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591B1 -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591B1
KR100872591B1 KR1020070027228A KR20070027228A KR100872591B1 KR 100872591 B1 KR100872591 B1 KR 100872591B1 KR 1020070027228 A KR1020070027228 A KR 1020070027228A KR 20070027228 A KR20070027228 A KR 20070027228A KR 100872591 B1 KR100872591 B1 KR 100872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traight
pressure measuring
straight portion
a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544A (ko
Inventor
백완기
Original Assignee
백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완기 filed Critical 백완기
Priority to KR1020070027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591B1/ko
Publication of KR2008008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는 덕트 내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풍량 조절기에 있어서, 연결 부위가 없는 하나의 관로를 변형시켜, 상기 덕트 내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의 전압 측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 내의 평균 전압을 측정하는 평균 전압 측정부; 및 다수 개의 정압 측정홀을 가져, 상기 덕트 내의 평균 정압을 측정하는 평균 정압 측정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관 이음매에서의 공기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정확한 공기 압력 측정이 가능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압력 측정, 이음매, 평균 전압, 평균 정압

Description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Pressure measuring apparatus of variable air volume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를 보이는 도면.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측정 장치의 덕트에 형성된 측정관 삽입홀들을 보이는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압력 측정관을 보이는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압력 측정관을 보이는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압력 측정관을 보이는 전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덕트 220 : 차압 센서
300, 400 : 압력 측정관 301, 401 : 전압 측정홀
302 : 정압 측정홀 310 : 제 1 직선부
311 : 센서 연결부 320 : 제 2 직선부
321 : 제 1 곡선부 330 : 제 3 직선부
331 : 제 2 곡선부 340 : 평균 정압 측정부
350 : 고정 수단 360 : 밀폐 부재
본 발명은 압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변 풍량 조절기(VAV, variable air volume terminal unit)는 가변 풍량 조절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장치로서, 풍량을 조절하여 실내의 온도를 변화시켜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고, 에너지 절감을 실현시키는 중요한 장치이다. 이러한 가변 풍량 조절기는 실내 온도의 변화에 따라 풍량을 조절할 때에 조절 댐퍼의 개도율에 따른 풍량 변화량의 특성 곡선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의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로는 미국특허 제 5,481,925호와, 미국특허 제 6,487,918호와, 미국특허 제 6,237,426호에 제시된 압력 측정 장치가 제시될 수 있다.
미국특허 제 5,481,925호에는 중앙 허브(central hub)와, 그 중앙 허브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상류 흐름 감지 튜브(upstream airflow sensing tube) 및 하류 흐름 감지 튜브(downstream airflow sensing tube)를 구비한 압력 측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6,487,918호에는 전압 챔버(total pressure chamber)에 측정홀이 형성된 다수 개의 날개가 부착되고, 그 후측에 정압 튜브(static tube)가 부착되는 구조의 압력 측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6,237,426호에는 중앙 허브(central hub)와, 그 중앙 허브에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전압 포트(total pressure port)가 형성된 튜브와, 중앙 허브 후측에 형성되는 정압 포트(static pressure port)를 구비한 압력 측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에 제시된 종래의 압력 측정 장치에 의하면, 전압 및 정압을 측정하기 위한 튜브가 중앙 허브에 결합되는 등 여러 부품이 결합되는 복잡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그러한 결합 부분의 이음매에서 공기 누설이 발생될 위험이 커지게 된다. 상기 이음매에서 공기 누설이 발생되는 경우, 전압/정압 측정값의 정확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압력 측정 장치가 적용되는 덕트 내에는 고속의 공기가 유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 유동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 또는 작업상의 불량 등으로 인해, 상기 이음매에서의 공기 누설이 발생될 위험이 크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압 및 정압 측정값의 정확도가 향상되도록 장치 상에서 공기 누설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덕트 단면의 여러 위치에서 평균치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는 덕트 내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풍량 조절기에 있어서, 연결 부위가 없는 하나의 관로를 변형시켜, 상기 덕트 내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의 전압 측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 