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644B1 -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644B1
KR100868644B1 KR1020070073915A KR20070073915A KR100868644B1 KR 100868644 B1 KR100868644 B1 KR 100868644B1 KR 1020070073915 A KR1020070073915 A KR 1020070073915A KR 20070073915 A KR20070073915 A KR 20070073915A KR 100868644 B1 KR100868644 B1 KR 100868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key
filter key
image sensor
over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07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27/14627Micro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5Process for coatings or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는 기판에 형성된 탑메탈 키(key); 상기 탑메탈 키 상에 형성된 제1 컬러필터 키; 및 상기 제1 컬러필터 키 위에 인박스(in box)로 형성된 제2 컬러필터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미지센서, 컬러필터, 오버레이

Description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실시예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는 광학적 영상(optical image)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써, 크게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와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ilicon) 이미지 센서(Image Sensor)(CIS)로 구분된다.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단위 화소 내에 포토 다이오드와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시킴으로써 스위칭 방식으로 각 단위 화소의 전기적 신호를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영상을 구현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미지센서의 오버레이 평면도이다.
한편, 종래기술에 의한 이미지센서에서 컬러필터어레이(Color filter array: CFA)는 그린컬러필터 패턴(20), 블루컬러필터패턴(30) 또는 레드컬러필터패턴(40)을 탑메탈(Top metal) 패턴(20) 위에 형성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컬러필터(color filter)와 메탈(metal)간의 오 버레이(overlay)는 알 수 있으나 컬러(color)간의 오버레이(overlay)를 알 수가 없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그린컬러필터(20)와 메탈(10)과의 오버레이(overlay) 값은 매우 안정적이고, 블루컬러필터(30)와 레드컬러필터(40)의 경우 메탈(10)과의 오버레이가 스펙인(spec in)이나 컬러필터간에 방향이 다르게 오버레이(overlay)가 측정된 경우, 컬러필터와 메탈과의 오버레이가 스펙인(spec in)이기 때문에 정상공정(normal flow)이 된다.
하지만, 도 2의 컬러필터 평면도와 같이, 결과적으로 보면 블루컬러필터(30)와 레드컬러필터(40)의 쉬프트(shift) 배치를 보면 컬러필터 간의 공간(space)(S)이 생긴다. 이러한 공간(S)은 빛이 그냥 통과하여 결과적으로는 포토다이오드(photodiode)에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유발시켜 필팩터(fill factor)를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최근 픽셀사이즈(pixel size)가 점점 작아지기 때문에 컬러(color)간의 오버레이(overlay)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실시예는 컬러필터 간의 오버레이(overlay)를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는 기판에 형성된 탑메탈 키(key); 상기 탑메탈 키 상에 형성된 제1 컬러필터 키; 및 상기 제1 컬러필터 키 위에 인박스(in box)로 형성된 제2 컬러필터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은 기판에 탑메탈 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탑메탈 키 상에 제1 컬러필터 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컬러필터 키 위에 제2 컬러필터 키를 인박스(in box)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그린컬러필터(green color filter) 키(key) 위에 블루컬러필터 키 또는 레드컬러필터 키가 인박스(in box)을 만들어 위치됨으로써 컬러필터 간의 오버레이(overlay)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컬러필터간의 오버레이를 정확히 할 수 있음으로써 컬러필터간의 공간이 방지하여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의 "상/아래(on/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아래는 직접(directly)와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실시 예는 씨모스이미지센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CCD 이미지센서 등 컬러필터를 채용하는 모든 이미지센서에 적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의 오버레이 평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기판(미도시)에 형성된 탑메탈 키(key)(110); 상기 탑메탈 키(110) 상에 형성된 제1 컬러필터 키(120); 및 상기 제1 컬러필터 키(120) 위에 인 박스(in box)로 형성된 제2 컬러필터 키;를 포함하는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는 그린컬러필터(green color filter) 키(120) 위에 블루컬러필터 키(130) 또는 레드컬러필터 키(140)가 인박스(in box)을 만들어 위치됨으로써 컬러필터 간의 오버레이(overlay)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와 같이 기판(미도시)에 스크라이브라인(미도시)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스크라이브라인에 탑메탈 키(11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탑메탈 키(110) 상에 제1 컬러필터 키(1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컬러필터 키(120)는 그린컬러필터 키(12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면부호 115는 스페이스(space)이다.
한편, 도 3(b)와 같이 상기 제1 컬러필터 키(120) 위에 제2 컬러필터 키를 인박스(in box)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컬러필터 키는 블루컬러필터 키(130)일 수 있다.
또는, 도 3(c)와 같이 상기 제2 컬러필터 키는 레드컬러필터 키(140)일 수 있다.
즉, 실시예는 컬러필터 간의 공간이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컬러필터 간의 오버레이(overlay)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 3(b) 또는 도 3(c)와 같이, 그린컬러필터 키(120) 위에 블루컬러필터 키(130) 또는 레드컬러필터 키(140)가 인박스(in box)를 만들어서 컬러필터 간의 오버레이(overlay)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그린컬러필터(green color filter) 키 위에 블루컬러필터 키 또는 레드컬러필터 키가 인박스(in box)을 만들어 위치됨으로써 컬러필터 간의 오버레이(overlay)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컬러필터간의 오버레이를 정확히 할 수 있음으로써 컬러필터간의 공간이 방지하여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는 그린컬러필터(green color filter) 키 위에 블루컬러필터 키 또는 레드컬러필터 키가 인박스(in box)을 만들어지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블루컬러필터 키 위에 그린컬러필터 키 또는 레드컬러필터 키가 인박스(in box)을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레드컬러필터 키 위에 그린컬러필터 키 또는 블루컬러필터 키가 인박스(in box)을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미지센서의 오버레이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컬러필터의 평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의 오버레이 평면도.

