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821B1 -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821B1
KR100869821B1 KR1020070079333A KR20070079333A KR100869821B1 KR 100869821 B1 KR100869821 B1 KR 100869821B1 KR 1020070079333 A KR1020070079333 A KR 1020070079333A KR 20070079333 A KR20070079333 A KR 20070079333A KR 100869821 B1 KR100869821 B1 KR 10086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upper casing
edge
spac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7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03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the whole being wrap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는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을 포함한다. 하부 케이싱은 상부 케이싱과 결합되고, 상부 케이싱과 함께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적용된 공간을 형성한다. 공간은 이를 구획하는 복수의 면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면들 중 하나 이상의 면은 오목부를 포함하며, 내용물이 오목부에 의해 공간에 고정된다.
수납 용기, 내용물, 비누, 경사

Description

수납 용기 {CONTAINER}
본 발명은 수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열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비누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기 위하여 다양한 용기들이 이용된다. 용기들은 플라스틱, 수지, 및 종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용기는 상자 형태로 제공되거나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대 형태로도 제공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비누들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 복수의 비누들은 종이에 의해 포장된다. 한편, 비누가 낱개로 제공되는 경우, 비누를 플라스틱 용기 또는 상자에 수납한다.
진열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수납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는,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을 포 함한다. 하부 케이싱은 상부 케이싱과 결합되고, 상부 케이싱과 함께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적용된 공간을 형성한다. 공간은 이를 구획하는 복수의 면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면들 중 하나 이상의 면은 오목부를 포함하며, 내용물이 오목부에 의해 공간에 고정된다.
하나 이상의 면은 상호 마주하는 두 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면 각각은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과 각각 접할 수 있다. 하부 케이싱은 복수의 측면들 및 복수의 측면들로 둘러싸인 하부 판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싱은 복수의 또다른 측면들 및 복수의 또다른 측면들로 둘러싸인 상부 판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판면 및 하부 판면이 두 개의 면과 각각 접할 수 있다. 하부 케이싱은 상부 케이싱과 대향하는 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면의 면적은 하부 판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 중 한 케이싱에 공간을 향하여 오목홈이 형성되고, 오목홈이 오목부와 접할 수 있다. 오목홈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링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케이싱은 복수의 측면들을 가지고, 복수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은 복수의 가장자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장자리들 중 상부 케이싱과 대향하는 제1 가장자리는 복수의 가장자리들 중 제1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수납 용기가 지면 위에 놓이는 경우, 제2 가장자리는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는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을 연 결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힌지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복수의 측면들은 힌지부와 연결되는 또다른 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는 측면과 교차하면서 돌출될 수 있다.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은 각각 상호 대향하여 접하는 상부 경계부 및 하부 경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경계부는 복수의 측면들과 교차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케이싱은 상부 경계부 및 하부 경계부가 상호 접하여 형성되는 접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 케이싱과 회전 대칭일 수 있다.
제1 가장자리는 제2 가장자리에 대해 5ㅀ내지 20ㅀ로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의 최단 거리는 0보다 크고 6mm 이하일 수 있다.
수납 용기는 종이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하부 케이싱은 상부 케이싱과 대향하는 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은 비누일 수 있다.
수납 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내용물은 잘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수납 용기를 가지런하게 진열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 용기는 종이 소재로 제조되어 환경이 오염될 염려가 없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ㅀ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 및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용기(100)는 상부 케이싱(10) 및 하부 케이 싱(20)을 포함한다. 하부 케이싱(20)은 상부 케이싱(10)과 함께 결합되어 그 내부에 공간(S)(도 2에 도시, 이하 동일)을 형성한다. 여기서, 공간(S)은 상부 케이싱(10) 및 하부 케이싱(20)에 의해 구획되는 수납 용기(100)의 내부 공간을 의미한다. 공간(S)은 가상의 경계에 의해 구획된다.
내용물(P)(도 2에 도시, 이하 동일)은 공간(S) 내부에 수납된다. 하부 케이싱(20)은 상부 케이싱(10)과 분리형으로 구비되어 상부 케이싱(10)을 덮으면서 결합될 수도 있고, 힌지부가 구비되어 그 일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부 케이싱(10)과 결합될 수도 있다.
