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672B1 -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672B1
KR100867672B1 KR1020080032314A KR20080032314A KR100867672B1 KR 100867672 B1 KR100867672 B1 KR 100867672B1 KR 1020080032314 A KR1020080032314 A KR 1020080032314A KR 20080032314 A KR20080032314 A KR 20080032314A KR 100867672 B1 KR100867672 B1 KR 100867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speed
setting value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원
주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3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9/00Safety means for rail/road crossing traffic
    • B61L29/04Gates for level crossing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는, 차량 출입 통제용 차단봉을 개폐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서브 컨트롤부;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 및 상기 구동장치의 상태를 표출하는 표출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제공받아 상기 서브 컨트롤부 및 상기 표출부에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전송하는 메인 컨트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컨트롤부는,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의 개폐속도가 변경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장치의 위치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부는, 상기 서브 컨트롤부로부터 구동 확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상기 구동장치가 동작할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이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에러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속도, 조절, 차단기, 제어, 방법

Description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CROSSING GATE HAVING CONTROLLING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VELOCITY,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CROSSING GATE}
본 발명은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의 여건에 맞게 개폐속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효율적인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한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주상복합건물, 공동주택, 아파트, 백화점, 공공 시설물, 전용 주차장 등에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 관리하고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차 관리 시스템이 설치 운용되고 있다.
주차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입구 측에는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1)에 주차권을 발급하거나 정액 회원으로 등록된 운전자가 휴대한 스마트카드를 판독하는 주차권 발급 및 카드 판독기(3)가 설치된다.
또, 출구 측 노면에는 진출하는 차량(1)의 접근이 검출되면 자기장의 변화를 발생시켜, 주차장에서 진출하는 차량(1)의 존재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루프 코일(Loop Coil)로 이루어진 차량 감지기(9)가 매설되고, 아울러서 출구 측에는 정액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카드를 판독하여 주차 요금을 정산하는 카드 판독기(14)도 설치된다.
출구 측 후미에는 진출하는 차량(1)이 감지되는 경우 차단 봉(7)을 하강시켜 차량(1)의 진출을 통제하고, 요금 정산 후에 관리자가 차단 봉(7)을 상승시켜 차량(1)이 진출할 수 있게 하는 제2차단기(10)가 설치되며, 또한 주차장 관리자가 상주하고 발급된 주차권으로부터 주차장에서 진출하는 차량(1)에 대한 주차 요금을 정산하는 요금 정산소(16)도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차단기(5)와 제2차단기(10)에는 차단 봉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AC 모터가 구비되어 있고, 이 AC 모터는 제어수단의 신호에 따라 정역 회전될 뿐이고 동작에 따른 관성이 커서 브레이크 기능이 제 구실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주차 관리 시스템은 무인 또는 요금 정산소에 관리자가 상주하는 방식으로 운용됨이 통상이고, 관리자 상주 방식에 있어서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평상시 제1차단기(5)내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은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차단 봉(7)을 하강시켜 주차장으로의 차량 진입을 통제하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1)이 주차장의 입구 측에 접근한 다음 정액 회원으로 등록되지 않은 운전자인 경우 주차권 발급 및 카드 판독기(3)로부터 입차 일자 와 입차 시간 등의 정보가 바코드 등으로 기록되는 주차권을 발급받고, 정액 회원으로 등록된 운전자인 경우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카드를 주차권 발급 및 카드 판독기(3)에 근접하게 되면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카드의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차권이 발급되거나 스마트카드의 정보가 판독되면, 그에 대한 정보가 제1차단기(5)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에 전송되고, 이에 따라 차단기(5)의 제어수단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하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차단 봉(7)을 상승시켜 주차장으로 차량(1)의 진입을 허용하게 되며, 이후로부터의 경과시간을 카운터 하여 주차 요금을 부과한다.
