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525B1 -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 Google Patents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525B1
KR100868525B1 KR1020070081314A KR20070081314A KR100868525B1 KR 100868525 B1 KR100868525 B1 KR 100868525B1 KR 1020070081314 A KR1020070081314 A KR 1020070081314A KR 20070081314 A KR20070081314 A KR 20070081314A KR 100868525 B1 KR100868525 B1 KR 100868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xhaust gas
gas turbine
turbine exhaust
prot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신
최성만
Original Assignee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부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to KR1020070081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26Control of fuel supply
    • F02C9/28Regulating systems responsive to plant or ambient parameters, e.g. temperature, pressure, roto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1/00Shutting-down of machines or engines, e.g. in emergency;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D21/003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1/00Shutting-down of machines or engines, e.g. in emergency;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D21/12Shutting-down of machines or engines, e.g. in emergency;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sponsive to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83Testing, e.g. methods, components or 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터빈(1)의 배기가스 배출구(3)에 설치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부보호부(30)와; 상기 외부보호부(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내부보호부(50)와; 상기 내부보호부(50)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의 열을 측정하는 열감지부(70)를 구비하는 통상의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와 외부보호부(30)를 체결하는 제1체결부재(20) 및 상기 외부보호부(30)와 내부보호부(50)를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보호부와 내부보호부가 상호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므로, 열전대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가스터빈의 내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를 측정하므로, 가스터빈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휘거나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발전소, 가스터빈, 배기가스, 열전소자

Description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MULTI THERMOCOUPLE FOR GAS TURBINE EXHAUST GAS}
도 1은 종래 열전대가 설치된 상태의 가스터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배출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도.
도 4는 도 3의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스터빈 3 : 배출구
10 : 고정부 30 : 외부보호부
50 : 내부보호부 70 : 열감지부
본 발명은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터빈 발전소에는 천연가스를 연소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이때, 가스터빈에서 연소 후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가 높으면 가스공급량을 줄이고, 온도가 낮으면 가스공급량을 늘리게 된다.
따라서, 가스터빈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매우 중요하다.
도 1은 종래 열전대가 설치된 상태의 가스터빈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먼저, 가스터빈은 크게 압축기, 터빈(2단연소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고압터빈 및 저압터빈)으로 구성된다. 이때, 압축기에서 공급된 공기와 천연가스에 의해 연소된 배기가스는 고압터빈 그리고 저압터빈을 거쳐서 배출된다. 여기서, A는 종래의 열전대이며, 이 열전대(A)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곳에 적절하게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도 2는 도 1의 배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배기가스는 배출구(3)를 통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구(3)는 내부케이스(5)와 외부케이스(7)로 이루어지며, 내부케이스(5)와 외부케이스(7)의 사이로 배기가스가 이동된다.
그리고, 종래의 열전대(2)가 내부케이스(5)와 외부케이스(7)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종래의 열전대(2)는 내부케이스(5)와 외부케이스(7)의 2곳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러나, 설치된 종래의 열전대(2)는 내부케이스(5) 및 외부케이스(7)의 2곳에 양단이 견고하게 지지되지만, 가스터빈이 가동되면 배출되는 배기가스온도(640℃)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케이스(5)와 외부케이스(7)사이의 열팽창차이에 의해 열전대(2)가 휘거나 가스터빈에서 발생된 진동은 열전대(2)에 전달되어 열전대(2)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전대(2)가 장기간 사용되어 수리 및 보수가 요구될 때는 열전대(2)를 부분적으로 교체하거나 보수하지 못하고, 열전대(2)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용면에서 막대한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터빈의 배기가스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터빈에서 발생되는 열팽창 및 진동에 휘거나 파손되지 않는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전소자가 배기가스 흐르는 방향과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터빈(1)의 배기가스 배출구(3)에 설치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부보호부(30)와; 상기 외부보호부(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내부보호부(50)와; 상기 내부보호부(50)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의 열을 측정하는 열감지부(70)를 구비하는 통상의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와 외부보호부(30)를 체결하는 제1체결부재(20) 및 상기 외부보호부(30)와 내부보호부(50)를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스터빈의 배기가스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면서 외부보호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내부보호부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스터빈(1)의 배기가스 배출구(3)에 설치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부보호부(30)와; 상기 외부보호부(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내부보호부(50)와; 상기 내부보호부(50)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의 열을 측정하는 열감지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가스터빈(1)은 발전소에서 사용되며, 가스터빈(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출구(3)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배출구(3)는 내부케이스(5) 및 외부케이스(7)로 구성되며, 내부케이스(5) 및 외부케이스(7)의 사이로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상기 고정부(10)와 외부보호부(30)를 체결하는 제1체결부재(20) 및 상기 외부보호부(30)와 내부보호부(50)를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체결부재(20) 및 제2체결부재(40)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상의 체결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부(10)는 외부케이스(7)에 나사결합 된다. 이어서, 고정부(10)에 외부보호부(30)가 제1체결부재(20)에 의해 고정되게 체결된다. 그리고, 외부보호부(30)에 내부보호부(50)가 제2체결부재(40)에 의해 고정되게 체결된다.
