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870B1 -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870B1
KR100867870B1 KR1020070007260A KR20070007260A KR100867870B1 KR 100867870 B1 KR100867870 B1 KR 100867870B1 KR 1020070007260 A KR1020070007260 A KR 1020070007260A KR 20070007260 A KR20070007260 A KR 20070007260A KR 100867870 B1 KR100867870 B1 KR 100867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access point
slipper
loc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488A (ko
Inventor
정영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87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21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26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은, 소정의 위치 인식 모듈이 내장된 슬리퍼, 소정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인신 모듈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및 상기 엑세스 포인트와 소정의 통신 수단으로 연결된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위치 인식, 슬리퍼, 위치 기반 서비스

Description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The Location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for Slipper Fitted with Location Recognition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집안의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
120: 위치 인식 모듈
130: 엑세스 포인트
140: 관리 서버
본 발명은, 슬리퍼에 위치 인식 모듈을 장착하고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위치 인식 모듈로 수신한 후, 상기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 정보를 엑세스 포인트로 재전송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사람들의 주거 공간이 대형 아파트 및 전원 주택 등과 같이 그 크기가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넓은 공간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자동화 설비 및 기반 시설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 간의 특화된 홈 네트워크가 구현됨에 따라 가족 구성원 간의 독립된 생활 공간이 보장되며, 기업체의 경우에도 독립된 사무 공간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사람들의 생활 공간이 넓어짐에 따라, 각 구성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즉, 가정의 경우에 가족 구성원의 위치 파악 및 기업체의 경우 사원의 위치 파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슬리퍼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리퍼를 착용한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음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리퍼를 착용한 사용자가 일정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즉시 알릴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리퍼를 착용하고 교실 내부에 입장할 경우 자동 출석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은, 소정의 위치 인식 모듈이 내장된 슬리퍼, 소정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인신 모듈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및 상기 엑세스 포인트와 소정의 통신 수단으로 연결된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은,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장착된 실내에서 운영되는 위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수신 대기하는 단계,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소정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100)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모듈(2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130)를 장착한 실내에서 위치 인식 모듈(120)이 장착된 슬리퍼(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위치 인식 모듈(120)과 엑세스 포인트(130)간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소정의 슬리퍼(110)에 위치 인식 모듈(120)을 내장한다.
다음으로, 슬리퍼(1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생활하는 집, 회사, 학교 등의 공간에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 (130)를 설치한다.
엑세스 포인트(130)는 관리 서버(140)의 제어에 의해 일정한 범위를 가지는 소정의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실내에 설치된 엑세스 포인트(130)가 다수일 경우, 각 엑세스 포인트(130)는 일정한 범위를 가지고 있으므로 각 구역의 범위 무선 신호가 겹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가족, 회사 또는 학교 등의 구성원은 발의 편안함을 위하여 슬리퍼(110)를 착용하며, 이러한 슬리퍼(110)에 위치 인식 모듈(120)을 내장하여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130)들과 상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슬리퍼(110) 착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엑세스 포인트(130)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는 관리 서버(140)에서 저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인식 모듈(120)은 엑세스 포인트(130)로부터 송신된 위치 인식용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0), 상기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슬리퍼(11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220),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위치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30),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송신부(240)로 구성된다.
수신부(210)는 엑세스 포인트(130)에서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는 위치 정보 추출부(220)에 의하여 슬리퍼(110) 착용자의 해당 위치에 따른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위치 정보는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송신부(240)에 의하여 다시 엑세스 포인트(130)으로 전송된다.
