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001B1 - 식기 - Google Patents

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001B1
KR102313001B1 KR1020200069305A KR20200069305A KR102313001B1 KR 102313001 B1 KR102313001 B1 KR 102313001B1 KR 1020200069305 A KR1020200069305 A KR 1020200069305A KR 20200069305 A KR20200069305 A KR 20200069305A KR 102313001 B1 KR102313001 B1 KR 10231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ware
dishes
coupling part
coupl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열
Original Assignee
김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열 filed Critical 김주열
Priority to KR102020006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25Serving trays with thumb holes, handles or the like positioned below the tray facilitating carrying the tray with on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1개의 식기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2개의 식기를 하트 모양으로 조립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식기 3개를 조립하여 한 번에 많은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식기는 음식을 구분하여 담을 수 있도록 구분된 복수의 음식수용부가 형성된 식기몸체, 상기 식기몸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구, 상기 식기몸체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식기몸체에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식기로서, 상기 식기 2개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결합부를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하여 2개의 상기 식기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식기{Dish}
본 발명은 식기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뷔페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식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뷔페 음식을 담는 용기로는 원형 접시가 사용되는데, 종래의 원형 접시의 문제점은 액체가 있는 음식을 담을 때 음식의 액체가 다른 음식에 흘러들어 가서 접시에 함께 담긴 다른 음식의 본연의 맛을 잃어버리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손으로 잡고 있던 접시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이 경우 바닥에 떨어진 접시가 깨져서 사람이 다치거나 바닥이 지저분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의 액체가 같은 식기에 담긴 다른 음식에 섞이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손으로 잡은 식기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1개의 식기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2개나 3개의 식기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벌의 금형으로 만든 동일한 형상의 식기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개 또는 3개로 조립하여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 이상의 식기를 서로 조립한 상태에서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를 조립하여 하트 모양으로 만들 수 있는 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는 음식을 구분하여 담을 수 있도록 구분된 복수의 음식수용부가 형성된 식기몸체; 상기 식기몸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구; 상기 식기몸체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식기몸체에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식기로서, 상기 식기 2개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결합부를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하여 2개의 상기 식기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하방 또는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방 또는 상방으로 갈수록 외주면의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 또는 L자형 홈이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식기몸체에서 시작하여 상기 돌출부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하방 또는 상방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진 홈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L자형 홈 또는 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와 상기 테이퍼진 홈은 절두원추형의 형상을 하는 것이고, 상기 L자형 홈은 2개의 상기 식기가 상대적으로 넓은 각도로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을 시작하는 위치에 상하로 형성된 제1홈부와 상기 제1홈부의 내측단에서 2개의 상기 식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홈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좋다.
상기 식기의 일측 테두리에는 2개의 상기 식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이웃하는 식기의 제1보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보조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식기의 타측 테두리에는 2개의 상기 식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이웃하는 식기의 제2보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보조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하로 중첩된 2개 이상의 상기 용기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식기 저부에 분리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기는 하트 모양의 절반 모양을 하고 있어서 2개의 상기 식기를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통해 서로 결합하면 하트 모양을 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뷔페를 이용하는 사람에 따라 1개의 식기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2개의 식기를 하트 모양으로 조립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식기 3개를 조립하여 한 번에 많은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벌의 금형으로 동일한 형상의 식기를 만들어 개별로 또는 2개 이상을 조립하여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사용할 수 있어서 여러 종류의 식기를 준비하는데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는 손가락 삽입구에 엄지손가락을 끼우고 나머지 네 손가락과 손바닥으로 식기를 지탱할 수 있어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웃하는 식기끼리 2중으로 결합될 수 있어 조립된 식기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음식 수용홈이 구분되어 있어서 음식물이 혼합되거나 일부 음식의 액체가 다른 음식에 흘러들어가서 음식 본연의 맛을 잃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는 저면에 분리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식기가 겹쳐져서 분리가 되지 않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는 2개를 결합 시 하트 모양을 형성할 수 있어서 생일이나 축하연 등에서 축하의 의미를 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 식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 식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1 식기 2개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식기 3개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 식기의 저면도,
