에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수·순환 노즐(24)이 3방 절환 밸브(29)를 거쳐서 물 필터(14) 측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급수·순환 노즐(24)로부터 물 필터(14)에 의해 여과된 수돗물이 토출된다. 한편, 급수·순환 노즐(24)이 3방 절환 밸브(29)를 사이에 두고 유액 펌프(30)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순환구(21)로부터 도입된 수용 오목부(4a)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 또는 소독액이 토출되어서 순환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급수·순환 노즐(24)과 3방 절환 밸브(29) 사이에 고압 노즐(19)이 고압 펌프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이 고압 노즐(19)로부터도 급수·순환 노즐(24)과 같은 액체(수돗물,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출된다. 이 고압 노즐(19), 및 급수·순환 노 즐(24)로부터 토출되는 액체에 의해 수용 오목부(4a) 내에 수류가 발생하고, 이 수류에 의해 내시경 본체(101)의 외측 표면이, 세척 공정에 있어서는 세척되고, 헹굼 공정에 있어서는 세척액, 또는 소독액이 씻겨진다.
여기에서, 도12, 도13을 참조하여, 본 형태에서 채용하는 내시경(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100)은 내시경 본체(101)와 유니버설 코드(102)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 부품(101, 102)은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니버설 코드(102)는 디스포저블 타입이며, 내시경 검사 종료마다 폐기된다. 따라서, 세척, 소독을 요하는 부분은 내시경 본체(101)뿐이다.
내시경 본체(101)는 전방 측의 조작부(104)와, 이 조작부(104)로부터 연장되는 내시경 삽입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내시경 삽입부(105)의 전방 측에는 본체 측의 스코프 커넥터부(105a)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유니버설 코드(102)의 기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코드 측 커넥터부(102a)가 접속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코프 커넥터부(105a)와 코드 측 커넥터부(102a)는 훅 등을 거쳐서 기계적으로 끼워 맞춤 고정된다.
내시경 본체(101)의 내시경 삽입부(105)에는, 내시경 관로를 대표하는 송기관로(106), 송수관로(107), 부 송수관로(108), 흡인관로(109) 등이,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로부터 선단부 측에 설치되어, 선단부 면(내시경 선단부 면)에 개구되어 있다. 한편, 송기관로(106)와 송수관로(107)는 선단부 측의 도중에 있어서 집합되어서 내시경 선단부 면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는, 각 관로(106 내지 109)의 기단부에 연통하는 접속구로서의 관로 접속용 금속 부재(106a 내지 109a)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각 관로 접속용 금속 부재(106a 내지 109a)에, 유니버설 코드(102)의 관로 커넥터 받침부(102a)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용 금속 부재(126a 내지 129a)가 각각 접속된다. 이 각 접속용 금속 부재(126a 내지 129a)에, 유니버설 코드(102) 내에 설치된 관로(126 내지 129)의 기단부 측이 접속되어 있다. 이 각 관로(126 내지 129)의 선단부 측은, 유니버설 코드(102)의 연장 단부 측에 마련한 스코프 커넥터부(102b)에 개구되어 있다. 한편, 관로 커넥터 받침부(102a)에는 흡인관로(109)에 연통하는 관로(129)에 분기 접속하는 겸자구(110)가 개구되어 있으며, 이 겸자구(110)가 겸자 마개(110a)에 의해 폐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니버설 코드(102)에 마련한 스코프 커넥터부(102b)는, 도시하지 않은 내시경 제어 유닛에 접속된다. 내시경 제어 유닛에는, 내시경(100)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나, 송기관로(106)(106b), 송수관로(107)(107b)에 송기, 송수하기 위한 절환 밸브, 부 송수관로(108)(108b)에 송수하기 위한 밸브, 흡인관로(109)(109b)에 부압을 공급하기 위한 밸브 등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내시경(100)의 선단부 면에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CCD 등으로 이루어지는 촬상 수단으로서의 촬상 소자(111), 피사체를 조명하는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명 수단으로서의 조명 소자(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양 소자(111, 112)가, 조작부(104)에 준비한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 접속되어 있다.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는 전원 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조명 소자(112) 에 광원용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는, 촬상 소자(111)로 촬상한 화상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영상 처리 수단으로서의 영상 처리부, 및 조작 신호 입력부, 및 기종 번호 등의 스코프 개체 정보, 인식 정보, 수리, 세척 회수 등의 각종 이력 정보 등, 해당 내시경 본체(101)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서의 판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등을 갖는다.
조작부(104)의 외주에는, 내시경 선단부를 만곡 조작하는 트랙 볼(114), 송기·송수를 대표로 하는 각종 조작을 행하는 스코프 스위치(115a 내지 115c) 등의 각 조작 스위치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각 조작 스위치류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 마련한 조작 신호 입력부에 입력된다.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는, 촬상 소자(111)로 촬상한 화상 신호, 및 각 조작 스위치류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조작부(104)에 내장하는 송수신 안테나(116)를 거쳐서, 내시경 제어 유닛에 무선 송신한다. 내시경 제어 유닛에서는,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모니터(도시 생략)에 내시경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각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각 관로[106(106b) 내지 109(109b)]에 연통하는 밸브를 동작시켜서, 송기·송수 등의 제어 동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각 관로[106(106b) 내지 109(109b)]에 대한 송기·송수 등의 제어 동작은, 내시경 제어 유닛에 마련한 밸브로 행해지므로, 내시경 본체(101)에 설치되어 있는 각 관로(106 내지 109)에는, 밸브나 이것을 동작시키는 기구가 내장되어 있지 않으며, 게다가 유니버설 코드(102)가 내시경 본체(101)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 관로(106 내지 109)는 거의 스트레이트형의 배관이 된다.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 마련한 전원 회로에 대한 전력은, 유니버설 코드(102)를 거쳐서 내시경 제어 유닛에 마련한 전원부(도시 생략)로부터 공급된다. 유니버설 코드(102)의 스코프 커넥터부(102b)에는 2차 측 송수신 코일(117a)이 마련되어, 이 2차 측 송수신 코일(117a)에 대하여 전자 유도 결합하는 1차 측 송수신 코일(도시 생략)이 내시경 제어 유닛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유니버설 코드(102)의 관로 커넥터 받침부(102a)에는, 2차 측 송수신 코일(117a)에 접속하는 1차 측 송수신 코일(117b)이 마련되고, 이 1차 측 송수신 코일(117b)에 전자 유도 결합하는 2차 측 송수신 코일(118)이, 내시경 본체(101)의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회로에는 내시경 제어 유닛측으로부터 비접촉 상태에서 전력이 전송된다.
또한,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는, 누수 검지용 접속구로서의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가 마련되어 있다. 이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는 내시경 본체(101) 내에 연통되어 있으며,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로부터 에어를 보내줌으로써 내압을 높여, 그 누설 상태로부터 내시경 본체(101)의 외측 표면에 작은 구멍, 균열 등이 형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또한, 조작부(104) 내에 내압 검출 수단으로서의 압력 센서(120)가 설치되어 있다.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서는 압력 센서(120)로 검출한 내시경 본체(101)의 내압에 의거하여 내시경 본체(101) 내에 누수, 즉 균열 등에 의한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또한,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상태 검출 수단으로서의 관로 센서(121)가 설치되어 있다. 관로 센서(121)는 유량 센서, 압력 센서, 투명도 센서 등, 각 관로(106 내지 109)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의 총칭이며, 각 센서에 의해 각 관로(106 내지 109) 내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 압력, 투명도를 검출한다.
한편, 도5,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에 마련한 세척 소독조(4) 중 한쪽에, 내시경 본체(101)에 마련한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접속하는 내시경 접속부(31)가 설치되고, 또한 도6,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본체(101)에 마련한 송수신 안테나(116)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또는 이 송수신 안테나(116)에 대하여 송신하는 장치 측 송수신 안테나(32)가 마련되어 있다.
내시경 접속부(31)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유니버설 코드(102)에 설치되어 있는 관로 커넥터 받침부(102a)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접속부(31)의 선단부 면에, 접수 측 접속구로서의 받침 측 접속용 금속 부재(36a 내지 39a, 40)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내시경 본체(101)의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설치되어 있는 2차 측 송수신 코일(118)에 전자 유도 결합하는 1차 측 송수신 코일(33)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내시경 본체(101)의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 마련한 전원 회로에 대해서는, 장치 본체(2) 측으로부터 전력이 비접촉 상태로 전송된다.
또한, 내시경 접속부(31)에 마련한 각 받침 측 접속용 금속 부재(36a 내지 39a, 40)는, 내시경 본체(101)의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설치되어 있는 각 관로 접속용 금속 부재(106a 내지 109a), 및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를 내시경 접속부(31)에 접속하면,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 측의 각 받침 측 접속용 금속 부재(36a 내지 39a, 119)가 내시경 접속부(31)의 받침 측 접속용 금속 부재(36a 내지 39a, 40)에 접합된다. 이 내시경 접속부(31)에는, 착탈 수단으로서 전자석 유닛(56)(도11 참조)이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의 각 접속용 금속 부재(106a 내지 109a, 119)를 내시경 접속부(31)의 받침 측 접속용 금속 부재(36a 내지 39a, 40)에 접합하고, 소정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장치 본체(2)의 조작 패널(25)에 설치되어 있는 스타트 스위치(도시 생략)를 온하면, 전자석 유닛(56)의 전자석(56b)이 여자되어,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가 내시경 접속부(31)에 흡착 고정된다. 한편, 본 형태에서는 내시경 접속부(31)의 착탈 수단을 전자석 방식으로 하고 있지만, 공기압을 이용하거나, 기계적 이동 수단을 이용한 착탈 수단이라도 좋다.
각 받침 측 접속용 금속 부재(36a 내지 39a)에는, 1개의 세척 소독 튜브(41a)가 분기 접속되어 있으며, 이 세척 소독 튜브(41a)가 사방 밸브로 이루어지는 채널 블록(42)의 토출구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채널 블록(42) 중 3개로 분기되어진 각 유입구에는, 순환구(21)와 알코올 탱크(13)와 압축기(44)가 각각 연통되어 있다. 또한, 순환구(21)와 채널 블록(42) 사이에 순환구(21)로부터 유체(수돗물, 세척수, 소독액)를 흡인하는 채널 펌프(43)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알코올 탱크(13)와 채널 블록(42) 사이에, 유로를 개폐하는 알코올 밸브(45)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44)와 채널 블록(42) 사이에 에어 필터(15)가 개재되어 있다.
채널 블록(42)을 바꾸어 동작시켜서, 각 유입구를 토출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통시킴으로써, 각 받침 측 접속용 금속 부재(36a 내지 39a)로부터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수돗물, 세척수, 소독액), 또는 알코올 탱크(13)에 저장되어 있는 알코올, 또는 압축기(44)로부터의 에어가 공급된다.
한편, 접속용 금속 부재(40)에는 누수 검지 튜브(41b)를 거쳐서 누수 검지 펌프(46)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누수 검지 튜브(41b)에 마감 차단 밸브(47)가 개재되어 있다. 내시경 본체(101)의 외측 표면에 작은 구멍, 균열 등이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할 때에는, 우선 마감 차단 밸브(47)를 해방하고, 누수 검지 펌프(46)로부터의 에어를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를 거쳐서 내시경 본체(101)의 내부에 공급하여, 내압을 소정으로 향상시킨다. 그 후에 마감 차단 밸브(47)를 폐쇄 밸브시켜서, 내시경 본체(101)에 내압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그 사이의 내시경 본체(101)의 내압의 변화로부터, 내시경 본체(101)의 외측 표면에 작은 구멍, 균열 등이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이 내압의 변화는, 내시경 본체(101)에 마련한 압력 센서(120)로 검출한다. 한편, 부호 48은 배기 밸브이며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누수 검지 펌프(46) 및 압축기(44)로부터의 에어를 외부로 릴리프할 수 있다.
또한, 세척 소독조(4)에는 초음파 진동자(49), 급수관로 소독용 커넥터(50), 세척 케이스(51) 등이 소정 설치되고, 또한 배수구(20)에 절환 밸브(52)가 설치되어 있다. 초음파 진동자(49)는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는 세척수, 또는 수돗물에 진동을 주어, 내시경 본체(101)의 외측 표면을 초음파 세척, 또는 헹구는 것이다. 급수관로 소독용 커넥터(50)는, 이것에 소독액 노즐(23)을 호스 등을 거쳐서 접속 하고, 물 필터(14)에 연통하는 급수관에 소독액을 공급하고, 이 급수관을 소독하는 것이다. 또한, 세척 케이스(51)는, 이것에 내시경 본체(101)의 각 스코프 스위치(115a 내지 115c)의 버튼 등, 내시경 본체(101)에 병설되어 있는 제거 가능한 부품을 수용하여, 내시경 본체(101)와 함께 세척, 소독 시키는 것이다.
또한, 배수구(20)에 설치되어 있는 절환 밸브(52)는, 배수 시의 배수로를 바꾸는 것으로, 세척 소독조(4)에 수돗물 또는 세척수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수구(20)를 배수 호스(7) 측에 연통시켜, 그대로 배수시킨다. 한편, 세척 소독조(4)에 소독액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수구(20)를 소독액 탱크(12) 측에 연통시켜서, 소독이 끝난 소독액을 소독액 탱크(12)로 회수한다. 따라서, 소독액은 반복하여 이용된다.
