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064B1 -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064B1
KR100871064B1 KR1020070037589A KR20070037589A KR100871064B1 KR 100871064 B1 KR100871064 B1 KR 100871064B1 KR 1020070037589 A KR1020070037589 A KR 1020070037589A KR 20070037589 A KR20070037589 A KR 20070037589A KR 100871064 B1 KR100871064 B1 KR 10087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delivery pipe
frame
dredging
radiati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627A (ko
Inventor
이만수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064B1/ko
Priority to PCT/KR2008/002151 priority patent/WO2008127074A1/en
Publication of KR2008009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28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tubes,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33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thickness, density, surface weight (unit are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35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fluids, granu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준설물이 이송되는 배송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송관으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 소스; 상기 배송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방사선 소스에 대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송관을 투과한 방사선을 감지하는 방사선 디텍터;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적어도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방사선 소스와 방사선 디텍터를 운반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준설, 밀도, 방사선, 배송관, 슬라이딩

Description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DENSITY INSIDE A DREDGING PIPELINE VERTICALLY USING RADI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슬라이딩부가 소정 거리 하강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프레임이 90°회전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제2 슬라이딩부가 이동한 후 방사선 소스와 방사선 디텍터가 소정 각도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프레임 11: 베어링
12: 베어링 하우징 15: 구동 모터
16: 기어 17: 띠형 기어
18: 매개 기어 20: 방사선 소스
30: 방사선 디텍터 40: 이송부
41: 제1 슬라이딩부 42: 제2 슬라이딩부
100: 밀도 측정 장치 101: 내부 프레임
102: 외부 프레임 103: 커넥팅 로드
104: 가이드 홈 200: 배송관
421: 힌지축
본 발명은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흙, 모래 등의 준설물이 흐르는 배송관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배송관 내의 준설물 밀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준설작업시 발생하는 흙, 모래, 자갈 등이 포함된 준설물은 배송관을 통하여 이송된다. 그런데, 준설물은 배송관 내에 이송되면서 지속적으로 침전이 발생하며, 이 침전에 의해 배송관의 단면적은 점차 좁아지고, 관내 저항은 증가하게 되어 결국, 준설물의 이송 효율이 저하된다. 심한 경우, 침전에 의해 배 송관이 막히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배송관 내의 준설물의 유동상태를 미리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종래에는 방사선을 배송관에 조사하여 배송관 내부의 평균 밀도값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준설물의 유동상태를 파악하였다. 즉, 종래에는 수평으로 놓인 배송관의 상부에서 방사선을 조사 및 투과시킨 후 검출되는 값을 이용하여 준설물 밀도의 단면적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배송관의 일 단면에 대한 평균값이기 때문에 관 내부의 상태를 대략적으로 추론할 수 있을 뿐이며, 배송관의 단면적 중 어느 부분까지 침전이 이루어졌는지 정확하게 관 내부의 유동상태를 파악할 수는 없다.
또한, 종래 방사선을 이용한 밀도 측정 장치는 배송관 주위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배송관 내부의 밀도를 다른 방향에서 측정하기 위해서는, 밀도 측정 장치를 해체 한 후 다시 그 방향에 맞도록 재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준설작업시 배송관으로 이송되는 준설물의 밀도를 방사선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경우, 배송관 주위의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배송관 내부의 준설물에 대한 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는, 준설물이 이송되는 배송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송관으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 소스; 상기 배송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방사선 소스에 대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송관을 투과한 방사선을 감지하는 방사선 디텍터;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적어도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방사선 소스와 방사선 디텍터를 운반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프레임에 구속되어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딩부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에 구속되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슬라이딩부에 상기 방사선 소스와 방사선 디텍터가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방사선 소스와 방사선 디텍터가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는 경우, 상기 방사선 소스와 디텍터는 서로 대향하도록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선 소스와 방사선 디텍터는 45°단위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관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이 베어링은 프레임에 고정된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 구속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는 일단에 기어가 장착된 구동 모터가 고정되고, 상기 기어는 상기 배송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는 띠형 기어에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 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90°단위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100)는 배송관(20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10), 배송관(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방사선 소스(20)와 방사선 디텍터(30), 및 상기 방사선 소스(20)와 방사선 디텍터(30)를 운반하는 이송부(4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직육면체 형상의 내부 프레임(101)과 외부 프레임(102)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103)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배송관(200)과 내부 프레임(101) 사이에는, 내부 프레임(101)의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베어링(11)이 설치되며, 이 베어링(11)은 내부 프레임(101)에 일체로 고정된 베어링 하우징(12)에 구속된다. 베어링의 원활한 거동을 위해 베어링(11) 과 배송관(200) 사이에는 베어링 레일(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11)은 볼 베어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 하우징(12)의 일측에는 내부 프레임(101)의 회전 운동을 구현하는 구동 모터(15)가 설치된다. 구동 모터(15)의 일단에는 기어(16)가 장착되며, 이 기어(16)는 매개 기어(18)를 통하여 배송관(200)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띠형 기어(17)와 맞물린다.
