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862Y1 -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 Google Patents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862Y1
KR200441862Y1 KR2020070015391U KR20070015391U KR200441862Y1 KR 200441862 Y1 KR200441862 Y1 KR 200441862Y1 KR 2020070015391 U KR2020070015391 U KR 2020070015391U KR 20070015391 U KR20070015391 U KR 20070015391U KR 200441862 Y1 KR200441862 Y1 KR 200441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inseng cultivation
ginseng
facility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2020070015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8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8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둑에 박아 전체 인삼해가림 시설물을 지반인 두둑에 지지하는 기둥파이프를 쉽고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상태로 두둑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기둥파이프와 분해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두둑에 박할 때는 쉽게 박히고 박힌 상태에서는 두둑이 빠지지 않도록 견고한 상태로 지지 되도록 하는 한편, 부식이나 변형 등이 없이 장기간 인삼재비용 해가림 시설물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는, 차양막을 설치할 수 있는 서까래파이프와, 상기 서까래파이프들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두둑에 박히는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갖는 기둥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에 있어서, 두둑에 박히는 상기 기둥파이프의 선단부에 고정핀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기둥파이프에 결합되는 결합헤드와, 상기 결합헤드로부터 연장되어 두둑에 꽂을 수 있도록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뾰족해지는 꽂힘부와, 상기 결합헤드와 꽂힘부를 구분하는 동시에 두둑에 꽂혀질 때는 쉽게 들어가고 두둑에 꽂혀진 상태에서는 빠지지 않도록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경사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삼재배, 해가림, 시설재, 기둥파이프,고정핀

