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068B1 -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068B1
KR100871068B1 KR1020070033197A KR20070033197A KR100871068B1 KR 100871068 B1 KR100871068 B1 KR 100871068B1 KR 1020070033197 A KR1020070033197 A KR 1020070033197A KR 20070033197 A KR20070033197 A KR 20070033197A KR 100871068 B1 KR100871068 B1 KR 100871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ps signal
output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108A (ko
Inventor
윤왕규
조웅
어탁호
박용하
이해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3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06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지국에서 수신되는 GPS 신호 등에 의거하여 생성한 동기 클럭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동기 클럭의 생성 기준이 되는 GPS 신호 등을 수신 획득하지 못함에 기인하여 자체적으로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해당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을 구동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 자체적으로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유지하는 시간이 증가 됨에 대응하여 동기 클럭의 정밀도가 저하됨에 따라 기지국의 무선 출력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인접 기지국의 신호로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간섭을 줄여주어 인접 타 기지국의 통신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함과 아울러 이동통신단말기가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포착할 가능성을 높여 주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 서비스를 최대한 유지한다.
기지국, GPS 신호, 동기 클럭

Description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 Control at the time Synchronize Signal Capture Failure in Mobile Telephony Base St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기지국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기지국에서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기클럭 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동기클럭 생성부 12; 전송선로 정합부
13; 중앙 프로세서 유닛 14; 채널부
15; 증폭부 16; 필터부
17; 안테나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지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전화기지국에서 수신되는 GPS 신호 등에 의거하여 생성한 동기 클럭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동기 클럭의 생성 기준이 되는 GPS 신호 등을 수신 획득하지 못함에 기인하여 자체적으로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해당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을 구동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 자체적으로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유지하는 시간이 증가 됨에 대응하여 기지국의 무선 출력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인접 기지국에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자체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하는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이동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서는 각 지역에 기지국을 설치하여 해당 기지국에 의해 무선 통신 영역을 형성하고, 기지국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이동 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기지국은 GPS 신호 등을 수신 획득하여 해당 획득된 GPS 신호에 의거하여 생성한 동기 클럭에 따라 동기 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동기 클럭의 생성 기준이 되는 GPS 신호 등을 수신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에, 자체적으로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해당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을 동기 시켜서 지속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해당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동기 클럭은 클럭 생성 시간이 많이 경과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표준 동기에 비하여 동기 클럭의 정확도가 어느 정도 유지되지만 클럭 생성 시간이 많이 경과 되어진 상태에서는 표준 동기에 비하여 동기 클럭의 정확도가 유지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기지국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하는 RF신호의 출력을 계속적으로 동일하게 유지하므로, 자체적으로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유지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동기 클럭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상태에서도 RF신호 출력을 동일하게 유지함에 기인하여 인접 기지국의 신호로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간섭으로 작용하여 인접한 타 기지국의 통신 서비스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고, 인접 타 기지국의 신호를 포착하여 통신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서도 영향을 주어 동기 클럭 정밀도가 떨어지는 해당 기지국과 통신케 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최대한의 양호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전화기지국에서 수신되는 GPS 신호 등에 의거하여 생성한 동기 클럭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동기 클럭의 생성 기준이 되는 GPS 신호 등을 수신 획득하지 못함에 기인하여 자체적으로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해당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을 구동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 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 자체적으로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유지하는 시간이 증가 됨에 대응하여 기지국의 무선 출력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인접 기지국에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자체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하는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는, GPS 신호가 수신되면 GPS 신호에 따라 동기 클럭을 생성하고,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GPS 신호의 수신 중단을 감지하여 GPS 신호의 중단을 통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GPS 신호에 따르지 않고 자체적으로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동기클럭 생성부와; 상기 동기클럭 발생부로부터 GPS 신호의 수신 중단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지속하는 동안에 GPS 수신 중단에 기인한 동기클럭 생성부의 고장 지속시간에 대응하여 RF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출력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 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중앙 프로세서 유닛의 출력 제어 처리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송출되는 RF신호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는, 상기 수신되는 GPS 신호에 따라 동기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제1 클럭생성부와, 상기 GPS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여 GPS 신호의 수신 중단을 알리는 상기 감지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GPS 신호 감지부와, 상기 GPS 신호의 수신 중단시에 GPS 신호에 따르지 않고 자체적으로 동기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제2 클럭생성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방법은, 동기클럭 생성부에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이상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에 GPS 신호의 중단을 중앙 프로세서 유닛에 통지함과 함께 GPS 신호에 따르지 않고 자체적으로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의 동작을 동기화 시키는 과정과; 중앙 프로세서 유닛에서 상기 GPS 신호의 중단을 통지받으면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중앙 프로세서 유닛에서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 