장치 내의 각 밸브의 절환 동작은, 장치 본체(2)에 내장되어 있는 장치 측 제어 회로(53)에 의해 제어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측 제어 회로(53)의 입력 측에는, 각 센서류를 포함하는 센서계(130), 및 장치 측 송수신 안테나(32)에 접속하는 송수신 유닛(54) 등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출력 측에, 1차 측 송수신 코일(33)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55), 전자 유닛(56), 각종 펌프, 및 각 밸브 등의 구동계(131), 내시경상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26), 조작 패널(25) 등이 접속되어 있다. 전자석 유닛(56)은, 전자석(56b)과, 이 전자석(56b)을 여자하는 스코프 착탈 제어 회로(56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장치 측 제어 회로(53)에는 센서 제어 회로(57), 영상 처리 회로(58), 스코프 메모리 R/W 회로(59)가 마련되어 있다. 센서 제어 회로(57)는, 송수신 유 닛(54)으로 수신한 내시경 본체(101)로부터 송신된, 화상 정보, 센서 정보, 내시경 본체(101)의 기종 번호 등의 스코프 개체 정보, 인식 정보, 수리 이력, 세척 회수 등의 이력 정보를 수신해 처리한다.
영상 처리 회로(58)는, 화상 정보를 신호 처리해서 모니터(26)에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여, 모니터(26)에 내시경상을 표시시킨다. 한편, 세척, 소독 중에 내시경상을 모니터(26)로 확인함으로써, 촬상 소자(11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스코프 메모리 R/W 회로(59)는, 내시경 본체(101)의 스코프 개체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정보를 모니터(26)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메모리 소자에 기억한다. 또한, 스코프 메모리 R/W 회로(59)에서는, 금회의 세척, 소독의 일시 등의 정보를 송수신 유닛(54)을 거쳐서 내시경 본체(101) 측에 송신하고, 내시경 본체(101)의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 소자에 기입한다. 한편, 모니터(26)에는 내시경상, 스코프 개체 정보 이외에, 세척 남은 시간, 소독 남은 시간 등, 세척, 소독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조작 패널(25)에는 스타트 스위치 이외에, 모드 선택 스위치 등의 설정 스위치류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에 의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를 이용하여, 다 사용한 내시경(100)을 세척, 소독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내시경 검사를 종료한 다 사용한 내시경(100)은, 우선 디스포저블 타입의 유니버설 코드(102)의 관로 커넥터 받침부(102a)를, 내시경 본체(101)의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로부터 떼어, 소정 폐기 처리한다. 그 후에 내시경 본체(101) 를, 베드 사이드에서 예비 세척한다.
계속해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를 이용한 본 세척을 행한다. 본 세척을 행할 때에는, 우선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의 탑 커버(3)를 개방하여, 장치 본체(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세척 소독조(4)에 내시경 본체(101)를 세트한다. 한편, 세척 소독조(4)의 수용 오목부(4a)의 바닥면에는 보유 지지망(도시 생략)이 부설되어 있다.
내시경 본체(101)를 세척 소독조(4)에 세트할 때에, 내시경 본체(101)의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를, 세척 소독조(4)의 외주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내시경 접속부(31)에 부설시킨다. 내시경 접속부(31)는 기본적으로 유니버설 코드(102)의 관로 커넥터 받침부(102a)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서로 접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세척 소독조(4)에 내시경 본체(101)를 소정 세트한 후, 전원 스위치를 온한다. 그러면, 장치 본체(2)에 내장되어 있는 장치 측 제어 회로(53)에 전원이 투입되어, 장치 측 제어 회로(53)에서는, 도14, 도15에 나타내는 세척 소독 실행 루틴이 기동된다.
이 루틴에서는, 우선 스텝 S1에서, 스타트 스위치의 입력 대기 상태가 되어, 스타트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 스텝 S2로 진행된다.
스텝 S2에서는, 내시경 접속부(31)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석 유닛(56)에 대하여 여자 신호를 출력한다. 전자석 유닛(56)은 여자 신호를 따라 스코프 착탈 제어 회로(56a)가 전자석(56b)을 여자하고, 전자석(56b)에 발생한 자력에 의해, 내시경 본체(101)의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를 흡착시켜,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를 내시경 접속부(31)에 접속한다. 그 결과,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설치되어 있는 각 관로 접속용 금속 부재(106a 내지 109a), 및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가, 내시경 접속부(31)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측 접속용 금속 부재(36a 내지 39a, 40)에 자동적으로 접합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내시경 본체(101)를 세척 소독조(4)에 세트할 때에, 튜브를 이용해서 각 관로(106 내지 109)와,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 측의 세척 소독용 관로를 튜브 등을 거쳐서 일일이 접속할 필요가 없어 접속에 요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 미스나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그 후에 스텝 S3으로 진행되어, 내시경 접속부(31)에 설치되어 있는 1차 측 송수신 코일(33)에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을 공급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본체(101)의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와 내시경 접속부(31)에는, 전자 유도 결합을 이용한 전력 전송 수단을 구성하는 1차 측 송수신 코일(33)과 2차 측 송수신 코일(118)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1차 측 송수신 코일(33)로부터 2차 측 송수신 코일(118)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전력이 전송된다.
2차 측 송수신 코일(118)로 전송된 전력은,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 마련한 전원 회로에서 소정 정류해서 전원 전압을 생성하고, 이 전원 전압에 의해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를 기동시킨다. 그러면,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와 장치 본체(2)에 수용되어 있는 장치 측 제어 회로(53)가, 송수신 안테나(116, 32)를 거 쳐서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스텝 S4로 진행되어,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의 메모리 소자에 기억되어 있는 내시경(100)의 기종 번호 등의 스코프 개체 정보, 수리 이력, 세척 횟수 등의 각종 이력 정보를, 송수신 안테나(32, 116)를 거쳐서 무선 통신에 의해 판독하여, 그 정보를 장치 본체(2)에 마련한 장치 측 제어 회로(53)의 스코프 메모리 R/W 회로(59)가 메모리 소자(도시 생략)에 기억시킨다.
그 후에 스텝 S5로 진행되어, 급수를 시작한다. 급수를 시작할 때에는, 우선, 3방 절환 밸브(29)를 동작시켜, 급수·순환 노즐(24)을 물 필터(14) 측에 접속시킨다. 그러면, 물 필터(14)에 의해 여과된 수돗물이, 급수·순환 노즐(24)로부터 세척 소독조(4)에 공급된다. 스텝 S6에서는, 세척 소독조(4)의 수위를, 도시하지 않은 수위 센서 등으로 검출하여, 급수의 종료 시기를 감시한다. 그리고,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는 수위가 설정 수위에 이르렀을 때, 3방 절환 밸브(29)를 다시 동작시켜, 급수·순환 노즐(24)과 물 필터(14) 측의 접속을 차단하여, 급수를 종료하고,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는, 각종 기능 체크를 행한다. 기능 체크 항목은, 기본 항목과 기종별 항목이 있다. 기본 항목은 세척 소독의 대상이 되는 내시경 본체(101)의 기종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실행되는 항목이며, 한편 기종별 항목은, 판독한 기종 번호에 의거하여 내시경(100)마다 대응하는 체크 항목이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기본 항목으로서는, 누수 체크, 관로 막힘 체크 등이 있다.
누수 체크는, 우선 장치 본체(2)에 내장되어 있는 차단 밸브(47)를 개방하고, 누수 검지 펌프(46)로부터의 에어를, 누수 검지 튜브(41b), 접속용 금속 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이 접속용 금속 부재(40)에 접합되어 있다, 내시경 본체(101)의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마련한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로부터 내시경 본체(101) 내에 공급하여, 내시경 본체(101) 내를 가압한다. 그리고, 소정압에 이르렀을 때, 마감 차단 밸브(47)를 폐쇄하여, 내시경 본체(101) 내의 압력 변화를 측정한다. 이때의 압력 변화가 클 경우, 내시경 본체(101)의 외측 표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에어가 새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압력 변화가 작을 경우는 정상이라고 판단된다. 한편, 이때의 내압 변화는 압력 센서(120)로 검출한다.
또한, 관로 막힘 체크는, 우선 채널 블록(42)을 동작시켜서 세척 소독 튜브(41a)에, 세척 소독조(4)에 개구되어 있는 순환구(21)를 연통시킨다. 이어서, 채널 펌프(43)의 구동에 의해,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수돗물을, 세척 소독 튜브(41a)를 거쳐서, 내시경 본체(101)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공급하고, 순환시킨다. 그리고, 이때의 각 관로(106 내지 109) 내를 유통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하여, 그 값과 기준치를 비교하여, 유량이 기준값 이하일 때는 관로 막힘이라 판단한다. 한편, 유량이 기준값 이상일 때는 정상이라 판정한다.
한편, 기종별 항목은 기종마다 다르며, 예를 들면 본 형태와 같이 조명 수단으로서 내시경 선단부에 조명 소자(112)를 구비하는 것에서는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로부터 조명 소자(112)에 조명용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그 때의 내시경상을 모니터(26)에 표시시켜서, 그 밝기로부터 조명 소자(112)가 점등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이 경우,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자동적으 로 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촬상 소자(111)로 수광한 광량과 기준치를 비교하여, 광량이 설정치 이하일 때는 이상이라 판정하고, 설정치 이상일 때 정상이라 판정한다.
또한, 내시경 삽입부(105)의 선단부를, 전압의 인가에 의해 신축하는 도전성 고분자 인공 근육(EPAM)을 이용하여 만곡 제어를 행하는 앵글 제어 수단을 내장하는 내시경(100)에서는,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로부터 EPAM에 대하여 앵글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그 때의 내시경상을 모니터(26)에 표시시켜서, 내시경상이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이 경우도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자동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촬상 소자(111)로 촬상한 내시경상이 있는 특정한 화소 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의 연속적인 이동을 검지하고, 이 이동과 EPAM에 출력한 구동 신호를 비교하여, 거의 대응하고 있는 경우, 정상이라 판정하고, 대응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이상이라 판정한다.
그리고, 스텝 S8로 진행하여, 기능 체크한 결과, 1개라도 이상이라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9로 분기하고, 내시경 본체(101)가 이상인 것을 모니터(26)에 표시시키는 등 하여, 이상의 고지를 행한 후, 스텝 S10으로 진행하여, 세척 소독 공정을 정지시켜서,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이상을 통지하는 수단은 여러 가지의 것이 고려되어, 예를 들면 모니터(26)에 그 취지를 표시시킴으로써 행하거나, 또는 버저를 울리거나, 스피커로부터의 유사 음성에 의해 행해도 좋다. 또한, 조작 패널에 이상 표시 램프를 마련하 고, 이 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행하도록 해도 좋다.
한편, 기능 체크 항목의 모두가 정상이라 판정되었을 때는, 스텝 S11로 진행하여, 세척 공정을 시작한다. 또한, 세척 공정 이후는 자동 운전되므로, 탑 커버(3)를 닫아 둔다.
세척 공정이 개시되면, 우선 세제 펌프(27)의 구동에 의해 세제 탱크(11)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 세제를 세제 노즐(22)로부터 적당량 토출시켜,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수돗물에 혼입시켜서 세척수를 생성한다. 세척 공정에서는 내시경 본체(101)를 수용 오목부(4a)의 외주벽면, 및 내주벽면에 마련한 고압 노즐(19)로부터,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를 분출해서 세척 소독조(4) 내에 수류를 생성하고, 또한 이 수류를 초음파 진동자(49)의 구동에 의해 진동시킨다. 그 결과, 내시경 본체(101)의 외측 표면이 세척수의 수류와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세척된다.
또한, 3방 절환 밸브(29)와 채널 블록(42)을 동작시켜서, 순환구(21)와 급수·순환 노즐(24), 및 세척 소독 튜브(41a)를 연통시킨다. 그 결과, 급수·순환 노즐(24)로부터 유액 펌프(30)의 구동에 의해, 세척수가 토출되어서 순환된다. 동시에, 세척 소독 튜브(41a)를 지나 내시경 본체(101)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채널 펌프(43)의 토출압에 의해 세척수가 공급되어, 각 관로(106 내지 109) 내가 세척된다.
본 형태에서 채용하는 내시경 본체(101)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는, 밸브나 이것을 동작시키는 기구가 내장되어 있지 않으며, 게다가 유니버설 코드(102)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 관로(106 내지 109)를 거의 스트레이트형으로 배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각 관로(106 내지 109)는 유로 저항이 적어, 세척수를 원활하게 흐르게 할 수 있어, 각 관로(106 내지 109) 내를 구석구석 세척할 수 있다.
그 후에 스텝 S12로 진행하여, 세척 공정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세척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되었는지 여부에 의해 판단하고, 설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세척 공정을 계속해서 행한다. 그리고, 설정 시간에 달했을 때, 세척 종료라 판정하고, 스텝 S13으로 진행하여 세척수를 배수한다. 세척수의 배수는, 세척 소독조(4)의 바닥부에 개구되어 있는 배수구(20)에 마련한 절환 밸브(52)를 동작시켜, 배수구(20)와 배수 호스(7)를 연통시키고, 배수 펌프(34)를 구동시켜, 강제적으로 배수시킨다.
배수가 소정 종료한 경우, 절환 밸브(52)를 동작시켜서 배수구(20)를 폐쇄하고, 다시 3방 절환 밸브(29)를 동작시켜서 순환구(21)와 급수·순환 노즐(24)을 차단한 후, 스텝 S14로 진행하여, 소독 공정을 시작한다.
