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704B1 - 온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온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704B1
KR100870704B1 KR1020070043999A KR20070043999A KR100870704B1 KR 100870704 B1 KR100870704 B1 KR 100870704B1 KR 1020070043999 A KR1020070043999 A KR 1020070043999A KR 20070043999 A KR20070043999 A KR 20070043999A KR 100870704 B1 KR100870704 B1 KR 100870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materials
supply device
conductive film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8751A (ko
Inventor
김명구
Original Assignee
김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구 filed Critical 김명구
Priority to KR1020070043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704B1/ko
Publication of KR2008009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10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을 위한 소재들과 소재들의 양측 일부분을 제외하고 연장되어 형성되되, 소재들의 양측 일부분에 증착 방지용 커버를 끼우고 증착 방지용 커버를 제외한 소재들에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어 형성된 도전성막과 도전성막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전극 단자와 소재들과 이격되게 위치하되,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 단자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소재들을 끼워서 수납하되, 소재들을 끼우면서 소재들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삽입홀을 갖는 프레임들 및 삽입홀을 관통하여 노출된 소재들을 연결하도록 위치하되, 소재들의 내부를 거쳐서 온수가 배출되도록 소재들의 일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온수가 소재들의 내부로 공급될 때 누수현상을 방지하면서, 온수를 더욱 반복적으로 예열시켜 소재들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효율적으로 온수를 별도의 보일러나 온수기등에 공급하므로, 보일러나 온수기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증착 방지용 커버를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불량률이 적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가 있으며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더욱이, 유효면적에만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므로, 도전성 물질의 잔해물을 세척할 필요가 없어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온수공급장치, 도전성막,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

Description

온수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 warm water}
도 1a 내지 도 1g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온수공급장치 102 : 소재들
103 : 증착 방지용 커버 105 : 도전성막
106 : 노즐 수단 107 : 전극 단자
109 : 프레임들 111 :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
h1 : 삽입홀
본 발명은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기 또는 보일러는 온수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물을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욕실에 온수를 공급하였고, 난방지역에 온수가 공급되어 난방상태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었다.
최근에는, 온수기 또는 보일러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생산수율과 제조단가를 고려하면서 온수기 또는 보일러의 소비전력을 낮추기 위한 연구와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온수가 소재들의 내부로 공급될 때 누수현상을 방지하면서, 온수를 더욱 반복적으로 예열시켜 소재들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율적으로 온수를 별도의 보일러나 온수기등에 공급하므로, 보일러나 온수기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증착 방지용 커버를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불량률이 적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가 있으며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효면적에만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므로, 도전성 물질의 잔해물을 세척할 필요가 없어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열을 위한 소재들과 소재들의 양측 일부분을 제외하고 연장되어 형성되되, 소재들의 양측 일부분에 증착 방지용 커버를 끼우고 증착 방지용 커버를 제외한 소재들에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어 형성된 도전성막과 도전성막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전극 단자와 소재들과 이격되게 위치하되,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 단자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소재들을 끼워서 수납하되, 소재들을 끼우면서 소재들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삽입홀을 갖는 프레임들 및 삽입홀을 관통하여 노출된 소재들을 연결하도록 위치하되, 소재들의 내부를 거쳐서 온수가 배출되도록 소재들의 일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은 소재들의 양측 끝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위치하되, 소재들의 양측 끝부분중 어느 한측의 끝부분의 일부는 다음 차순에 배열되어 이웃하는 소재들의 어느 한측의 끝부분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은 소재들보다 내경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은 금속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재들은 굴곡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재들은 원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소재들은 석영 또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도전성막은 염화 제2주석, 염산, 염화안티몬, 플루오르, 불소 암모늄, 증류수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a 내지 도 1g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제조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100)를 제작하기 위한 제조방법은 발열을 위한 소재들(102)을 준비하는 소재들 준비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소재로 도시하여 제조 공정도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소재들(102)을 굴곡진 형상으로 제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재들(102)을 원기둥으로 제작한다.
여기서, 소재들(102)은 열충격으로부터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열팽창계 수가 작은 투명한 석영 또는 세라믹 재질이 포함되어 제작된다.
이 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들(102)의 양측 일부분에 위치시키되, 소재들(102)의 양측 일부분에 증착 방지용 커버(103)를 끼운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증착 방지용 커버(103)는 소재들(102)과 끼워지도록 형성되되, 이후에 진술할 전극 단자(107)가 형성될 위치에까지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증착 방지용 커버(103)는 내열성 또는 절연성 물질로 제작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증착 방지용 커버(103)가 석면, 세라믹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작된다.