내의 평균 전압을 측정하는 평균 전압 측정부; 및 다수 개의 정압 측정홀을 가져, 상기 덕트 내의 평균 정압을 측정하는 평균 정압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평균 전압 측정부는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된 다수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전압 측정부는 그 양측 말단부가 상기 덕트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상기 덕트를 가로지르고, 그 일측 말단부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막히고, 그 타측 말단부는 열린 제 1 직선부와, 상기 제 1 직선부의 열린 말단부와 연통되도록 굽혀지는 제 1 곡선부와, 상기 제 1 곡선부와 그 일측이 연통되고, 그 타측이 상기 덕트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상기 덕트를 가로지르는 제 2 직선부와, 상기 제 2 직선부와 연통되도록 굽혀지는 제 2 곡선부와, 상기 제 2 곡선부와 그 일측이 연통되고, 그 타측이 상기 덕트 외부의 차압 센서에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를 가로지르는 제 3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직선부와, 상기 제 2 직선부와, 상기 제 3 직선부는 서로 교차되고, 상호간에 실질적으로 60°교차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전압 측정부는 그 양측 말단부가 상기 덕트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상기 덕트를 가로지르고, 그 일측 말단부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막히고, 그 타측 말단부는 열린 제 1 직선부와, 상기 제 1 직선부의 열린 말단부와 연통되도록 굽혀 지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와 그 일측이 연통되고, 그 타측이 상기 덕트 외부의 차압 센서에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를 가로지르는 제 2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직선부와, 상기 제 2 직선부는 서로 교차되고, 상호간에 실질적으로 90°교차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정압 측정부는 상기 덕트 내의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평균 전압 측정부의 후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평균 정압 측정부의 일단은 상기 덕트 내부에서 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덕트 내의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압 측정홀은 전측 방향으로, 상기 정압 측정홀은 후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에는 상기 차압 센서와 연결되는 직선부의 말단부가 관통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과 상기 직선부 사이는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덕트에 상기 곡선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관이 변형되어, 압력 측정관의 직선부들 및 곡선부들을 이룸으로써, 이음매를 형성하지 아니하면서도 덕트 내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의 전압 측정홀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관 이음매에서의 공기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서, 정확한 공기 압력 측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력 측정 장치의 덕트에 형성된 측정관 삽입홀들을 보이는 도면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압력 측정관을 보이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압력 측정관을 보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풍량 조절기(20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210)에 장착된다.
상기 가변 풍량 조절기(2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전압 및 정압을 감지하기 위한 차압 센서(220)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실내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 블레이드(230)와,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2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내의 온도를 검출하고, 설정할 수 있는 실내 온도 검출기(250)와 가변 풍량 조절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2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압 센서(220), 액튜에이터(240) 및 실내 온도 검출기(250)들은 제어기(2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차압 센서(220)는 평균 전압 측정부와, 평균 정압 측정부에서 각각 측 정된 평균 전압과, 평균 정압의 차압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기(260)로 그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기(260)로 전달된 차압 정보는 상기 덕트(210) 내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초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차압 센서(220)의 상측의 상기 덕트(210) 내부에는 압력 측정관(300)이 배치된다.
상기 압력 측정관(300)은 상기 덕트(210) 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전압(total pressure)과, 정압(static pressure) 측정을 위해 공기가 수집되는 관이다. 상기 압력 측정관(300)은 평균 전압 측정부와, 평균 정압 측정부(340)로 구성된다.
상기 평균 전압 측정부는 하나의 관이 굽혀지는 등의 변형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평균 전압 측정부는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된 다수의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를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균 전압 측정부는 제 1 직선부(310)와, 제 1 곡선부(321)와, 제 2 직선부(320)와, 제 2 곡선부(331)와, 제 3 직선부(330)를 포함한다.