이때, 외부보호부(30) 및 내부보호부(50)는 내부케이스(5)에 접촉되지 않는 길이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부(10)는 원통형상의 몸체(12)와; 상기 배출구(3)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12)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산(11)과; 상기 외부보호부(30)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12)의 내부를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15)과; 상기 몸체(12)의 타단에서 상기 관통홀(15)의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홀(1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부(10)는 외부케이스(7)에 나사결합 되어 설치된다. 이때, 나사산(11)의 후방에는 외부케이스(7)의 외측면에서 나사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부러 짐이 가능한 브라켓(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홀(14)에는 제1체결부재(20)가 나사 결합된다. 이때, 결합홀(14)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20)에 의해 고정부(10)와 외부보호부(30)는 서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외부보호부(30)는 상기 고정부(10)에 삽입되는 외부보호관(31)과; 상기 외부보호관(3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0)에 지지되는 외부플레이트(33)와; 상기 내부보호부(50)가 삽입되도록 상기 외부보호관(31)의 내부를 관통되게 형성되는 외부관통홀(37)과; 상기 열감지부(70)가 위치되도록 상기 외부보호관(31)의 외측에서 상기 외부관통홀(37)과 관통되게 형성되는 외부감지홀(35)과; 상기 내부보호부(5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외부플레이트(33)에서 상기 외부관통홀(37)의 외측에 형성되는 조절홀(32)과; 상기 내부보호부(5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외부결합홀(3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부결합홀(34)은 제2체결부재(40)에 의해 외부보호부(30)와 내부보호부(50)는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조절홀(32)은 상기 결합홀(14)보다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절홀(32)은 결합홀(14)보다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 제1체결부재(20)를 조여서 결합하기 전에 외부플레이트(33)를 이동시켜서 외부보호부(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한 후에 제1체결부재(20)를 조여서 고정부(10)와 외부보호부(30)를 정확하게 위치시켜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조절홀(32)은 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절홀(32)은 외부관통홀(37)의 외측에 배치되며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이때, 조절홀(32)은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제1체결부재(20)가 체결되기 전에 외부플레이트(33)를 이동시켜서 외부보호부(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홀(32)은 장방형이면서 결합홀(14)보다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홀(32)은 장방형이면서 곡선으로 구부러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곡선으로 구부러진 장방형의 조절홀(32)은 외부관통홀(37)의 외측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외부플레이트(33)는 회전되어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곡선의 중심이 외부관통홀(37)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조절홀(32)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부플레이트(33)를 회전시켜서 외부감지홀(35)이 배기가스가 흐르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내부보호부(50)는 상기 외부보호부(30)에 삽입되는 내부보호관(51)과; 상기 내부보호관(5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보호부(30)에 지지되는 내부플레이트(53)와; 상기 내부보호관(51)의 내부를 관통되게 형성되는 내부관통홀(57)과; 상기 열감지부(70)가 위치되도록 상기 내부보호관(51)의 외측에서 상기 내부관통홀(57)과 관통되게 형성되는 내부감지홀(55)과; 상기 외부보호부(5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내부결합홀(5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부보호관(31) 및 내부보호관(51)은 원통형, 사각형 등 선택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체결부재(40)에 의해 내부플레이트(53)와 외부플레이트(33)는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때, 내부플레이트(53)와 외부플레이트(33)는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설계되어, 외부감지홀(35)과 내부감지홀(55)은 상호 일치되게 위치된다.