소독 공정이 개시되면, 우선 약액 펌프(28)의 구동에 의해, 소독액 탱크(12)에 저장되어 있는 소독액을 소독액 노즐(23)에 송급하고, 이 소독액 노즐(23)로부터 세척 소독조(4)에 소독액을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는, 순환구(21)와 세척 소독 튜브(41a)가 연통되어 있으므로, 채널 펌프(43)의 구동에 의해,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소독액이, 내시경 본체(101)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주입된다. 그리고, 세척 소독조(4)에 공급된 소독액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이른 후, 소독액을 설정 시간만큼 순환시킨다.
그 후에 설정 시간에 도달했을 때, 채널 펌프(43)의 구동을 정지시켜, 설정 시간만큼 내시경 본체(101)를 소독액에 침지한다. 이 경우도, 본 형태에 의한 내시경 본체(101)의 각 관로(106 내지 109)는 거의 스트레이트형으로 배관되어 있으므로, 소독액을 각 관로(106 내지 109) 내에 구석구석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스텝 S15에서 내시경 본체(101)의 침지 시간을 측량하고, 침지 시간이 설정 시간에 달했을 때, 소독 종료라 판정하여,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에서는 소독액의 회수가 행해진다. 소독액은 일정 횟수 반복 사용하기 위해, 절환 밸브(52)를 동작시켜서, 배수구(20)를 소독액 탱크(12)에 연통시켜,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소독액을 회수한다.
소독액이 소독액 탱크(12)에 소정 회수된 후, 스텝 S17로 진행하여 헹굼 공정을 시작한다. 헹굼 공정이 개시되면, 우선 3방 절환 밸브(29)를 구동시켜서, 급수·순환 노즐(24)을 물 필터(14) 측에 연통시켜, 급수·순환 노즐(24)로부터 물 필터(14)에 의해 여과된 수돗물을 세척 소독조(4)에 공급한다. 그리고, 설정 수위에 이른 후, 3방 절환 밸브(29)를 닫고, 세척 공정과 같이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수돗물을 순환시킨다.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배수한다.
스텝 S18에서는, 헹굼의 횟수(N)를 계수하고, 헹굼의 횟수(N)가 설정 횟수에 달했을 때, 헹굼 종료라 판정한다. 그리고, 최후의 헹굼 공정에 있어서 사용한 수돗물이 소정 배수된 후, 스텝 S19로 진행되어 송기 공정을 시작한다. 송기 공정이 개시되면, 채널 블록(42)을 동작시켜서, 압축기(44)와 세척 소독 튜브(41a)를 연통하고, 내시경 본체(101)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에어를 송기하여, 각 관 로(106 내지 109) 내의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시킨다.
스텝 S20에서는, 압축기(44)에 의한 송기 시간을 재어, 설정 시간에 달했을 때 송기 공정 종료라 판단하여, 압축기(44)를 정지시킨 후, 스텝 S21로 진행한다.
스텝 S21에서는, 알코올 플래쉬 공정이 개시된다. 알코올 플래시 공정에서는 우선, 채널 블록(42)을 구동시켜서, 알코올 탱크(13)와 세척 소독 튜브(41a)를 연통시켜, 알코올 펌프(35)의 구동에 의해, 알코올 탱크(13)에 저장되어 있는 알코올을 소량만큼, 내시경 본체(101)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송액한다. 이어서, 채널 블록(42)을 다시 구동시켜서, 이번은 세척 소독 튜브(41a)를 압축기(44)에 연통시켜, 압축기(44)의 구동에 의해, 에어를 내시경 본체(101)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송기한다.
그리고, 에어와 함께 알코올을 내시경 본체(101)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공급하고, 알코올에 의해,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잔류하는 약간의 수분의 증발을 촉진하여, 빠른 시기에 건조시킨다.
스텝 S22에서는, 에어의 송기 시간을 재어, 설정 시간에 달했을 때, 알코올 플래쉬 공정의 종료라 판정하여, 루틴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다 사용한 내시경 본체(101)를 세척 소독할 때에, 내시경 본체(101)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를 장치 본체(2)의 내시경 접속부(31)에 원 터치로 장착함으로써 접속을 완료시킬 수 있으므로, 번잡한 접속 작업이 불필요해져,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세척 소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그 만큼 내시경(100)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시경 본체(101)와 장치 본체(2)는, 각 관로(106 내지 109), 및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가 접합되는 부위 이외는, 모두 비접촉식이므로, 세척 소독 중에 세척수, 소독액 등의 액체가 내시경 본체(101) 내로 침입하는 일이 없어, 양호한 방수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도14에 도시하는 세척 소독 실행 루틴의 스텝 S7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체크에 있어서는, 기본 항목에다가, 기종별 항목의 체크도 행하고 있지만, 기종별 항목은 세척 공정 내지 소독 공정까지의 일련의 처리 공정 중에 있어서의 배경에 있어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도16에 배경에 있어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체크 실행 루틴의 일예를 게시한다.
이 루틴에서는, 우선 스텝 S31에서, EPAM에 의해 동작하는 선단부의 앵글 동작의 체크가 행해진다. 앵글 동작의 체크는,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로부터 EPAM에 대하여 앵글 동작 신호를 출력하고, 그때의 내시경상의 이동으로부터,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스텝 S32에서는, 장치 본체(2)에 내장되어 있는 차단 밸브(47)를 개방하고, 누수 검지 펌프(46)로부터의 에어를, 누수 검지 튜브(41b), 접속용 금속 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이 접속용 금속 부재(40)에 접합되어 있는 내시경 본체(101)의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마련한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로부터 내시경 본체(101) 내에 공급하여, 내시경 본체(101) 내를 가압함으로써 내시경 본체(101)의 누수 체크를 행한다.
스텝 S33에서는,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로부터 조명 소자(112)에 대하여 점등 신호를 출력하고, 그때의 내시경상의 광량으로부터, 소정의 밝기를 얻을 수 있는지 여부에 의해, 조명 소자(112)가 정상인지 여부를 조사한다.
또한, 스텝 S34에서는 촬상 소자(11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촬상 소자(11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그리고, 스텝 S35에서 모든 동작이 정상이라 판정되었을 때는, 그대로 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1개라도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스텝 S36으로 분기하고, 이상의 고지를 행한 후, 스텝 S37로 진행하여, 현재의 처리 공정을 정지시킬지 여부의 입력 대기가 되어, 처리 공정을 정지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그대로 루틴을 빠져나간다. 한편, 처리 공정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스텝 S38로 진행하여, 현재의 처리 공정을 정지시켜서, 루틴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기종별 항목을 처리 공정 중의 배경에서 행함으로써 세척 소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보다 한층 단축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내시경(100)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17 내지 도19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형태에서는, 캡슐형 내시경 본체(150)를 세척, 소독할 때에 채용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A)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17을 이용해서 캡슐형 내시경 본체(1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캡슐형 내시경 본체(150)는,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삽입부(151)와, 이 삽입부(151)의 선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캡슐 형상의 캡슐부(15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삽입부(151)의 후단부에 스코프 커넥터부(153)가 마련되어 있다. 내시경 검사에 있어서는, 이 스코프 커넥터부(153)가 내시경 제어 유닛, 혹은 송기 송수 흡인(AWS) 유닛(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삽입부(151) 내에는, 송기관로(106), 송수관로(107), 흡인관로(109) 등이 소정 설치되어 있으며, 캡슐부(152) 내에는 송기관로(106)와 송수관로(107)가 합류된 송기관로(106'), 흡인관로(109')가 소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흡인관로(109)의 도중에 겸자구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겸자류는 내시경 제어 유닛, 혹은 AWS 유닛으로부터 흡인관로(109)에 자동 삽탈된다.
또한, 캡슐부(152) 내에는, 제1 내지 제5 베이스 부재(155 내지 159)가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최선단부 측의 제1 베이스 부재(155)에는, 촬상 소자(111)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주위에 조명 소자(1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베이스 부재(155)와 그 배후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베이스 부재(156) 사이가, EPAM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야 방향 가변 부재(160)를 거쳐서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베이스 부재(155)는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시야 방향 가변 부재(160)의 신축 동작에 의해 제1 베이스 부재(155)를 틸팅시켜, 캡슐부(152)의 선단부를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시야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제3 베이스 부재(156, 157) 사이에 모터 등으로 구성된 회전 부 재(16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 부재(161)를 구동시킴으로써 흡인관로(109')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겸자류의 돌출 방향을 가변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최후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5 베이스 부재(159)에는, 후방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111')와 조명 소자(1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5 베이스 부재(159)와 그 전방의 제4 베이스 부재(158) 사이가, EPAM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의 시야 방향 가변 부재(162)를 거쳐서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술한 시야 방향 가변 부재(160)와 같이 그 신축 동작에 의해 제5 베이스 부재(159)를 경동시켜, 후방의 시야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캡슐부(152)에는 전원 회로를 구비하는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가 수용되어 있는 동시에, 촬상 소자(111, 111')로 촬상한 화상 신호 등,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로 처리한 정보를 송신하고, 또는 외부에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 안테나(116)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는, 메모리 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이 메모리 소자에는, 기종 번호 등의 스코프 개체 정보, 인식 정보, 수리, 세척 횟수 등의 각종 이력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한편, 스코프 커넥터부(153)에는 각 관로(106, 107, 109)에 각각 연통하는 관로 접속용 금속 부재(106a, 107a, 109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 마련한 전원 회로에 접속되는 2차 측 송수신 코일(118), 캡슐형 내시경 본체(150) 내에 연통하는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 후술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A)에 마련한 전자석 유닛(56)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흡착되는 자성체(163) 등이 소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코프 커넥터부(153)가 접속되는 내시경 제어 유닛, 혹은 AWS 유닛, 및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A)에는, 2차 측 송수신 코일(118)에 전자 유도 결합하는 1차 측 송수신 코일(33)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캡슐형 내시경 본체(150)를 세척 소독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A)의 구성은, 상술한 제1 형태에 의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와 거의 공통되고 있지만, 스코프 커넥터부(153)를 접속하는 내시경 접속부(31'), 및 모니터(26')가 다르다.
도18,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26')는 장치 본체(2)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모니터 암(26a)에 마련되어 있다. 모니터 암(26a)은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모니터 암(26a)에 대하여 모니터(26')가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A)를 세로 길이의 방향으로 설치한 경우, 즉 도18의 좌측면을 벽면에 근접시켜, 오른 쪽 면을 전방면으로 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그 오른 쪽 면 방향으로 모니터(26')를 지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모니터(26')를 터치 패널로 함으로써, 조작 패널(25)에 의한 각종 설정을 모니터(26') 측에서 행할 수 있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세척 소독조(4')의 외주벽면에 마련한 내시경 접속부(31')는, 기본적으로 내시경 제어 유닛, 혹은 AWS 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내시경 접속부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스코프 커넥터부(153)에 설치되어 있는 각 관로 접속용 금속 부재(106a, 107a, 109a), 및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에 접합하는 받침측 접속용 금속 부재(36a, 37a, 39a, 40)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자성체(163)에 대향하는 부위에 전자석 유닛(56)(도11 참조)에 마련한 전자석(56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2차 측 송수신 코일(118)에 대응하는 부위에, 이 2차 측 송수신 코일(118)과 전자 유도 결합하는 1차 측 송수신 코일(3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세척 소독조(4')의 캡슐부(152)에 대향하는 측에, 장치 측 송수신 안테나(3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내시경 검사가 종료된 다 사용한 캡슐형 내시경 본체(150)를, 베드 사이드에서 예비 세척한 후, 본 세척을 행할 때에, 우선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A)의 장치 본체(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세척 소독조(4')에 캡슐형 내시경 본체(150)를 소정 세트한다.
계속해서, 캡슐형 내시경 본체(150)의 스코프 커넥터부(153)를, 세척 소독조(4')의 외주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내시경 접속부(31')에 대향 설치시킨다. 내시경 접속부(31')는, 기본적으로 내시경 제어 유닛, 혹은 AWS 유닛에 설치되어 있는 내시경 접속부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서로 접속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계속해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A)의 전원 스위치를 온하면, 전자석 유닛(56)에 설치되어 있는 스코프 착탈 제어 회로(56a)가 전자석(56b)을 여자하고, 전자석(56b)에서 발생한 자력에 의해, 스코프 커넥터부(153)에 설치되어 있는 자성체(163)를 흡착하여, 스코프 커넥터부(153)를 내시경 접속부(31')에 접속한다.
그 결과, 스코프 커넥터부(153)에 설치되어 있는 각 관로 접속용 금속 부재(106a, 107a, 109a), 및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가, 내시경 접속부(31)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측 접속용 금속 부재(36a, 37a, 39a, 40)에 자동적으로 접합된다.
따라서, 본 형태의 경우도, 제1 형태와 같이 캡슐형 내시경 본체(150)를 세척 소독할 때에, 스코프 커넥터부(153)를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A)의 내시경 접속부(31)에 원 터치로 접합시킬 수 있으므로, 접속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 미스나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그 후의 기능 체크, 세척 공정, 및 소독 공정은 제1 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에서 채용하는 캡슐형 내시경 본체(150)는 삽입부(151)로부터 캡슐부(152)까지 사이에 밸브나 이것을 동작시키는 기구가 내장되어 있지 않으며, 게다가 각 관로(106, 107, 109)가 거의 스트레이트형으로 배관되어 있으므로, 세척, 소독을 행할 때에, 각 관로(106, 107, 109) 내에 세척수, 및 소독액을 구석구석 널리 퍼지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20 내지 도3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를 설명한다. 도20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사시도, 도21은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22는 관로 자동 접속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23은 내시경의 채널구와 2개의 접속관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20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B)의 장치 본체(2)에 설치되는 세척 소독조(4) 내에 수납된 내시경 본체(101a)는, 탑 커버(3)가 장치 본체(2)의 세척 소독조(4)를 덮도록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후술하는 소정의 세척 소독 시퀀스를 따라, 세척과 소독이 행해진다.