시간이 상기 자체적으로 생성한 동기 클럭으로 기지국을 운용할 수 있는 최대 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시간이 증가 됨에 대응하여 증폭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송출되는 RF신호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프로세서 유닛에서 상기 RF신호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 시간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으로 나눈 값에 현재의 RF 출력 값을 곱하여 산출한 값으로 상기 RF 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 프로세서 유닛에서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 시간이 상기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에 도달함을 확인하면 상기 증폭부를 통한 RF신 호의 출력을 오프(off) 시켜서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통신 서비스를 중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프로세서 유닛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통신 서비스를 중단한 이후에,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에서 GPS 신호를 수신하여 GPS 신호에 따라 동기 클럭을 생성하면 상기 증폭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송출되는 RF신호의 출력을 GPS 신호 수신시의 값으로 복구하여 기지국을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지국에서 수신되는 GPS 신호 등에 의거하여 생성한 동기 클럭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동기 클럭의 생성 기준이 되는 GPS 신호 등을 수신 획득하지 못함에 기인하여 자체적으로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해당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을 구동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 자체적으로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유지하는 시간이 증가 됨에 대응하여 기지국의 무선 출력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인접 기지국에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자체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전화기지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클럭 생성부(11), 전송선로 정합부(12), 중앙 프로세서 유닛(13), 채널부(14), 증폭부(15), 필터부(16) 및 안테나(1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동기클럭 생성부(11)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GPS 신호에 의거하여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해당 기지국의 동기 클럭으로서 공급하되 GPS 신호에 의거하여 생성된 동기 클럭을 전송선로 정합부(12), 채널부(14) 및 필터부(16)에 인가하여 해당 기지국의 동작을 동기화시킨다. 그리고, 동기클럭 생성부(11)는 GPS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해당 GPS 신호에 의거하여 동기 클럭을 생성하지만,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GPS 신호의 수신 중단을 감지하여 GPS 신호의 중단을 통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에 출력함과 함께 자체적으로 생성한 표준적인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전송선로 정합부(12), 채널부(14) 및 필터부(16)에 인가하여서 해당 자체 발생한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의 동작을 동기화 시킨다. 이와 같이, 동기클럭 생성부(11)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GPS 신호에 의거하여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해당 기지국의 동기 클럭으로서 공급하고,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GPS 신호의 수신 중단을 감지하여 GPS 신호의 중단을 통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에 출력함과 함께 자체적으로 생성한 표준적인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기능 수행을 위하여, 동기클럭 생성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럭생성부(1), 제2 클럭생성부(2) 및 GPS 신호 감지부(3)를 구비한다.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제1 클럭생성부(1)는 수신된 GPS 신호에 의거하여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제2 클럭생성부(2)는 GPS 신호의 수신 중단시에 GPS 신호 감지부(3)로부터 GPS 신호의 중단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자체적으로 표준적인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GPS 신호 감지부(3)는 GPS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전송선로 정합부(12)는 기지국 제어기와의 통신 선로를 정합하여서 기지국 제어기에 대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되 동기클럭 생성부(11)로부터 인가되는 동기 클럭에 의해 동기되어 송수신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송수신 채널을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처리를 수행하되, 동기클럭 생성부(11)로부터 GPS 신호의 수신 중단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자체 생성되는 동기 클럭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지속하는 동안에 GPS 수신 중단에 기인한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 지속시간에 대응하여 증폭부(15)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RF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이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자체 생성되는 동기 클럭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지속하는 동안에, GPS 신호 수신 중단에 기인하여 GPS 신호에 의하여 동기 클럭을 생성하지 못하고 자체적으로 표준적인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 지속시간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RF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증폭부(15)의 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지속 시간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으로 나눈 값에 현재의 RF 출력값을 곱하여 산출한 값으로 RF 출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RF신호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GPS 신호의 수신 중단에 기인한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지속시간에 대응하여 RF신호의 출력을 감소시켜서 인접 타 기지국의 통신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RF신호 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채널부(14)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신호의 송수신시에 통신 채널을 할당하여 RF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되 동기클럭 생성부(11)로부터 인가되는 동기 클럭에 의해 동기 되어서 구동되어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 신호에 대한 채널을 할당한다. 채널부(14)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RF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제어기로부터 전송선로 정합부(12)를 통해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을 경유하여 인가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할당된 채널에 실어서 RF신호로 변환하여 증폭부(15), 필터부(16) 및 안테나(17)를 경유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하고,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RF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안테나(17), 필터부(16) 및 증폭부(15)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RF신호를 복조하여 할당 채널에 실린 신호를 추출하여 중앙 프로세서 유닛(13)과 전송선로 정합부(12)를 경유하여 기지국제어기에 전달한다. 그리고, 증폭부(15)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R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증폭도를 조절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되는 RF 신호의 출력을 조절한다. 필터부(16)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설정된 대역의 RF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필터링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동기클럭 생성부(11)로부터 인가되는 동기 클럭에 의해 동기되어 구동된다. 안테나(17)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자유공간을 통해 방사되어 전송되는 RF신호를 필터부(16)에 인입하여 줌과 아울러 필터부(16)를 통해 인가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전송되는 RF신호를 자유공간에 방사시켜 준다.