Description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The shading equipment for ginseng farming}
본 고안은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둑에 박아 전체 인삼해가림 시설물을 지반인 두둑에 지지하는 기둥파이프를 쉽고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상태로 두둑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기둥파이프와 분해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두둑에 박할 때는 쉽게 박히고 박힌 상태에서는 두둑이 빠지지 않도록 견고한 상태로 지지 되도록 하는 한편, 부식이나 변형 등이 없이 장기간 인삼재비용 해가림 시설물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물은 도 1과 같이, 두둑에 박히는 기둥파이프(10)와, 각각의 기둥파이프(10)들을 상호 연결하고 차양막(11)을 고정하기 위한 서까래파이프(12)로 구성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기둥파이프(10) 및 서까래파이프(12)로 이루어지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물에 관하여 전근대적인 시설물을 대체할 수 있도록 다년간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하였다.
본 출원인에 의해 국내에 알려진 국내 실용신안등록 등록번호 제230310호외 230311,252378, 252379, 254023호는 '인삼배배용 차광막 프레임'과 관련된 기술들이고, 실용신안등록 등록번호 제290950호외 290951, 290952, 290953호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와 관련된 기술들로서, 이 기술들을 살펴보면 기둥파이프 및 서까래파이프의 구성 및 특징 등에 관하여 자세히 기술되어 있는 바, 기둥파이프(10)는 가능하면 두둑(13)에 견고한 상태로 지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시설재들의 시공성 등이 무엇보다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의 설치와 관리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인삼재배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고 하여도 최초 설치 시 시공성이 좋아야 하고, 설치 후 변형이 없어야 하며, 견고한 지지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를 견고하면서도 간단하게 전천후 사용이 가능하도록 기둥파이프(10)와 서까래파이프(12) 등의 결합 및 그밖에 다양한 시설재 및 부품 들을 개발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부품들은 특허 및 실용신안등록 외에 의장등록출원 하여 의장등록번호 316891호외 10건 이상의 다양한 시설재 관련 부품들을 의장등록 하였다.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에서 기둥파이프(10)를 두둑(13)에 효과적으로 박기 위하여 기둥파이프(10)의 끝을 날카롭게 팁(14)을 형성한 도 2와 같은 구조 및 도 3과 같이 별도의 핀 부재(15)를 기둥파이프(10)에 결합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실제로 두둑(13)에 박으면 쉽게 빠지고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없었다.
도 2는 기둥파이프(10)의 끝을 뾰족하게 팁(14)으로 형성하여 쉽게 두둑(13) 에 박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두둑(13)에서 지지력이 없어 쉽게 빠지거나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별도의 핀 부재(15)를 기둥파이프(10) 단부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두둑(13)에 박을 때 어느 정도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핀 부재(15)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마찬가지로 단순히 뾰족한 형상만으로는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두둑(13)으로 핀 부재(15)가진입할 때, 토사에 의한 저항이 일어나 잘 박히지 않고, 반대로 수직 축선 방향으로 빠질 수 있어 지지력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중 기둥파이프를 두둑에 박을 때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인 기둥파이프를 두둑에 박을 때 견고하면서도 쉽게 빠지지 않고,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한 기둥파이프 설치용 시설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둥파이프를 두둑에 박은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나 변형이 적은 기둥파이프 설치용 시설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는,
차양막을 설치할 수 있는 서까래파이프와, 상기 서까래파이프들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두둑에 박히는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갖는 기둥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에 있어서,
두둑에 박히는 상기 기둥파이프의 선단부에 고정핀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기둥파이프에 결합되는 결합헤드와,
상기 결합헤드로부터 연장되어 두둑에 꽂을 수 있도록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뾰족해지는 꽂힘부와,
상기 결합헤드와 꽂힘부를 구분하는 동시에 두둑에 꽂혀질 때는 쉽게 들어가고 두둑에 꽂혀진 상태에서는 빠지지 않도록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경사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헤드는, 고정핀의 전체 무게 경감과 기둥파이프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워진 중공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플랜지의 전체 지름은 기둥파이프의 직경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꽂힘부는 원추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헤드 및 꽂힘부 그리고 경사플랜지는 강화플라스틱(FRP) 소재를 사용하여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를 두둑에 쉽고 견고한 상태로 박을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식이 없어 지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기둥파이프를 두둑에 박을 때 쉽게 박지 못할 뿐만아니라 두둑에서 기둥파이프가 빠지거나 견고하지 못한 지지력으로 인해 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금속재 사용의 경우 부식으로 인한 지질오염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은 기둥파이프에 간단히 고정핀을 결합하여 기둥파이프를 두둑에 박을 수 있으며, 두둑에 박힌 기둥파이프는 고정핀의 구조에 따라 두둑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고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간단한 구조로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의 설치 및 운용에 있어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의 주요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인 고정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인 고정핀이 두둑에 박힌 상태를 보인 지중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4 내지 도 6의 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막(22)을 설치할 수 있는 서까래파이프(21)와, 상기 서까래파이프(21)들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두둑(23)에 박히는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갖는 기둥파이프(20)로 이루어지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이다.
주요 부분은, 두둑(23)에 박히는 기둥파이프(20)의 선단부에 고정핀(30)을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고정핀(30)은, 기둥파이프(20)에 결합되는 결합헤드(31)와, 결합헤드(31)로부터 연장되어 두둑(23)에 꽂을 수 있도록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뾰족해지는 꽂힘부(32)와, 결합헤드(31)와 꽂힘부(32)를 구분하는 동시에 두둑(23)에 꽂혀질 때는 쉽게 들어가고 두둑에 꽂혀진 상태에서는 빠지지 않도록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기울기 θ°를 갖는 경사면(33)을 구비하는 경사플랜지(34)를 구비한다.
또한, 결합헤드(31)는, 고정핀(30)의 전체 무게 경감과 기둥파이프(20)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워진 중공홈(35)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홈(35)은 고정핀(30)의 무게를 중공홈(35)이 형성된 만큼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되며, 그 중공홈(35)은 기둥파이프(20)의 단부를 중공홈(35)에 맞도록 형성하거나 기둥파이프(20)를 끼울 수 있는 홈의 형상으로 형성하면 기둥파이프(20)를 끼울 수 있는 홈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꽂힘부(32)는 원추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상은 두둑에 진입할 때 지중 저항을 줄이면서 두둑에 효과적으로 박힐 수 있는 형상이며, 토사의 배출을 위한 토사배출홈과 같은 홈을 표면을 따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사플랜지(34)의 전체 지름 'R2'는 기둥파이프(20)의 직경 지름'R1'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함으로서, 두둑(23)에 고정핀(30)이 박힐 때 지중의 토사는 기둥파이프(20)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경사플랜지(34)의 경사면(33)에 접촉되어 꽂힘부(32)의 지중 진입 저항을 줄여준다.
또한, 상기 결합헤드(31) 및 꽂힘부(32) 그리고 경사플랜지(34)는 강화플라스틱(FRP) 소재나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일체형 구조로 형성하면, 금속에 버금가는 고강도로 기둥파이프를 지지할 수 있고, 부식이 없어 오염방지에 유리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기둥파이프(20)를 두둑(23)에 박을 때 먼저, 고정핀(30)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헤드(31)를 기둥파이프(20)의 홈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대로 기둥파이프(20)를 잡고 그대로 수직방향으로 두둑(23)에 고정핀(30)을 박아주면 고정핀(30)의 선단부인 꽂힘부(32)가 두둑(23)의 지중으로 삽입된다.
이때, 고정핀(30)의 결합헤드(31)와 꽂힘부(32)를 구분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경사플랜지(34)는 고정핀(32)이 진입할 경우 토사가 경사면(33)을 따라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일단 두둑의 지중에 박힌 상태에서는 그 경사면(33)에 의해 상부 축선방향으로 고정핀(30)이 뽑혀 지려는 이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인삼재배를 위한 해가림 시설재의 설치 과정 중 기둥파이프(20)를 두둑에 고정 설치할 경우, 기둥파이프(20)에 고정핀(30)을 결합한 뒤 기둥파이프(20)를 잡고 두둑(23)에 꽂아서 누르면, 끝이 뾰족한 꽂힘부(32)가 지중에 쉽게 박히고, 일단 지중에 박히면 잘 빠지지 않게 되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고강도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함으로서 금속 부식에 의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견고한 상태로 기둥파이프(20)를 두둑(23)에 지지하여, 다른 종래 기둥파이프 고정 구조에 비해 안정된 상대로 해가림 시설재를 지탱하고 지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삼새배용 해가림 시설재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기둥파이프 고정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종래의 기둥파이프 고정부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인 고정핀의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를 설명하기 위한 지중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기둥파이프
23:두둑
30:고정핀
31:결합헤드
32:꽂힘부
33:경사면
34:경사플랜지
35:중공홈