도 8은 도 6 식기 2개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나타낸 식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또 다른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식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 식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1 식기 2개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식기 3개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100)는 식기몸체(100a)를 가진다. 이 식기몸체(100a)에는 음식을 구분하여 담을 수 있도록 구분된 복수의 음식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식기몸체(100a)에는 음식수용부(110) 옆의 한쪽 가장자리에 손가락 삽입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손가락 삽입구(120)는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기(100) 2개 또는 3개를 조립하여 사용할 때, 사람의 엄지손가락을 삽입하여 조립된 식기(100)들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해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100)는 제1결합부(130)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제1결합부(130)는 손가락삽입구(120) 바깥의 식기몸체(100a)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외주면의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돌출부(132)와 이 돌출부(1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3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실시 예에서, 돌출부(132)는 절두원추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100)는 제2결합부(140)를 가진다. 제2결합부(140)는 손가락삽입구(120) 바깥의 식기몸체(100a)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돌출부(132)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진 홈(142)과 이 테이퍼진 홈(142)의 내주면을 따라 L자형 홈(144)으로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진 홈(142) 역시 절두원추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제2결합부(140)를 구성하는 L자형 홈(144)은 2개의 식기(100)가 상대적으로 넓은 각도로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을 시작하는 위치에 상하로 형성된 제1홈부(144a)와 제1홈부(144a)의 내측단에서 2개의 식기(10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홈부(144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돌기(134)는 돌출부(132)의 양 측면에 1개씩 한 쌍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L자형 홈(144)도 테이퍼진 홈(142)의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32)의 외주면에 L자형 홈이 형성되고, 테이퍼진 홈(142)의 내주면에 L자형 홈에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제1결합부(130)와 제2결합부(140)는 식기(100) 2개 중 어느 하나의 제1결합부(130)를 나머지 하나의 제2결합부(140)에 결합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식기(100)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더 자세하게는, 한 식기(100)의 제2결합부(140) 위에 다른 식기(100)의 제1결합부(130)를 배치하되 두 식기(100)를 최종 조립상태보다는 넓은 각도로 벌린 상태에서 제1결합부(130)를 하강시켜 제2결합부(140)에 결합한다. 이때, 돌기(134)는 제1홈부(144a)에 결합된 상태로 아래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두 식기(100) 간의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예를 들면 상부의 식기(1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결합부(130)의 돌기(134)가 제2홈부(144b)에 결합되도록 하면, 두 식기(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되어 하트모양으로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된 식기(100)에 같은 방식으로 식기(100)를 1개 더 결합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식기(100)가 조립된 상태가 된다.
회전 중심에 대한 돌기(134)와 제1홈부(144a) 간의 각도는 초기 결합 시의 두 접시(100)의 각도를 결정하므로 접시(100)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최종 결합상태보다 15도 이상은 되어야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최종 결합상태보다 너무 큰 각도로 배치되면 조립이 불편할 수 있으므로, 최종 결합상태보다 7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기(100)들을 조립한 후에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아래쪽 식기(100)의 손가락 구멍(120)에 삽입하고 나머지 손가락과 손바닥으로 조립된 식기(100)들의 저부를 받쳐주면서 조립된 식기(100)을 잡고 들고 다니면서 원하는 음식을 구분된 음식수용부(110)에 담을 수 있다.
많은 음식을 담을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1개의 식기(100)를 들고 다니면서 원하는 음식을 담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 식기의 저면도, 도 8은 도 6 식기 2개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기(100)의 일측 테두리에는 제1보조결합부(150)가 형성되고 타측 테두리에는 제2보조결합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제1보조결합부(150)와 제2보조결합부(160)는 2개의 식기(100)가 제1, 제2결합부(130, 140)를 통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이웃하는 식기(100)의 것끼리 서로 결합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 예에서, 제1보조결합부(150)는 식기몸체(100a)의 일측 테두리 저면에 형성되고, L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단부에 걸림턱(152)을 가진다. 제2보조결합부(160)는 타측 테두리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걸림턱(152)에 걸릴 수 있는 걸림홈(162)을 가진다. 때에 따라, 걸림턱(152)과 걸림홈(162)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식기몸체(100a)의 테두리 일부가 제2보조결합부(160)가 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의 식기(100) 2개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하면, 두 식기(100)는 제1결합부(130)와 제2결합부(14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제1보조결합부(150)와 제2보조결합부(160)가 추가로 결합된 상태가 되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낸 식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식기(100)의 저면에는 식기(100)가 상하로 중첩되었을 때, 중첩된 식기(100) 간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중첩된 식기(100)가 상하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식기(100) 저부에 분리용 돌기(17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170)는 점형태로 또는 길게 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겹쳐진 식기(100)들을 분리하여 세척하기가 편하다.
나머지는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제1결합부(130)가 설치되는 돌출부(132)는 식기몸체(100a)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결합부(140)는 앞에서와 같이 돌출부(132)의 내부 쪽에 형성되는 테이퍼진 홈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 실시 예의 제1결합부(130)와 제2결합부(140)는 돌출부(132)와 테이퍼진 홈이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방향만 다를 뿐 나머지는 앞 실시 예에서와 같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식기(100)를 구성하는 식기몸체(100a)의 가장자리에는 음식수용부(110) 옆에 간장이나 소스 등을 직접 담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스수용홈(112)이나 분리형 소스통을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스통 장착부(114)를 더 형성해둘 수 있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때에 따라, 제1결합부(130)는 돌출부(132) 외주면에 형성되는 L자형 홈(136)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제2결합부(140)는 테이퍼진 홈(142)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142c)일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L자형 홈(136)은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32)의 하측부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제1홈과 제1홈의 상단에서 시계방향으로 형성된 제2홈으로 구성된다. 제2홈의 형성방향은 식기(100)가 오른손잡이용인지 또는 왼손잡이용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 홈(136)은 마주보는 반대 면에 하나씩 형성되어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돌기(142c) 역시 마주보는 반대면에 하나씩 형성되어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뷔페용 접시나 식판 또는 식기를 만드는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는 뷔페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이나 대중음식점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식기 100a: 식기몸체
110: 음식수용홈 112: 소스수용홈
114: 소스통 장착부 120: 손가락 삽입구
130: 제1결합부 132: 돌출부
134: 돌기 140: 제2결합부
142: 테이퍼진 홈 144: L자형 홈
144a: 제1홈 144b: 제2홈
150: 제1보조결합부 152: 걸림턱
160: 제2보조결합부 162: 걸림홈
170: 분리용 돌기