이때, 증착 방지용 커버(103)는 방열재, 방화재, 절연재로 사용되는 석면 재질이 포함되어 제작되거나, 고온에서도 내열성에 강한 세라믹 재질이 포함되어 제작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석면과 세라믹 재질의 일부가 모두 포함되어 절연성을 높히면서 내열성에 강한 증착 방지용 커버(103)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 후,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착 방지용 커버(103)를 제외한 소재(102)에 도전성 물질을 증착하여 도전성막(105)을 형성하는 도전성막 형성단계를 수행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증착 방지용 커버(103)를 제외한 소재(102)의 상부에 노즐(nozzle) 수단(106)을 이용하여 염화 제2주석, 염산, 염화안티몬, 플루오르, 암모늄, 증류수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전성 물질을 액상형태로 증착하여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증착 방지용 커버를 제외한 소재(미도시)의 상부에 라미네이팅(raminating)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염화 제2주석, 염산, 염화안티몬, 플루오르, 암모늄, 증류수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전성 물질을 필름형태로 증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전성 물질은 증착 방지용 커버(103)를 제외한 600℃ 내지 900℃로 예열되어 있는 소재(102)의 상부에 증착되어 도전성막(105)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전성막(105)은 주석화합물을 기본으로 하고 다른 첨가물이 첨가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도전성막(105)은 염화 제2주석 10 내지 30중량%, 염산 8 내지 18중량%, 염화안티몬 0.5 내지 2중량%, 플루오르 1 내지 10중량%, 불소 암모늄 0.2 내지 1중량%, 그리고 나머지는 증류수로 조성한다. 이때, 혼합물은 약 36시간 정도로 혼합되어 숙성된다.
염화 제2주석이 30중량% 이상일 경우에 가수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전성막(105)이 형성 후에 백탁 현상이 발생하여 투명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염화 제2주석이 30중량% 이상일 경우에 도전성막(105)이 불안정해져 편중 발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약 300℃정도의 고온 발열시에 도전성막(105)이 쉽게 파손된다. 반면에, 염화 제2주석이 10중량% 이하일 경우에 도전성막(105)의 발열상태가 미흡하게 된다.
염화안티몬이 2중량% 이상일 경우에 가수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전성막(105)이 형성된 후에 백탁 현상이 발생하여 투명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염화안티몬이 2중량% 이상일 경우에 도전성막(105)이 불안정해져 편중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염화안티몬이 0.5중량% 이하일 경우에 도전성막(105)의 발열상태가 미흡하게 된다.
플루오르가 10중량% 이상일 경우에 플루오르가 염산에 용해되지 않아 도전성막(105)이 불안정해져 편중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플루오르가 1중량% 이하일 경우에 도전성막(105)의 발열상태가 미흡하게 된다.
불소 암모늄이 1중량% 이상일 경우에 불소 암모늄이 염산에 용해되지 않아 도전성막(105)이 불안정해져 편중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불소 암모늄이 0.2중량% 이하일 경우에 도전성막(105)의 발열상태가 미흡하게 된다.
염산이 18중량% 이상일 경우에 도전성막(105)의 발열상태가 미흡하게 되고, 염산이 8중량% 이하일 경우에 가수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도전성막(105)이 형성된 후에 백탁 현상이 발생하여 투명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아래 실험표들은 도전성 물질중 염화 제2주석과 염화안티몬이 온도 특성 및 중량%에 따라 도전성막의 두께에 미치는 결과들이다.
실험표1은 염화 제2주석이 도전성막의 두께에 미치는 실험결과표이다.
실험표2는 염화안티몬이 도전성막의 두께에 미치는 실험결과표이다.
① 실험 소재 : 석영관 20Φ250㎜ 2t(113㎠)
② 도전성 물질 분무시간: 2초
③ 소재의 회전속도 : 50 RPM/min
<실험표1>
Figure 112007033780631-pat00001
<실험표2>
Figure 112007033780631-pat00002
실험표1 및 실험표2와 같이 도전성 물질중 염화 제2주석과 염화안티몬의 중량%가 증가하면, 도전성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실험표1 및 실험표2와 같이 도전성 물질중 염화 제2주석과 염화안티몬 의 온도가 증가하면, 도전성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염화 제2주석과 염화안티몬의 관계는 중량%범위와 온도범위에 대해서 서로 비례상승 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한편, 도전성막(105)의 두께는 소재의 재질 및 회전속도, 온도, 분무시간 및 공기압의 적정조건에서 결정되며 100Å 내지 6000Å 정도로 형성된다.
이때, 도전성막(105)의 두께가 100Å이하일 경우 발열량이 미흡하며, 6000Å이상일 경우 발열량이 과도하여 발열장치로 사용이 부적합하게 된다.
또한, 도전성막(105)의 저항값은 5Ω 내지 10000Ω/㎠이며 인가전압에 따라 저항값을 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열장치는 발열온도 및 발열면적, 인가전압에 따른 소재의 온도, 도전성 물질 분무 시간, 소재의 회전속도, 그리고 소재와 도전성 물질간의 반응성등이 고려되어 제조되어야 한다.