이후, 차량(1)이 주차장에서 나가기 위하여 출구 측으로 접근하게 되면 요금 정산소(9) 주변의 노면에 매설되어 있는 차량 감지기(9)에서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하여 진출하고자 하는 차량이 접근하고 있음을 제2차단기(10)에 구비된 제어수단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2차단기(10)에 구비된 제어수단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차단 봉(12)을 하강시켜 일단 차량(1)의 진출을 통제한다.
이와 같이 제2차단기(10)의 차단 봉(12)이 하강하여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자신이 휴대한 스마트카드를 카드 판독기(14)에 근접시키게 되면 입차 이후의 경과시간에 따른 주차 요금을 정산하게 된다.
스마트카드의 판독으로 요금의 정산 완료가 확인되면 그에 대한 정보가 제2차단기(10)에 구비되는 제어수단에 전송되고, 그 결과로 제2차단기(10)의 제어수단 은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차단 봉(12)을 상승시켜 차량(1)의 진출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차량 운전자가 요금 정산소(16)에 근무하는 관리자에게 주차권을 제시하면, 관리자가 요금 정산소(16)에 설치된 주차권 판독기로 주차 요금을 산출하고 정산한 다음, 차단 봉(12)을 상승시켜 차량(1)의 진출을 허용하는 방식으로도 운용되고 있다.
상기한 스마트카드의 판독 외에도 주차장 진 출입 시에 특정의 리모컨을 이용하거나 차량 번호판을 자동 인식하여 등록된 차량인가를 판정하는 방법 등이 활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2차단기(10)는 차단 봉(12)을 상승 위치로 보전해 놓고 있다가, 노면에 설치된 차량 감지기(9)로부터 진출하고자 하는 차량(1)의 접근이 감지될 때에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차단 봉(12)이 하강하게 함으로써 차량(1)의 진출을 통제한 상태에서 차 요금의 정산이 선행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차단기(5,10)들은 차단봉(7,12)들의 개폐속도를 지정된 속도로만 셋팅되어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가 없었으며, 이로 인해 차단기(5,10)의 설치된 장소의 현장 여건 즉, 백화점 세일, 고속도로의 교통사고, 및 출퇴근시간 등과 같이 차량의 소통이 원활해야할 경우에도, 현장 관리자가 현장 여건에 맞게 차단봉(7,12)의 개폐속도를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차량 진입과 통제를 비효율적으로 운용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현장의 여건에 맞게 개폐속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종래와 달리 효율적인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한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제1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차단기가 조절한 속도대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차단기의 제어방법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되는 차단기로서, 차량 출입 통제용 차단봉을 개폐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서브 컨트롤부;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 및 상기 구동장치의 상태를 표출하는 표출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제공받아 상기 서브 컨트롤부 및 상기 표출부에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전송하는 메인 컨트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컨트롤부는,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의 개폐속도가 변경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장치의 위치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부는, 상기 서브 컨트롤부로부터 구동 확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상기 구동장치가 동작할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이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에러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부는, 키패드 타입 또는 터치 패널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출부는, 엘씨디 또는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일단이 연결된 제 1커넥터와, 상기 제 1커넥터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암과, 상기 연결암에 일단이 연결된 제 2커넥터와, 상기 제 2커넥터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차단봉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샤프트 축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커넥터에 근접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 1커넥터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회동 제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동 제한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양단에 각각 고정된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커넥터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타단이 고정된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차량 출입 통제용 차단봉을 개폐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서브 컨트롤부;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표출하는 표출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제공받아 상기 서브 컨트롤부 및 상기 표출부에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전송하는 메인 컨트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컨트롤부는,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의 개폐속도가 변경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장치의 위치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부는, 상기 서브 컨트롤부로부터 구동 확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상기 구동장치가 동작할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이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에러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입력부를 통해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세팅하고, 메인 컨트롤부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서브 컨트롤부에 전송함과 더불어 표출부에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브 컨트롤부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에 따라 구동장치의 개폐속도를 변경하는 제2 단계; 상기 서브 컨트롤부가 상기 구동장치의 개폐속도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의 