하부 케이싱(20)은 상부 케이싱(10)과 함께 그 내부에 내용물(P)을 수납한다. 예를 들면, 내용물(P)은 비누가 될 수 있다. 상부 케이싱(20) 및 하부 케이싱(10)은 내용물(P)을 둘러싸면서 보호하므로, 내용물(P)이 외부 충격에 의해 잘 파손되지 않는다.
상부 케이싱(10)에는 오목홈(1031)이 형성된다. 도 1에는 상부 케이싱(10)에 오목홈(1031)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하부 케이싱(20)에도 동일한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오목홈(1031)은 수납 용기(100)에 수납되는 내용물(P)과 접한다. 따라서 오목홈(1031)은 내용물(P)을 고정하여 내용물(P)이 수납 용기(100)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유격을 줄임으로써 내용물(P)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홈(1031)은 링 형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링은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이와는 달리, 링을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삼각형 링 또는 오각형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오목홈(1031)을 링 형상 으로 형성하므로, 내용물(P)의 상면을 오목홈(1031)에 의해 고르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수납 용기(100)는 종이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수납 용기(100)를 종이 소재로 제조하므로, 수납 용기(100)의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환경을 오염시킬 염려가 없다. 충분한 두께를 가진 종이로 수납 용기(100)를 제조하므로, 수납 용기(100)의 내구성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10) 및 하부 케이싱(20)은 각각 상부 경계부(107) 및 하부 경계부(207)를 포함한다. 상부 경계부(107) 및 하부 경계부(207)는 상호 대향하며 접할 수 있다. 상부 케이싱(10) 및 하부 케이싱(20)은 각각 측면(101, 20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경계부(107)는 측면(101)과 교차 연결되고, 하부 경계부(207)는 측면(201)과 교차 연결된다. 상부 경계부(107) 및 하부 경계부(207)가 각각 측면(101, 201)으로부터 돌출되므로, 상부 케이싱(10) 및 하부 케이싱(20)이 상부 경계부(107) 및 하부 경계부(207)에 의해 상호 접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케이싱(10) 및 하부 케이싱(20)의 결합 상태가 양호하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S)은 복수의 면들(30, 32, 34)을 포함하며 이들에 의해 구획된다. 즉, 공간(S)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면(30) 및 면(32)에 의해 구획되고, 공간(S)의 측부는 면(34)에 의해 구획된다. 여기서, 면(30, 32)은 각각 오목부(301, 321)를 포함한다. 오목부(301, 321)는 내용물(P)을 향해 돌출되 어 내용물(P)과 접한다. 따라서 내용물(P)은 오목부(301, 321)에 의해 공간(S)에 고정된다.
복수의 면들(30, 32, 34) 중에서 면(30) 및 면(32)은 상호 마주한다. 여기서, 면(30)은 상부 케이싱(10)과 접하고, 면(32)은 하부 케이싱(20)과 접한다.
상부 케이싱(10)은 복수의 측면들(101) 이외에 상부 판면(103)을 더 포함한다. 상부 판면(103)은 복수의 측면들(101)에 의해 둘러싸인다. 따라서 상부 케이싱(10)은 하부 케이싱(20)과 대향하는 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 케이싱(20)은 복수의 측면들(201) 이외에 하부 판면(203)을 더 포함한다. 하부 판면(203)은 복수의 측면들(201)에 의해 둘러싸인다. 따라서 하부 판면(203)은 전술한 상부 케이싱(10)처럼 상부 케이싱(10)에 대향하는 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 판면(103) 및 하부 판면(203)은 각각 공간(S)을 구획하는 면(30) 및 면(32)과 접한다. 상부 케이싱(10) 및 하부 케이싱(20)에 공간(S)을 향하여 형성된 오목홈(1031)은 공간(S)의 오목부(301, 321)와 접한다.
도 3은 도 1의 수납 용기(100)를 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빗금친 부분은 상부 케이싱(10)에 대향하는 하부 케이싱(20)의 개구면(205)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10)은 하부 케이싱(20)에 힌지 결합된다. 즉, 상부 케이싱(10) 및 하부 케이싱(20)은 힌지부(40)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힌지부(40)를 축으로 하여 상부 케이싱(10)을 화살표 방향으로 열 수 있다. 힌지부(40)는 측면(201)(도 3의 좌측)과 교차하면서 돌출된다.
