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211B1 -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211B1
KR100870211B1 KR1020080071881A KR20080071881A KR100870211B1 KR 100870211 B1 KR100870211 B1 KR 100870211B1 KR 1020080071881 A KR1020080071881 A KR 1020080071881A KR 20080071881 A KR20080071881 A KR 20080071881A KR 100870211 B1 KR100870211 B1 KR 100870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ground
soil
center pillar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민
Original Assignee
장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민 filed Critical 장현민
Priority to KR102008007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스 또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에 이용되는 지지파이프를 지중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지지파이프가 삽입되거나 내측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빈 관 형태를 갖되 하부는 콘 형태로 직경이 감소되면서 하단에 상부 내경보다 작게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 재질을 갖는 중앙기둥부와; 상단이 중앙기둥부 외주면과 이격된 채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콘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중앙기둥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기둥부와의 사이 공간에 지중의 토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토압지지부와; 일측이 중앙기둥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토압지지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하우스 또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의 지지파이프가 돌풍이나 태풍 또는 폭설 등에 의해 손상 및 지중에서 이탈되어 발생되는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지지파이프에 유입된 빗물 등이 원할히 배수되어 부재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중앙기둥부와 토압지지부 사이의 내측 공간에 지중의 토사가 수용되어 지지파이프가 잘 뽑히지 않게 된다.
하우스, 해가림시설, 지지파이프, 고정장치