Claims (7)

  1. 음식을 구분하여 담을 수 있도록 구분된 복수의 음식수용부가 형성된 식기몸체;
    상기 식기몸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구;
    상기 식기몸체에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기 식기몸체에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식기로서,
    상기 식기 2개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결합부를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하여 2개의 상기 식기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하방 또는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방 또는 상방으로 갈수록 외주면의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 또는 L자형 홈이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식기몸체에서 시작하여 상기 돌출부의 내부를 따라 형성되고 하방 또는 상방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단면적이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진 홈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L자형 홈 또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테이퍼진 홈은 절두원추형의 형상을 하는 것이고,
    상기 L자형 홈은 2개의 상기 식기가 상대적으로 넓은 각도로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을 시작하는 위치에 상하로 형성된 제1홈부와 상기 제1홈부의 내측단에서 2개의 상기 식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홈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4. 제3항에서, 상기 식기의 일측 테두리에는 2개의 상기 식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이웃하는 상기 식기의 제1보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보조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식기의 타측 테두리에는 상기 타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이웃하는 식기의 제2보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보조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5. 제1항에서, 상기 식기의 일측 테두리에는 2개의 상기 식기를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통해 서로 결합할 때 이웃하는 상기 식기의 제1보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보조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식기의 타측 테두리에는 상기 타측 테두리에 결합되는 이웃하는 식기의 제2보조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보조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6. 제1항에서, 상하로 중첩된 2개 이상의 상기 식기가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식기의 저부에 분리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식기는 하트 모양의 절반 모양을 하고 있어서 2개의 상기 식기를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통해 서로 결합하면 하트 모양을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KR1020200069305A 2020-06-08 2020-06-08 식기 KR102313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305A KR102313001B1 (ko) 2020-06-08 2020-06-08 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305A KR102313001B1 (ko) 2020-06-08 2020-06-08 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001B1 true KR102313001B1 (ko) 2021-10-13

Family

ID=7811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305A KR102313001B1 (ko) 2020-06-08 2020-06-08 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0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475U (ja) * 1991-10-01 1993-04-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立食パーテイー用トレー
KR20000003331U (ko) * 1998-07-22 2000-02-15 안귀인 분리가 용이한 배식판
KR200285455Y1 (ko) * 2002-04-18 2002-08-13 장도훈 조립식 식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475U (ja) * 1991-10-01 1993-04-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立食パーテイー用トレー
KR20000003331U (ko) * 1998-07-22 2000-02-15 안귀인 분리가 용이한 배식판
KR200285455Y1 (ko) * 2002-04-18 2002-08-13 장도훈 조립식 식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5370B2 (en) Combination food and beverage serving plate
US5058737A (en) Plate and glass assembly
US6076699A (en) Drinking cup and lid
US5593062A (en) Social serving plate
US6682034B1 (en) Removable foodstuff container holder
US5114038A (en) Tray-like carrier for plates and glasses
US20140367392A1 (en) Dual purpose plate with removable beverage container
US20090095754A1 (en) Stackable cover for container
WO2008074009A2 (en) Cup holder for a plate
US20140239000A1 (en) Party Plate
KR102313001B1 (ko) 식기
GB2259239A (en) A plate with means for receiving and holding a cup
US9655460B1 (en) Dual purpose plate with removable beverage container
CA2950252A1 (en) Combined plate and collapsible beverage holder
US20060118561A1 (en) Cup and method for stacking the same
US20050045629A1 (en) Combination meal serving tray
CN213139823U (zh) 一种组合套餐包装餐盒
CN211130378U (zh) 一种多功能折叠写字椅
US9609965B2 (en) Food plate
US20190343308A1 (en) Tableware Organizer for Large Group Gatherings
KR102607335B1 (ko) 일체형 원터치 성찬식 컵
US20050045791A1 (en) Cupholding plate
US10602862B2 (en) Secure-grip disposable dish for food
US20200260894A1 (en) Charcuterie board and appetizer plates with built-in stemware glass holder
CN118161056A (zh) 一种双盖式茶水分离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