동기클럭 생성부(11)는 GPS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해당 GPS 신호에 의거하여 동기 클럭을 생성하지만,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GPS 신호의 수신 중단을 감지하여 GPS 신호의 중단을 통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에 출력함과 함께 자체적으로 생성한 표준적인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전송선로 정합부(12), 채널부(14) 및 필터부(16)에 인가하여서 해당 자체 발생한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의 동작을 동기화 시킨다. 이와 같이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에 기인하여 GPS 신호의 중단을 통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에 출력하고, 그와 함께 자체적으로 생성한 표준적인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전송선로 정합부(12), 채널부(14) 및 필터부(16)에 인가하여서 해당 자체 발생한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의 동작을 동기화 시키는 경우에,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은 동기클럭 생성부(11)로부터 GPS 신호의 수신 중단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GPS 신호 수신 중단에 기인하여 GPS 신호에 의하여 동기 클럭을 생성하지 못하고 자체적으로 표준적인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 지속시간에 대응하여 증폭부(15)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RF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이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자체 생성되는 동기 클럭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지속하는 동안에,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은 GPS 수신 중단에 기인한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 지속시간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RF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증폭부(15)의 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RF 감소값=(동기클럭 생성부 고장지속시간/서비스 지속 시간)*현재 RF 출력값"과 같은 수식처럼,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지속 시간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으로 나눈 값에 현재의 RF 출력값을 곱하여 산출한 값으로 RF 출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RF신호 출력을 조절하되 증폭부(15)에 출력제어신호를 인가하여서 증폭부(15)에 의해 증폭 출력되는 RF신호의 증폭도를 해당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GPS 신호의 수신 중단에 기인한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지속시간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RF신호의 출력을 감소시켜서 인접 타 기지국의 통신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RF신호 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에서 RF 출력값을 산출함에 사용되는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은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표준적인 동기 클럭으로 기지국을 운용할 수 있는 최대한의 서비스 지속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미리 설정되는 시간 값에 해당하는데 예를 들어 24시간으로 설정되며,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지속시간은 해당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GPS 신호에 의거하여 동기 클럭을 발생하지 못하고 자체적으로 표준적인 동기 클럭을 발생하여 기지국의 구동을 지속하는 시간으로서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타이머를 가동하여 해당 시간을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에서 GPS 신호의 획득에 실패하여 GPS 신호에 의거한 동기 클럭의 발생을 하지 못함에 기인하여 자체적으로 표준적인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기지국을 운용하는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전송되는 RF신호의 출력을 조절하는 처리는 도 2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된다.
먼저,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GPS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여 해당 GPS 신호에 의거하여 동기 클럭을 생성하고, 해당 동기 클럭을 전송선로 정합부(12), 채널부(14) 및 필터부(16)에 인가하여서 GPS 신호에 의거하여 생성된 동기 클럭에 동기시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RF신호를 송수신하면서 기지국을 정상 운용하는 상태에서(단계 S21), 동기클럭 생성부(11)에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이상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에 동기클럭 생성부(11)는 GPS 신호의 중단을 통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에 출력하고 그와 함께 자체적으로 생성한 표준적인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전송선로 정합부(12), 채널부(14) 및 필터부(16)에 인가하여서 해당 자체 발생한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의 동작을 동기화 시킨다(단계 S22).
이와 같이,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에 기인하여 GPS 신호의 중단을 통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에 출력하고, 그와 함께 자체적으로 생성한 표준적인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의 동작을 동기화 시키는 경우에,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은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동하는데 해당 타이머는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표준적인 동기 클럭으로 기지국을 운용할 수 있는 최대 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인 24시로부터 경과 되는 시간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시간을 계수한다(단계 S23).