내시경 본체(101a)는 조작부(104)가 세척 소독조(4) 내에 마련된 복수의 핀(4b) 사이에 위치 결정되어서 세트된다. 위치 결정되어 수납된 조작부(104)의 근방이며, 장치 본체(2)의 외벽부에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이 마련되어 있다.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은, 세척액 등이 공급되는 접속관을, 내시경 본체(101a)의 채널구에 자동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기구를 갖고, 제1 실시 형태의 도5에 나타내는 내시경 접속부(31) 대신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 본체(2)의 측벽에 마련되어, 세척 소독 튜브(41a), 및 누수 검지 튜브(41b)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본체(101a)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 본체(101)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구(103a)가 조작부(104)에 마련된 내시경 본체(101a)의 각종 관로(106 내지 109)의 개구부를 구성하고 있다. 채널구(103a)에 접속되는 접속관(201)에는, 세척액 등이 공급된다. 또한,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의 구성은, 후술한다.
도21은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내시경 본체(101a)의 조작부(104)는, 세척 소독조(4) 내에 돌출 설치된 복수의 핀(4b) 사이에 세트된다. 복수의 핀(4b)은, 조작부(104)가 복수의 핀(4b) 사이에 탑재되었을 때, 세척 소독조(4) 내의 소정의 위치에 조작부(104)가 배치되도록 하 기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이다. 즉, 조작부(104)가 복수의 핀(4b) 사이에 탑재되었을 때, 복수의 핀(4b)은 조작부(104)를, 장치 본체(2)의 케이싱의 일부인 측벽(2b)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위치 결정한다. 위치 결정된 조작부(104)와는 반대측인 측벽(2b)의 외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이 마련되어 있다.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은 내부에 밀폐 공간을 갖고, 그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분리벽의 일부에 마련된 구멍에 밀봉된 상태로 관통하는 접속관 부재(이하, 단순히 접속관이라 함)(201)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접속관(201)이 후술하는 작동기에 의해 이동되었을 때에, 2개의 접속관(201)의 각각의 선단부가, 세척 소독조(4) 내에 위치 결정된 세트된 내시경 본체(101a)의 2개의 채널구(103a)에 각각 삽입 가능한 위치에 오도록, 2개의 접속관(201)은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에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접속관(201)에는, 각각 장치 본체(2)로부터 세척액 등을 공급하기 위한 관 부재(202)가 접속되어 있다. 관 부재(202)는 채널 밸브(38)에 접속되어 있다. 2개의 접속관(201)은, 각각 조작부(104)의 2개의 채널구(103a)가 마련된 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2개의 접속관(201)을 이동시키기 위해, 각 접속관(201)의 기단부에는 작동기(203)가 접속되어 있다. 작동기(203)는, 원기둥 형상의 인공 근육(EPAM) 부재로 이루어진다. 인공 근육 부재는,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소정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부재이다. 작동기(203)는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에 있어서, 일단부가 고정되어, 장치 측 제어 회로(53)로부터의 제어 신호 하에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접속 관(201)의 선단부가 채널구(103a)를 향해 이동하도록 타단부가 신장된다. 또한, 인공 근육(EPAM) 부재는 단일 부재라도, 복수를 묶은 것이라도 좋다.
또한, 각 접속관(201)이 관통하는 구멍을 갖는 밀봉 가이드 부재(204)가,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에 마련되어 있다. 밀봉 가이드 부재(204)는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의 조작부(104) 측의 분리벽부에 고정된다. 또한, 밀봉 가이드 부재(204)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분리벽의 일부라도 좋고, 혹은 장치 본체(2)의 조작부(104) 측의 케이싱의 측벽부의 일부라도 좋다.
밀봉 가이드 부재(204)의 각 접속관(201)이 삽입하는 구멍(204a)에는, 각 접속관(201)이 축 방향으로 이동해도,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의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각 접속관(201)의 외주면과 미끄럼 이동하는 원환형의 밀봉 부재(204b)가 마련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접속관(201)은 밀봉 가이드 부재(204)의 구멍에 삽입되어 있지만, 그 구멍에는 원환형의 밀봉 부재(204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접속관(201)과 관 부재(202) 사이에는, 탄성의 관로, 예를 들면 고무관(202a)이 개재되어 있다. 이것은, 장치 본체(2)로부터의 관 부재(202)가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의 분리벽면의 일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각 접속관(201)이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의 내부에서 이동해도,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안을 기밀하게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의 벽부를 관통해서 밀폐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전기 배선은,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의 벽부에 있어서, 고무 부시, 밀봉 본드 등으로 밀봉되어 있다.
또한,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의 바닥면부에는, 누수를 검지하기 위한 누수 센서(205)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은, 세척 등이 세척 소독조(4) 내에서 행해지고 있을 때에, 밀봉 가이드 부재(204)에 마련된 밀봉 부재(204b)의 밀봉성을 잃게 되어, 세척액 등이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에 침입해 왔을 때에, 세척액 등의 누수를 검출하기 위해서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누수 센서(205)가 세척액 등의 누수를 검출하면, 장치 측 제어 회로(53)는 누수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경고 표시를 행하거나, 경고음을 내거나, 혹은 세척 등의 시퀀스를 중지하는 등의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의 분리벽의 내부 압력을 대기압보다도 높게 유지하기 위해 공기를,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에 공급하기 위한 관로(206)의 노즐 즉 선단부가, 분리벽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관로(206)는 접속용 금속 부재(40)에 접속되어,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에 공기를 공급하고, 적어도 세척 소독조(4) 내에 세척액 등의 액체가 들어가 있을 때는, 밀폐 공간 내를 세척 소독조(4) 내부의 압력보다도 높아지도록 한다. 그 결과, 밀봉 가이드 부재(204)가 파손 등 하여, 밀봉성을 잃게 되어도, 바로 세척 소독조(4)로부터 세척액 등의 액체가 침입해 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22는 내시경 본체(101a)의 채널구(103a)와 접속관(201)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22에는 접속관(201)이 2개 도시되어 있지만, 내시경 본체(101a)의 각 관로(106 내지 109)의 관로 개구수에 맞춘 수의 접속관(201)이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을 간략하기 위해 2개의 접속관(201)을 도시해서 설명을 행한다.
각 접속관(201)의 선단부는,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져, 선단부가 잘린 원뿔 형상을 갖고 있다. 선단부의 원뿔 형상 부분에, 채널구(103a)의 내경에 대략 같은 부분에 패킹(211)이 마련되어 있다.
도22에 있어서는, 밀봉 가이드 부재(204)를 생략하고, 밀봉 부재(204b)만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밀봉 부재(204b)는, 탄성 부재,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고, 밀봉 부재(204b)의 내주부가, 접속관(201)의 외주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밀착한다.
조작부(104)의 채널구(103a)에는 접속용 금속 부재(103b)가 설치되어 있고, 접속용 금속 부재(103b)는 내시경 본체(101a) 내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접속되어 있다.
패킹(211)은, 원환형의 인공 근육 부재이다. 도23 내지 도25는, 작동기(203)와 패킹(21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3은 작동기(203)가 신장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24는 작동기(203)가 신장한 상태에서, 패킹(211)이 외주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25는 작동기(203)가 신장한 상태에서, 패킹(211)이 외주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채널구(103a)에 접속용 금속 부재(103b)가 설치되어 있는 예에서 설명하지만, 접속용 금속 부재(103b)는 없어도 좋다.
작동기(203)의 일단부는,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에 있어서,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의 내벽에 대하여 고정 부재(5a)를 거쳐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기(203)의 타단부는 접속관(201)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작동기(203)는, 점선으로 나타내는 전기적 접속선(203a)을 거쳐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신장하고, 접속관(201)의 선단부를 조작부(104)의 채널구(103a)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패킹(211)도, 점선으로 나타내는 전기적 접속선(21la)을 거쳐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접속관(201)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사 방향으로 신장한다.
세척 공정에 있어서, 작동기(203)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접속관(201)이 도23에 나타내는 위치 내지 도24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에 패킹(211)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패킹(211)이 외경 방향으로 확장된다. 도24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세척액이 접속관(201) 내를 통과해서 채널구(103a)를 거쳐서 내시경 본체(101a)의 채널 내에 공급되면, 패킹(211)은 접속용 금속 부재(103b)에 밀착한 상태가 되므로, 내시경 본체(101a)의 각종 관로(106 내지 109)의 채널 내가 세척, 소독된다.
또한, 패킹(211)에의 소정의 전압의 인가를 정지하면, 패킹(211)은 외경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로부터 내경 방향으로 축소하고, 채널구(103a)와 접속관(201)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211)이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세척액 등은, 접속용 금속 부재(103b)의 채널구(103a)로부터 불출한다. 따라서 도25의 상태에서는, 도24의 상태에 있어서, 패킹(211)과 접촉하는 접속용 금속 부재(103b)의 내주면도 세척, 소독할 수 있다.
다음에,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B)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26 은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B)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27은 인공 근육 부재인 패킹(211)을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28은 세척 소독 공정의 처리의 흐름의 예를 게시하는 흐름도이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B)의 장치 측 제어 회로(53)(도5 참조)는 CPU 기판부(301)와, 센서 등으로부터의 신호를 CPU 기판부(301)에 중계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부(302)와, 작동기 등에 출력 신호를 중계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303)와, CPU 기판부(301)와 접속된 조작 스위치 등을 갖는 조작 패널(304)과, 표시 수단으로서의 LCD 표시부(305)를 갖는다. 조작 패널(304)과 LCD 표시부(305)는, 도20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B)의 케이싱의 외장 표면에 마련되어 있다.
CPU 기판부(301)는, 중앙 처리 장치(CPU), ROM, RAM 등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회로를 갖는다. 후술하는 세척 소독 시퀀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ROM에 기록되어, CPU이 그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부(302)에는, 누수 센서(205)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어, 입력된 신호를 CPU 기판부(301)에 있어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출력 인터페이스부(303)는, CPU 기판부(301)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작동기(203), 패킹(211), 압축기 등에의 출력 신호로 변환한다.
조작 패널(304)은, 세척 소독 작업을 행하는 사용자가, 세척 개시 등의 지시를 주기 위한 입력부이다. LCD 표시부(305)는 CPU 기판부(301)가, 사용자가 입력한 지시 내용, 세척 소독 처리를 실행한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이다.
사용자는 다 사용한 내시경 본체(101a)를 세척 소독조(4) 내의 복수의 핀(4b) 사이에 세트하고, 탑 커버(3)가 폐쇄된 후에, 조작 패널(304)의 소정의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자동적으로 세척 소독 처리가 실행된다.
도27은 인공 근육 부재인 패킹(211)을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211)은, 고압 전원부(306)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고압 전원부(306)에 접속되어 있다. 고압 전원부(306)에, 전원으로부터의 전력과, 출력 인터페이스부(303)를 거쳐서 CPU 기판부(301)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CPU 기판부(301)로부터의 제어 신호 하에서, 고압 전원부(306)는 패킹(211)으로 소정의 전압을 공급한다. 또한, 작동기(203)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구성도 도27에 나타내는 블럭도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28을 이용하여, CPU 기판부(301)가 실행하는 세척 소독 시퀀스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 패널(304)의 세척 소독 처리 개시를 지시하는 스위치가 눌리면, 우선 각 작동기(203)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스텝(이하 S라 줄임) 41]. 이에 의해 접속관(201)은, 채널구(103a)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25에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패킹(211)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S42). 이에 따라 패킹(211)은,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도24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고, 접속관(201)과 접속용 금속 부재(103b) 사이가 밀봉된 상태가 된다.
또한, 조작 패널(304)의 세척 소독 처리 개시를 지시하는 스위치가 눌리면, CPU 기판부(301)는, 항상 누수 센서(205)의 출력을 감시하여, 누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한 에러 처리를 실행한다.