그리고, 외부 프레임(102)에는 배송관(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방사선 소스(20)와 방사선 디텍터(30)가 설치된다. 방사선 소스(20)는 외부 프레임(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송관(200) 측으로 방사선을 투과시키고, 방사선 디텍터(30)는 상기 배송관(200)을 통과한 방사선의 투과도를 감지하여 배송관(200) 내 준설물의 밀도를 소정의 데이터로 산정한다.
즉, 준설물에 흙, 자갈 등의 부유물들의 양이 증가하면 방사선의 투과도는 낮아지고, 부유물들의 양이 감소하면 방사선의 투과도는 높아지게 되는데, 방사선 디텍터(30)는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배송관(200) 내 준설물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방사선 소스(20)와 방사선 디텍터(30)는 외부 프레임(102)에 구속되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이 슬라이딩 운동은 제1 슬라이딩부(41)와 제2 슬라이딩부(42)로 이루어진 이송부(40)에 의해 구현된다.
제1 슬라이딩부(41)는 외부 프레임(102)의 가이드 홈(104)에 설치되어 모터와 같은 구동력에 의해 외부 프레임(102)을 따라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슬라이 딩한다. 즉, 외부 프레임(102)이 상기 제1 슬라이딩부(41)의 가이드 레일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슬라이딩부(42)는 제1 슬라이딩부(41)에 설치되어 제1 슬라이딩부(41)를 따라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제1 슬라이딩부(41)는 상기 제2 슬라이딩부(42)의 가이드 레일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이송부(40)의 슬라이딩 구동 방식은 공지의 방법이 사용된다.
한편, 방사선 소스(20)와 방사선 디텍터(30)는 각각 상기 제2 슬라이딩부(42)의 힌지축(421)에 결합되어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지금까지,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100)에 대한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제1 슬라이딩부가 소정 거리 하강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이 90°회전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제2 슬라이딩부가 이동한 후 방사선 소스와 방사선 디텍터가 소정 각도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방사선 소스(20)와 방사선 디텍터(30)는 제1 슬라이딩부(41)의 이동에 의해 배송관(200) 주위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구동력에 의해 제1 슬라이딩부(41)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면, 방사선 소스(20)와 방사선 디텍터(30)는 제1 슬라이딩부(41)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슬 라이딩부(41)를 따라 거동한다. 이때, 방사선 소스(20) 측의 제1 슬라이딩부(41)와 방사선 디텍터(30) 측의 제1 슬라이딩부(41)는, 서로 대향 배치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제1 슬라이딩부(41)의 상하이동에 따라, 방사선 소스(42)와 방사선 디텍터(30)는 배송관(200)에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수직방향에 따른 배송관(200) 내부의 밀도 분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내부 프레임(101)의 회전 운동은 구동 모터(15)에 의해 구현된다. 즉, 구동 모터(15)가 회전하면, 이에 연결된 기어(16) 및 매개 기어(18)는 배송관(200)의 외주면에 고정된 띠형 기어(17)에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띠형 기어(17)는 배송관(200)에 고정되고, 구동 모터(15)는 베어링 하우징(12)에 고정되며, 베어링 하우징(12)은 배송관(200)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 결국 기어(16)와 매개 기어(18)는 띠형 기어(16)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배송관(2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기어(15)와 매개 기어(18)가 이동하면, 베어링 하우징(12)은 배송관(20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베어링 하우징(12)의 회전에 의해, 베어링 하우징(12)이 고정된 내부 프레임(10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내부 프레임(101)이 회전하면, 이 회전력은 커넥팅 로드(103)를 통하여 외부 프레임(102)에 그대로 전달되어 외부 프레임(102)도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프레임(101)의 회전으로 방사선을 이용한 밀도 측정 장치(100)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도 4는 내부 프레임(101)이 90°회전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회전 각도는 0°부터 360°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90°회전 운동 후, 방사선 소스(20)와 방사선 디텍터(30)는 제2 슬라이딩부(42)의 이동에 의해 배송관(2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즉, 구동력에 의해 제2 슬라이딩부(42)가 제1 슬라딩부(41)를 따라 이동하면, 방사선 소스(20)와 방사선 디텍터(30)는 제2 슬라이딩부(4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슬라이딩부(42)와 함께 이동한다. 이때, 방사선 소스(20) 측의 제2 슬라이딩부(42)와 방사선 디텍터(30) 측의 제2 슬라이딩부(42)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방사선 소스(20)와 방사선 디텍터(30)는, 상기 제2 슬라이딩부(42)의 이동 후, 서로 대향 배치되도록 힌지축(421)을 기준으로 축 회전 운동을 한다. 도 5에는 방사선 소스(20)와 방사선 디텍터(30)가 45°회전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각도는 0°부터 90°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도 측정 장치(100)는 내부 프레임(101)의 회전 운동, 방사선 소스(20)와 방사선 디텍터(30)의 슬라이딩운동을 통하여 배송관(200)의 어느 위치에서도 자유롭게 밀도를 측정함으로써, 배송관(200) 내 준설물의 유동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준선물의 배송관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대상은 기타 여러 가지 물질을 이송하는 배송관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밀도 측정 장치는 배송관 주위에 설치된 방사선 소스 및 방사선 디텍터의 위치를 별도의 해체 작업 없이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밀도 측정 장치는 다각도로 배송관 주변의 위치에서 준설물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배송관의 일 단면에 대한 평균적인 밀도값 뿐만 아니라, 단면적 일부의 국부적인 밀도값도 측정할 수 있다.

