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620Y1 -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 - Google Patents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620Y1
KR200211620Y1 KR2020000020217U KR20000020217U KR200211620Y1 KR 200211620 Y1 KR200211620 Y1 KR 200211620Y1 KR 2020000020217 U KR2020000020217 U KR 2020000020217U KR 20000020217 U KR20000020217 U KR 20000020217U KR 200211620 Y1 KR200211620 Y1 KR 200211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lder
raised
sacred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조
Original Assignee
최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조 filed Critical 최성조
Priority to KR2020000020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620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묘용으로 사용하는 제기의 휴대 케이스를 새로이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하부 케이스(1)에 대하여 상부케이스(2)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하부케이스(1)의 바닥면(1a)에는 제기(10)에 형성된 바닥홈(10a)에 끼워 맞춤되는 홀더(3)를 형성하여 각각의 성묘용 제기를 각 홀더에 끼워 고정할 수 있게 하고,각 홀더에 제기를 끼운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의 내부면(2a)이 각각의 성묘용 제기 상부면(10b)에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운반중 제기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홀더(3)는 차례상의 제기 배열과 같은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각각의 홀더에 성묘용 제기(10)을 결합한 상태에서 차례를 지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동중의 제기 훼손이 방지되고,상을 차려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상부케이스를 열고 즉시 차례를 지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DISHES CASE FOR USING IN ANCESTRAL GRAVES }
본 고안은 성묘용으로 사용하는 제기의 휴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상하부로 개폐되는 제기 휴대케이스의 하부 케이스에 각각의 제기를 끼워 고정하는 홀더를 형성하여 운반중 제기의 유동을 방지하고, 제기가 홀더에 결합된 상태로 상부케이스만 열어 차례를 지낼 수 있도록 구성한 성묘용 제기의 휴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성묘용 제기는 성묘시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기로서 일반 제기에 비하여 제기의 크기를 작게 하고 종류를 단순화하여 성묘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기로서 실용신안등록제157874호에 의해 제시된 바 있다.
상기의 성묘용 제기는 성묘상을 차리는데 필요한 제기 만을 엄선하여 셋트로 구성되고, 휴대 및 운반이 간편하게 축소형태로 구성됨으로서 성묘시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나 제기를 함에 쌓아 넣는 방법으로 수납하기 때문에 운반중 덜그럭 거리고, 제기 끼리 서로 부딪혀 도색이 벗겨지는등 문제점이 있었으며, 차례를 지낼때 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돗자리를 사용하여야 함으로 이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을 차릴 때는 제례법에 맞게 제기를 배열하여야 하고 상을 차린 후에는 하나씩 수납함에 넣어주어야 하는 등 여러가지 불편이 있었다.
한편, 휴대용 제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를 제기의 수납기능과 상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의 성묘용 제기셋트(실용등록제 173659호)가 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함의 상하부를 밑으로 향하도록 뒤짚어 폄으로서 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구조로서 돗자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함자체를 상 대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나 상을 차리기 위해서 접시등을 꺼내어 배열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없고, 운반도중 제기 끼리 부딪혀 발생하는 제기의 훼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제기가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운반도중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서 제기끼리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과 훼손을 방지하고, 상을 차리기 위하여 제기를 케이스로부터 꺼내어 제례법에 맞게 배열할 필요 없이 상이 차려진 형태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상부케이스의 개봉 후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성묘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성묘제기용 케이스를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보이기 위한 구성사시도
도2a 및 도2b는 홀더의 실시례도
도3은 본 고안에 적용된 성묘용 제기의 구성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례에 따른 케이스의 정면 상태도
도5a 내지 도5c는 내부에 제기를 채운 상태에서 도4에 의한 각부분의 절단면도로서 도5a는 a-a부, 도5b는 b-b부, 도5c는 c-c부 절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주요부호의 설명
1.하부케이스 1a.바닥면 2.상부케이스
2a.내부면 3.홀더 4.절첩구
5.손잡이 6.잠금용 턱 10.제기
10a.바닥면 10b.상부면 21.대접시
22.중접시 23.소접시 24.술잔
25.잔받침 26.향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성묘용 제기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1)에 대하여 상부케이스(2)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하부케이스(1)의 바닥면(1a)에는 제기(10)의 바닥면(10a)에 끼워 맞춤되는 홀더(3)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는 제례상에 성묘용 제기가 배열되는 위치에 형성하며, 각각의 성묘용 제기를 각 홀더에 끼운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의 내부면(2a)이 각각의 성묘용 제기 상부면(10b)에 접촉되게 한 구성을 갖는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스를 플라시틱으로 성형한 형태로 구성한 경우의 실시형태로서 외적인 미관을 고려하여 부드러운 곡선형태로 표현된 것이며, 목재로도 구성할 경우에는 보다 직선적인 형태로 표현된다.