위치상태를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메인 컨트롤부가 상기 서브 컨트롤부로부터 구동 확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장치의 상태를 상기 표출부에 표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표출부를 통해 상기 구동장치의 현 상태를 확인하는 제1-1 단계와, 상기 입력부 조작에 의해 상기 표출부 상의 메뉴 모드로 진입한 후,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세팅하기 위해 상기 입력부의 조작으로 상기 표출부 상의 셋업 모드를 선택하는 제1-2 단계와, 상기 셋업 모드로 진입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구동장치의 개폐 속도를 세팅하되, 상기 구동장치의 개방속도 및 폐쇄속도를 각각 세팅하도록 하는 제1-3 단계와, 상기 메인 컨트롤부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상기 서브 컨트롤부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1-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메인컨트롤부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상기 구동장치가 동작할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유지하고,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에러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 출입 통제용 차단봉을 개폐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서브 컨트롤부와,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표출하는 표출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제공받아 상기 서브 컨트롤부 및 상기 표출부에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전송하는 메인 컨트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컨트롤부는,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의 개폐속도가 변경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장치의 위치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부는, 상기 서브 컨트롤부로부터 구동 확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상기 구동장치가 동작할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이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에러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므로, 현장의 여건 즉, 백화점 세일, 고속도로의 교통사고, 및 출퇴근시간 등과 같이 차량의 소통이 원활해야할 경우에도, 현장 관리자가 현장 여건에 맞게 구동장치 및 차단봉의 개폐속도를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가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차량 진입과 통제를 아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에서 본체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에서 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는, 구동장치(40), 서브 컨트롤부(400), 입력부(200), 표출부(300), 및 메인 컨트롤부(100)를 포함한다.
먼저, 구동장치(40)는 차량 출입 통제용 차단봉(30)을 개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동장치(4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봉(30)의 일단과 연결되고 본체(20)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구성은 베이스(43), 구동모터(42: 도 6), 감속기(41), 제1 커넥터(44), 제2 커넥터(45), 및 샤프트 축(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43)는 본체(20)의 상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구동모터(42)는 상기 베이스(43)에 안착되고 구동모터(42)의 일측에는 속도 조절을 위한 감속기(41)가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모터(42)는 예를 들면, 브러시리스 모터(Brush Less DC Motor)이다.
이 구동모터(42)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22)는 비상 전원부(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비상 전원부(24)는 전원 공급부(22)에서 제공되는 전류를 충전시키는 통상의 충전식 베터리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22)는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비상 전원부(22)를 작동시켜 구동모터(42)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전원 공급부(22)에는 전기공급 여부를 감지하는 전원차 단 감지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커넥터(44)는 상기 감속기(41)의 회전축(도면부호 미부여)에 연결된다. 여기서, 감속기(41)는 유성감속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커넥터(45)는 제1 커넥터(44)와 결합된 연결암(44a)과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샤프트 축(46)의 일단은 상기 제2커넥터(45)의 중간부에 연결된다. 이때 샤프트 축(46)은 베이스(4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동장치(4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43)에는 회동 제한부(4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회동 제한부(48)는 베이스(43)에 고정된 플레이트(49) 및 상기 플레이트(49) 양단에 각각 고정된 완충부재(49a,49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44)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완충부재(49a,49b)를 제1 커넥터(44)의 회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커넥터(45)의 타단에는 스프링(47)의 일단이 연결되며, 이 스프링(47)의 타단은 본체(20)의 내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스프링(47)은 차단봉(30)의 개방 동작시 제2 커넥터(45)의 회동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차단봉(30)의 개방 동작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차단봉(30)은 차단봉 연결부(32)를 매개로 샤프트 축(46)에 연결된다.
한편, 서브 컨트롤부(400)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서브 컨트롤부(400)는,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에 따라 구동장치(40)의 개폐속도가 변경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구동장치(40)의 위치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서브 컨트롤부(400)은 구체적으로, 구동장치(40)의 상기한 구성에서 구동모터(42) 및 감속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서브 컨트롤부(400)의 상세한 제어방식은 하기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언급할 것이다.
