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444B1 -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 - Google Patents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444B1
KR100867444B1 KR1020070091155A KR20070091155A KR100867444B1 KR 100867444 B1 KR100867444 B1 KR 100867444B1 KR 1020070091155 A KR1020070091155 A KR 1020070091155A KR 20070091155 A KR20070091155 A KR 20070091155A KR 100867444 B1 KR100867444 B1 KR 100867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bracket
guide
buff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해용
Original Assignee
송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해용 filed Critical 송해용
Priority to KR102007009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4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93Attachment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열롤러(130)의 가압에 의하여 필기구(P) 외주면에 전사지(F)를 인쇄하는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롤러(130)와 대향되는 베이스(101)에 완충롤러(147)를 회전되도록 구비한 지지몸체(141)를 형성시킨 완충지지부(140)와; 상기 완충지지부(140)의 완충롤러(147) 상부 양측으로 필기구를 가이드하는 고정, 회동가이드부재(151,153)를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한 가이드부(150)와; 상기 가이드부(150)의 고정가이드부재(151) 후방으로 전사지(F)가 인쇄된 필기구(P)를 전방으로 배출시키도록 에어라인(162)을 복수 형성한 배출부(1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는 완충롤러의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고정가이드부재 및 회동가이드부재로 구성된 가이드부의 가이드에 의하여 호퍼에서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필기구를 완충롤러 상부로 정확히 이송할 수 있어 이송의 정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전사장치, 가열롤러, 완충롤러, 고정 및 회동 가이드부재, 에어라인

Description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A transcribing device for polygonal writing implemen}
본 발명은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필기하는 데에 쓰는 여러 종류의 물건으로 붓, 볼펜. 샤프. 연필 등이 있으며, 연필의 경우 흑연 성분으로 이루어진 연필 심(心)이 필기압력에 의하여 필기면에 묻어 글씨가 써진다.
이러한, 필기구 중 연필은 기원은 약 2천 년 전인 그리스 ·로마에서 원판 모양으로 된 납[鉛]덩어리로 노루 가죽에 기호를 표시한 것이 시초라고 전하는데, 14세기경 이탈리아에서는 납과 주석을 혼합한 심을 나무판에 끼워 사용하였다.
그리고, 1564년 영국에서 흑연이 발견되고, 1565년 봉상(棒狀)으로 절단한 흑연에 실을 감거나 나무에 끼워서 사용하였다.
더불어, 1795년 프랑스 콩테에 의하여 실용화된 현대적인 연필제조방법이 발명되었다.
한편, 한국에 전래된 시기는 19세기 후반 개화 초기일 것으로 추정되며, 국산연필은 1946년 대전에서 처음 생산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필기구는 썼다가 지울 수 있다는 제품의 특성 때문에 글씨를 배우기 시작하고 글씨체가 형성되기 전의 초등학생에게 필수적인 지정필기구로 사용된다.
필기구의 제조 공정은 곱게 빻은 흑연과 점토(粘土) 등을 적당한 비율로 배합 ·성형(成形)하여 높은 온도에서 구워 심을 만들고, 홈이 팬 축판(軸板) 두 장 사이에 심을 넣고 붙여 씌운 후 육각 또는 원주형으로 깎아 외부를 페인트로 칠하고 상표, 캐릭터, 무늬 등을 인쇄한다.