이러한 평균 전압 측정부는 상기 덕트(210) 내의 평균 전압을 측정한다. 이러한 평균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평균 전압 측정부에는 상기 덕트(210) 내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의 전압 측정홀(301)이 형성된다. 상기 전압 측정홀(301)은 상기 덕트(210) 내의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이하 동일함)으로 그 전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직선부(310)의 양측 말단부는 상기 덕트(210)의 내벽에 각각 근접 되도록 상기 덕트(210)를 가로지르고, 그 일측 말단(311)은 상기 덕트(210)의 내부에서 막음 부재(312)에 의해 막히고, 그 타측 말단은 열린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 1 곡선부(321)는 상기 제 1 직선부(310)의 열린 말단부와 연통되도록 굽혀진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 1 곡선부(321)는 상기 덕트(210) 내벽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굽혀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2 직선부(320)의 일측은 상기 제 1 곡선부(321)와 연통되고, 그 타측은 상기 덕트(210)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상기 덕트(210)를 가로지르는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상기 제 2 직선부(320)는 상기 제 1 직선부(310)와 상기 덕트(210)의 대략 중앙부에서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곡선부(331)는 상기 제 2 직선부(320)와 연통되도록 굽혀진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 2 곡선부(331)는 상기 덕트(210) 내벽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굽혀진 형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3 직선부(330)의 일측은 상기 제 2 곡선부(331)와 연통되고, 그 타측은 상기 덕트(210) 외부의 상기 차압 센서(220)에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210)를 가로지르는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상기 제 3 직선부(330)는 상기 제 1 직선부(310) 및 상기 제 2 직선부(320)와 상기 덕트(210)의 대략 중앙부에서 교차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직선부(330)의 상기 차압 센서(220)와 연결되는 말단부는 그 후측으로 굽혀진 부분(332)과, 그 후측으로 굽혀진 부분(332)에서 하측으로 굽혀진 부분(333)을 가진다.
이러한 하측으로 굽혀진 부분(333)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정관 삽입홀(211)(212)을 관통하여 플레시블 배관을 통해 상기 차압 센서(22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관 삽입홀(211)(212)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이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직선부(310)와, 상기 제 2 직선부(320)와, 상기 제 3 직선부(330)는 상기 덕트(210)의 대략 중앙부에서 서로 교차될 수 있고, 상호간에 실질적으로 60°교차 각도를 형성하도록 교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관 삽입홀(211)(212)과, 상기 하측으로 굽혀진 부분(333) 사이의 밀폐를 위해 밀폐 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 부재(360)는 고무 재질의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부(361) 및 하단부(363) 사이에 홈(362)이 형성된 형상을 이룬다. 상기 홈(362)이 상기 측정관 삽입홀(211)(212)의 내벽에 접촉되고, 상기 상단부(361) 및 상기 하단부(363)는 상기 측정관 삽입홀(211)(212) 주변 부분과 접촉되며, 상기 밀폐 부재(360)의 중앙 관통홀에 상기 하측으로 굽혀진 부분(333)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측정관 삽입홀(211)(212)과 상기 하측으로 굽혀진 부분(333)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부재(360)의 제시된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다양한 형상의 밀폐 부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 1 곡선부(321)와, 상기 제 2 곡선부(331)의 적어도 하나에는 고정 수단(350)이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 수단(350)으로는 클램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 수단(350)이 상기 곡선부들(321)(331)을 감싸면서 상기 덕트(210) 내벽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곡선부들(321)(331)이 안정적으로 상기 덕트(210)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나의 관이 변형되어, 평균 전압 측정부의 직선부들 및 곡선부들을 이룸으로써, 이음매를 형성하지 아니하면서도 상기 덕트 내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의 전압 측정홀(301)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관 이음매에서의 공기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정확한 공기 압력 측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평균 정압 측정부(340)는 상기 평균 전압 측정부의 일 부분, 예시적으로 상기 제 3 직선부(330)의 후측에 접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평균 정압 측정부(340)의 일측 말단은 막음 부재(343)에 의해 막히고, 타측 말단은 후측으로 굽혀진 부분(341)과, 하측으로 굽혀진 부분(342)을 가져, 플렉시블 배관을 통해 상기 차압 센서(2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으로 굽혀진 부분(342)과 상기 측정관 삽입홀(211)(212) 사이에는 상기 밀폐 부재(360)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평균 정압 측정부(340)의 배면에는 다수의 정압 측정홀(302)이 형성된다. 