계속해서, 세척 공정이 개시된다(S43). 세척 공정에서는, 세제가 세제 탱크(11)로부터 세제 펌프(27)를 거쳐서 공급되고, CPU 기판부(301)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 하에서, 각종 펌프와 밸브가 제어되고, 또한(도5에 나타냄) 초음파 진동자(49)와 히터도 기동하면서, 내시경 본체(101a)의 외측 표면이, 세척액으로 초음파 세척된다. 동시에, 채널구(103a)로부터 내시경의 각 관로(106 내지 109) 내로 세척액이 공급되어, 각 관로(106 내지 109) 내의 세척이 행해진다. 이때, 패킹(211)은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서, 소정 전압의 인가가 정지되어,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관(201)과 접속용 금속 부재(103b)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외경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로부터 내경 방향으로 축소된 상태가 된다. 도25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접속관(201)으로부터 분출하는 세척액은, 접속관(201)과 접속용 금속 부재(103b)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시경 본체(101a)의 외부로 유출할 수 있으므로, 내시경 본체(101a)의 접속용 금속 부재(103b)가 접속관(201)과 접촉하는 접촉면도 세척액에 의해 세척된다. 도24의 상태 내지 도25의 상태에의 변경, 및 도25의 상태 내지 도24의 상태에의 복귀 타이밍은, CPU 기판부(301)로부터의 패킹(211)에의 제어 신호에 의해 소정 횟수, 소정 시간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소정의 세척 공정이 실행되면, 세척 공정을 종료하고, 배수를 행한다(S44). 배수구(20)로부터의 배수는, 절환 밸브(52)와 배수 펌프(34)를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계속해서, 소독 공정이 개시된다(S45). 소독 공정에서는 소독액이 소독액 탱크(12)로부터 약액 펌프(28)를 거쳐서 공급되고, CPU 기판부(301)로부터의 소정의 제어 신호 하에서, 각종 펌프와 밸브가 제어되어, 내시경 본체(101a)의 외측 표면을, 소독액에 의해 소독된다. 동시에, 채널구(103a)로부터 내시경 본체(101a)의 각 관로(106 내지 109) 내에 소독액이 공급되어서, 각 관로(106 내지 109) 내의 소독이 행해진다. 이때, 패킹(211)은 세척 공정과 마찬가지로, 미리 결정된 타이밍에서, 소정 전압의 인가가 정지되어,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관(201)과 접속용 금속 부재(103b) 사이에 간극이 생기게 하도록, 외경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로부터 내경 방향으로 축소된 상태가 된다. 도25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접속관(201)으로부터 분출되는 소독액은, 접속관(201)과 접속용 금속 부재(103b)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내시경 본체(101a)의 외부로 유출할 수 있으므로, 내시경 본체(101a)의 접속용 금속 부재(103b)가 접속관(201)과 접촉하는 접촉면도 소독액에 의해 소독된다. 도24의 상태 내지 도25의 상태에의 변경은, CPU 기판부(3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소정 횟수, 소정 시간 행해진다. 또한, 소독 공정에 있어서, 히터에 의해, 소독액을 가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규정 시간만큼 침지를 행하는 소독 공정이 행해진다(S46).
이상과 같이 하여, 소정의 소독 공정이 실행되면, 소독 공정을 종료하여, 소독액의 회수를 행한다(S47). 소독액의 회수는, 절환 밸브(52)를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계속해서, 헹굼 공정이 개시된다(S48). 헹굼 공정에서는 수도 마개로부터 역지 밸브를 거쳐서 급수관로 소독용 커넥터(50)로부터, 수돗물이 세척 소독조(4) 내에 공급된다. 공급된 수돗물은, 급수·순환 노즐(24)이 3방 절환 밸브(29)를 사 이에 두고 유액 펌프(30)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순환구(21)로부터 도입되어, 순환된다. 동시에, 채널구(103a)로부터 내시경 본체(101a)의 각 관로(106 내지 109) 내에 순환수가 공급되어, 각 관로(106 내지 109) 내의 헹굼이 행해진다. 이때도, 도24의 상태 내지 도25의 상태에의 변경, 및 도25의 상태 내지 도24의 상태에의 복귀가, CPU 기판부(301)로부터의 패킹(211)에의 제어 신호에 의해 소정 횟수, 소정 시간 행해진다.
이 헹굼 공정은, 급수, 헹굼 및 배수를 1회로 하여, 소정의 횟수(N회)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소정 횟수만큼, 헹굼 공정이 실행되면, 헹굼 공정을 종료한다(S49).
그 후에 송기 공정을 실행한다(S50). 송기 공정은, 내시경 본체(101a)의 각 관로(106 내지 109) 내에 공기를 보내어, 각 관로(106 내지 109) 내를 건조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압축기(44)를 규정 시간만큼 동작시켜, 공기가 압축기(44)로부터 에어 필터(15), 채널 블록(42)을 거쳐서 접속관(201)으로부터 내시경 본체(101a)의 각 관로(106 내지 109) 내에 공급된다.
송기 공정이 종료하면, 압축기(44)는 정지되고, 다음에 알코올 플래쉬 공정이 실행된다(S51). 알코올 플래쉬 공정에서는 알코올 펌프(35)를 소정 시간만큼 기동시켜, 내시경 본체(101a)의 각 관로(106 내지 109) 내에 알코올을 보낸다. 알코올 펌프(35)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정지된다.
마지막으로, 작동기(203)에의 소정의 전압 인가를 정지(S52)함으로써, 작동기(203)는 신장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고, 접속관(201)은 도23에 나타내 는 상태로 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 사용한 내시경 본체(101a)의 내부에 마련된 각종 채널 내는, 확실하게 세척, 소독 등 된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작동기의 변형 예를 제4 실시 형태로서 설명한다. 도29와 도30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본 실시 형태의 작동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작동기(203)는 인공 근육 부재를 이용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랙 앤 피니온 기구를 이용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에는, 작동기로서 모터(401)가 각각의 접속관(201)에 대응해서 마련되어 있다. 모터(401)의 축에는 기어(402)가 마련되어 있다. 접속관(201)의 외측 표면부에는,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된 복수의 이로 이루어지는 이부(403)가 마련되어 있다. 기어(402)의 이와, 이부(403)의 이가 맞물리도록, 모터(401)의 기어(402)와 접속관(201)은 위치 결정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CPU 기판부(301)는 상술한 작동기(203)에의 소정의 전압 인가 대신에, 모터(401)를 소정의 양만큼 회전시키도록 구동 신호를 모터(401)에 공급하면, 접속관(201)이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가 될 때까지, 접속용 금속 부재(103b)를 향해 이동한다. 도30은 모터(401)가 소정의 양만큼 회전하여, 접속관(201)이 도29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29에 있어서, 화살표 Y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모터(401)의 축에 부착된 기어(402)가 회전하면, 접속관(201)은 화살표 Y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술한 작동기(203)에의 소정의 전압 인가의 정지 대신에, 모터(401)를 소정의 양만큼 역회전시키도록 구동 신호를 모터(401)에 공급함으로써, 접속관(201)을, 도23에서 나타내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내시경 본체(101a)의 세척 및 소독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B)에 의하면, 세트된 내시경(100a)의 내시경 본체(101a)의 각종 관로(106 내지 109)에 세척액 등을 공급하는 접속관을 확실하게 밀착 상태로 하여, 세척액 등을 각종 관로(106 내지 109)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패킹과 작동기에 인공 근육 부재를 이용하면 기계적 동작부가 적어지므로, 고장 등의 발생률도 감소한다. 또한,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에는 누수 센서가 마련되고, 또한 관로 자동 접속 유닛(5A) 내는 가압되어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고장 등의 발생률은 더욱 감소한다.
(제5 실시 형태)
도31 내지 도3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를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패킹(211)을, 내시경 본체(101a) 내에 마련한 점이다. 따라서 상술한 제3, 및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도31과 도32는 내시경 본체(101a)의 조작부(104) 내에 패킹(211)이 마련되고, 채널구(103a)와 접속관(201)의 밀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31은 접속관(201)이 작동기에 의해 채널구(103a)에 삽입되고, 인공 근육 부재인 패킹이 신장하여, 결과적으로 패킹(211)의 내경이 작아져, 접속관(201)과 채널구(103a) 사이가 밀봉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32는 접속관(201)이 작동기에 의해 채널구(103a)에 삽입되어, 패킹(211)이 신장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패킹(211)의 내경이 커져, 접속관(201)과 채널구(103a)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원환형의 패킹(211)은, 채널구(103a) 근방의 채널 내벽에 형성된 주위 홈(103c) 내에 마련된다. 패킹(211)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패킹(211)은 직경 확대 방향으로 신장하지만, 주위 홈(103c)에 의해 외경 방향에의 변형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에 의해,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패킹(211)에의 소정의 전압 인가를 제어함으로써, 접속관(201)과 채널구(103a) 사이가 밀봉된 상태와 밀봉되지 않은 상태의 2개의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때, 세척 소독조(4) 내에 세트된 내시경 본체(101a)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B)와 내시경 본체(101a)에는,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B)로부터 내시경 본체(101a)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 수단이, 각각 마련된다.
도33은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B)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 기판부(301)에는, 비접촉 전원 송수신부(306a)가 접속되어 있다. 비접촉 전원 송수신부(306a)는 다시 송수신 코일(307)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내시경 본체(101a)에는, 예를 들면 조작부(104) 내에, 송수신 코일(308)이 설치되어 있고,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B)의 송수신 코일(307)로부터의 전자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자파에 의거하여 소정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송수신 코일(308)에 있어서 발생한 전압은, 상술한 패킹(211)에 대하여 인가 하는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이용된다.
CPU 기판부(301)는, 상술한 세척 소독 공정에 있어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비접촉 전원 송수신부(306a)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패킹(211)을 신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CPU 기판부(301)는,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속관(201)과 채널구(103a) 사이를, 밀봉된 상태와 밀봉되지 않은 상태의 2개의 상태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술한 제3,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내시경 본체(101a)의 세척 및 소독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B)에 의하면, 제3,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세트된 내시경 본체(101a)의 각종 관로(106 내지 109)에 세척액 등을 공급하는 접속관을 확실하게 밀착 상태로 해서, 세척액 등을 각종 관로(106 내지 109)로 공급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34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5는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세척 소독조에 내시경이 세트되어 있는 도면, 도36은 세척 소독조 및 세트된 내시경의 각 커넥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37은 장치 본체 내의 장치 측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38은 배터리 유닛과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39 및 도40은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41은 내시경 본체의 각종 기능 체크의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도34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채용하는 내시경(100b)은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100)의 배터리 유닛이 탑재된 것이다.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본체(101b)의 조작부(104)에는,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와 접속되어, 각종 기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전원 수단인 배터리 유닛(450)이 내장되어 있다. 이 배터리 유닛(450)은 전력 전송 수단인 송수신 코일(451)을 갖고 있다. 이 배터리 유닛(450)은 송수신 코일(451)의 일면이 조작부(104)의 일측면에 나란히 설치되도록 조작부(104)에 내장된다. 또한, 조작부(104) 내에 압력 센서(420)가 설치되어 있다.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서는 압력 센서(420)에 의해 검출된 내시경 본체(101b)의 내압에 의거하여 내시경 본체(101b) 내에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또한, 내시경 본체(101b)의 내시경 삽입부(105)의 선단부 외주에는, 접촉 센서(10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촉 센서(105a)는, 예를 들면 체강 벽과의 내시경 삽입부(105)의 선단부 측의 접촉압 등을 검지하는 것이다. 또한, 내시경 삽입부(105)의 선단부 부분에는 조작부(104)의 트랙 볼(114)의 조작에 맞추어 내시경 삽입부(105)의 선단부를 만곡 동작시키는 EPAM(일렉트로 액티브 폴리머)으로 이루어지는 앵글용 부재(105b)가 설치되어 있다.
내시경 본체(101b)의 내시경 삽입부(105)는, 그 가요성을 자유자재로 가변할 수 있도록 EPAM으로 이루어지는 경도 가변 부재(105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시경 본체(101b)의 전원 제어 수단인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메모리 소자를 갖고 있으며, 이 메모리 소자에는 내시경 본체(101b)의 각종 정보, 각종 인식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한편,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에 마련한 세척 소독조(4)의 일측부에, 내시경 본체(101b)에 마련한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접속하는 내시경 접속부(31)의 관로/누검용 커넥터(3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본체(101b)에 마련한 송수신 안테나(116)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또는 이 송수신 안테나(116)에 대하여 송신하는 장치 측 송수신 안테나(32)가 세척 소독조(4)에 마련되어 있다.
관로/누검용 커넥터(31a)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유니버설 코드(102)에 설치되어 있는 코드 측 커넥터부(102a)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의 선단부 면에 접속용 금속 부재(36a 내지 39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각 접속용 금속 부재(36a 내지 39a)는, 내시경 본체(101b)의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설치되어 있는, 각 관로(106 내지 109)의 기단부에 연통하는 접속용 금속 부재(106a 내지 109a)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스코프 커넥터부(105a)를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접속하면, 스코프 커넥터부(105a)의 접속용 금속 부재가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접합된다. 또한,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본체(101b)의 스코프 커넥터부(105a)는,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마련되는 전자석 유닛(56)의 자력에 의해,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흡착해서 고정된다.
또한, 내시경 본체(101b)의 스코프 커넥터부(105a)의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는,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설치되는 장치 측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33)에 접합된다. 이 장치 측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33)는, 내시경 본체(101b)의 스코프 커넥터부(105a)의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에 대응하는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의 일측부에는, 전력 전송 수단인 송수신 코일(455a)을 갖는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송수신 코일(455a)은 내시경 본체(101b)의 조작부(104)에 마련되는 배터리 유닛(450)의 송수신 코일(451)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내시경 본체(101b)의 송수신 코일(451)과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의 송수신 코일(455a)은, 내시경 본체(101b)와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의 각각의 외부 장착을 협지하도록 대향하고 있다.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 마련한 전원 회로에 대한 전력은, 배터리 유닛(450)에 의해 공급되지만,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의 세척 소독조(4)에 내시경 본체(101b)가 세트되었을 때, 즉 스코프 커넥터부(105a)가 관로/누검용 커넥터(31a) 와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송수신 코일(455a)이 송수신 코일(451)에 대하여 전자 유도 결합한다. 따라서, 전원 회로에 대해서는 내시경 제어 유닛측으로부터 전력이 비접촉식에 의해 공급된다.
다음에, 도37을 참조하여,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 측의 장치 측 제어 회로(53)의 회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37은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측 제어 회로(53)는 CPU 기판이며, 센서 제어 회로(461), 영상 처리 회로 및 스코프 메모리 R/W(RECORD/WRITINC) 회로(463)가 설치되어 있다. 스코프 메모리 R/W 회로(463)에는 메모리 소자를 갖고 있다. 이 장치 측 제어 회로(53)는, 장치 측 송수신 안테나(32)에 각종 신호를 수수하는 전기적 무접점에 의한 정보 전달 수단인 송수신 유닛(53a)이 접속되어 있다. 장치 측 송수신 안테나(32)는 세척 소독조(4)에 설치되어, 내시경 본체(101b)의 각종 정보 신호를 내시경 본체(101b)의 송수신 안테나(115)로부터 수신한다. 이 각종 정보 신호는, 송수신 유닛(54)을 거쳐서 장치 측 제어 회로(53)의 센서 제어 회로(461)에 공급된다.