이러한 인쇄 방식 이외에도 도 1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가 제공된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받침대에 고정설치 한 베이스(101)의 상부에 대향되도록 이격된 한쌍의 지지롤러(147a)를 각각 유동 설치하여 지지롤러(147a) 상부측 사이로 호퍼(110)에 적재된 필기구(P)가 이송구(120)의 공급으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필기구(P)의 상부로 각종 문양 및 색채가 형성된 전사지(F)를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상부에 형성한 가열롤러(130)가 하강하면서 전사지(F)를 필기구(P)의 표면에 밀착시키면서 가열 압착하여 필기구(P)의 외주면에 전사지를 인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롤러를 지지대에 고정설치되고, 가열롤러 역시 승강 동작만 가능할 뿐 하강에 의한 전사지의 가압 상태에서는 완충작용이 이루어질 수 없어 원형의 필기구는 지지롤러 사이에서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지지만 다각형의 필기구 인 경우 필기구의 중심에서 면 부분, 중심에서 모서리부분의 간격 차이로 인하여 부분별로 필기구의 굵기 차이가 발생하여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전사지 인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한 쌍의 지지롤러가 이격되어 형성되면서 그 두께가 얇은 필기구는 지지롤러 사이로 빠지게 되어 인쇄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불어, 필기구가 한 쌍의 지지롤러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 가열롤러의 가압력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전사지 인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각형의 필기구 표면에 전사지 인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호퍼에서 공급되는 연필이 가이드부재의 가이드에 의해 완충롤러 상부로 안내되어 가압롤러의 가압에 의하여 전사지가 인쇄되도록 하는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기구에 전사지 인쇄시 완충롤러가 완충부재에 의하여 상부로 지지되도록 하여 필기구의 외주면이 전사지 필름에 밀착되면서 가압롤러에 지속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원활히 회전되면서 필기구의 부분별 두께의 차이를 해소하여 전사지 인쇄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는; 베이스의 상부 일측으로 필기구를 적재시킨 호퍼를 형성하여 호퍼에 적재된 필기구가 이송구의 밀대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한 개씩 가열롤러 하부로 공급되는 전사 필름 하부로 공급되어 가열롤러의 가압에 의하여 필기구 외주면에 전사지를 인쇄하는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롤러와 대향되는 베이스 상면에 지지몸체를 형성하되, 지지몸체의 상면 양측으로 지지브래킷을 직립되게 형성하면서, 지지브래킷에 가열롤러와 대응되는 완충롤러를 구비한 회전축을 회전되도록 형성한 완충지지부와; 상기 완충지지부의 지지브래킷 내측으로 각각 회전축에 완충롤러 상부측 후방으로 고정가이드부재를 구비시킨 고정가이드브래킷을 형성하고, 고정가이드브래킷의 내측으로 고정가이드부재와 대향되는 전방으로 회동가이드부재를 구비시킨 회동가이드브래킷을 회동 되도록 형성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고정가이드부재 후방으로 베이스에 형성한 에어수집몸체에서 연장된 에어라인을 복수 형성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는; 상기 완충지지부의 지지몸체를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형성하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사이 일측으로 완충부재를 형성하고,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타측을 상호 힌지축으로 결합하여 완충부재의 완충력에 의하여 상부몸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되면서 완충롤러 상부로 이송된 필기구를 가열롤러에 지속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의 회동가이드브래킷의 하단부에 각각 하향으로 돌출된 연장부를 형성하고, 지지브래킷의 후방 양측에 연장부에 대향되도록 내측 중앙으로 돌출시킨 고정브래킷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브래킷은 제1 고정브래킷 및 제2 고정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제1 고정브래킷에 가압하우징을 형성하면서, 가압하우징에 일측 연장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로드를 형성하여 가압로드 가압시 회동가이드브래킷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되어 회동가이드부재가 고정가이드부재와 대향되도록 완충롤러 상부에 위치하면서 이송되는 필기구를 가이드 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 고정브래킷에 타측 연장부에 결합된 당김부재를 형성하여 당김부재 당김시 회동가이드브래킷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 되도록 하여 완충롤러 상부에 위치한 회동가이드부재가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전사지가 인쇄된 필기구가 배출부의 압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는; 상기 지지몸체 전방으로 베이스 상부에 배출부의 압력에 의하여 배출되는 필기구를 외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한 배출컨베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는; 