상기 정압 측정홀(302)은 상기 평균 정압 측정부(340)의 배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평균 정압 측정부(340)의 하면 등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정압 측정홀(302)로의 이물질 유입이 최소화되고, 상기 정압 측정홀(302) 주변의 난류 형성이 최소화되어 상기 덕트(210) 내의 비교적 정확한 정압 측정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제 1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압력 측정관을 보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측정관(400) 중 평균 전압 측정부는 제 1 직선부(410)와, 곡선부(411)와, 제 2 직선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직선부(420) 후측에는 평균 정압 측정부(430)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직선부(410)는 그 양측 말단부가 덕트(210)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상기 덕트(210)를 가로지르고, 그 일측 말단부는 막음 부재(412)에 의해 막히고, 그 타측 말단부는 열린 형상을 이룬다.
상기 곡선부(411)는 상기 제 1 직선부(410)의 열린 말단부와 연통되도록 굽혀진 형상을 이룬다. 상기 곡선부(411)의 곡률은 상기 덕트(210) 내벽의 곡률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직선부(420)는 상기 곡선부(411)와 그 일측이 연통되고, 그 타측이 상기 덕트(210) 외부의 차압 센서(220)에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210)를 가로지 르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직선부들(410)(420)은 상기 덕트(210)의 대략 중앙부에서 서로 교차될 수 있고, 상호간에 실질적으로 90°교차 각도를 형성하도록 교차될 수 있다.
상기에 제시된 형태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압력 측정관이 제시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압력 측정관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평균 정압 측정부(430)의 일측 말단도 상기 덕트(210)의 내부에서 막음 부재(431)에 의해 막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관이 변형되어, 압력 측정관의 직선부들 및 곡선부들을 이룸으로써, 이음매를 형성하지 아니하면서도 덕트 내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의 전압 측정홀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관 이음매에서의 공기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정확한 공기 압력 측정이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 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1)

  1. 덕트 내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풍량 조절기에 있어서,
    하나의 관로를 절곡하여 직선부와 곡선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직선부는 상기 덕트의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상호 교차하도록 다수 형성되고, 상기 곡선부는 덕트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직선부의 공기 유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측을 향하도록 다수의 전압 측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 내부의 평균 전압을 측정하는 평균 전압 측정부; 및
    상기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고, 다수의 정압 측정홀이 공기 유동 방향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덕트 내부의 평균 정압을 측정하는 평균 정압 측정부;를 포함하는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들은 상기 덕트의 중앙부에서 상호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전압 측정부는
    그 양측 말단부가 상기 덕트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상기 덕트를 가로지르고, 그 일측 말단부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막히고, 그 타측 말단부는 열린 제 1 직선부와,
    상기 제 1 직선부의 열린 말단부와 연통되도록 굽혀지는 제 1 곡선부와,
    상기 제 1 곡선부와 그 일측이 연통되고, 그 타측이 상기 덕트의 내벽에 근 접되도록 상기 덕트를 가로지르는 제 2 직선부와,
    상기 제 2 직선부와 연통되도록 굽혀지는 제 2 곡선부와,
    상기 제 2 곡선부와 그 일측이 연통되고, 그 타측이 상기 덕트 외부의 차압 센서에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를 가로지르는 제 3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선부와, 상기 제 2 직선부와, 상기 제 3 직선부는 서로 교차되고, 상호간에 실질적으로 60°교차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전압 측정부는
    그 양측 말단부가 상기 덕트의 내벽에 근접되도록 상기 덕트를 가로지르고, 그 일측 말단부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막히고, 그 타측 말단부는 열린 제 1 직선부와,
    상기 제 1 직선부의 열린 말단부와 연통되도록 굽혀지는 곡선부와,
    상기 곡선부와 그 일측이 연통되고, 그 타측이 상기 덕트 외부의 차압 센서에 연결되도록 상기 덕트를 가로지르는 제 2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선부와, 상기 제 2 직선부는 서로 교차되고, 상호간에 실질적으로 90°교차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장치.