상기에서,케이스는 상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하부 케이스가 접하는 하부에 절첩구(4)가 형성되어 상하부 케이스를 여닫을 수 있도록 되고, 케이스의 상부에는 휴대를 위한 손잡이(5)와 휴대시 케이스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용턱(6)이 포함되는 구조를 갖는다.
절첩구는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에 대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것으로서 케이스를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경우 상하케이스를 동시에 성형하고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플라스틱 자체의 탄력에 의해 절첩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별도의 경첩을 사용하여 절첩기능을 발휘하게 할 수 있으며, 케이스를 목재로 구성한 경우에는 금속재경첩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손잡이(5)는 케이스 자체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사출제품과 같이 상부 또는 하부케이스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보관시의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로프 또는 가죽손잡이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기타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는 홀더에 결합된 제기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상하부케이스가 같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상부케이스의 높이보다 하부케이스의 높이를 다소 높게 형성함으로서 하부케이스에 수납되는 제기가 안정감 있게 고정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를 젖히고 제기에 음식물을 차릴때 상부케이스의 높이가 낮음으로서 외관상 거슬리지 않고 안정감을 갖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하부케이스를 보다 높게 형성한 경우에 손잡이는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형성한다.
홀더(3)는 각 제기(10)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제기에 형성된 바닥면, 특히 오목한 형태로 파여지는 홈에 끼워맞춤되는 형태를 갖는다.
도2a 및 도2b는 상기한 홀더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2a는 제기에 형성된 바닥홈이 통상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는 원통홈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홀더의 형태도 사다리꼴형태의 원통형태로 하여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으로 부터 돌출되도록 한 실시례로서 케이스를 플라스틱 사출형태로 제작할 경우 케이스의 중량감소 효과와 원료의 절감을 위하여 돌출된 부위의 두께살이 케이스의 두께와 같게 되도록 케이스금형을 설계하여 사출시켜 줌으로서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고 외측으로는 원형의 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2b는 플라스틱 또는 목재로 구성한 경우에 적용가능한 홀더의 실시례로서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으로 부터 ' + ' 로 돌출되는 구조를 보인것이다.
도2b에 의한 실시례는 플라스틱으로 케이스를 구성할 경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며, 목재로 구성할 경우에는 홀더를 별도로 형성한 후 바닥판에 부착하거나 나사못등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는 제기를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는 작용과 아울러 제기를 크기와 용도별로 배치함으로서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에서 음식만 채워 즉시 제례를 지낼 수 있도록 하는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중/소로 구분되는 접시와, 술잔,술잔받침 및 향로로 이루어지는 성묘용 제기의 구성에 대응하는 홀더를 각기 하부케이스 상에 형성하고, 제례음식의 배치법에 맞게 각각의 제기가 하부케이스상에 위치하도록 홀더의 간격과 위치를 정하여 각각의 홀더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을 성묘용 제기에 적용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다.