상기 고정가이드브래킷 중 타측 고정가이드브래킷의 하단부를 하향으로 연장시킨 돌출부를 형성하고, 타측 지지브래킷 전방으로 돌출부와 대향되는 대향브래킷을 형성하되 대향브래킷에 돌출부에 결합된 당김로드를 구비한 당김하우징을 형성하여 필기구 가이드 후 당김로드의 신장으로 고정가이드브래킷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고정가이드부재가 전사지를 인쇄한 필기구를 가압하여 전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는 완충롤러의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고정가이드부재 및 회동가이드부재로 구성된 가이드부의 가이드에 의하여 호퍼에서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필기구를 완충롤러 상부로 정확히 이송할 수 있어 이송의 정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는 필기구의 이송의 정확성에 의하여 가열롤러의 가열에 의하여 전사지가 필기구의 외주연에 정확히 밀착 인쇄되어 인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는 가이드부에 의하여 필기구의 면 부분이 완충롤러 상부로 정확히 이송되면서 다각 필기구의 외주면에 상표, 문구 문양 및 색채가 형성된 전사지를 열 전사시켜 정확히 인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는 완충부재의 완충력에 의하여 지지몸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완충되면서 완충롤러의 상부로 이송된 필기구를 가열롤러 측으로 지속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부분별로 두께가 달라지는 필기구를 일정하게 밀착시킬 수 있어 필기구의 회전력이 향상되면서 전사지의 인쇄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는 가열롤러가 가압되는 완충롤러가 단수개로 형성되므로 완충롤러 상부로 이송된 필기구가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되어 전사지의 인쇄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는 고정가이드부재 후방으로 베이스에 형성한 에어몸체에서 연장된 복수의 에어라인에서 에어가 배출되면서 그 압력에 의하여 전사지의 인쇄가 완료된 필기구를 전방으로 배출하게되어 필기구의 배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호퍼, 이송구 및 완충지지부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호퍼에 적재되어 있는 필기구가 이송구에 의하여 완충지지부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완충지지부 상부로 이송되어 필기구에 전사지가 전사된 후 배출부에 의하여 전방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회동가이드부재가 회동가이드브래킷에 의하여 전방으로 회동 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회동가이드부재가 회동가이드브래킷에 의하여 완충롤러 상부로 회동되어 필기구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완충롤러가 다각형의 필기구 외주연 두께에 따라 상부로 완충되는 상태는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9 도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100)는 베이스(101)의 상부로 가열롤러(130)의 가압에 의하여 필기구(P) 외주면에 전사지(F)를 인쇄하는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롤러(130)와 대향되는 베이스(101)에 완충롤러(147)를 회전되도록 구비한 지지몸체(141)를 형성시킨 완충지지부(140)와; 상기 완충지지부(140)의 완충롤러(147) 상부 양측으로 필기구를 가이드하는 고정, 회동가이드부재(153)를 대향되도록 형성한 가이드부(150)와; 상기 가이드부(150)의 고정가이드부재(151) 후방으로 전사지(F)가 인쇄된 필기구(P)를 전방으로 배출시키도록 에어라인(162)을 복수 형성한 배출부(160)로 구성한다.
여기서, 전사장치(100)는 일반적으로 베이스(101)의 상부 일측으로 필기구(P)를 적재시킨 호퍼(110)를 형성하여 호퍼(110)에 적재된 필기구(P)가 이송구(120)의 밀대(121)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한 개씩 가열롤러(130) 하부로 공급되는 전사 필름 하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사장치(100)의 완충지지부(140)는 가열롤러(130)와 대향되는 베이 스(101) 상면에 지지몸체(141)를 형성하되, 지지몸체(141)의 상면 양측으로 지지브래킷(144)을 직립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지지브래킷(144)에 가열롤러(130)와 대응되는 완충롤러(147)를 구비한 회전축(145)을 형성하면서 회전축(145)에 감속기를 구비한 구동수단(146)을 형성하여 회전축(145)이 회전되면서 완충롤러(147)가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지지몸체(141)를 상부몸체(141a)와 하부몸체(141b)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하되 상부몸체(141a)와 하부몸체(141b)의 사이공간 일측에 완충부재(142)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부몸체(141a)와 하부몸체(141b) 타측을 상호 힌지축(143)으로 결합하여 완충부재(142)의 완충력에 의하여 상부몸체(141a)가 힌지축(143)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되면서 완충롤러(147) 상부로 이송된 다각 필기구(P)가 회전시 모서리선과 면 부분이 가열롤러(130)에 지속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사장치(100)의 가이드부(150)는 완충지지부(140)의 지지브래킷(144) 내측으로 회전축(145)에 완충롤러(147) 상부측 후방으로 고정가이드부재(151)를 구비시킨 고정가이드브래킷(152)을 구성한다.