관리 서버(140)는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130)로 전송된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며, 관리 서버(140)에 별도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제어 수단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집안의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3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집안을 제1 구역(321), 제2 구역 (322), 제3 구역(323) 및 제4 구역(324)으로 나누고 각 구역마다 제1 엑세스 포인트(331), 제2 엑세스 포인트(332), 제3 엑세스 포인트(333), 제4 엑세스 포인트(334)를 설치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엑세스 포인 트(331)(332)(333)(334)는 소정의 구역 범위 내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하고 있으며, 각 엑세스 포인트(331)(332)(333)(334)는 하나의 관리 서버(34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실내에 위치 인식 모듈(120)이 장착된 슬리퍼(310)를 착용한 구성원이 제3 구역(323)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슬리퍼(310)의 위치 인식 모듈은 제3 구역(323)에 설치된 엑세스 포인트(333)의 무선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리퍼(310)의 위치 인식 모듈(110)은, 상기 감지된 무선 신호를 수신부(210)에 의해 수신하며, 위치 정보 추출부(220)에 의해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하여 송신부(240)를 거쳐 다시 제3 엑세스 포인트(333)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관리 서버(340)는, 상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위치 정보를 별도로 구성된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다른 구성원이 현재 슬리퍼(310)을 착용한 구성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슬리퍼(110)의 위치 인식 모듈(120)은, 위치 정보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50) 및 저장부(250)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 거리 정보를 제어부(230)로 전송하는 이동 거리 추출부(26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저장부(250)에 저장된 위치 정보는 이동 거리 추출부(260)에 의해 이동 거리에 따른 거리 산출로 이동 거리 정보로 추출되며, 추출된 이동 거리 정보는 다시 제어부(230)로 전송된다.
즉, 제어부(230)는 이동 거리 추출부(260)로부터 전송된 이동 거리 정보를 송신부(240)로 출력하고, 송신부(240)는 제어부(230)로부터 출력된 이동 거리 정보를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엑세스 포인트(130)로 전송한다.
이때, 엑세스 포인트(130)로 전송된 이동 거리 정보는 다시 관리 서버(140)로 전송되고, 관리 서버(140)로 전송된 이동 거리 정보도 관리 서버(140)에 별도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디스플레이하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인식 모듈(120)은 엑세스 포인트(130)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가 수신부(210)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 이탈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이탈 경고 신호 출력부(270)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엑세스 포인트(130)는 각각 일정한 범위를 한정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있으며, 이탈 경고 신호 출력부(270)는 상기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지역(엑세스 포인트(130)의 무선 신호 출력 범위를 벗어난 지역)을 감지하며, 이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하여 소정의 이탈 경고 신호 출력 수단에 의하여 이탈 경고 신호가 발생된다.
이때, 이탈 경고 신호는 발광 신호, 진동 신호, 경고음 신호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발생되며, 슬리퍼(1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즉시 엑세스 포인트(130) 가용 지역에서 이탈한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ZigBee, UWB(Ultra Wideband)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인식 방법은 상기 위치 인식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운영되며,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 중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110)의 관점에서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슬리퍼(110)에 장착된 위치 인식 모듈(200)의 수신부(210)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130)에서 소정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수신 대기한다(410).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ZigBee, UWB(Ultra Wideband)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엑세스 포인트(130)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20). 본 단계(420)는, 슬리퍼(1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상기 무선 신호가 송신 되지 않는 지역(엑세스 포인트(130)의 무선 신호가 미치지 않는 범위)에 위치할 경우, 제어부(230)에 의하여 이탈 경고 신호 출력부(270)에서 이를 감지하는 과정이다.
만약, 슬리퍼(110)를 착용한 사용자가 무선 신호가 송신 되지 않는 지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이탈 경고 신호 출력부(270)를 통하여 이탈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탈 경고 신호는 발광 신호, 진동 신호, 경고음 신호 등의 형태로 발생되며, 슬리퍼(1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즉시 엑세스 포인트(130) 가용 지역에서 이탈한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 신호 송신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정상적으로 무선 신호가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되었을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엑세스 포인트(130)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430). 본 단계(430)는, 수신부(210)에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추출부(220)에서 슬리퍼(110)를 착용한 구성원의 해당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130)는 각각 소정의 무선 신호 송신 범위가 정해져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위치 정보는 슬리퍼(110)를 착용한 구성원이 위치한 지역의 엑세스 포인트(13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하지만, 상기 위치 정보는,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130)의 무선 신호가 서로 겹치는 경우, 상기 엑세스 포인트(130) 중 최단 거리 엑세스 포인트(130)의 무선 신호가 수신된 지역의 위치이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440). 본 단계(440)는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를 추출한다(450). 본 단계(45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연산 수단으로 슬리퍼(110)를 착용한 구성원이 이동한 거리인 이동 거리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와 이동 거리 정보를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 하여 엑세스 포인트(130)로 전송한다(460). 본 단계(460)는, 위치 정보 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위치 정보와 이동 거리 정보 추출부(260)에 의해 추출된 이동 거리 정보를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송신부(240)를 거쳐 엑세스 포인트(130)으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130)로 각각 수신되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거리 정보는 관리 서버(140)로 전송되며, 전송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거리 정보는 관리 서버(140)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저장 수단에 저장하여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퍼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퍼를 착용한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퍼를 착용한 사용자가 일정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즉시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리퍼를 착용하고 교실 내부에 입장할 경우 자동 출석 검사를 할 수 있다.