1.성묘용 제기의 구성예
.대접시 2개........상부판직경 약15cm, 높이 4.5cm
.중접시 2개........상부판직경 약14cm, 높이 4.5cm
.중접시 3개........상부판직경 약12cm, 높이 4.5cm
.술잔 2개.........외부직경 약4.5cm, 높이 4.5cm
.술잔받침 2개.......상부판직경 약5cm, 높이 4.5cm
.향로 1개............외부직경 약5cm, 높이 4.5cm
2.케이스의 구성예
성묘용 제기에 사용되는 케이스를 플라스틱으로 구성한 경우에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례는 다음과 같다.
.전체케이스의 규격.....높이 6cm, 가로길이 53cm, 세로길이 40cm, 살 두께 0.7cm
.전체케이스의 높이중 하부케이스의 높이 4cm, 상부케이스의 높이 2cm
.홀더의 돌출높이.......접시 약 1.5cm, 그외 약 0.7cm
.홀더의 구성 및 배치.........홀더는 케이스 내측으로 돌출되고 케이스 외측으로는 홈이 형성되는 원형형태로 구성하였으며, 하부케이스의 바닥부분으로 부터 열을 이루도록 2개의 대접시용 홀더와 1개의 중접시용홀더를 배치하고, 다음 열에 1개의 중접시용 홀더와 3개의 소접시용홀더를 배치하며, 그 다음열에는 중앙에 1개의 향로용 홀더와, 그 좌우에 2개의 술잔용 홀더를 배치하고 양측으로 2개의 잔받침용 홀더를 배치한다.
상기한 성묘용 제기와 그를 위한 케이스의 실시례는 간소한 형태의 차림상을 위하여 대접시(21) 2개와, 중접시(22) 2개 및 소접시(23) 3개를 기본으로 하여 2개의 술잔(24)과 잔받침(25) 및 1개의 향로(26)로 이루어지는 성묘용제기에 대하여 적용된 것으로 제기의 종류 및 규격이나 케이스의 규격 및 형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해 제한 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격이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실시례에 의해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 도4와 같은 홈이 외견상 드러나 보이며, 도5a 내지 도5c와 같은 형태로 각각의 제기가 홀더에 고정되게 된다.
각각의 제기 바닥홈이 홀더에 접하여 고정되고, 제기의 상부면은 상부케이스의 내부면에 접하여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휴대 운반시 제기의 흔들림이나 제기끼리의 부딪힘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6은 상기한 실시례에 의해 상부케이스를 열었을 때의 평면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대접시가 위쪽 좌우에 위치하고, 중간에 중접시가 위치하며, 그 다음열에 우측으로 부터 중접시, 각각의 소접시가 위치하며, 그 다음열에는 중앙에 향로가 위치하고 그 좌우에 각기 술잔과 술잔받침이 위치하게 된다.
상을 차릴 경우에는 술잔을 홀더로 부터 분리하여 술잔 받침위에 올려 놓고 각각의 접시에 별도로 가지고간 음식을 채워줌으로서 간편하게 성묘용 상을 차릴 수 있게 된다.
차례를 지낸 후에는 제기에 놓인 음식물을 치우고 술잔을 원위치 시킨 후 상부케이스를 닫아 줌으로서 차례상의 정리가 간단히 이루어 지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상하부로 개페되는 제기 휴대케이스의 하부 케이스에 각각의 제기를 끼워 고정하는 홀더를 형성하여 운반중 제기의 유동을 방지하고, 각각의 홀더를 차례상을 지내는 제기의 배치와 맞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서 상부케이스만 열고 차례를 지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 것으로서 케이스의 외형이나 규격 및 성묘용 제기등의 구성 및 형상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각각의 도면에 표현된 실시례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로서 본 고안의 효력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성묘용으로 사용되는 제기가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홀더 및 상부케이스와의 접촉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됨으로 운반도중의 소음이 없고, 제기끼리 부딪혀 발생하는 도색의 벗겨짐이나 깨짐등이 방지되며,각각의 제기가 차례상을 차린 위치에 배치되어 수납됨으로 제기를 케이스로부터 꺼내어 상을 차려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상부케이스를 열고 즉시 차례를 지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성묘용 제기의 사용을 매우 편리하게 하는 고안이다.