상기 입력부(200)는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입력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입력부(200)는 키패드 타입으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 터치 패널 타입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입력부(200)가 키패드 타입으로 이루어질 경우, 0 내지 9까지의 숫자키, 상하좌우 이동을 위한 방향키, 및 모드 선택을 위한 엔터(Enter)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출부(300)는 입력부(200)에서 입력된 개폐속도의 세팅 값 및 상기 구동장치(40)의 상태를 표출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표출부(300)는 엘씨디(LCD)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서 세그먼트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메인 컨트롤부(100)는 입력부(200)로부터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제공받아 서브 컨트롤부(400) 및 표출부(300)에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전송한다.
이 메인 컨트롤부(100)는, 서브 컨트롤부(400)로부터 구동 확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구동장치(40)가 동작할 경우에 표출부(300)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이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반면, 메인 컨트롤부(100)는 구동장치(40)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에러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표출부(300)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삭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한 에러상황은 예를 들면, 차단봉(30)이 차량에 부딧히거나 다른 물체에 의한 충격에 의해 꺾어지는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이 차단봉(30)의 꺾어짐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단봉(30)과 구동장치(40) 사이에는 별도의 충격감지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충격감지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메인 컨트롤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컨트롤부(100)의 상세한 제어방식은 하기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언급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 단기의 제어방법은, 제1 단계(S1), 제2 단계(S2), 제3 단계(S3), 및 제4 단계(S4)를 포함한다.
먼저, 제1 단계(S1)는 입력부(200)를 통해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세팅하고, 메인 컨트롤부(100)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서브 컨트롤부(400)에 전송함과 더불어 표출부(300)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 제1 단계(S1)는 제1-1 단계(S11), 제1-2 단계(S12), 제1-3 단계(S13), 및 제1-4 단계(S14)를 포함한다.
제1-1 단계(S11)는 표출부(300)를 통해 구동장치(40)의 현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고, 제1-2 단계(S12)는 입력부(200) 조작에 의해 표출부(300) 상의 메뉴 모드로 진입한 후,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세팅하기 위해 입력부(200)의 조작으로 표출부(300) 상의 셋업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며, 제1-3 단계(S13)는 셋업 모드로 진입한 후, 입력부(200)를 통해 구동장치(40)의 개폐 속도를 세팅하되, 구동장치(40)의 개방속도 및 폐쇄속도를 각각 세팅하도록 하는 것이며, 제1-4 단계(S14)는 메인 컨트롤부(100)가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서브 컨트롤부(400)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2 단계(S2)는 서브 컨트롤부(400)가 개폐속도의 세팅 값에 따라 구동장치(40)의 개폐속도를 변경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3 단계(S3)는 서브 컨트롤부(400)가 구동장치(40)의 개폐속도가 변경된 상태에서 구동장치(40)의 위치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제4 단계(S4)는 메인 컨트롤부(100)가 서브 컨트롤부(400)로부터 구동 확인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장치(40)의 상태를 표출부(300)에 표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4 단계(S4)는, 상기 메인 컨트롤부(100)가,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구동장치(40)가 동작할 경우에 표출부(300)에 표출된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유지하고, 구동장치(40)가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에러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표출부(300)에 표출된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도면상의 'A' 및 'B'는 제어방법이 연속된다는 것을 표시한 것임).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표출부(이하, '엘씨디(LCD)'라 함)를 통해 구동장치의 현 상태를 확인한다(S101). 즉, 구동장치에 의해 차단봉이 개방된 상태인지 폐쇄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이후, 입력부(이하, '키패드(Key Pad)'라 함)의 엔터키(Enter Key) 조작(S102)에 의해 엘씨디 상의 메뉴 모드로 진입하였는지 확인한다(S103).