상기 열감지부(70)는 상기 내부보호부(50)에 설치되는 열전소자(71)와; 상기 열전소자(71)에 연결되는 케이블(73)과; 상기 케이블(73)과 연결되며 상기 열전소자(71)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외부에 전송하도록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잭(7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케이블(73)은 열에 강한 철선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부기기는 측정된 온도를 관리 및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보호부(50)의 일단부에는 열감지부(70)에 미치는 열을 식히기 위한 방열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열부(90)는 한개 또는 다수개의 방열판(9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수개의 방열판(91)은 외부의 공기와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내부플레이트(53)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보호부(50)의 온도감지에 따른 부품을 보호 및 커버하기 위한 헤드부(93)가 방열부(9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잭(75)은 헤드부(93)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보호부 및 외부보호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열전대에 대한 유지 부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고장 발생시 열전대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어 열전대 교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설계변경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범주로 간주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보호부와 내부보호부가 상호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므로, 가스터빈의 배기가스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터빈의 내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를 측정하므로, 가스터빈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휘거나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소자가 배기가스 흐르는 방향과 일치되도록 외부보호부를 회전시켜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배기가스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삭제
  2. 가스터빈(1)의 배기가스 배출구(3)에 설치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부보호부(30)와; 상기 외부보호부(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내부보호부(50)와; 상기 내부보호부(50)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의 열을 측정하는 열감지부(70)를 구비하는 통상의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와 외부보호부(30)를 체결하는 제1체결부재(20) 및 상기 외부보호부(30)와 내부보호부(50)를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는
    원통형상의 몸체(12)와;
    상기 배출구(3)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몸체(12)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산(11)과;
    상기 외부보호부(30)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12)의 내부를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15)과;
    상기 몸체(12)의 타단에서 상기 관통홀(15)의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홀(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보호부(30)는
    상기 고정부(10)에 삽입되는 외부보호관(31)과;
    상기 외부보호관(3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0)에 지지되는 외부플레이트(33)와;
    상기 내부보호부(50)가 삽입되도록 상기 외부보호관(31)의 내부를 관통되게 형성되는 외부관통홀(37)과;
    상기 열감지부(70)가 위치되도록 상기 외부보호관(31)의 외측에서 상기 외부관통홀(37)과 관통되게 형성되는 외부감지홀(35)과;
    상기 내부보호부(5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외부플레이트(33)에서 상기 외부관통홀(37)의 외측에 형성되는 조절홀(32)과;
    상기 내부보호부(5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외부결합홀(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홀(32)은 상기 결합홀(14)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홀(32)은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홀(32)은 장방형이면서 곡선으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보호부(50)는
    상기 외부보호부(30)에 삽입되는 내부보호관(51)과;
    상기 내부보호관(5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보호부(30)에 지지되는 내부플레이트(53)와;
    상기 내부보호관(51)의 내부를 관통되게 형성되는 내부관통홀(57)과;
    상기 열감지부(70)가 위치되도록 상기 내부보호관(51)의 외측에서 상기 내부관통홀(57)과 관통되게 형성되는 내부감지홀(55)과;
    상기 외부보호부(5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내부결합홀(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부(70)는
    상기 내부보호부(50)에 설치되는 열전소자(71)와;
    상기 열전소자(71)에 연결되는 케이블(73)과;