Claims (3)

  1. 성묘용 제기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1)에 대하여 상부케이스(2)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하부케이스(1)의 바닥면(1a)에는 제기(10)에 형성된 바닥면(10a)에 끼워 맞춤되는 홀더(3)를 형성하여 각각의 성묘용 제기를 각 홀더에 끼워 고정할 수 있게 하고,각 홀더에 제기를 끼운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의 내부면(2a)이 각각의 성묘용 제기 상부면(10b)에 접촉되도록 구성하여 운반중 제기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홀더(3)는 차례상의 제기 배열과 같은 배열을 이루도록 하부케이스상에 형성하여 각각의 홀더에 성묘용 제기(10)가 결합되게 함으로서 차례상을 차린 형태로 제기가 수납되도록 하여 상부케이스만 열고 차례를 지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묘용 제기(10)는 2개의 대접시(21)와, 2개의 중접시(22)와, 3개의 소접시(23)와, 2개의 술잔(24)와, 2개의 술잔받침(25)와, 1개의 향로(26)를 포함하도록 하여 하부케이스의 바닥쪽으로 부터 2개의 대접시와 하나의 중접시가 배치되게 하고, 그 다음 열에 1개의 중접시와 3개의 소접시가 배치되게 하며, 그 다음열에는 중앙에 향로가 배치되고 그 좌우에 각각의 술잔 및 술잔받침이 배치도록 홀더의 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
KR2020000020217U 2000-07-14 2000-07-14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 KR200211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217U KR200211620Y1 (ko) 2000-07-14 2000-07-14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217U KR200211620Y1 (ko) 2000-07-14 2000-07-14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620Y1 true KR200211620Y1 (ko) 2001-01-15

Family

ID=73086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217U KR200211620Y1 (ko) 2000-07-14 2000-07-14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6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212A (ko) * 2001-01-17 2001-05-07 정남숙 휴대용 제기가방의 제기보관방법
KR100869821B1 (ko) * 2007-08-08 2008-11-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납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212A (ko) * 2001-01-17 2001-05-07 정남숙 휴대용 제기가방의 제기보관방법
KR100869821B1 (ko) * 2007-08-08 2008-11-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23935A (en) Tray means and magnetically cooperably
US5727857A (en) Portable knockdown food display apparatus
US7516931B2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FR2702643A3 (fr) Plateau à plusieurs cases.
US20120112019A1 (en) Modular beverage holder
CN106132249A (zh) 高脚杯支架
KR200211620Y1 (ko) 성묘제기용 휴대케이스
US20170354282A1 (en) Elevated Coaster
US5706949A (en) Party kit for serving guests (party in a box)
US6827207B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US20090014341A1 (en) Collapsible multi-beverage cup/bottle holder
US7021480B2 (en) Stackable container assembly
KR102128104B1 (ko) 흡착수단이 구비된 용기
KR200169884Y1 (ko) 찻잔 및 접시 보관대
KR200314352Y1 (ko) 휴대용 2중 용기
KR200178676Y1 (ko) 찻잔 및 접시 보관대
KR200173659Y1 (ko) 성묘용 제기셋트
CN214548735U (zh) 一种咖啡杯固定底座
USD420251S (en) Tiered lid for kitchenware item, such as coffee maker
KR101224898B1 (ko) 양파모양의 조미료통
KR102313001B1 (ko) 식기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KR102033308B1 (ko) 수용부가 구비된 경사진 덮개
US20210106152A1 (en) Vase Assembly
KR20240095500A (ko) 조각케이크를 깔끔하게 담을 수 있는 접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