만일, 메뉴 모드로 진입하지 않았으면 다시 엔터키를 조작한다(S102).
상기 메뉴 모드에서 키패드의 상하 방향키를 조작(S104)하여 엘씨디 상의 셋업 모드를 선택한다(S105).
상기 셋업 모드로 진입하였는지를 확인(S106)한 후, 상기 키패드의 좌우 방향키 또는 숫자키의 조작(S107)을 통해 구동장치의 개방속도 및 폐쇄속도를 각각 세팅한다(S108).
만일, 셋업 모드로 진입하지 않았다면 다시 메뉴 모드로 진입하였는지를 확인한다(S103).
상기 구동장치의 개방속도 및 폐쇄속도의 세팅이 완료(S109)되면, 메인 컨트롤부가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서브 컨트롤부에 전송하였는지 확인한다(S110).
만일, 서브 컨트롤부로 개폐속도의 세팅 값이 전송되지 않았다면, 엘씨디를 통해 구동장치의 현 상태를 다시 확인한다(S101).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이 서브 컨드롤부에 정상적으로 전송이 되었다면, 이 개폐속도의 세팅 값에 따라 구동장치의 개폐속도를 변경한다(S111).
이후, 변경된 개폐속도에 따라 차단봉이 동작한다(S112).
상기 서브 컨트롤부는 구동장치의 개폐속도가 변경된 상태에서 구동장치의 위치상태를 확인한다(S113).
상기 서브 컨트롤부는 구동 확인신호를 메인 컨트롤부에 전달하였는지를 확인한다(S114).
만일, 메인 컨트롤부에 구동 확인신호가 전달되지 않았다면, 상기 서브 컨트롤부는 구동장치의 위치상태를 다시 확인한다(S113).
상기 구동 확인신호를 전달받은 메인 컨트롤부는 구동장치의 상태를 엘씨디에 표출하였는지 확인한다(S115). 이후, 엘씨디에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지속적으로 표출한다(S116). 이후 종료한다.
만일, 엘씨디에 구동장치의 상태가 표출되지 않았다면, 에러상황으로 간 주(S121)하고 엘씨디에 표출된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삭제한다(S122).
이후, 다시 엘씨디를 통해 구동장치의 현 상태를 확인한다(S101).
도 1은 일반적인 주차 관제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차량 차단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에서 본체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에서 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구동장치 100: 메인 컨트롤부
200: 입력부 300: 표출부
400: 서브 컨트롤부

Claims (10)

  1.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되는 차단기로서,
    차량 출입 통제용 차단봉을 개폐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서브 컨트롤부;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 및 상기 구동장치의 상태를 표출하는 표출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제공받아 상기 서브 컨트롤부 및 상기 표출부에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전송하는 메인 컨트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일단이 연결된 제 1커넥터와, 상기 제 1커넥터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암과, 상기 연결암에 일단이 연결된 제 2커넥터와, 상기 제 2커넥터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차단봉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샤프트 축과, 상기 제 1커넥터에 근접하게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 1커넥터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양단에 각각 고정된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회동 제한부와, 상기 제 2커넥터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타단이 고정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 컨트롤부는,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의 개폐속도가 변경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장치의 위치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부는, 상기 서브 컨트롤부로부터 구동 확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상기 구동장치가 동작할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이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에러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키패드 타입 또는 터치 패널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부는,
    엘씨디 또는 세그먼트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따른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입력부를 통해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세팅하고 메인 컨트롤부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서브 컨트롤부에 전송함과 더불어 표출부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표출부를 통해 구동장치의 현 상태를 확인하는 제1-1 단계와, 상기 입력부 조작에 의해 상기 표출부 상의 메뉴 모드로 진입한 후,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세팅하기 위해 상기 입력부의 조작으로 상기 표출부 상의 셋업 모드를 선택하는 제1-2 단계와, 상기 셋업 모드로 진입한 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구동장치의 개폐 속도를 세팅하되, 상기 구동장치의 개방속도 및 폐쇄속도를 각각 세팅하도록 하는 제1-3 단계와, 상기 메인 컨트롤부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상기 서브 컨트롤부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1-4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브 컨트롤부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에 따라 구동장치의 개폐속도를 변경하는 제2 단계;