또한, 고정가이드브래킷(152)의 내측으로 고정가이드부재(151)와 대향되는 전방으로 회동가이드부재(153)를 구비시킨 회동가이드브래킷(154)을 회동 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가이드부재(153)가 상부로 회동시 필기구(P)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58)을 구성한다.
그리고 회동가이드브래킷(154)의 하단부에 각각 하향으로 돌출시킨 연장부(154a)를 구성하며, 더욱이 지지브래킷(144)의 후방 하부에 각각 연장부(154a)에 대향되도록 내측 중앙으로 돌출시킨 고정브래킷(155)을 구성하되, 고정브래킷(155)은 제1 고정브래킷(155a) 및 제2 고정브래킷(155b)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브래킷(155a)에 가압하우징(156a)을 형성하면서, 가압하우징(156a)에 일측 연장부(154a)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로드(156b)를 형성하여 가압로드(156b) 신장으로 일측 연장부(154a) 가압시 회동가이드브래킷(154)이 회전축(145)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되어 회동가이드부재(153)가 고정가이드부재(151)와 대향되도록 완충롤러(147) 상부에 위치하면서 밀대(121)에 의해 이송되는 필기구(P)를 가이드 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제2 고정브래킷(155b)에 타측 연장부(154a)와 결합된 당김부재(157)를 형성하여 당김부재(157) 탄성력에 의해 타측 연장부(154a) 당김 시 회동가이드브래킷(154)이 회전축(145)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 되도록 하여 완충롤러(147) 상부에 위치한 회동가이드부재(153)가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전사지(F)가 인쇄된 필기구(P)가 배출부(160)의 압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사장치(100)의 배출부(160)는 가이드부(150)의 고정가이드부재(151) 후방으로 베이스(101)에 형성한 에어수집몸체(161)에서 분기되어 형성된 에어라인(162)을 복수 구성한다.
여기서, 에어수집몸체(161)는 압축기 등에서 발생한 공기를 공급받아 수집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50)의 고정가이드브래킷(152) 중 타측 고정가이드브래킷(152)의 하단부를 하향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돌출부(154)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몸체(141) 전방으로 베이스(101) 상부에 배출부(160)의 압력에 의하여 배출되는 필기구(P)를 외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한 배출컨베이어(163)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컨베이어(163)는 구동모터(163a)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63b)에 벨트(163d)를 형성하면서 종동축(163c)에 결합하여 전사지(F)가 인쇄된 필기구(P) 배출시 구동되어 필기구(P) 포장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고정가이드브래킷(152) 중 타측 고정가이드브래킷(152)의 하단부를 하향으로 연장시킨 돌출부(154)를 구성한다.
그리고 타측 지지브래킷(144) 전방으로 돌출부(154)와 대향되는 대향브래킷(165)을 형성하되 대향브래킷(165)에 돌출부(154)에 결합된 당김로드(166a)를 구비한 당김하우징(166b)을 형성하여 필기구(P) 가이드 후 당김로드(166a)의 신장으로 고정가이드브래킷(152)이 회전축(145)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고정가이드부재(151)가 전사지(F)가 인쇄된 필기구(P)를 가압하여 전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호퍼(110)에 전사지(F)를 인쇄할 필기구(P)를 적재시킨 상태에서 이송구(120)를 구동하여 밀대(121)가 호퍼(110)에 적재된 필기구(P)를 가압하여 가열롤 러(130) 하부로 공급되는 전사 필름 하부인 완충롤러(147) 상부로 이송한다.