Claims (14)

  1. 위치 인식 모듈이 내장된 슬리퍼;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인신 모듈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및
    상기 엑세스 포인트와 통신 수단으로 연결된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모듈은,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신된 위치 인식용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슬리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치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모듈은,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 거리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이동 거리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가 수신부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 이탈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이탈 경고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경고 신호는 발광 신호, 진동 신호, 경고음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ZigBee, UWB(Ultra Wideband)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 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7. 슬리퍼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억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위치 인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억세스 포인트는 상기 슬리퍼의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8.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장착된 실내에서 운영되는 위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수신 대기하는 단계;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부터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 중 최단 거리 엑세스 포인트의 무선 신호가 수신된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동 거리 정보를 상기 엑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이탈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경고 신호는 발광 신호, 진동 신호, 경고음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ZigBee, UWB(Ultra Wideband)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70007260A 2007-01-23 2007-01-23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6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260A KR100867870B1 (ko) 2007-01-23 2007-01-23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260A KR100867870B1 (ko) 2007-01-23 2007-01-23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488A KR20080069488A (ko) 2008-07-28
KR100867870B1 true KR100867870B1 (ko) 2008-11-07

Family

ID=3982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260A KR100867870B1 (ko) 2007-01-23 2007-01-23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988B1 (ko) * 2010-02-01 201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20954B1 (ko) * 2010-02-12 2013-10-23 (주)헤임달 건물 내 투입요원의 안전을 위한 유도등 내장 지그비 에이피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추적 방법
KR101448727B1 (ko) * 2013-04-01 2014-10-13 주식회사 제론헬스케어 카메라 및 rfid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 파악 시스템
KR101448728B1 (ko) * 2014-05-27 2014-10-13 주식회사 제론헬스케어 카메라 및 rfid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 파악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9083A (ja) 2001-04-18 2002-10-31 Yasunao Fukushima Rfidによる痴呆症患者徘徊防止システム
JP2004305469A (ja) 2003-04-08 2004-11-04 Advanced Inst Of Wearable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s 生体情報収集装置、生体状態判断装置、及び生体状態監視装置
JP2005278791A (ja) 2004-03-29 2005-10-13 Aiphone Co Ltd 病院内人物位置検出システム
US20060129308A1 (en) 2004-12-10 2006-06-15 Lawrence Kates Management and navigation system for the bli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9083A (ja) 2001-04-18 2002-10-31 Yasunao Fukushima Rfidによる痴呆症患者徘徊防止システム
JP2004305469A (ja) 2003-04-08 2004-11-04 Advanced Inst Of Wearable Environmental Information Networks 生体情報収集装置、生体状態判断装置、及び生体状態監視装置
JP2005278791A (ja) 2004-03-29 2005-10-13 Aiphone Co Ltd 病院内人物位置検出システム
US20060129308A1 (en) 2004-12-10 2006-06-15 Lawrence Kates Management and navigation system for the bli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488A (ko) 200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387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wireless hand hygiene monitoring
Ivanov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JP2009515427A (ja) 無線周波数ロケータシステム
US20150117160A1 (en)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153714B2 (en) Beacon verification device
US97333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object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ers
WO2019128082A1 (zh) 一种酒店楼层的灯光控制系统及方法
KR100867870B1 (ko) 위치 인식 모듈이 장착된 슬리퍼를 이용한 위치 인식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25315B2 (en) Mobile device and infrastructure systems
JP6624406B2 (ja) 位置検索システム、位置検索方法、発信装置、位置検出装置および設備機器
WO2013169612A1 (en) Low frequency magnetic inductio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JP5396442B2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809444B1 (ko) 위치추적 기반의 전시관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30539B1 (ko) 위치기준 능동적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9169634A (ja) 施設利用者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40088290A (ko) 주차위치 확인 클라우드 시스템
KR101471330B1 (ko) 위치 정보 기반 객체 관리 방법 및 서버
KR20170087270A (ko) 숙박 관리 서버, 숙박 관리 방법, 숙박 관리를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KR20160072361A (ko) IoT 및 영상처리 기반 위치추적을 통한 영유아 행동발달 분석과 안전 지킴 방법 및 장치
JP2016161997A (ja)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20967B1 (ko)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86781B1 (ko) 비콘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7457A (ko) Gps와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보행안내 시스템
KR20200052575A (ko) 화장실 번호키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439338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주차정보 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