또한, 장치 측 제어 회로(53)는, 세척 소독조(4)의 모니터(26) 및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의 전자석(56b)에 자력을 발생시키는 스코프 착탈 제어 회로(56a)가 접속되어 있다. 모니터(26)는 영상 처리 회로(62)에 공급된 내시경 본체(101b)의 촬상 소자(111)에 의해 촬상된 내시경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모니터(26)는 내시경 본체(101b)의 각종 인식 신호, 예를 들면 관로 센서(121)로부터의 관로 정보 등 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내시경 본체(101b)로부터의 각종 인식 신호인 내시경 정보는, 스코프 메모리 R/W 회로(463)에 기록된다. 이 각종 내시경 정보는, 조작 패널(25)의 패널 조작에 의해 모니터(26)에 적당하게, 호출 가능하다. 또한, 내시경 본체(101b)의 각종 내시경 정보는, 예를 들어 화상 정보, 센서 정보, 스코프 개체 정보 등이다.
장치 측 제어 회로(53)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전원 장치(도5 참조)와 접속되어 있으며, 세척 소독조(4)의 조작 패널(25)로부터의 각종 신호를 받아, 출력 측의 구동계인 각종 펌프, 각종 전자 밸브 등에 구동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장치 측 제어 회로(53)에는 입력 측의 센서계인 각종 센서류(압력 센서, 수위 센서, 위치 검지 센서 등)로부터의 각종 검지 신호가 공급되어, 그들 각종 검지 신호의 정보에 의거하여 적당하게, 구동계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각종 센서류(압력 센서, 수위 센서, 위치 검지 센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세척 소독조(4)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장치 측 제어 회로(53)는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과도 접속되어 있다.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은, 장치 측 제어 회로(53)로부터의 전력을 송수신 코일(455a)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송수신 코일(455a)은 전자 유도되는 배터리 유닛(450)의 송수신 코일(451)에 전력을 공급한다.
다음에, 도38을 참조하여,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의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 및 내시경 본체(101b)의 배터리 유닛(45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은 AC 입력(456)과, 노이즈 필터인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이며, 정류/평활 회로(458)와, 충전 제어 회로(459)와, 장치 측 자석(455b)이 내장되어 있다. 충전 제어 회로(459)는 장치 측 마그넷 스위치(459a)와 송수신 코일(455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유닛(450)은, 절환 제어 회로(451a)와 충전 회로(451b)를 구비하는 배터리 전원 제어 수단인 전원 회로(451a)와, 배터리 측 자석(450b)이 내장되어 있다. 전원 회로(451a)는, 배터리 측 마그넷 스위치(450a)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내시경 본체(101b)의 스코프 커넥터부(105a)가 세척 소독조(4)의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세트된 상태에 있어서, 장치 측 마그넷 스위치(459a)와 배터리 측 자석(450b)이 대응한 위치, 배터리 측 마그넷 스위치(450a)와 장치 측 자석(455b)이 대응한 위치에 각각이 설치되어 있다.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의 충전 제어 회로(459)는, 배터리 유닛(450)의 배터리 측 자석(450b)이 근접함으로써 자력을 받아서 장치 측 마그넷 스위치(459a)가 작동한다. 장치 측 마그넷 스위치(459a)로의 온 신호를 받은 충전 제어 회로(459)는 AC 입력(456)으로부터의 전력을 송수신 코일(455a)에 공급한다. 이 송수신 코일(455a)에 공급된 전력은, 배터리 유닛(450)의 송수신 코일(451)과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의 송수신 코일(455a)이 전자 유도 결합되어, 비접촉 식으로 송수신 코일(451)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송수신 코일(451)의 전력은, 전원 회로(451a)에 전자 유도에 의해 공급된다.
또한, 전원 회로(451a)의 절환 제어 회로(451a)는, 배터리 측 마그넷 스위 치(450a)가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의 장치 측 자석(455b)과 근접함으로써 자력을 받아서 배터리 측 마그넷 스위치(450a)가 작동한다. 배터리 측 마그넷 스위치(450a)로부터의 온 신호를 받은 절환 제어 회로(451a)는, 배터리 유닛(450)의 저축 전압에 의해 충전 동작으로 할지 내시경 본체(101b)의 내부에 급전할지를 절환 제어한다.
또한, 모니터(26)에는 내시경상, 스코프 개체 정보 등 외에, 세척/소독 남은 시간 등의 내시경 본체(101b)의 세척 및 소독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조작 패널(25)에는 스타트 스위치 이외에, 모드 선택 스위치 등의 각종 설정 스위치류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에 의한 내시경 본체(101b)의 세척 및 소독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내시경 검사의 종료 후, 사용자는 내시경(100b)의 내시경 본체(101b)로부터 유니버설 코드(102)를 제거한다. 이 유니버설 코드(102)는 소정 폐기 처분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내시경 본체(101b)를 환자가 누워 있던 베드 사이드에서 간단한 예비 세척을 행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싱크대에서 내시경을 본 세척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세척된 내시경 본체(101b)는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의 세척 소독조(4)에 세트된다.
우선, 사용자는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의 탑 커버(3)를 열고, 장치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세척 소독조(4)에 내시경 본체(101b)를 세트한다. 또한, 세척 소독조(4)의 수용 오목부(4a)의 바닥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보유 지지망이 부설되 어 있다.
이때, 사용자는 내시경 본체(101b)의 스코프 커넥터부(105a)를 세척 소독조(4)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대향 설치시킨다. 관로/누검용 커넥터(31a)는, 기본적으로 유니버설 코드(102)의 코드 측 커넥터부(102a)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각각 서로 접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세척 소독조(4) 내에 내시경 본체(101b)을 소정 세트하고, 내시경 본체(101b)를 세척 소독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조작 패널에 의해 설정하여, 전원 스위치를 온한다. 그러면, 장치 본체(2)에 내장되어 있는 장치 측 제어 회로(53)에 전원이 투입되어,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는 내시경 본체(101b)의 세척 소독을 시작한다.
다음에, 도39 내지 도41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의 각종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39에 나타내는 스텝 S61에서는, 스타트 스위치의 입력 대기 상태가 되어, 스타트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 스텝 S62로 진행한다.
스텝 S62에서는,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마련되는 전자석(56b)에 전류가 통전되어, 전자석(56b)이 여자된다. 즉, 전자석(56b)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내시경 본체(101b)의 스코프 커넥터부(105a)가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흡착되어, 접속된다. 그리고,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설치되어 있는 각 관로 접속용 금속 부재(106a 내지 109a)와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마련되는 각 접속용 금속 부재(36a 내지 39a)가 자동적으로 접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내시경 본체(101b)를 세척 소독조(4)에 세트할 때, 내시경 본체의 각 관로(106 내지 109)와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 측의 세척 소독용 관로를 튜브 등을 이용해서 접속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튜브 등의 접속에 요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튜브의 접속 미스 및 접속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확실하게 내시경 본체(101b)의 각 관로(106 내지 109)와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 측의 각 세척 소독용 관로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62에 있어서, 내시경 본체(101b)에 마련되는 배터리 유닛(450)에의 충전이 개시된다. 세척 소독조(4)의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으로부터, 내시경 본체(101b)의 배터리 유닛(450)으로 전력이 비접촉식에 의해 공급된다. 즉,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의 송수신 코일(455a)로부터 배터리 유닛(450)의 송수신 코일(451)에 전자 유도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상세하게는,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의 충전 제어 회로(459)는 배터리 유닛(450)의 배터리 측 자석(450b)이 근접함으로써 자력을 받아서 장치 측 마그넷 스위치(459a)가 작동한다. 송수신 코일(455a)에 공급된 전력은, 배터리 유닛(450)의 송수신 코일(451)과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의 송수신 코일(455a)이 전자 유도 결합되어, 비접촉 식으로 송수신 코일(451)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송수신 코일(451)의 전력은, 전원 회로(451a)에 전자 유도에 의해 공급된다. 이때, 전원 회로(451a)의 절환 제어 회로(451a)는, 배터리 측 마그넷 스위치(450a)가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의 장치 측 자석(455b)과 근접함으로써 자력을 받아서 배터리 측 마그넷 스위치(450a)가 작동한다. 절환 제어 회로(451a)는 배터리 유닛(450)의 저축 전압에 의해 충전 동작으로 할지 내시경 본체(101b)의 내부로 급전할지를 절환 제어하고 있다. 이 충전 동작은, 소정의 저축 전압치가 유지되었다고 절환 제어 회로(451a)가 판단할 때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내시경 본체(101b)가 세척 소독되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내장되는 배터리 유닛(450)의 충전이 행해지므로, 사용자는 충전 작업을 위한 각종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그로 인해, 배터리 유닛(450)의 충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음에, 스텝 S64로 진행하여 배터리 유닛(450)의 절환 제어 회로(451a)에 의해 내시경 본체(101b)의 소정 주파수의 전원이 유효가 된다. 그러면,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와 장치 본체(2)에 내장되는 장치 측 제어 회로(53)가, 내시경 본체(101b)의 송수신 안테나(116)와 세척 소독조(4)에 마련되는 장치 측 송수신 안테나(32)에 의해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스텝 S65로 진행하여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의 메모리 소자에 기억되어 있는 내시경 본체(101b)의 기종 번호 등의 스코프 개체 정보, 수리 이력, 세척 횟수 등의 각종 이력 정보를, 송수신 안테나(116) 및 장치 측 송수신 안테나(32)를 거쳐서 무선 통신에 의해 판독하여, 장치 본체(2)에 마련한 장치 측 제어 회로(53)를 거쳐서 스코프 메모리 R/W 회로(463)에 기억한다.
그 후에 스텝 S66으로 진행하여, 물 필터(14)에 의해 여과된 수돗물이, 급수·순환 노즐(24)로부터 세척 소독조(4)에 공급된다. 스텝 S67에서는, 세척 소독조(4)의 수위를, 도시하지 않은 수위 센서 등으로 검출하여, 급수의 종료 시기를 감시한다. 그리고,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는 수위가 설정 수위에 이르렀을 때, 급수를 종료하고, 스텝 S68로 진행한다.
스텝 S68에서는, 내시경 본체(101b)의 각종 기능 체크를 행한다. 기능 체크 항목은, 기본 항목과 기종별 항목이 있다. 기본 항목은 세척 소독의 대상이 되는 내시경 본체(101b)의 기종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실행되는 항목이며, 한편, 기종별 항목은 판독한 기종 번호에 의거하여 내시경(100b)마다 대응하는 체크 항목이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기본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누수 체크, 관로 막힘 체크가 있다.
누수 체크는, 우선 장치 본체(2)에 내장되어 있는 차단 밸브(47)를 개방하고, 누수 검지 펌프(46)로부터의 에어를, 도36에 나타내는 장치 측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33)에 접합되어 있는 내시경 본체(101b)의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마련한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로부터 내시경 본체(101b) 내에 공급하여, 내시경 본체(101b) 내를 가압한다. 그리고, 소정압에 이르렀을 때, 차단 밸브(47)를 닫아 내시경 본체(101b) 내의 압력 변화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때의 압력 변화가 큰 경우, 내시경 본체(101b)의 외측 표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에어가 새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압력 변화가 작을 경우는 정상이라 판단한다.
또한, 관로 막힘 체크는, 우선 채널 블록(42)을 동작시켜서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세척 소독조(4)에 개구되어 있는 순환구(21)를 연통시켜, 채널 펌프(43)의 구동에 의해,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수돗물을,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공급한다. 그리고, 관로/누검용 커넥터(31a)를 거쳐서, 내시경 본 체(101b)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수돗물이 공급되어서, 수돗물이 순환된다. 그리고, 이때의 각 관로(106 내지 109) 내를 유통하는 수돗물의 유량을 관로 센서(121)에 의해 측정하고, 그 값과 기준치를 비교하여, 유량이 기준치 이하일 때는 관로 막힘이라 판단한다. 한편, 유량이 기준치 이상일 때는 정상이라 판정한다.
한편, 기종별 항목은 기종마다 다르며, 예를 들어 본 형태와 같이 조명 수단으로서 내시경 본체(101b) 선단부에 조명 소자(112)를 구비하는 것에서는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로부터 조명 소자(112)에 조명용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그때의 내시경상을 모니터(26)에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모니터(26)의 내시경상의 밝기로부터 조명 소자(112)가 점등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이 경우, 인위적인 판단이 되지만, 예를 들면 촬상 소자(111)에 의해 수광한 광량과 기준치를 비교함으로써, 발광 소자가 점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자동적으로 검출해도 좋다.
또한, 내시경 삽입부(105)의 선단부를 EPAM에 의한 앵글용 부재(105b)에 의해 만곡 동작시키는 내시경 본체(101b)에서는,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로부터 앵글용 부재(105b)에 대하여 앵글 동작 신호를 출력하고, 그때의 내시경상을 모니터(26)에 표시시킨다. 사용자는, 내시경상이 움직이고 있는지 여부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이 경우도 인위적인 판단이 되지만, 예를 들면 촬상 소자(111)로 촬상한 내시경상이 있는 특정한 화소 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의 연속적인 이동을 검지하고, 이 이동과 앵글용 부재(105b)에 출력한 구동 신호를 비교하여, 거의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앵글용 부재(105b)가 정상인가 여부를 자동적으로 조사해도 좋다.