    상기 케이블(73)과 연결되며 상기 열전소자(71)에서 측정된 온도값을 외부에 전송하도록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잭(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보호부(50)의 일단부에는 열감지부(70)에 미치는 열을 식히기 위한 방열부(9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KR1020070081314A 2007-08-13 2007-08-13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KR100868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314A KR100868525B1 (ko) 2007-08-13 2007-08-13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314A KR100868525B1 (ko) 2007-08-13 2007-08-13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525B1 true KR100868525B1 (ko) 2008-11-12

Family

ID=4028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314A KR100868525B1 (ko) 2007-08-13 2007-08-13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5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705B1 (ko) 2010-01-26 2011-01-04 이상열 온도감지장치
KR20170002492U (ko) * 2015-12-31 2017-07-10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가스터빈용 배기가스 열전대 조립체
RU2655734C1 (ru) * 2017-06-01 2018-05-29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ДК-Уфимское моторостроитель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АО "ОДК-УМПО") Многозонный термо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KR102141894B1 (ko) * 2020-04-28 2020-08-06 (주)센테크이엔지 방열 기능이 증대된 가스터빈용 온도센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820A (ko) * 1993-10-27 1995-05-16 루이스 에이. 드폴 연소터빈용 블레이드 경로 열전쌍 및 배기가스 추출 탐침
KR19980076836A (ko) * 1997-04-15 1998-11-16 이우복 유체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열전대 장치
KR19990081157A (ko) * 1998-04-27 1999-11-15 김덕중 가스화기의 내부온도측정장치
JP2001194244A (ja) 1999-12-28 2001-07-19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ガスタービンの排出ガス温度計測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820A (ko) * 1993-10-27 1995-05-16 루이스 에이. 드폴 연소터빈용 블레이드 경로 열전쌍 및 배기가스 추출 탐침
KR19980076836A (ko) * 1997-04-15 1998-11-16 이우복 유체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열전대 장치
KR19990081157A (ko) * 1998-04-27 1999-11-15 김덕중 가스화기의 내부온도측정장치
JP2001194244A (ja) 1999-12-28 2001-07-19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ガスタービンの排出ガス温度計測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705B1 (ko) 2010-01-26 2011-01-04 이상열 온도감지장치
KR20170002492U (ko) * 2015-12-31 2017-07-10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가스터빈용 배기가스 열전대 조립체
KR200484484Y1 (ko) * 2015-12-31 2017-09-11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가스터빈용 배기가스 열전대 조립체
RU2655734C1 (ru) * 2017-06-01 2018-05-29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ДК-Уфимское моторостроитель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АО "ОДК-УМПО") Многозонный термо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KR102141894B1 (ko) * 2020-04-28 2020-08-06 (주)센테크이엔지 방열 기능이 증대된 가스터빈용 온도센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525B1 (ko) 가스터빈 배기가스 다중열전대
KR102004548B1 (ko) 연소 기관용 압력 측정 플러그
US7551436B2 (en) Electronic apparatus
US8033719B2 (en) Gas turbine with protective sheath for a probe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instrument lead which is laid in a protective sheath
US6843061B2 (en) Gas turbine with flexible combustion sensor connection
JP2007309916A (ja) 燃焼圧センサ
SE527694C2 (sv) Insatstub samt ett system av insatstuber
JP2010529361A (ja) タイロッドによる螺合部を有するターボチャージャケーシングを備えたターボチャージャ
JP2004286753A (ja) 内燃機関で使用するための断熱材を備えた圧力センサ
CN105026895A (zh) 传感器壳体
US9423317B2 (en) Combustion chamber measurement system
KR102254636B1 (ko) 히팅 클램프
CN106969871B (zh) 压力传感器
KR200484484Y1 (ko) 가스터빈용 배기가스 열전대 조립체
KR101195326B1 (ko) 가스터빈 배기가스의 온도 센서 장치
JP2003287464A (ja) 熱電対ウェル
KR101571587B1 (ko) 가스 점화기용 충격 흡수 조립체
KR101769321B1 (ko) 우수한 수명을 갖는 축열식 버너 노즐
US10030536B2 (en) Icing prevention of a gas turbine engine pressure sensing assembly
JP2011127877A (ja) 燃料用バーナの燃料漏れ監視方法及び監視装置
CN219102970U (zh) 一种支撑板及其燃气锅炉
CN109959461A (zh) 一种冲洗油阀用弹性贴壁式散热分离型数显热电偶
KR102085806B1 (ko) 가스터빈 연소기 동압측정용 프로브 구조
US20220333774A1 (en) Oil and Gas Process Equipment Burner Emission Prevention Device
JP5938323B2 (ja) ガス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