여기서, 이송구(120)의 밀대(121)가 필기구(P)를 이송하기 전에 가압하우징(156a)의 가압로드(156b)가 신장되면서 타측에 형성한 당김부재(157)의 탄성 당김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회동되어 있던 회동가이드브래킷(154)의 일측 연장부(154a)를 가압하면서 밀게되어 회동가이드브래킷(154)이 회전축(145)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회동가이드부재(153)가 완충롤러(147)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회동가이드부재(153)가 완충롤러(147) 상부에 위치하면서 고정가이드부재(151)와 상호 대향되어 필기구(P)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158)이 형성되어 이송구(120)의 밀대(121)에 의하여 이송되는 필기구(P) 면 부분이 정확히 가이드 되면서 구동수단(146)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145)의해 회전되는 완충롤러(147) 상부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필기구(P)가 완충롤러(147) 상부로 이송되면서 가열롤러(130)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사지(F)가 완충롤러(147)에 의하여 회전되는 필기구(P)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전사지(F)가 인쇄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부(150)의 일측에 형성한 가압로드(156b)가 가압하우징(156a) 내부로 후퇴되면서 일측 연장부(154a)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해제되어 타측에 형성한 당김부재(157)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동가이드브래킷(154)이 전방으로 회동 된다.
이때, 회동가이드부재(153)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고정가이드부재(151)와 이 격된 상태가 된다.
아울러, 전사지(F)가 필기구(P)의 표면에 인쇄될 때 지지몸체(141)의 상부몸체(141a)와 하부몸체(141b) 사이 일측으로 형성한 완충부재(142)의 완충력에 의하여 상부몸체(141a)가 하부몸체(141b)와 결합한 힌지축(143)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되면서 전사지(F)가 인쇄되는 다각 필기구(P)의 모서리선과 면 부분이 가열롤러(130)에 지속적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균일하게 필기구(P)가 회전되면서 전사지(F) 인쇄 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전사지(F)가 필기구(P)에 인쇄되면 고정가이드부재(151) 후방에 위치시킨 배출부(160)의 에어라인(162)에서 공기가 분출되도록 하여 공기 분출 압력에 의하여 인쇄된 필기구(P)가 전방으로 배출되면서 배출컨베이어(163) 측으로 낙하 되도록 형성한다.
한편, 고정가이드브래킷(152) 중 타측 고정가이드브래킷(152)의 당기는 당김로드(166a)가 형성되어 인쇄된 필기구(P)를 배출할 경우, 필기구(P)에 전사지(F) 인쇄가 완료되면 당김로드(166a)가 당김하우징(166b)에서 후방으로 신장되면서 돌출부(154)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고정가이드브래킷(152)이 회전축(145)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고정가이드부재(151)가 인쇄된 필기구(P)를 가압하여 배출컨베이어(163) 측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필기구(P)의 배출이 완료되면서 당김로드(166a)는 다시 당김하우징(166b)으로 삽입되면서 고정가이드브래킷(152)이 후방으로 회동 되도록 한다.
이렇게 전사지(F)가 인쇄된 필기구(P)가 배출되면 다시 이송구(120)가 작동 하면서 밀대(121)에 의해 필기구(P)가 회동가이드부재(153)의 회동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58)으로 이송되어 전사지 인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전사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호퍼, 이송구 및 완충지지부만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호퍼에 적재되어 있는 필기구가 이송구에 의하여 완충지지부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완충지지부 상부로 이송되어 필기구에 전사지가 전사된 후 배출부에 의하여 전방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회동가이드부재가 회동가이드브래킷에 의하여 전방으로 회동 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회동가이드부재가 회동가이드브래킷에 의하여 완충롤러 상부로 회동되어 필기구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완충롤러가 다각형의 필기구 외주연 두께에 따라 상부로 완충되는 상태는 나타낸 단면도.