Description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HOLDING DEVICE FOR SUPPORTING PIPE}
본 발명은, 하우스 또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의 지지파이프가 돌풍이나 태풍 또는 폭설 등에 의해 손상 및 지중에서 이탈되어 발생되는 피해를 줄일 수 있고, 지지파이프에 유입된 빗물 등이 원활히 배수되어 부재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중앙기둥부와 토압지지부 사이의 내측 공간에 지중의 토사가 수용되어 지지파이프가 잘 뽑히지 않도록 구성된,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우스나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의 지주 고정장치는 기둥을 세우고 기둥을 지면에 삽입하기 위해 기둥의 단부에 앵커를 결합하여 지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말한다.
그런데, 폭설이나 강풍에 의하여 하우스 또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에 큰 하중이나 강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약한 지반 구조에서는 지지파이프가 고정장치와 함께 땅 속으로 깊이 파묻히거나, 반대로 상부 방향으로 뽑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장마철에는 지반이 약해서 고정장치가 땅속 깊이 들어가 해당 파이프의 높이가 가변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파이프의 상단이 비닐 차광막을 찌거나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많이 발생했다.
또, 겨울철에 빗물이나 이슬 등이 지지파이프 내부로 유입될 경우 파이프를 해체하지 않고는 내부의 물을 빼낼 수 없으므로 지지파이프 내에 잔존하는 물로 인해 파이프 내부에서 부식이 발생하거나 동파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폭설이나 돌풍 등에도 지지파이프가 땅속으로 파고들어가거나 뽑히지 않도록 지반에 견고히 고정되며, 지지파이프 내부로 유입된 빗물 등으로 인한 지지파이프의 부식 및 동절기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지지파이프용 고정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폭설이나 돌풍 등의 악천후에도 지지파이프가 땅속으로 깊이 파고들어가거나 뽑히지 않도록 지반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지지파이프 지중 공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내측으로 지중의 토사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이용하여, 단면적을 이용한 저항력, 표면 마찰력을 이용한 저항력 뿐만 아니라 지중 토양의 결합력을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중에 고정시키려는 것이다.
또한, 하부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원할히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파이프 및 고정장치 내부에 물이 수용됨으로 인한 부식 및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토압을 지지하는 토압지지부와 중앙기둥부를 연결하는 보강리브를 설치하여 압력이 토압지지부와 중앙기둥부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토압지지부가 중앙기둥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지파이프가 삽입되거나 내측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빈 관 형태를 갖되 하부는 콘 형태로 직경이 감소되면서 하단에 상부 내경보다 작게 배수 구가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 재질을 갖는 중앙기둥부와; 상단이 중앙기둥부 외주면과 이격된 채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콘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중앙기둥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기둥부와의 사이 공간에 지중의 토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토압지지부와; 일측이 중앙기둥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토압지지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폭설이나 돌풍 등의 악천후에도 지지파이프가 땅속으로 깊이 파고들어가거나 뽑히지 않도록 지반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내측으로 지중의 토사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이용하여, 단면적을 이용한 저항력, 표면 마찰력을 이용한 저항력 뿐만 아니라 지중 토양의 결합력을 이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중에 고정되는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하부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원할히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파이프 및 고정장치 내부에 물이 수용됨으로 인한 부식 및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압을 지지하는 토압지지부와 중앙기둥부를 연결하는 보강리브를 설치하여 압력이 토압지지부와 중앙기둥부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토압지지부가 중앙기둥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1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1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중앙기둥부(11)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콘 형태로 점점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상부 내경보다 작게 배수구(1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중앙기둥부(11)는 상하로 관통된 구성을 취함으로써 지지파이프(100) 내에 유입된 물을 배수구(12a)를 통해 자연스럽게 땅속으로 유도하여 수분으로 인한 지지파이프(100) 내부가 부식되거나 동절기 물의 팽창으로 지지파이프(100)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토압지지부(12)는 상단이 중앙기둥부(11) 외주면과 이격된 채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콘 형태를 취하면서 중앙기둥부(11)와 일체로 합쳐지는 구성을 갖고 있음다.
이때, 중앙기둥부(11) 상부와 토압지지부(12) 사이에 공간(14)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어 이 공간에 흙이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중앙기둥부(11)와 토압지지부(12)의 하부가 콘 형태로 형성된 이유는 지중에 삽입되기 용이하기 위해서이며, 삽입된 이후에는 도시된 것처럼 토압지지부(12)가 돌출된 형상을 취해 지중에서 잘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중앙기둥부(11)와 토압지지부(12) 사이에는 일측이 중앙기둥부(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토압지지부(12)에 일체로 연결된 보강리브(13)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리브(13)는 중앙기둥부(11)로부터 토압지지부(12)가 잘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보강리브(13)의 배치는 도 3의 평면도를 통해 잘 나타나 있다.
도 3을 보면 중앙기둥부(11)와 토압지지부(12) 사이에 공간(14)이 형성되어 있고, 그 공간(14)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리브(1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보강리브(13)는 본 발명의 고정장치(10)가 상부로 뽑히려는 압력이 가해질 때 자칫 토압지지부(12)가 중앙기둥부(11)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히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장치(10)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로써 도 4에는 중앙기둥부(11)와 토압지지부(12) 사이의 공간(14)이 잘 도시되어 있다.
이 공간(14)에는 도 5의 단면도에 나타난 것처럼 고정장치(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중의 흙(300)이 채워지게 되는데, 공간(14)에 채워진 흙(300)과 그 주변의 흙(300)의 결합력으로 인해, 단면 지지력, 마찰지지력에 결합력이 더해져 본 발명의 고정장치(10)가 매우 견고하게 지중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중앙기둥부(11), 토압지지부(12), 보강리브(13)는 모두 일체로 형성되며 특히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10)의 시공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고정장치(10)가 지지파이프(100)의 하단에 삽입된 채 지중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지지파이프(100)는 하우스 또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의 규모에 따라 설치되는 수량이 달라지며 지지파이프(100)의 상부에는 일반적으로 횡방향의 연결부재(200)가 설치되고 그 부재를 통해 지붕(미도시)을 고정하게 된다.
지지파이프(100), 연결부재(200) 및 지붕의 연결 구조로 인해 강풍이 불거나 폭설이 내릴 때 지붕에 힘이 가해지게 되면 그 힘은 그대로 지지파이프(100)에 전달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정장치(10)는 지지파이프(100)를 끼운 상태에서 지지파이프(100)의 상부를 타격하여 삽입하거나 땅을 천공한 후 삽입할 수 있으며, 지면에 삽입되는 깊이는 약 30 cm가 적절하며, 이와 같은 지면설치깊이를 감안하여 지지파이프(100)가 갖는 길이는 200 cm 내외가 적당하다.
또한, 기계를 이용하여 천공작업을 미리 한 후에 본 발명의 고정장치(10) 및 지지파이프(1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파이프(100) 삽입 후 지면을 잘 눌러주어 지지파이프(100)가 삽입된 구멍과 지지파이프(100) 사이의 공간(14)으로 흙(300)이 잘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지지파이프(100) 하단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고저장치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폭설 등으로 인해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의 증가로 지지파이프(100)가 땅속으로 파고들어가거나 돌풍 등으로 인해 쉽사리 뽑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는 하우스 또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에 사용되는 지지파이프 뿐만 아니라 각종 소형 파이프의 고정장치에도 더불어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가 지지파이프에 연결된 채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가 지중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고정장치 11 : 중앙기둥부
12 : 토압지지부 12a : 배수구
13 : 보강리브 100 : 지지파이프
200 : 연결부재 300 : 흙