Claims (5)

  1. 준설물이 이송되는 배송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송관으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 소스;
    상기 배송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방사선 소스에 대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송관을 투과한 방사선을 감지하는 방사선 디텍터;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적어도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방사선 소스와 방사선 디텍터를 운반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프레임에 구속되어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딩부에 구속되어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밀도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딩부에 상기 방사선 소스와 방사선 디텍터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밀도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소스와 방사선 디텍터는 45°단위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밀도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관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베어링과 이 베어링을 구속하는 베어링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는 일단에 기어가 장착된 구동 모터가 고정되고, 상기 기어는 상기 배송관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는 띠형 기어에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밀도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90°단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밀도 측정 장치.
KR1020070037589A 2007-04-17 2007-04-17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장치 KR100871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589A KR100871064B1 (ko) 2007-04-17 2007-04-17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장치
PCT/KR2008/002151 WO2008127074A1 (en) 2007-04-17 2008-04-16 Apparatus for measuring and scanning density inside a dredging pipe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589A KR100871064B1 (ko) 2007-04-17 2007-04-17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627A KR20080093627A (ko) 2008-10-22
KR100871064B1 true KR100871064B1 (ko) 2008-11-27

Family

ID=4015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589A KR100871064B1 (ko) 2007-04-17 2007-04-17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1329B (zh) * 2024-03-13 2024-05-24 南京愚工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密度在线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17890257B (zh) * 2024-03-14 2024-05-24 南京愚工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放射性密度计安装结构及密度监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0901A (ja) * 1991-03-28 1992-10-23 Idemitsu Petro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KR20050054100A (ko) * 2003-12-04 2005-06-10 현대건설주식회사 관 내부의 수직 밀도분포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0901A (ja) * 1991-03-28 1992-10-23 Idemitsu Petro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の製造方法
KR20050054100A (ko) * 2003-12-04 2005-06-10 현대건설주식회사 관 내부의 수직 밀도분포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627A (ko)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04524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easuring submerged surfaces
US9726569B2 (en) Piping inspection robot and method of inspecting piping
EP2469243B1 (en) Canted helix collapsible flowmeter and method of measuring a fluid flow
EP27952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ipe
US20010001434A1 (en) Mobile conveyor including adaptive alignment system
JP2007530394A (ja) 差動式駆動型螺旋形蓄積装置
KR100871064B1 (ko) 방사선을 이용한 준설 배송관의 연직방향 층별 밀도 측정장치
JP5083513B2 (ja) コンベヤベルトのローラ乗り越え抵抗力測定装置
EP3066450B1 (en) Density meter for slurry
CN113330163A (zh) 用于维护结构件的设备
KR100871065B1 (ko) 준설 배송관내 밀도 스캔 측정장치
SE406900B (sv) Sluttomningsanordning
JP2008030860A (ja) 分岐設備
KR102277025B1 (ko) 배관 검사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배관 검사 방법
WO2016015625A1 (zh) 一种斗式提升机的清洁装置、斗式提升机及其清洁方法
JP2013228544A5 (ko)
CN109738513B (zh) 一种管件内径涡流探伤装置
JP2008273718A (ja) コンベヤベルトのローラ乗り越え抵抗力測定装置
WO2019023442A1 (en) AUTONOMOUS SUSPENDED SUPPORT FOR TERMINAL EFFECTOR DEVICE
KR101140854B1 (ko) 철편 검출 장치 및 방법
JP4986140B2 (ja) コンベヤベルトのローラ乗り越え抵抗力測定装置
AU2009201725B2 (en) Underwater Pipe Monitoring apparatus
JP2014178182A (ja) 真直度測定装置、及び真直度測定方法
CN214399036U (zh) 火车装车用溜槽系统
KR101616750B1 (ko) 원료 이송용 이동 버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