하부 케이싱(20)의 측면(201)은 복수의 가장자리들(2011, 2013, 2015, 2017)을 포함한다. 복수의 가장자리들(2011, 2013, 2015, 2017)은 제1 가장자리(2011), 제2 가장자리(2013), 제3 가장자리(2015), 및 제4 가장자리(2017)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장자리(2011)는 상부 케이싱(10)에 대향하면서 위치한다. 제1 가장자리(2011)는 제2 가장자리(2013)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가장자리(2011) 및 제2 가장자리(2013) 사이의 거리(d1)는 힌지부(40)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하부 케이싱(20)의 개구된 면(205)도 경사져서 형성된다. 그 결과, 개구된 면(205)의 면적은 하부 판면(203)의 면적보다 크므로, 내용물이 하부 케이싱(20) 내부에 수납되는 경우 내용물이 외부로 좀더 잘 드러난다. 따라서 소비자가 수납 용기(100)에 수납된 내용물을 확인하기가 상당히 용이하다.
도 4는 도 1의 수납 용기(100)를 나란히 진열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납 용기들(100)을 나란히 배열하는 경우, 상부 경계부(107) 및 하부 경계부(207)가 경사지므로, 상부 경계부(107) 및 하부 경계부(207)가 서로 만나지 않게 하면서 수납 용기들(100)을 나란히 배열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수납 용기들(100)을 잘 정렬시켜서 배열할 수 있으므로, 수납 용기들(100)의 배열 상태가 깔끔하다. 따라서 소비자로 하여금 복수의 수납 용기들(100)에 대한 구매 욕구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용기(100)가 지면(G) 위에 놓이는 경 우, 제2 가장자리(2013)는 지면(G)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따라서 수납 용기(100)를 지면(G) 위에 안정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제1 가장자리(2011)는 제2 가장자리(2013)와 각도(θ)를 이룬다. 여기서 각도(θ)는 5 도 내지 20 도일 수 있다. 각도(θ)가 너무 작은 경우, 제1 가장자리(2011)가 거의 지면(G)과 평행해져서 상호 이웃하는 수납 용기들(100)의 상부 경계부(107) 및 하부 경계부(207)가 서로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수납 용기들(100)의 배열 상태가 가지런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부 케이싱(10)을 여는 경우, 내용물이 외부에 비교적 적게 노출되므로, 소비자가 내용물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다. 반대로, 높이가 낮은 수납 용기(100)의 구조를 고려하면 각도(θ)를 너무 크게 할 수 없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10)의 상부 경계부(107) 및 하부 케이싱(20)의 하부 경계부(207)는 상호 접하여 접선을 형성한다. 상부 케이싱(10) 및 하부 케이싱(20)은 전술한 접선의 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인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수납 용기(100)를 제조하는 경우, 상부 케이싱(10) 및 하부 케이싱(20)을 동일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어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부 케이싱(20)의 제1 가장자리(2011) 및 제3 가장자리(2013)의 최단 거리(d2)는 0보다 크고 6mm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최단 거리(d2)는 힌지부(40)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하는 제1 가장자리(2011) 및 제3 가장자리(2013)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최단 거리(d2)가 너무 큰 경우, 제1 가장자리(2011)가 거의 지면(G)과 평행해져서 상호 이웃하는 수납 용기들(100)이 상호 간섭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 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납 용기를 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수납 용기들은 배열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 케이싱 20. 하부 케이싱
30, 32, 34. 면 40. 힌지부
100. 수납 용기 101, 201. 측면
103. 상부 판면 203. 하부 판면
301, 321. 오목부 1031. 오목홈
2011, 2013, 2015, 2017. 가장자리

Claims (19)

  1. 삭제
  2. 상부 케이싱(casing), 및
    상기 상부 케이싱과 결합되고, 상기 상부 케이싱과 함께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적용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싱
    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은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면들 중 하나 이상의 면은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이 상기 오목부에 의해 상기 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면은 상호 마주하는 두 개의 면을 포함하는 수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면 각각은 상기 상부 케이싱 및 상기 하부 케이싱과 각각 접하는 수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은 복수의 측면들 및 상기 복수의 측면들로 둘러싸인 하부 판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싱은 복수의 또 다른 측면들 및 상기 복수의 또 다른 측면들로 둘러싸인 상부 판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판면 및 상기 하부 판면이 상기 두 개의 면과 각각 접하는 수납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은 상기 상부 케이싱과 대향하는 면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면의 면적은 상기 하부 판면의 면적보다 큰 수납 용기.