도 9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의 배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사장치 101: 베이스
110: 호퍼 120: 이송구
121: 밀대 130: 가열롤러
140: 완충지지부 141: 지지몸체
141a: 상부몸체 141b: 하부몸체
142: 완충부재 143: 힌지축
144: 지지브래킷 145: 회전축
146: 구동수단 147: 완충롤러
150: 가이드부 151: 고정가이드부재
152: 고정가이드브래킷 153: 회동가이드부재
154: 회동가이드브래킷 154a: 연장부
155: 고정브래킷 156a: 가압하우징
156b: 가압로드 157: 당김부재
158: 가이드홈 160: 배출부
161: 에어수집몸체 162: 에어라인
163: 배출컨베이어 163a: 구동모터
163b: 구동축 163c: 종동축
163d: 벨트 164: 돌출부
165: 대향브래킷 166a: 당김로드
166b: 당김하우징 P: 필기구
F: 전사지

Claims (5)

  1. 베이스(101)의 상부 일측으로 필기구(P)를 적재시킨 호퍼(110)를 형성하여 호퍼(110)에 적재된 필기구(P)가 이송구(120)의 밀대(121)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한개식 가열롤러(130) 하부로 공급되는 전사 필름 하부로 공급되어 가열롤러(130)의 가압에 의하여 필기구(P) 외주면에 전사지(F)를 인쇄하는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롤러(130)와 대향되는 베이스(101) 상면에 지지몸체(141)를 형성하되, 지지몸체(141)의 상면 양측으로 지지브래킷(144)을 직립되게 형성하면서, 지지브래킷(144)에 가열롤러(130)와 대응되는 완충롤러(147)를 구비한 회전축(145)을 회전되도록 형성한 완충지지부(140)와;
    상기 완충지지부(140)의 지지브래킷(144) 내측으로 각각 회전축(145)에 완충롤러(147) 상부측 후방으로 고정가이드부재(151)를 구비시킨 고정가이드브래킷(152)을 형성하고, 고정가이드브래킷(152)의 내측으로 고정가이드부재(151)와 대향되는 전방으로 회동가이드부재(153)를 구비시킨 회동가이드브래킷(154)을 회동 되도록 형성한 가이드부(150)와;
    상기 가이드부(150)의 고정가이드부재(151) 후방으로 베이스(101)에 형성한 에어수집몸체(161)에서 연장된 에어라인(162)을 복수 형성한 배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지지부(140)의 지지몸체(141)를 상부몸체(141a)와 하부몸체(141b)로 형성하되, 상부몸체(141a)와 하부몸체(141b) 사이 일측으로 완충부재(142)를 형성하고, 상부몸체(141a)와 하부몸체(141b) 타측을 상호 힌지축(143)으로 결합하여 완충부재(142)의 완충력에 의하여 상부몸체(141a)가 힌지축(143)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되면서 완충롤러(147) 상부로 이송된 필기구(P)를 가열롤러(130)에 지속적으로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50)의 회동가이드브래킷(154)의 하단부에 각각 하향으로 돌출된 연장부(154a)를 형성하고,
    지지브래킷(144)의 후방 양측에 연장부(154a)에 대향되도록 내측 중앙으로 돌출시킨 고정브래킷(155)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브래킷(155)은 제1 고정브래킷(155a) 및 제2 고정브래킷(155b)을 가지며,
    상기 제1 고정브래킷(155a)에 가압하우징(156a)을 형성하면서, 가압하우징(156a)에 일측 연장부(154a)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로드(156b)를 형성하여 가압로드(156b) 가압시 회동가이드브래킷(154)이 회전축(145)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되어 회동가이드부재(153)가 고정가이드부재(151)와 대향되도록 완충롤러(147) 상부에 위치하면서 이송되는 필기구(P)를 가이드 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 고정브래킷(155b)에 타측 연장부(154a)에 결합된 당김부재(157)를 형성하여 당김부재(157) 당김시 회동가이드브래킷(154)이 회전축(145)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 되도록 하여 완충롤러(147) 상부에 위치한 회동가이드부재(153)가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전사지(F)가 인쇄된 필기구(P)가 배출부(160)의 압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41) 전방으로 베이스(101) 상부에 배출부(160)의 압력에 의하여 배출되는 필기구(P)를 외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한 배출컨베이어(16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브래킷(152) 중 타측 고정가이드브래킷(152)의 하단부를 하향으로 연장시킨 돌출부(154)를 형성하고, 타측 지지브래킷(144) 전방으로 돌출부(154)와 대향되는 대향브래킷(165)을 형성하되 대향브래킷(165)에 돌출부(154)에 결합된 당김로드(166a)를 구비한 당김하우징(166b)을 형성하여 필기구(P) 가이드 후 당김로드(166a)의 신장으로 고정가이드브래킷(152)이 회전축(145)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고정가이드부재(151)가 전사지(F)를 인쇄한 필기구(P)를 가압하여 전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