Claims (1)

  1. 하우스 또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에 이용되는 지지파이프를 지중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지지파이프(100)가 삽입되거나 내측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빈 관 형태를 갖되 하부는 콘 형태로 직경이 감소되면서 하단에 상부 내경보다 작게 배수구(12a)가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 재질을 갖는 중앙기둥부(11)와;
    상단이 상기 중앙기둥부(11) 외주면과 이격된 채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콘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중앙기둥부(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기둥부(11)와의 사이 공간(14)에 지중의 토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토압지지부(12)와;
    일측이 상기 중앙기둥부(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토압지지부(12)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보강리브(13);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
KR1020080071881A 2008-07-23 2008-07-23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 KR10087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881A KR100870211B1 (ko) 2008-07-23 2008-07-23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881A KR100870211B1 (ko) 2008-07-23 2008-07-23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211B1 true KR100870211B1 (ko) 2008-11-25

Family

ID=4028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881A KR100870211B1 (ko) 2008-07-23 2008-07-23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85A (ko)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에이티씨 비닐하우스용 구조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808Y1 (ko) 2001-03-17 2001-10-18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인삼재배용 개량 해가림시설
JP2004049641A (ja) * 2002-07-22 2004-02-19 Kawasumi Lab Inc 膜固定システム
JP2004084267A (ja) * 2002-08-27 2004-03-18 Asahi Tec Corp 柱状物補強装置
KR200369999Y1 (ko) 2004-09-16 2004-12-14 김창진 수목 지지대
KR200428192Y1 (ko) 2006-07-21 2006-10-09 김홍기 압축용 피스톤 결합구조를 갖는 압축 흡입식 배수관 청소기
KR200436429Y1 (ko) 2006-11-10 2007-08-14 김선엽 인삼밭 골조 연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808Y1 (ko) 2001-03-17 2001-10-18 재단법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인삼재배용 개량 해가림시설
JP2004049641A (ja) * 2002-07-22 2004-02-19 Kawasumi Lab Inc 膜固定システム
JP2004084267A (ja) * 2002-08-27 2004-03-18 Asahi Tec Corp 柱状物補強装置
KR200369999Y1 (ko) 2004-09-16 2004-12-14 김창진 수목 지지대
KR200428192Y1 (ko) 2006-07-21 2006-10-09 김홍기 압축용 피스톤 결합구조를 갖는 압축 흡입식 배수관 청소기
KR200436429Y1 (ko) 2006-11-10 2007-08-14 김선엽 인삼밭 골조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85A (ko)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에이티씨 비닐하우스용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815Y1 (ko) 비닐 하우스 프레임
KR20090123779A (ko) 스페이셔 기능을 갖는 바퀴형 강화구와 시공확인 장치를 이용한 네일삽입 지반보강공법
US20120301227A1 (en) Foundation pil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KR101212978B1 (ko) 보강 수직 골조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골조 구조
KR100870211B1 (ko) 지지파이프 지중 고정장치
KR200439508Y1 (ko) 인삼밭용 지주대
KR100638548B1 (ko) 배수 겸용 가압 그라우팅 장치와 이를 이용한 상향식 사면및 지반보강공법
KR101024071B1 (ko) 방풍벽
KR20100033750A (ko) 전주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87775A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KR100925414B1 (ko)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KR200400539Y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의 재활용을 위한 고정지주
KR101138023B1 (ko) 전면압착방식의 배수보강 일체형 지반구조물 안정화 장치
KR101747423B1 (ko) 자립식 토석류 방지 구조물
KR101151443B1 (ko) 옥상녹화 시스템에서의 풍압대비용 장치
KR100776620B1 (ko) 바타입 앵커
KR200441862Y1 (ko)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JP2009084864A (ja) 落石防護兼雪崩予防施設
KR20090050873A (ko) 전주 연장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 연장 방법
CN214116470U (zh) 一种用于边坡生态治理的边坡支护结构
KR100458962B1 (ko) 암반면 녹화구조
CN214530720U (zh) 一种采石矿山水土保持绿化结构
CN219315756U (zh) 一种山体开采后生态修复装置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US20100310321A1 (en) Pile for Fou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