  7. 제 1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정압 측정부는 하나의 직선부의 공기 유동 방향 후측에 상기 직선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정압 측정부의 일단은 상기 덕트 내부에서 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장치.
  10.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는 상기 차압 센서와 연결되는 직선부의 말단부가 관통되는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과 상기 직선부 사이는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장치.
  11.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상기 곡선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측정 장치.
KR1020070027228A 2007-03-20 2007-03-20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 KR100872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228A KR100872591B1 (ko) 2007-03-20 2007-03-20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228A KR100872591B1 (ko) 2007-03-20 2007-03-20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544A KR20080085544A (ko) 2008-09-24
KR100872591B1 true KR100872591B1 (ko) 2008-12-08

Family

ID=4002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228A KR100872591B1 (ko) 2007-03-20 2007-03-20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5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0660A (en) 1980-05-14 1981-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Pitot tube for measuring average wind speed
JPH0383598U (ko) * 1989-12-15 1991-08-26
JP3657354B2 (ja) 1996-06-10 2005-06-08 ニッケイ株式会社 動圧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0660A (en) 1980-05-14 1981-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Pitot tube for measuring average wind speed
JPH0383598U (ko) * 1989-12-15 1991-08-26
JP3657354B2 (ja) 1996-06-10 2005-06-08 ニッケイ株式会社 動圧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544A (ko)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157B2 (en) Airflow sensor with pitot tube for pressure drop reduction
JP5652315B2 (ja) 流量測定装置
US7270143B2 (en) Offset variable-orifice flow sensor
EP2910908A1 (en) Differential pressure type flowmeter and flow controller provided with the same
KR100872591B1 (ko) 가변 풍량 조절기의 압력 측정 장치
KR101789543B1 (ko) 평균피토관 타입의 유량측정장치
KR100547708B1 (ko) 퍼지식 와류 유량계
US20040261540A1 (en) Method to linearly measure gas volume flow in ducts and flow sensor
KR101105730B1 (ko) 가변 풍량 조절장치
US20080034862A1 (en) Fluid Flow Meter Body With High Immunity to Inlet/Outlet Flow Disturbances
JP6849170B2 (ja) 流量制御ダンパ
JP2004294147A (ja) 流速計
JP3615371B2 (ja) 風量測定装置
KR101635555B1 (ko) 유량측정 장치 및 방법
BR102013013036A2 (pt) Válvula para instalação em um canal de fluxo de um equipamento de ar condicionado
CN210037863U (zh) 一种复合型测烟气流速装置
KR102448002B1 (ko) 복합 벤추리 에어밸브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CN108225613A (zh) 一种利用支杆吹气减小支杆堵塞效应的温度探针
KR102158294B1 (ko) 음속 및 아음속에서 측정이 가능한 가스 유량계
JP3537060B2 (ja) 液体用流量計
EP3333551B1 (en) Device for measuring gas flow in a duct
JP6787733B2 (ja) 流量制御ダンパ
JP3864165B2 (ja) 熱式流量計
CN114577279A (zh) 一种差压式流量计引压结构及差压式流量计
JPS63171322A (ja) 流速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