또한, 내시경 본체(101b)에 내장되는 배터리 유닛(450)의 전원 회로(451a)로부터의 충전압 정보가 장치 측 제어 회로(53)에 의해 판별되어,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체크가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스텝 S69로 진행하여, 기능 체크한 결과, 1개라도 이상이라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70으로 분기하고, 내시경 본체(101b)가 이상인 것을 모니터(26)에 표시시키는 등 하여, 이상인 고지를 행한 후, 스텝 S71로 진행하고,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의 세척 소독 공정이 정지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내시경 본체(101b)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쉽게 판단할 수 있어, 이상 장소의 상황을 제조회사에 보고 등 하여, 수리 의뢰를 행할 수 있다.
한편, 기능 체크 항목의 모두가 정상이라 판정되었을 때는, 도40에 나타내는 스텝 S72로 진행하여, 세척 공정을 시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운전되므로, 탑 커버(3)는 폐쇄되어 있다.
세척 공정이 개시되면, 우선 세제 펌프(27)의 구동에 의해 세제 탱크(11)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 세제를 세제 노즐(22)로부터 적당량 토출시켜,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수돗물에 혼입시켜서 세척수가 생성된다. 세척 공정에서는 내시경 본체(101b)를 수용 오목부(4a)의 외주벽면, 및 내주벽면에 마련한 고압 노즐(19)로부터,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가 고압 분출되어서 세척 소독조(4) 내에 수류가 생성된다. 또한 이 수류는, 초음파 진동자(49)의 구동에 의해 진동된다. 그 결과, 내시경 본체(101b)의 외측 표면이 세척수의 수류와 진동에 의해 세척된다.
또한, 3방 절환 밸브(29)와 채널 블록(42)을 동작시켜서, 순환구(21)와 급수·순환 노즐(24) 및 관로/누검용 커넥터(31a)가 연통시킨다. 그 결과, 급수·순환 노즐(24)로부터 유액 펌프(30)의 구동에 의해, 세척수가 토출되어서 순환된다. 동시에, 관로/누검용 커넥터(31a)를 지나 내시경 본체(101b)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채널 펌프(43)의 토출압에 의해 세척수가 공급되어, 각 관로(106 내지 109) 내가 세척된다.
본 형태에서 채용하는 내시경 본체(101b)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는, 밸브나, 이것을 동작시키는 기구가 내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거의 스트레이트형으로 배관되어 있으므로, 유로 저항이 적어 세척수를 스무스하게 흐르게 할 수 있어, 각 관로(106 내지 109) 내가 구석구석 세척된다.
그리고, 스텝 S73으로 진행되어 세척 공정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설정 시간에 도달되었는지 여부에 의해 판단하고, 설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세척 공정을 계속해서 행한다. 그리고, 설정 시간에 도달했을 때, 세척 종료라 판정하여, 스텝 S74로 진행하고, 세척수를 배수한다. 세척수의 배수는 세척 소독조(4)의 바닥부에 개구되어 있는 배수구(20)에 마련한 절환 밸브(52)가 동작되어서, 배수구(20)와 외부 배수구(82)를 연통시켜, 배수 펌프(34)를 구동시켜서, 강제적으로 배수시킨다.
그리고, 배수가 소정 종료한 경우, 절환 밸브(52)가 동작되어서 배수구(20)가 폐쇄되고, 다시 3방 절환 밸브(29)가 동작되어서 순환구(21)와 급수·순환 노즐(24)을 차단한 후, 스텝 S15로 진행하여 소독 공정이 개시된다.
소독 공정이 개시되면, 우선 약액 펌프(28)의 구동에 의해, 소독액 탱크(12) 에 저장되어 있는 소독액이 소독액 노즐(23)에 송급되고, 이 소독액 노즐(23)로부터 세척 소독조(4)에 소독액이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는, 순환구(21)와 관로/누검용 커넥터(31a)가 연통되어 있으므로, 채널 펌프(43)의 구동에 의해,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소독액이, 내시경 본체(101b)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주입된다. 그리고, 세척 소독조(4)에 공급된 소독액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이른 후, 소독액을 설정 시간만큼 순환시킨다.
그 후에 설정 시간에 도달했을 때, 채널 펌프(43)의 구동이 정지되어, 설정 시간만큼 내시경 본체(101b)가 소독액에 침지된다. 이 경우도, 본 형태에 의한 내시경 본체(101b)의 각 관로(106 내지 109)는 대략 스트레이트형으로 배관되어 있으므로, 소독액이 빠짐없이 관로 내부에 널리 퍼진다.
계속해서, 스텝 S76에 있어서는, 내시경 본체(101b)의 침지 시간을 측량하여, 침지 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했을 때, 소독 종료라 판정하여, 스텝 S77로 진행된다. 스텝 S77에서는 소독액의 회수가 행해진다. 소독액은 일정 횟수 반복하여 사용되므로, 절환 밸브(52)가 동작되어서, 배수구(20)가 소독액 탱크(12)에 연통되어,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소독액이 소독액 탱크(12) 내로 회수된다.
소독액이 소독액 탱크(12)로 소정 회수된 후, 스텝 S78로 진행하고, 헹굼 공정이 개시된다. 헹굼 공정이 개시되면, 우선 3방 절환 밸브(29)가 구동되어, 급수·순환 노즐(24)이 물 필터(14) 측에 연통되어, 급수·순환 노즐(24)로부터 물 필터(14)에 의해 여과된 수돗물이 세척 소독조(4)에 공급된다. 그리고, 수돗물이 소정의 수위에 달한 후, 3방 절환 밸브(29)가 폐쇄되어, 세척 공정과 같이 세척 소독조(4)에 저장되어 있는 수돗물을 순환시킨다.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배수한다.
스텝 S79에서는, 헹굼 횟수(N)가 계수되어, 헹굼 횟수(N)가 설정 횟수에 달했을 때, 헹굼 공정이 종료라 판정된다. 그리고, 마지막 헹굼 공정에 있어서 사용한 수돗물이 소정 배수된 후, 스텝 S80으로 진행하여, 송기 공정이 개시된다. 송기 공정이 개시되면, 채널 블록(42)이 구동되어서, 압축기(44)와 관로/누검용 커넥터(31a)를 연통하고, 내시경 본체(101b)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압축 공기를 송기하고, 각 관로(106 내지 109) 내의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시킨다.
스텝 S81에서는, 압축기(44)에 의한 송기 시간을 재어, 설정 시간에 달했을 때 송기 공정이 종료라 판단되어, 압축기(44)이 정지된 후, 스텝 S82로 진행된다.
스텝 S82에서는, 알코올 플래쉬 공정이 개시된다. 알코올 플래시 공정에서는, 우선 채널 블록(42)을 구동시켜서, 알코올 탱크(13)와 관로/누검용 커넥터(31a)를 연통시켜, 알코올 펌프(35)의 구동에 의해, 알코올 탱크(13)에 저장되어 있는 알코올을 소량만큼, 내시경 본체(101b)의 각 관로(106 내지 109)로 송액한다. 이어서, 채널 블록(42)이 다시 구동되어, 관로/누검용 커넥터(31a)가 압축기(44)에 연통되고, 압축기(44)의 구동에 의해 압축 공기가 내시경 본체(101b)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송기된다.
그리고, 압축 공기와 함께 알코올이 내시경 본체(101b)의 각 관로(106 내지 109)에 공급되어, 알코올에 의해, 각 관로(106 내지 109)에 잔류하는 약간의 수분 증발이 촉진되어, 각 관로(106 내지 109) 내는 빠르게 건조된다.
스텝 S83에서는, 압축 공기의 송기 시간을 재어, 설정 시간에 달했을 때, 알코올 플래쉬 공정의 종료라 판정되어, 모든 공정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다 사용한 내시경 본체(101b)를 세척 소독할 때에, 내시경 본체(101b)에 형성되어 있는 스코프 커넥터부(105a)를 장치 본체(2)의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 원 터치로 장착함으로써 접속을 완료시킬 수 있으므로, 번잡한 접속 작업이 불필요해져,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효율이 향상되었으므로, 세척 소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그 만큼 내시경(100b)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시경 본체(101b)와 장치 본체(2)는, 각 관로(106 내지 109), 및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가 접합되는 부위 이외는, 모두 비접촉식이므로, 세척 소독 중에 세척수, 소독액 등의 액체가 내시경 본체(101b) 내로 침입하는 일이 없어, 양호한 방수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도39에 나타내는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에 의한 내시경 본체(101b)의 세척 소독 공정 전의 스텝 S68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체크에 있어서는, 기본 항목에다가, 기종별 항목의 체크도 행하고 있지만, 기종별 항목은, 세척 공정으로부터 소독 공정까지의 일련의 처리 공정 중에 있어서의 배경에 있어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41에 배경에 있어서 실행되는 내시경 본체(101b)의 각종 기능 체크 공정의 일예를 게시한다.
이 공정에서는 우선, 스텝 S91에 있어서, 앵글용 부재(105b)에 의해 동작되 는 선단부의 앵글 동작 체크가 행해진다. 앵글 동작의 체크는,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로부터 앵글용 부재(105b)에 대하여 앵글 동작 신호가 출력되어, 그때의 내시경상을 모니터(26)에 표시시켜서, 내시경상이 작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스텝 S92에서는, 장치 본체(2)에 내장되어 있는 차단 밸브(47)를 개방하고, 누수 검지 펌프(46)로부터의 에어를, 누수 검지 튜브(41b), 접속용 금속 부재(40)를 사이에 두고, 이 접속용 금속 부재(40)에 접합되어 있는 내시경 본체(101b)의 본체 측 스코프 커넥터부(105a)에 마련한 누수 검지용 접속용 금속 부재(119)로부터 내시경 본체(101b) 내에 공급하여, 내시경 본체(101b) 내를 가압함으로써 내시경 본체(101b)의 누수 체크를 행한다.
스텝 S93에서는,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로부터 조명 소자(112)에 대하여 점등 신호가 출력되어, 그때의 내시경상이 모니터(26)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모니터(26)에 의해 소정의 밝기를 얻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또한, 스텝 S94에서는, 사용자는 모니터(26)에 표시되어 있는 내시경상을 확인하여, 촬상 소자(11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또한, 스텝 S95에서는 내시경 본체(101b)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 유닛(450)의 충전압치의 정보 신호가 전원 회로(451a)로부터 출력되어, 장치 측 제어 회로(53)에 의해 소정의 충전압치가 판별됨으로써,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소정의 배터리 충전압치가 검출되면, 그대로 스텝 S96으로 진행된다.
여기에서, 내시경 본체(101b)의 배터리 유닛(450)의 소정의 충전압치가 검출 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충전압치가 검출될 때까지 배터리 유닛(450)에의 충전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소정의 배터리 충전압치가 장치 측 제어 회로(53)에 검출되면, 스텝 S96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스텝 S96에서는, 모든 동작이 정상이라 판정되었을 때는, 그대로 각종 기능 체크를 종료한다. 한편, 1개라도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는, 스텝 S97로 분기하고, 이상의 고지를 행한 후, 스텝 S98로 진행하여, 현재의 처리 공정을 정지시킬 것인지 여부의 입력 대기가 된다. 또한, 처리 공정을 정지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그대로 각종 기능 체크가 종료된다. 한편, 처리 공정을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스텝 S99로 진행하여 현재의 처리 공정을 정지시켜서, 각종 기능 체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내시경 본체(101b)의 기종별 항목이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의 각 처리 공정 중의 배경으로서 행할 수 있고, 또한 내시경 본체(101b)의 배터리 유닛(450)의 충전이 되어 있는지 여부의 체크 및 배터리 충전 동작이 각 처리 공정 중에 행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내시경 본체(101b) 단일 부재에서의 배터리 충전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의 결과, 내시경 본체(101b)의 세척 소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보다 한층 단축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내시경(100b)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6 실시 형태의 내시경(100b)의 구성이 다른 내시경(100c)에 대응한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이며,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에서 이미 기술한 내 시경 세척 소독 장치 및 내시경과 동일한 구성,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 작용, 효과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4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의 세척 소독조에 내시경이 세트되어 있는 도면, 도43은 내시경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4는 세척 소독조 및 내시경의 각 커넥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45는 장치 본체 내의 장치 측 제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46은 스코프 측 전원 제어 회로와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47은 배터리 유닛과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의 세척 소독조(4)에 내시경 본체(101c)가 세트되어 있다. 세척 소독조(4)의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에는, 전력 전송 수단인 송수신 코일(455a)을 갖는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은, 내시경 본체(101c)에 전력을 비접촉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또한, 세척 소독조(4)의 중앙 영역부의 수용 볼록부(4b)에는, 후술하는 내시경 본체(101c)에 착탈 가능한 배터리 전원 수단인 배터리 유닛(55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배터리 수용부(4B)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배터리 수용부(4B)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전자석 유닛이 설치되어, 전자석이 여자되어서 배터리 유닛(550)을 소정 흡착 고정하고 있다. 이 배터리 수용부(4B)에도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520)이 배치되어, 배터리 유닛(550)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비접촉적인 전자 유도에 의해 공급하고 있다.
우선, 도43에 의거하여 내시경(100c)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시경(100c)은,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 이외에 대해 제6 실시 형태의 내시경(100b)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내시경(100c)은, 제6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내시경 본체(101c)와 유니버설 코드(102)가 분리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내시경 본체(101c)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 유닛(550)을 갖고 있다. 이 배터리 유닛(550)은, 전력 전송 수단인 송수신 코일(553)과, 배터리 측 전원 제어 회로(552)와, 배터리(551)를 갖고 있다. 즉, 배터리 유닛(550)은 내시경 본체(101c)에 있어서의 배터리 전원 수단이다.