KR1020070091155A 2007-09-07 2007-09-07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 KR100867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155A KR100867444B1 (ko) 2007-09-07 2007-09-07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155A KR100867444B1 (ko) 2007-09-07 2007-09-07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444B1 true KR100867444B1 (ko) 2008-11-06

Family

ID=4028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155A KR100867444B1 (ko) 2007-09-07 2007-09-07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4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1107A (zh) * 2012-11-30 2013-03-27 苏州一致电子制程有限公司 热转印机的剥离装置
KR101420761B1 (ko) 2013-01-31 2014-07-17 장오기계 주식회사 다각형 제품의 전사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KR102264551B1 (ko) * 2020-12-02 2021-06-15 이종칠 필름접합 가이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3291A (ko) * 1995-05-09 1998-10-15 호리스미야 원형 단면 용기의 인쇄장치
JP2000052534A (ja) 1998-08-11 2000-02-22 Hitachi Hometec Ltd 写真転写装置
KR20010000628U (ko) * 1999-06-15 2001-01-15 배봉환 육각연필의 자동 열 전사 인쇄기
KR200265136Y1 (ko) 2001-08-23 2002-02-25 오성중 필기구의 자동 열 전사 인쇄기
KR200318583Y1 (ko) 2003-04-08 2003-07-02 이태진 아크릴판재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3291A (ko) * 1995-05-09 1998-10-15 호리스미야 원형 단면 용기의 인쇄장치
JP2000052534A (ja) 1998-08-11 2000-02-22 Hitachi Hometec Ltd 写真転写装置
KR20010000628U (ko) * 1999-06-15 2001-01-15 배봉환 육각연필의 자동 열 전사 인쇄기
KR200265136Y1 (ko) 2001-08-23 2002-02-25 오성중 필기구의 자동 열 전사 인쇄기
KR200318583Y1 (ko) 2003-04-08 2003-07-02 이태진 아크릴판재 인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1107A (zh) * 2012-11-30 2013-03-27 苏州一致电子制程有限公司 热转印机的剥离装置
KR101420761B1 (ko) 2013-01-31 2014-07-17 장오기계 주식회사 다각형 제품의 전사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KR102264551B1 (ko) * 2020-12-02 2021-06-15 이종칠 필름접합 가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0327U (ja) 広幅カラープリンター
KR100867444B1 (ko) 다각형 필기구 전사장치
CN110802926B (zh) 纸箱原材双面印刷机
CN104441949A (zh) 一种带上墨装置的制袋印刷机
JP3808834B2 (ja) 画像形成方法および装置
US6745685B2 (en) Stencil printing device
CN215921533U (zh) 一种标签纸生产用印刷装置
CN206170878U (zh) 一种卷式裁单张数字喷墨双面彩色印刷机
CN215921587U (zh) 一种二维码物联网自动打印装置
DK2758316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labels
KR100472482B1 (ko) 기록매체의 배출기구 및 그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
CN112497901A (zh) 一种滚筒式绿色印刷装置
GB2237551A (en) Labelling apparatus
CN110902072A (zh) 一种即时打印多功能贴标机
CN110654668A (zh) 一种用于笔记本电脑的标签机
CN201785618U (zh) 数码上浆机上浆系统
US7789036B2 (en) Compact glazing machine
CN2378193Y (zh) 一种便携热敏打印机
CN205890195U (zh) 一种轮转印刷机
JP2008055802A (ja) 印刷システム、用紙プリンタおよび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0561909A (zh) 一种快速干燥的纸张印刷装置
CN211542875U (zh) 一种印刷机用烘干装置
JP5680329B2 (ja) プリンタ
JP2014162029A (ja) 孔版印刷装置
CN210680082U (zh) 一种用于印刷设备的气浪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