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434B1 -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434B1
KR100869434B1 KR1020070005125A KR20070005125A KR100869434B1 KR 100869434 B1 KR100869434 B1 KR 100869434B1 KR 1020070005125 A KR1020070005125 A KR 1020070005125A KR 20070005125 A KR20070005125 A KR 20070005125A KR 100869434 B1 KR100869434 B1 KR 10086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seat plate
water
nozz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9173A (ko
Inventor
공인택
Original Assignee
공인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인택 filed Critical 공인택
Priority to KR102007000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434B1/ko
Publication of KR2008003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03D9/085Hand-held spray heads for bidet use or for clean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펌핑하여 비데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시켜주는 펌프를 구비한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펌핑되는 물을 공급받는 것으로, 좌판 내측으로 구비되는 배관 및 상기 좌판의 저면에 등간격을 두고 다수개 고정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동작에 따라 물을 분사시키는 세척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데, 펌프, 좌판, 세척, 세척노즐

Description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Seat board cleansing device for bidet}
도 1은 종래의 비데 좌판 저면에 오물이 발생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 좌판에 세척노즐이 배치된 상태를 좌판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 세척노즐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좌판에 배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절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배관과 세척노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의 분사되는 형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오물
20 : 좌판
21 : 지지부재
30 : 배관
31 : 분기관
40 : 세척노즐
본 발명은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좌판의 저면에 구비되는 세척노즐을 통하여 좌판 저면을 세척하는 비데의 좌판 하부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인간 생활의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기술개발로 인한 다양한 제품들이 사회나 가정에 등장하여 상용화되고 있다. 그 중 최근 극부상되고 있는 제품중의 하나가 용변 후 사용되는 비데이다.
소변이나 대변을 본 후에는 일반적으로 휴지를 이용하여 닦아내었지만, 휴지만으로는 용변 마무리를 하는데 위생적으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개발된 제품이 바로 비데로써, 비데는 세정수(물)을 이용하여 항문이나 생식기부위를 세척하는 것으로, 용변 후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위생적으로 세척할 수 있었다. 초기의 기계식 비데(수도관의 수압으로 물을 분사)에서부터 온도, 맛사지, 무빙노즐, 건조 등 다양한 기능이 접목된 비데들이 계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다양한 비데는 노즐을 통해 항문이나 생식기를 세척하고 건조, 맛사지 기능 등 사용자에 욕구에만 치중되어 있을 뿐, 정작 비데장치 자체를 위생적으로 관리시켜주기 위한 제품은 찾아 볼 수 없었다.
도 1은 기존의 비데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도시한 것으로, 설사나 소변등으로 오물이 비데의 좌판의 저면에 튀어 좌판을 오염시키거나 비데노즐 분사시 세정수가 튀어 좌판을 오물로 좌면을 오염시켰다. 특히, 좌판의 저면에 많이 오물이 튀게 되는데, 사용자들은 방청소나 주방청소와는 달리 화장실 청소는 비교적 오랜 기간을 두고 청소를 한다.
따라서, 비데자체가 위생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세균의 번식 위험이 있으며, 시각적으로 쉽게 노출되지 않는 좌판 저면은 계속적으로 오염된 상태가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판 저면에 세척노즐을 구비하여 비데 사용시 자동적으로 좌판 저면을 세척하여 비데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펌 핑하여 비데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시켜주는 펌프를 구비한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펌핑되는 물을 공급받는 것으로, 좌판 내측으로 구비되는 배관 및 상기 좌판의 저면에 등간격을 두고 다수개 고정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동작에 따라 물을 분사시키는 세척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는,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밸브가 개방되면 수도관의 수압만으로 비데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시켜주는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와 연결되어 상수도관 물을 공급받는 것으로, 좌판 내측으로 고정 구비되는 배관 및 상기 좌판의 저면에 등간격을 두고 다수개 고정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동작에 따라 물을 분사시키는 세척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세척노즐은, 상기 비데노즐 동작 시 동시에 동작되어 물을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세척노즐은, 물의 분사 각도가 9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세척노즐은, 사용자가 상기 좌판에서 일어났을때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세척노즐은, 조작버튼 조작에 의해 별도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 좌판에 세척노즐이 배치된 상태를 좌판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 세척노즐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좌판에 배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절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배관과 세척노즐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의 분사되는 형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는, 전자식 비데의 펌프 또는 기계식 비데의 밸브와 연결되어 물(세정수)을 공급받는 것으로, 좌판(20) 내측에 설치되는 배관(30)과, 상기 좌판(20)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30)과 연결되어 좌판(20) 저면으로 세정수를 분사시켜주는 다수개의 세척노즐(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는, 펌프의 동작으로 세정수를 공급하여 비데노즐로 세정수를 분사시켜주는 전자식 비데와, 수도관과 직접 연결되어 비데노즐로 사용자의 선택적인 밸브 개폐에 의해 세정수를 분사시켜주는 기계식 비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판(20)은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착석하기 위해 변기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비데장치의 경우는 상기 좌판(20)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판(20) 저면으로는 변기에 안착되어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부재(21)가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배관(30)은 상기 좌판(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합성수지로 형성된 호스나 PVC 파이프, 금속관 파이프 등 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어떠한 부재를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상기 배관(20)은 상기 좌판(20) 내부에서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시켜 설치되며, 'T' 형상의 분기관(31)을 중심으로 상기 좌판(20) 양쪽으로 설치된다. 이때 양쪽 끝단은 폐쇄되어 있는 것이다. 또는 좌판(20)의 구조에 따라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기관(31)은 기계식 비데의 경우 수도관과 연결되는 밸브(미도시)에 브릿지(bridge)되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자식 비데의 경우 펌프(미도시)에 브릿지되어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전자식 비데의 경우 펌프와 브릿지되되, 별도의 전자석 밸브(솔레이드밸브)를 통해 물을 이송 여부와 수압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식 비데의 밸브를 통하여 물(세정수)를 공급받거나 전자식 비데의 펌프를 통해서 공급받는다.
세척노즐(40)은 상기 좌판(20)의 저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되는 것으로, 4개 내지 6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결코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설치 갯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길이형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좌판(20)의 길이를 따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세척노즐(40)은 일반적인 노즐장치에 많이 사용되는 분사식 노즐로써, 세정수를 90도 반경 이상으로 분사시켜준다. 여기서 상기 세척노즐(40)은 상기 좌판(20)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배관(30)과 연결되어 세정수(물)를 공급받는다.
상기 배관(30)과 상기 세척노즐(40)은 여러 가지 형태로 연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세척노즐(40)이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배관(30)의 일측에 공지기술인 엘보(elbow; 미도시)와 티관과 같은 상기 배관(30) 일측을 분기시킬 수 있는 분기(이음관) 부속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배관(30)이 금속관 파이프의 경우 용접으로 연결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배관(30)과 연결된 상기 세척노즐(40)은 비데의 펌프 또는 수도관의 수압자체로 공급받는 세정수(물)를 상기 좌판(20) 저면에 분사시켜 좌판(20) 저면을 세척하여 준다.
상기 세척노즐(20)의 분사 각도는 90도 이상이 바람직하며, 좌판(20)의 저면을 향하도록 소정각 상부측으로 분사방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사범위를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재(21)는 상기 좌판(20) 바깥쪽 가장자리측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세척노즐(20)의 동작방법은 비데노즐이 동작할 때 동시에 동작하거나, 전자식 비데의 경우 사용자가 좌판(20)에 착석을 감지하는 센서부에 의해 사용자 착석 후 소정시간 동작하고 용변을 완료한 후 상기 좌판(20)에서 일어설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조작버튼을 구비하여 별도로 상기 세척노즐(20)만을 동작시킬수도 있는 것이다. 전자식 비데에 대하여 간단히 언급하면 제어부를 통해 비데노즐로 세정수 분사, 사용자 착석 감지를 위한 센서부, 수압조절 등과 같은 전자적 제어가 가능한 비데로써, 그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좌판을 사용자의 인력으로 인한 번거로움 없이 비데 사용에 따라 자동적으로 실시됨에 따른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비데를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비데 사용에 따라 좌판을 자동적으로 세척시켜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비데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펌핑하여 비데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시켜주는 펌프를 구비한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데의 펌프와 연결되어 펌핑되는 물을 공급받는 것으로, 좌판 내측으로 구비되는 배관; 및
    상기 좌판의 저면에 등간격을 두고 다수개 고정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동작에 따라 상기 좌판의 저면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세척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노즐은,
    조작버튼 조작에 의해 별도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
KR1020070005125A 2007-01-17 2007-01-17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 KR10086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125A KR100869434B1 (ko) 2007-01-17 2007-01-17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125A KR100869434B1 (ko) 2007-01-17 2007-01-17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173A KR20080039173A (ko) 2008-05-07
KR100869434B1 true KR100869434B1 (ko) 2008-11-21