이 후,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막(105)의 양측 끝단에 전극용 노즐수단(108)을 이용하여 전극 단자 물질을 증착하고 650℃ 내지 700℃에서 소성하여 전극 단자(107)를 형성하는 전극 단자 형성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전성막(미도시)의 양측 끝단에 라미네이팅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전극 단자 물질을 증착하고 650℃ 내지 700℃에서 소성하여 전극 단자(107)를 형성하는 전극 단자 형성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전극 단자 물질은 열전도율이 높은 은(Ag), 구리(Cu), 금(Au)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이러한, 전극 단자(107)는 이후에 진술할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공급부(미도시)에 의해 적정전압을 인가받아 도전성막(105)을 예열시킨다.
이 후,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막(105)과 전극 단자(107)를 적정조건으로 건조 및 소성 시키는 건조 및 소성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들(102)을 끼워서 수납하되, 소재들(102)을 끼우면서 소재들(102)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삽입홀(h1)을 갖는 프레임들(109)을 설치하는 프레임 장착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프레임들(109)의 형상은 사각형상의 판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절곡진 형상의 판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 삽입홀(h1)을 관통하여 노출된 소재들(102)을 연결하도록 위치시키되, 소재들(102)의 내부를 거쳐서 온수가 배출되도록 소재들(102)의 일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111)을 설치하는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 장착단계를 수행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111)은 은(Ag), 구리(Cu), 금(Au)등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하여 제작된다. 이때,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111)의 내경은 소재들(102)의 내경보다 좁도록 사출성형공법으로 제작된다.
이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111)은 소재 들(102)의 양측 끝부분을 연결하도록 위치하되, 소재들(102)의 양측 끝부분중 어느 한측의 끝부분의 일부를 다음 차순에 배열되어 이웃하는 소재들(102)의 어느 한측의 끝부분과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111)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물질을 포함하여 제작되므로, 소재들(102)의 내부로 온수가 공급될 때 온수를 더욱 예열시켜서 반복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111)은 접촉되는 온수에 의해 열팽창계수가 늘어나 소재들(102)을 더욱 압착시키므로, 온수가 소재들(102)의 내부로 공급될 때 누수현상은 더욱 발생하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소재들(102)과 이격되게 위치시키되 전극 단자(107)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극 단자(107)에 전압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설치하는 전압 공급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전압 공급단계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에 의해 공급된 전압이 전극 단자(107)에 인가되어 도전성막(105)을 예열시킨다.
이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100)는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111)을 구비하므로, 온수가 소재들(102)의 내부로 공급될 때 누수현상을 방지하면서, 온수를 더욱 반복적으로 예열시켜 소재들(102)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100)는 효율적으로 온수를 별도의 보일러(미도시)나 온수기(미도시)등에 공급하므로, 보일러(미도시)나 온수기(미도시)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100)는 증착 방지용 커버(103)를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불량률이 적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가 있으며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장치(100)는 유효면적에만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므로, 도전성 물질의 잔해물을 세척할 필요가 없어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온수공급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온수가 소재들의 내부로 공급될 때 누수현상을 방지하면서, 온수를 더욱 반복적으로 예열시켜 소재들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효율적으로 온수를 별도의 보일러나 온수기등에 공급하므로, 보일러나 온수기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셋째, 증착 방지용 커버를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불량률이 적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가 있으며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넷째, 유효면적에만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므로, 도전성 물질의 잔해물을 세척할 필요가 없어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발열을 위한 소재들과;
    상기 소재들의 양측 일부분을 제외하고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소재들의 양측 일부분에 증착 방지용 커버를 끼우고 상기 증착 방지용 커버를 제외한 상기 소재들에 도전성 물질이 증착되어 형성된 도전성막과;
    상기 도전성막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전극 단자와;
    상기 소재들과 이격되게 위치하되, 상기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 단자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소재들을 끼워서 수납하되, 상기 소재들을 끼우면서 상기 소재들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삽입홀을 갖는 프레임들; 및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기 소재들을 연결하도록 위치하되, 상기 소재들의 내부를 거쳐서 온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소재들의 일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온수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은,
    상기 소재들의 양측 끝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위치하되, 상기 소재들의 양측 끝부분중 어느 한측의 끝부분의 일부는 다음 차순에 배열되어 이웃하는 상기 소재들의 어느 한측의 끝부분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공급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은 상기 소재들보다 내경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공급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출용 연결수단은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온수공급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들은 굴곡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들은 원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공급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들은 석영 또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는 온수공급장치.