그리고,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은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표준적인 동기 클럭으로 기지국을 운용하는 중에 타이머에 의해 계수되는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송출되는 RF신호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데, 이때, "RF 감소값=(동기클 럭 생성부 고장지속시간/서비스 지속 시간)*현재 RF 출력값"과 같은 수식처럼,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지속 시간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으로 나눈 값에 현재의 RF 출력값을 곱하여 산출한 값으로 RF 출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RF신호 출력을 조절하되, 증폭부(15)에 출력제어신호를 인가하여서 증폭부(15)에 의해 증폭 출력되는 RF신호의 증폭도를 해당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GPS 신호의 수신 중단에 기인한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지속시간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RF신호의 출력을 감소시킨다(단계 S24).
이와 같이 단계 S24의 처리를 수행한 후,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은 자체적으로 구동하는 타이머의 시간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타이머에 의해 계수되는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시간이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에 해당하는 "24시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5). 이때,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은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시간이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에 해당하는 "24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22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되는 RF신호의 출력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은 상술한 단계 S25에서의 확인 결과,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시간이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에 해당하는 "24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증폭부(15)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출되는 RF신호의 출력을 "0"으로 감소함에 따라 증폭부(15)를 통한 RF신호의 출력을 오프(off) 시켜서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통신 서비스를 최종적으로 중단하고, 동기클럭 생성부(11)로부터 인가되는 GPS 신호의 수신여 부를 알리는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GPS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단계 S26).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이 동기클럭 생성부(11)에 GPS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GPS 신호가 수신됨을 확인하면,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GPS 신호에 의거하여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공급함에 따라 증폭부(15)에 출력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송출되는 RF신호의 출력을 GPS 신호 수신시의 값으로 복구하여 기지국을 운용한다(단계 S2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에 기인하여 GPS 신호의 중단을 통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에 출력하고, 그와 함께 자체적으로 생성한 표준적인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전송선로 정합부(12), 채널부(14) 및 필터부(16)에 인가하여서 해당 자체 발생한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의 동작을 동기화 시키는 경우에,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은 동기클럭 발생부(11)로부터 GPS 신호의 수신 중단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GPS 신호 수신 중단에 기인하여 GPS 신호에 의하여 동기 클럭을 생성하지 못하고 자체적으로 표준적인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 지속시간에 대응하여 증폭부(15)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RF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이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자체 생성되는 동기 클럭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지속하는 동안에, 중앙 프로세서 유닛(13)은 GPS 수신 중단에 기인한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 지속시간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RF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증폭부(15)의 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동기클럭 생성부(11)의 고장지속 시간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으로 나눈 값에 현재의 RF 출력값을 곱하여 산출한 값으로 RF 출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RF신호 출력을 조절하되 증폭부(15)에 출력제어신호를 인가하여서 증폭부(15)에 의해 증폭 출력되는 RF신호의 증폭도를 해당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조절하므로, GPS 신호의 수신 중단에 기인한 동기클럭 생성부(11)에서 제공되는 동기 클럭의 정밀도 저하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RF신호의 출력을 감소시켜서 인접 기지국의 신호로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간섭을 줄여주어 인접 타 기지국의 통신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함과 아울러 이동통신단말기가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포착할 가능성을 높여 주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 서비스를 최대한 유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변경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지국에서 수신되는 GPS 신호 등에 의거하여 생성한 동기 클럭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동기 클럭의 생성 기준이 되는 GPS 신호 등을 수신 획득하지 못함에 기인하여 자체적으로 동기 클럭을 생성하여 해당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을 구동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 자체적으로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유지하는 시간이 증가 됨에 대응하여 동기 클럭의 정밀도가 저하됨에 따라 기지국의 무선 출력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인접 기지국의 신호로 통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간섭을 줄여주어 인접 타 기지국의 통신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함과 아울러 이동통신단말기가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포착할 가능성을 높여 주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통신 서비스를 최대한 유지한다.