Family

ID=3964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125A KR100869434B1 (ko) 2007-01-17 2007-01-17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4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940Y1 (ko) * 1984-08-22 1986-10-25 신완순 세척을 겸한 보온 양변기 좌판
JPH05228072A (ja) * 1992-02-24 1993-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便座装置
KR960013301A (ko) * 1994-10-25 1996-05-22 고병문 양변기
KR20070000068U (ko) * 2006-12-06 2007-01-11 이호형 양변기용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940Y1 (ko) * 1984-08-22 1986-10-25 신완순 세척을 겸한 보온 양변기 좌판
JPH05228072A (ja) * 1992-02-24 1993-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便座装置
KR960013301A (ko) * 1994-10-25 1996-05-22 고병문 양변기
KR20070000068U (ko) * 2006-12-06 2007-01-11 이호형 양변기용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173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5376A (zh) 一种智能护理床垫
JP2018044365A (ja) 局部洗浄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便器装置
CN205171618U (zh) 一种自动冲水坐便器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20100125847A (ko) 좌변기용 비데
KR20110135246A (ko) 비데 세정기의 세척장치
KR100869434B1 (ko) 비데의 좌판 세척장치
CN201010954Y (zh) 膜封隔气
KR20210034840A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CN105256865A (zh) 一种自动冲水坐便器
KR100900257B1 (ko) 자화육각수비데 세정기의 세척장치
KR101427984B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 세척부 구조
JP3116147U (ja) 散り返し防止装置付き便座
CN212026490U (zh) 一种移动式自动洁身的坐便器
KR200469582Y1 (ko) 자가세척의 효율 향상을 위한 온수세정기
US20090260141A1 (en) Self-rinsing toilet rim cover and method for using it
KR101358562B1 (ko)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남성 인식 소변기 세척장치
CN105780900A (zh) 一种智能座便器中喷头的自清洁结构
CN110258740A (zh) 一种多功能洁具
KR101134887B1 (ko) 절수용 소변기
KR101666675B1 (ko) 다용도 세척조를 갖는 욕실
CN215829564U (zh) 一种多腔双负压冲洗烘干无臭座便器
JP6231851B2 (ja) 洗浄水給水システムおよび衛生設備
JP3164809U (ja) 便座の洗浄構造
KR200211463Y1 (ko)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