  8. 삭제
KR1020070043999A 2007-05-07 2007-05-07 온수공급장치 KR10087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999A KR100870704B1 (ko) 2007-05-07 2007-05-07 온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999A KR100870704B1 (ko) 2007-05-07 2007-05-07 온수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751A KR20080098751A (ko) 2008-11-12
KR100870704B1 true KR100870704B1 (ko) 2008-11-27

Family

ID=40285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999A KR100870704B1 (ko) 2007-05-07 2007-05-07 온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203A (ko) * 2015-08-14 2017-02-22 라온닉스 주식회사 순간 온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온수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3651B (zh) * 2013-08-09 2016-06-29 浙江长兴奥利尔家用电器有限公司 一种即热式热水器
KR101689307B1 (ko) 2016-04-01 2016-12-23 (주)동국이앤씨 보일러용 배관 연결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16Y1 (ko) * 2002-12-05 2003-03-20 이재식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밀폐형 전기난방장치
KR20040037704A (ko) * 2002-10-29 2004-05-07 정대석 무압력 상변환 수단이 구비된 육류 조리장치
KR20040092903A (ko) * 2003-04-29 2004-11-04 권정자 비데용 순간 온수 가열식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23501A (ko) * 2003-08-28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기의 가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52407A (ko) * 2003-11-28 2005-06-02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세라믹히터, 열교환유닛, 온수세정변좌 및 세라믹히터의제조방법
KR20060042590A (ko) *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 엘티에스 세라믹 발열소자가 구비된 전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53452A (ko) * 2004-11-16 2006-05-22 김태균 온수가열용 히터 및 이를 이용한 온수 공급 장치
KR20060110303A (ko) * 2003-11-25 2006-10-24 쿄세라 코포레이션 세라믹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8822A (ko) * 2005-05-17 2006-11-24 양철훈 스크류관을 내장한 전기온수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704A (ko) * 2002-10-29 2004-05-07 정대석 무압력 상변환 수단이 구비된 육류 조리장치
KR200307716Y1 (ko) * 2002-12-05 2003-03-20 이재식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밀폐형 전기난방장치
KR20040092903A (ko) * 2003-04-29 2004-11-04 권정자 비데용 순간 온수 가열식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23501A (ko) * 2003-08-28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기의 가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0303A (ko) * 2003-11-25 2006-10-24 쿄세라 코포레이션 세라믹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52407A (ko) * 2003-11-28 2005-06-02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세라믹히터, 열교환유닛, 온수세정변좌 및 세라믹히터의제조방법
KR20060042590A (ko) *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 엘티에스 세라믹 발열소자가 구비된 전기 히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53452A (ko) * 2004-11-16 2006-05-22 김태균 온수가열용 히터 및 이를 이용한 온수 공급 장치
KR20060118822A (ko) * 2005-05-17 2006-11-24 양철훈 스크류관을 내장한 전기온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203A (ko) * 2015-08-14 2017-02-22 라온닉스 주식회사 순간 온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온수 공급장치
KR102015764B1 (ko) * 2015-08-14 2019-08-29 라온닉스 주식회사 순간 온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온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751A (ko)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704B1 (ko) 온수공급장치
DE602004011386T2 (de) Dünnschichtheizelement
CN105934828B (zh) 太阳能电池单元和太阳能电池单元的制造方法
CN1171035C (zh) 用于陶瓷热表面元件的电连接和陶瓷热表面元件的连接
KR20140038954A (ko) 금속입자를 포함하고 식각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태양전지를 생산하는 동안 실리콘과 콘택을 만드는 인쇄매체
CA2355245C (en) Novel ceramic igniter having improved oxidation resist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8504675A (ja) 半導体のウエット化学処理に使用するインラインヒー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807803U (zh) 一种安全的足浴器加热装置
JP2005116559A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100870703B1 (ko) 발열장치 및 발열장치의 제조방법
CN2712034Y (zh) 一种电加热元件
KR870003947A (ko) 심한 부식에 사용하기 위한 두꺼운 유리전착 코팅
CN101282024B (zh) 一种废旧火花塞翻新的工艺方法
CN104654805A (zh) 一种真空炉用石英电阻管发热体及其制备方法
CN106185802A (zh) 水解氢能燃烧方法及装置
CN209703919U (zh) 一种新型制热瓷砖
KR20110043287A (ko) 전극 연결 장치가 포함된 발열 복층 유리와 그 제조 방법
CN201821526U (zh) 碳纤维液体加热片
JP5168506B2 (ja) 電極、太陽電池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218869423U (zh) 一体式内加热发热体
CN1091566C (zh) 红外辐射电热薄膜及其生产方法
JP3136300B2 (ja) 導電性セラミックス、導電性セラミックス膜の製造方法、導電性セラミックス成形物の製造方法、導電性セラミックス成形用組成物及び電気発熱体
CN205133162U (zh) 氢化炉
CN109616392A (zh) 一种高分断小型熔断器及其制备方法
CN109041291A (zh) 一种加热均匀的加热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