  6. 상부 케이싱(casing), 및
    상기 상부 케이싱과 결합되고, 상기 상부 케이싱과 함께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적용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싱
    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은 상기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면들 중 하나 이상의 면은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용물이 상기 오목부에 의해 상기 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케이싱 및 상기 하부 케이싱 중 한 케이싱에 상기 공간을 향하여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이 상기 오목부와 접하는 수납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링 형상을 가지는 수납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수납 용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은 복수의 측면들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은 복수의 가장자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장자리들 중 상기 상부 케이싱과 대향하는 제1 가장자리는 상기 복수의 가장자리들 중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제2 가장자리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된 수납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가 지면 위에 놓이는 경우, 상기 제2 가장자리는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납 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을 연결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상기 힌지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수납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들은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또다른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측면과 교차하면서 돌출된 수납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은 각각 상호 대향하여 접하는 상부 경계부 및 하부 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경계부는 상기 복수의 측면들과 교차 연결되는 수납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은 상기 상부 경계부 및 상기 하부 경계부가 상호 접하여 형성되는 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케이싱과 회전 대칭인 수납 용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장자리는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해 5 도 내지 20 도로 경사져서 형성된 수납 용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가장자리의 최단 거리는 0보다 크고 6mm 이하인 수납 용기.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종이 소재로 제조된 수납 용기.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은 상기 상부 케이싱과 대향하는 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수납 용기.
  1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비누인 수납 용기.
KR1020070079333A 2007-08-08 2007-08-08 수납 용기 KR100869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333A KR100869821B1 (ko) 2007-08-08 2007-08-08 수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333A KR100869821B1 (ko) 2007-08-08 2007-08-08 수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821B1 true KR100869821B1 (ko) 2008-11-21

Family

ID=4028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333A KR100869821B1 (ko) 2007-08-08 2007-08-08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8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77U (ja) * 1993-11-29 1995-06-13 和則 石井 石鹸収納箱
KR200211620Y1 (ko) * 2000-07-14 2001-01-15 최성조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
KR20060082078A (ko) * 2003-09-16 2006-07-14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수납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77U (ja) * 1993-11-29 1995-06-13 和則 石井 石鹸収納箱
KR200211620Y1 (ko) * 2000-07-14 2001-01-15 최성조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
KR20060082078A (ko) * 2003-09-16 2006-07-14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수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2136717A (ru) Упаковка издел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указ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помещающегося в лотке для изделия
EA016761B1 (ru) Упаковка
JP2003063569A (ja) 梱包用緩衝材および梱包物
CN102821646B (zh) 外壳基部和相关联的外壳以及组装方法
CN104487359A (zh) 可层叠的物品包装用容器
KR100869821B1 (ko) 수납 용기
KR200390818Y1 (ko) 포장용 상자
KR100770648B1 (ko) 10 면체 포장용 박스
JP2010215286A (ja) 包装箱
JP7356694B2 (ja) 包装用容器の蓋体
KR20210000108U (ko) 유체 토출 용기
JP2007326645A (ja) 煙草箱を収納する硬質の包装容器
CN205441276U (zh) 一种焊接焊药包装盒
JP4909692B2 (ja) 緩衝材シート及び容器入り箱体
US3321077A (en) Container for electric light bulbs and lamp pack resulting from its use
KR200476650Y1 (ko) 포장상자용 베이스
JP6677471B2 (ja) 化粧料容器
KR102208143B1 (ko) 포장용 상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8537524U (zh) 包装盒
CN204999009U (zh) 包装组件
KR200468395Y1 (ko) 밀폐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포장용기
CN219807100U (zh) 橡胶缓冲垫和包装箱
JP5219654B2 (ja) 切削インサート収納用ケース
TWI424945B (zh) 隔間結構與具有隔間結構的包裝箱
CN201784856U (zh) 打火机包装盒和综合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