또한, 내시경 본체(101c)의 조작부(104)에는,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코프 측 전원 제어 회로(560)가 내장되어 있다. 이 스코프 측 전원 제어 회로(560)는, 송수신 코일(561)과 접속되어 있고, 배터리 유닛(550)의 송수신 코일(553)로부터 전자 유도에 의해 비접촉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전원 제어 회로(560)는 배터리 유닛(550)으로부터의 전력을 소정 정류하여,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 공급한다.
다음에, 내시경 본체(101c)의 스코프 커넥터부(105a)와 관로/누검용 커넥터(31a), 배터리 유닛(550)과 수용 볼록부(4b)의 배터리 수용부(4B)의 접합에 대해 설명한다. 도44에 나타내는, 내시경 본체(101c)의 스코프 커넥터부(105a)와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와의 접합은, 기본적으로 유니버설 코드(102)의 코드 측 커넥터부(102a)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각각 서로 접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관로/누검용 커넥터(31a)의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은, 송수신 코 일(455a)로부터 스코프 커넥터부(105a)의 스코프 측 전원 제어 회로(560)의 송수신 코일(561)에 전자 유도에 의해 전력을 비접촉으로 공급한다. 송수신 코일(561)이 받은 전력은, 스코프 측 전원 제어 회로(560)에 공급된다.
내시경 본체(101c)로부터 이탈된 배터리 유닛(550)과 배터리 수용부(4B)와의 접합은, 기본적으로 내시경 본체(101c)의 스코프 커넥터부(105a)의 일부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각각 서로 접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배터리 수용부(4B)의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520)은, 송수신 코일(521)로부터 배터리 유닛(550)의 배터리 측 전원 제어 회로(552)의 송수신 코일(553)에 전자 유도에 의해 전력을 비접촉으로 공급한다. 송수신 코일(561)이 받은 전력은, 스코프 측 전원 제어 회로(560)에 공급된다. 상세한 것은, 도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측 제어 회로(53)는, 내시경 본체(101c)의 급전용의 송수신 코일(455a)을 갖는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과, 배터리 유닛(550)의 충전용의 송수신 코일(521)을 갖는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520)과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내시경 본체(101c)의 스코프 측 전원 제어 회로(560)의 송수신 코일(561)은, 장치 측 제어 회로(53)로부터의 전력을 송수신 코일(455a)에 의해 비접촉으로 공급된다. 또한, 배터리 수용부(4B)의 배터리 유닛(550)의 송수신 코일(553)은, 장치 측 제어 회로(53)로부터의 전력을 송수신 코일(521)에 의해 비접촉으로 공급된다.
다음에, 도46 및 도47을 참조하여, 내시경 본체(101c)에의 급전 및 배터리 유닛(550)에의 충전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내시경 본체(101c)에의 전원 공급에 대해서 도46을 사용하여 설명한 다.
도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코프 측 전원 제어 회로(560)는 전원 제어 IC(560a) 등의 전자 부품으로 구성되어, 송수신 코일(561)과 접속되어 있다. 스코프 측 자석(565)은, 장치 측 마그넷 스위치(459a)가 대응한 내시경 본체(101c)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455)의 충전 제어 회로(459)는 스코프 측 자석(565)이 근접함으로써 자력을 받은 장치 측 마그넷 스위치(459a)가 작동한 온 신호를 받아, 전력을 송수신 코일(455a)에 공급한다. 이 송수신 코일(455a)에 공급된 전력은, 스코프 측 전원 제어 회로(560)의 송수신 코일(561)에 전자 유도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송수신 코일(561)에 공급된다.
그리고, 송수신 코일(561)에 급전된 전력은, 스코프 측 전원 제어 회로(560)에 의해 소정의 전원 전압에 정류되어,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 공급된다.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는, 제어선을 거쳐서 내시경 본체(101c)의 각종 구동계의 기기에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내시경 측 제어 회로(113)에는 각종 스위치(SW1, SW2) 등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배터리 유닛(550)은 배터리 수용부(4B)에 설치되었을 때의 충전에 대해, 도47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유닛(550)은 배터리 측 자석(557)과, 충전용 마그넷 스위치(556)와, 송수신 코일(553)과, 급전용 마그넷 스위치(555)와, 배터리 측 전원 제어 회로(552)와, 배터리(551)를 구성하는 각종 전자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 측 자석(557)은,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520)의 장치 측 마 그넷 스위치(459a)와, 충전용 마그넷 스위치(556)는,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520)의 장치 측 자석(525)과 각각이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급전용 마그넷 스위치(555)는 내시경 본체(101c)에 배터리 유닛(550)이 접합되었을 때에, 도46에 나타내는 스코프 측 자석(565)과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스코프 측 자석(565)이 근접함으로써 자력을 받아서 작동하는 스위치이다. 이 급전용 마그넷 스위치(555)의 작동에 의해, 배터리 유닛(550)이 내시경 본체(101c)에 전력을 급전하여, 내시경 본체(101c)의 각종 기기에 전원이 공급된다.
배터리 측 전원 제어 회로(552)는, SW(스위치) 회로(552a)와 충전 회로(552b)를 갖고 있으며, 급전용 마그넷 스위치(555) 및 충전용 마그넷 스위치(556)에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 유닛(550)에의 충전 동작에 대해서는,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520)의 장치 측 자석(525)이 충전용 마그넷 스위치(556)와 근접함으로써 자력을 받아서 작동하고, 온 신호를 배터리 측 전원 제어 회로(552)의 충전 회로(552b)에 공급된다. 그리고, 배터리 측 전원 제어 회로(552)는, SW 회로(552a)를 배터리(551) 측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바꾼다. 이때, 비접촉 전원 송수신 유닛(520)의 충전 제어 회로(459)의 장치 측 마그넷 스위치(459a)가 배터리 측 자석(557)에 근접함으로써 자력을 받아 온 신호에 의해, 충전 제어 회로(459)로부터 송수신 코일(521)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리고, 송수신 코일(521)의 전력은, 배터리 유닛(550)의 송수신 코일(553)에 전자 유도에 의해 공급된다. 다음에, 송수신 코일(553)에 공급된 전력이 배터리 측 전원 제어 회로(552)를 거쳐서 배터리(551)에 소정의 전압만큼 충전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에 의한 내시경 본체(101c)의 세척 및 소독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흐름도(도39 내지 도41)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또한, 도39에 나타내는 스텝 S63에 있어서, 세척 소독조(4)의 배터리 수용부(4B)에 마련되는 배터리 유닛(550)에의 충전이 개시되어, 스텝 S64에 있어서, 내시경 본체(101c)의 스코프 측 전원 제어 회로(560)에 의해 내시경 본체(101c)의 소정 주파수의 전원이 유효해진다. 도41에 있어서의 스텝 S94의 배터리 충전 체크는, 배터리 유닛(550)의 충전 체크가 되는 것이다.
이상,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는, 제6 실시 형태의 효과에다가, 착탈식의 배터리 유닛(550)을 구비하는 내시경(100c)에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 유닛(550)은 세척 소독조(4)의 배터리 수용부(4B)에 설치되므로, 충전 동작과 함께 세척 및 소독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6,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1C)는 배터리 유닛(450, 550)만을 충전 동작하는 기능을 마련해도 좋고, 이 충전 기능은 조작 패널(25)이 조작되어서 개시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바꾸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 개변 등이 가능하다.

Claims (5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내시경과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로 구성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이며,
    상기 내시경측에 마련된 커넥터부와,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에 있어서의 세척조에 고정 설치된 내시경 접속부를 구비하고,
    내시경 세척 소독 시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과 상기 내시경 접속부를 직접 접속하고,
    상기 세척 소독 장치는, 상기 내시경 본체를 세척 및 소독하는 공정 도중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본체의 구성 요소가 정상으로 기능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체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14. 내시경과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로 구성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이며,
    상기 내시경측에 마련되고, 상기 내시경의 본체와 유니버설 코드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부와,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에 있어서의 세척조에 고정 설치된 내시경 접속부를 구비하고,
    내시경 세척 소독 시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의 본체로부터 상기 유니버설 코드를 이탈시켜서, 상기 내시경의 본체와 상기 내시경 접속부를 직접 접속하고,
    상기 세척 소독 장치는, 상기 내시경 본체를 세척 및 소독하는 공정 도중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본체의 구성 요소가 정상으로 기능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체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15. 내시경과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로 구성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이며,
    상기 내시경측에 마련된 커넥터부와,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에 있어서의 세척조에 고정 설치된 내시경 접속부를 구비하고,
    내시경 세척 소독 시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과 상기 내시경 접속부를 직접 접속하고,
    내시경과 세척 소독 장치의 쌍방에,
    전기적 무접점인 정보 전달 수단과,
    전기적 비접촉인 전력 전송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세척 소독 장치는, 상기 내시경 본체를 세척 및 소독하는 공정 도중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본체의 구성 요소가 정상으로 기능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체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16. 내시경과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로 구성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이며,
    상기 내시경측에 마련되고, 상기 내시경의 본체와 유니버설 코드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부와,
    상기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에 있어서의 세척조에 고정 설치된 내시경 접속부를 구비하고,
    내시경 세척 소독 시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의 본체로부터 상기 유니버설 코드를 이탈시켜서, 상기 내시경의 본체와 상기 내시경 접속부를 직접 접속하고,
    내시경과 세척 소독 장치의 쌍방에,
    전기적 무접점인 정보 전달 수단과,
    전기적 비접촉인 전력 전송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세척 소독 장치는, 상기 내시경 본체를 세척 및 소독하는 공정 도중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본체의 구성 요소가 정상으로 기능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체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체크 시의 체크 항목은, 상기 내시경 본체에 마련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개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체크 시의 체크 항목은, 상기 내시경 본체에 마련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개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체크 시의 체크 항목은, 상기 내시경 본체에 마련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개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체크 시의 체크 항목은, 상기 내시경 본체에 마련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개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소독 장치에, 상기 기능 체크의 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체크 결과를 통지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소독 장치에, 상기 기능 체크의 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체크 결과를 통지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소독 장치에, 상기 기능 체크의 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체크 결과를 통지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소독 장치에, 상기 기능 체크의 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체크 결과를 통지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KR1020067027114A 2004-06-24 2005-06-23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KR100872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7114A KR100872936B1 (ko) 2004-06-24 2005-06-23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6955 2004-06-24
JPJP-P-2004-00186956 2004-06-24
JPJP-P-2004-00186951 2004-06-24
KR1020067027114A KR100872936B1 (ko) 2004-06-24 2005-06-23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307A Division KR100908359B1 (ko) 2004-06-24 2005-06-23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및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769A KR20070023769A (ko) 2007-02-28
KR100872936B1 true KR100872936B1 (ko) 2008-12-08

Family

ID=4164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114A KR100872936B1 (ko) 2004-06-24 2005-06-23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649B1 (ko) 2019-10-25 2020-01-29 주식회사 엠에이치헬스케어 분말형 소독제를 단시간에 용해시켜 사용하는 내시경용 원데이 세정소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8800B2 (ja) * 2007-12-21 2013-04-2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洗浄消毒装置及びこの内視鏡洗浄消毒装置による漏水検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1608B2 (ja) * 1991-04-17 1999-11-0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02238847A (ja) * 2001-02-21 2002-08-27 Olympus Optical Co Ltd 洗滌・消毒システム
JP2003088499A (ja) * 2001-09-18 2003-03-25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1608B2 (ja) * 1991-04-17 1999-11-08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02238847A (ja) * 2001-02-21 2002-08-27 Olympus Optical Co Ltd 洗滌・消毒システム
JP2003088499A (ja) * 2001-09-18 2003-03-25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649B1 (ko) 2019-10-25 2020-01-29 주식회사 엠에이치헬스케어 분말형 소독제를 단시간에 용해시켜 사용하는 내시경용 원데이 세정소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769A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359B1 (ko)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및 내시경 세척 소독 장치
CN100471443C (zh) 内窥镜洗涤消毒系统、内窥镜以及内窥镜洗涤消毒装置
KR100964769B1 (ko)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 및 내시경 세정 소독 장치에 의한 누수 검지 방법
JP5165479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CN103269638B (zh) 内窥镜清洗消毒装置
EP1728465A1 (en) Endoscope washing and sterilizing system, endoscope washing and sterilizing device and endoscope
JP2007020729A (ja) 医療器具洗滌消毒システム
JP3967729B2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2006230709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及び内視鏡洗滌消毒方法
JP4485384B2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6088394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および内視鏡洗浄消毒装置用アダプタ
KR100872936B1 (ko) 내시경 세척 소독 시스템
JP2009131296A (ja) 内視鏡の簡易洗浄システム及び簡易洗浄用ユニット
JP2006006568A (ja) 内視鏡洗浄消毒システム、内視鏡、及び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09207728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06006569A (ja) 内視鏡用洗滌消毒システム
JP5085346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07202860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5014954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14226153A (ja) 内視鏡用保持網、及びそれを備える内視鏡用リプロセス装置
JP2006081617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4114892B2 (ja) 内視鏡制御ユニットの送気管路洗浄装置
JP2001046336A (ja) 内視鏡洗浄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JP2009072437A (ja) 内視鏡の漏水検知方法
JP2004065667A (ja) 内視鏡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