Claims (8)

  1. 기판의 스크라이브라인에 형성된 탑메탈 키(key);
    상기 탑메탈 키 상에 형성된 제1 컬러필터 키; 및
    상기 제1 컬러필터 키 위에 인박스(in box)로 형성된 제2 컬러필터 키;를 포함하며,
    상기 키(key)는 오버레이 키(overlay key)이며,
    상기 제2 컬러필터 키는 상기 제1 컬러필터 키의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필터 키는
    그린컬러필터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컬러필터 키는
    블루컬러필터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컬러필터 키는
    레드컬러필터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
  5. 기판의 스크라이브라인에 탑메탈 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탑메탈 키 상에 제1 컬러필터 키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컬러필터 키 위에 제2 컬러필터 키를 인박스(in box)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키(key)는 오버레이 키(overlay key)이며,
    상기 제2 컬러필터 키는 상기 제1 컬러필터 키의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필터 키는 그린컬러필터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컬러필터 키는 블루컬러필터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컬러필터 키는 레드컬러필터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KR1020070073915A 2007-07-24 2007-07-24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868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915A KR100868644B1 (ko) 2007-07-24 2007-07-24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915A KR100868644B1 (ko) 2007-07-24 2007-07-24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644B1 true KR100868644B1 (ko) 2008-11-12

Family

ID=4028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915A KR100868644B1 (ko) 2007-07-24 2007-07-24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566B1 (ko) 2011-06-20 2013-07-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981B1 (ko) * 1995-09-18 1999-06-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마스크 정렬 측정방법
KR20030094454A (ko) * 2002-06-04 2003-12-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얼라인 키
KR20060039653A (ko) * 2004-11-03 2006-05-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71015A (ko) * 2005-12-29 2007-07-04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 센서의 칼라필터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981B1 (ko) * 1995-09-18 1999-06-15 김영환 반도체소자의 마스크 정렬 측정방법
KR20030094454A (ko) * 2002-06-04 2003-12-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얼라인 키
KR20060039653A (ko) * 2004-11-03 2006-05-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70071015A (ko) * 2005-12-29 2007-07-04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 센서의 칼라필터 형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566B1 (ko) 2011-06-20 2013-07-0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43139B (zh) 固态成像器件和成像装置
CN100539169C (zh) 背照式影像感测元件、其形成方法及封装
JP6108172B2 (ja) 固体撮像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CN101414616B (zh) 固态图像采集装置、相机模块和电子信息装置
KR102431210B1 (ko) 위상차 검출 픽셀을 구비한 이미지 센서
CN103545329B (zh) 固态成像装置、制造固态成像装置的方法以及电子设备
CN104183611A (zh) 固态成像装置和电子设备
CN102315234A (zh) 固体摄像器件及其制造方法、固体摄像装置和摄像装置
CN106796943A (zh) 固态摄像元件和电子设备
CN208970511U (zh) 像素阵列及用于图像传感器的滤色器层
JP2006210701A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425023A (zh) 固态成像装置、固态成像装置的制造方法和电子设备
CN103066084A (zh) 一种cmos图像传感器及其制造方法
KR100868644B1 (ko)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01350893A (zh) 影像传感器及相机模组
JP2009049117A (ja) 固体撮像素子のカラーフィルタ形成方法及び固体撮像素子、並びに固体撮像素子用パターンマスクセット
KR100766248B1 (ko) 이미지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01582B1 (ko) Cmos 이미지센서용 적층형 포토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7242721A (ja) 固体撮像素子
KR20090051790A (ko) 적층 구조의 포토다이오드를 구비한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
KR20060136101A (ko) Cmos 이미지센서용 적층형 포토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37604A (ko) 수직형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67651B1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20100028245A (ko)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의 크로스토크 측정방법
KR100736423B1 (ko)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