Claims (7)

  1. GPS 신호가 수신되면 GPS 신호에 따라 동기 클럭을 생성하고,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GPS 신호의 수신 중단을 감지하여 GPS 신호의 중단을 통지하기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GPS 신호에 따르지 않고 자체적으로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동기클럭 생성부와;
    상기 동기클럭 발생부로부터 GPS 신호의 수신 중단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지속하는 동안에 GPS 수신 중단에 기인한 동기클럭 생성부의 고장 지속시간에 대응하여 RF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출력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중앙 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중앙 프로세서 유닛의 출력 제어 처리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송출되는 RF신호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는,
    상기 수신되는 GPS 신호에 따라 동기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제1 클럭생성부와,
    상기 GPS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여 GPS 신호의 수신 중단을 알리는 상기 감지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GPS 신호 감지부와,
    상기 GPS 신호의 수신 중단시에 GPS 신호에 따르지 않고 자체적으로 동기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제2 클럭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RF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출력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의 고장지속 시간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으로 나눈 값에 현재의 RF 출력값을 곱하여 산출한 값으로 RF 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
  4. 동기클럭 생성부에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이상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에 GPS 신호의 중단을 중앙 프로세서 유닛에 통지함과 함께 GPS 신호에 따르지 않고 자체적으로 생성한 동기 클럭에 의해 기지국의 동작을 동기화 시키는 과정과;
    중앙 프로세서 유닛에서 상기 GPS 신호의 중단을 통지받으면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중앙 프로세서 유닛에서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 시간이 상기 자체적으로 생성한 동기 클럭으로 기지국을 운용할 수 있는 최대 시간에 해당하는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시간이 증가 됨에 대응하여 증폭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송출되는 RF신호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로세서 유닛에서 상기 RF신호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 시간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으로 나눈 값에 현재의 RF 출력 값을 곱하여 산출한 값으로 상기 RF 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로세서 유닛에서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 고장 지속 시간이 상기 서비스 지속(Hold_Over) 시간에 도달함을 확인하면 상기 증폭부를 통한 RF신호의 출력을 오프(off) 시켜서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통신 서비스를 중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로세서 유닛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통신 서비스를 중단한 이후에, 상기 동기클럭 생성부에서 GPS 신호를 수신하여 GPS 신호에 따라 동기 클럭을 생성하면 상기 증폭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송출되는 RF신호의 출력을 GPS 신호 수신시의 값으로 복구하여 기지국을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방법.
KR1020070033197A 2007-04-04 2007-04-04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및 방법 KR100871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197A KR100871068B1 (ko) 2007-04-04 2007-04-04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197A KR100871068B1 (ko) 2007-04-04 2007-04-04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108A KR20080090108A (ko) 2008-10-08
KR100871068B1 true KR100871068B1 (ko) 2008-11-27

Family

ID=4015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197A KR100871068B1 (ko) 2007-04-04 2007-04-04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65198B (zh) * 2008-12-26 2013-01-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钟同步的方法、装置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536A (ko) * 2001-12-29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의 망동기 장치
KR20040070885A (ko) * 2003-02-05 2004-08-11 서두인칩 주식회사 디지털 무선 중계기의 클럭보정 장치 및 방법
KR20070015470A (ko) * 2007-01-15 2007-02-02 (주)테노시스 아이피비티에스에서 지피에스 엔진기준 클럭점핑보상알고리즘
KR20080052149A (ko) * 2006-12-06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536A (ko) * 2001-12-29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의 망동기 장치
KR20040070885A (ko) * 2003-02-05 2004-08-11 서두인칩 주식회사 디지털 무선 중계기의 클럭보정 장치 및 방법
KR20080052149A (ko) * 2006-12-06 2008-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15470A (ko) * 2007-01-15 2007-02-02 (주)테노시스 아이피비티에스에서 지피에스 엔진기준 클럭점핑보상알고리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108A (ko)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934B1 (ko) 타이밍 어드밴스 및 편차의 동기화
JP4772596B2 (ja) Rofシステム、光受信器およびその自動調整方法
JPH0933129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KR20120071947A (ko) 웨이크업 신호 통신 시스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무선 단말기
PH12021550277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2000253446A (ja) 基地局装置及びフレーム同期取得方法
KR100871068B1 (ko) 이동전화기지국의 동기신호 획득 실패시의 출력제어 장치및 방법
KR20160064904A (ko) 저전력 영상처리장치 및 저전력으로 영상처리장치를 구동하는 방법
EP18850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visual indication of the function of wireless receivers and a wireless receiver.
US981398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459728A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ransmission error control
JPH0629914A (ja) 移動体通信網の同期方式
KR100673171B1 (ko)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시스템 및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시스템의 가시선 설정 방법
JPH08186555A (ja) デジタル無線通信装置
JP6252305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アンテナ切り替え方法
US1026452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7074355A (ja) 基地局装置と当該基地局装置を用いた制御チャネルの重なり監視方法
KR100617741B1 (ko) Tdd 방식의 휴대 인터넷 무선 중계기의 절체 제어신호추출방법
KR100700663B1 (ko) 티디디 방식을 이용한 휴대인터넷용 중계기의 절체제어신호 검출 방법
US8654783B2 (en) Method for channel switching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JP2000224567A (ja) 監視システム
JP2007124283A (ja) 通信システム
JP200907700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EP3017435A2 (en) Low power protocols and processes for an alarm monitoring system
JP4198548B2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