    상기 서브 컨트롤부가 상기 구동장치의 개폐속도가 변경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의 위치상태를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메인 컨트롤부가 상기 서브 컨트롤부로부터 구동 확인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장치의 상태를 상기 표출부에 표출하되, 상기 메인컨트롤부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상기 구동장치가 동작할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유지하고,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에러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표출부에 표출된 상기 개폐속도의 세팅 값을 삭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의 제어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080032314A 2008-04-07 2008-04-07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67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14A KR100867672B1 (ko) 2008-04-07 2008-04-07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14A KR100867672B1 (ko) 2008-04-07 2008-04-07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672B1 true KR100867672B1 (ko) 2008-11-10

Family

ID=4028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314A KR100867672B1 (ko) 2008-04-07 2008-04-07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384A (zh) * 2017-11-23 2018-02-16 东莞市铭诚机电有限公司 一种外转子无刷电机道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965A (ko) * 1997-04-08 1997-07-22 윤주열 가변속개폐기능과 파손방지가능한 자동주차장용 차단기
KR200191380Y1 (ko) * 2000-01-22 2000-08-16 박성률 속도 조절형 차단기
JP2000306193A (ja) * 1999-04-26 2000-11-02 Koito Ind Ltd 遮断機
KR20070041280A (ko) * 2005-10-14 2007-04-18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공중전화망과 ip전화망의 발신자표시를 이용하여 구동하는주차장의 출입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965A (ko) * 1997-04-08 1997-07-22 윤주열 가변속개폐기능과 파손방지가능한 자동주차장용 차단기
JP2000306193A (ja) * 1999-04-26 2000-11-02 Koito Ind Ltd 遮断機
KR200191380Y1 (ko) * 2000-01-22 2000-08-16 박성률 속도 조절형 차단기
KR20070041280A (ko) * 2005-10-14 2007-04-18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공중전화망과 ip전화망의 발신자표시를 이용하여 구동하는주차장의 출입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384A (zh) * 2017-11-23 2018-02-16 东莞市铭诚机电有限公司 一种外转子无刷电机道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0084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n access control system
KR100902657B1 (ko) 전자주차미터시스템
AU2022201600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 monitoring system
KR100728048B1 (ko) 무선주파수 카드 및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시스템
KR100731182B1 (ko) 차량 차단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03774950A (zh) Gps导航定位的智能车窗控制方法及其装置
GB2325552A (en) Trainabl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rf signal including a personal identification code
JP5214352B2 (ja) リーダライタユニット、リーダライタユニットの通信制御方法、リーダライタユニットの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駐車料金精算機
KR100867672B1 (ko) 개폐속도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단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0011297A (ja) 駐車場ゲート管理システム
JP2006244376A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その保守方法
KR100867674B1 (ko) 0.4초 이내로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차량 차단기
KR100864965B1 (ko) 정전시 자동복구가 가능한 차량 차단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424316Y1 (ko) 차량 차단기 제어장치
KR200349988Y1 (ko)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JPH09296419A (ja) ゲート開閉装置
KR101875334B1 (ko) 주차관리 ars 서버,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및 주차 관리 시스템
KR20050082273A (ko)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CN110580745A (zh) 一种基于智能车位锁的停车场管理系统
KR20020008252A (ko)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573528B1 (ko) 차량인식 자동응답형 출구 무인정산시스템
CN113012305A (zh) 一种基于arm的停车场存取车系统
KR20010108650A (ko) 비접촉식 카드를 이용한 통행요금 지불시스템
CN107221038B (zh) 一种多个自动横移载车板装置的智能管理系统
KR20190110711A (ko) 하이패스 시스템을 이용한 카 커머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