Claims (4)

  1. 차양막을 설치할 수 있는 서까래파이프와, 상기 서까래파이프들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두둑에 박히는 수직 방향의 길이를 갖는 기둥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에 있어서,
    두둑에 박히는 상기 기둥파이프의 선단부에 고정핀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기둥파이프에 결합되는 결합헤드와,
    상기 결합헤드로부터 연장되어 두둑에 꽂을 수 있도록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뾰족해지는 꽂힘부와,
    상기 결합헤드와 꽂힘부를 구분하는 동시에 두둑에 꽂혀질 때는 쉽게 들어가고 두둑에 꽂혀진 상태에서는 빠지지 않도록 하부로 갈수록 경사진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경사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헤드는, 고정핀의 전체 무게 경감과 기둥파이프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워진 중공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플랜지의 전체 지름은 기둥파이프의 직경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꽂힘부는 원추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헤드 및 꽂힘부 그리고 경사플랜지는 강화플라스틱(FRP) 소재를 사용하여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KR2020070015391U 2007-09-14 2007-09-14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KR200441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391U KR200441862Y1 (ko) 2007-09-14 2007-09-14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391U KR200441862Y1 (ko) 2007-09-14 2007-09-14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862Y1 true KR200441862Y1 (ko) 2008-09-11

Family

ID=4164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391U KR200441862Y1 (ko) 2007-09-14 2007-09-14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8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727B1 (ko) 2014-02-21 2014-10-22 농업회사법인(주)진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KR20160130667A (ko) 2015-05-04 2016-11-14 정영일 해가림 인양용 윈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727B1 (ko) 2014-02-21 2014-10-22 농업회사법인(주)진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KR20160130667A (ko) 2015-05-04 2016-11-14 정영일 해가림 인양용 윈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66769A (en) Ground socket
MX2007001360A (es) Estructura y procedimiento de montaje de torres de hormigon para turbinas eolicas.
CN209017514U (zh) 一种矿山生态修复绿化构件
KR200441862Y1 (ko)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CN105544538B (zh) 一种自锁型管式地桩及埋设方法
CN213867636U (zh) 一种水利工程生态护坡
CN205387710U (zh) 一种黄土地区边坡植被种植保障砌体结构体系
CN205284449U (zh) 一种提高树木抗风能力的支撑架
CN211297899U (zh) 一种适用于花椒山坡种植的防滑坡结构
CN208309607U (zh) 一种具有贮水功能的锚杆及植生板边坡植被恢复装置
CN203741837U (zh) 地锚
KR20100012919U (ko) 수목보호 및 지지용 지주목의 결합구조
CN216839268U (zh) 一种新型生态水利工程建设护坡结构
GB2510387A (en) Ground anchor with subsurface footprint larger than entrance hole
CN213682191U (zh) 一种水利挡土墙
KR101463297B1 (ko) 식재 구덩이의 측벽을 박는 방식의 지하 매설형 수목 지지대
CN211498717U (zh) 一种用于减少水土流失的生态驳岸的排桩支护结构
AT11648U1 (de) Bodenanker
CN220687780U (zh) 一种道路边坡防护网的固定钉
KR200312735Y1 (ko) 나선상(螺旋狀)의 텐트 및 천막 고정 말뚝
CN107517790A (zh) 一种用于绿化带的防寒板及其安装方法
AT508957A1 (de) Bodenanker
CN207672514U (zh) 一种园林双排桩堤岸结构
KR200189914Y1 (ko) 타워형 그늘막
KR20090081059A (ko) 인삼재배밭의 차광막 설치용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