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387B1 - 다용도 액즙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액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387B1
KR100867387B1 KR1020070065374A KR20070065374A KR100867387B1 KR 100867387 B1 KR100867387 B1 KR 100867387B1 KR 1020070065374 A KR1020070065374 A KR 1020070065374A KR 20070065374 A KR20070065374 A KR 20070065374A KR 100867387 B1 KR100867387 B1 KR 100867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upled
flange
main body
gu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준
Original Assignee
(주)클레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레슨 filed Critical (주)클레슨
Priority to KR1020070065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3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액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분쇄된 슬러지의 입자 크기에 따라 슬리브(43)의 플랜지(46)에 형성된 이동공(48)을 이동시켜 고정분쇄구(22)와 회전분쇄구(2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격 조정작업에 따른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2); 상기 본체(2)에 수평유지구(14)를 결합하여 설치되는 모터(10); 상기 본체(2)에 수평유지구(14)를 관통 결합하는 여과망(18); 상기 수평유지구(14)에 결합 되면서 여과망(18)에 위치하는 회전분쇄구(20); 상기 회전분쇄구(20)상에 배치되는 고정분쇄구(22); 상기 고정분쇄구(22)를 하부에 결합하고, 상부에는 호퍼(40)를 결합하며, 외주에는 나사부(25)를 형성한 안내축(24); 상기 안내축(24)을 허브(32)로 결합하면서 본체(2)에 장착되는 커버(30); 및 상기 허브(32)와 플랜지(26)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38);으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안내축(24)에 슬리브(43)가 결합 되고, 슬리브(43)에는 플랜지(46)가 형성되며, 플랜지(46)에는 이동공(48)이 형성되고, 이동공(48)에는 핀(50)이 끼워지며, 핀(50)이 끼워지는 고정공(52)은 커버(3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즙기, 분쇄구, 모터, 호퍼, 여과망

Description

다용도 액즙기{Many purposes of the juice extractor}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즙기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액즙기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액즙기의 부분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액즙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본체 4:배출공
6:배출구 8:경사면
10:모터 12:샤프트
14:수평유지구 16:베이스
18:여과망 20:회전분쇄구
22:고정분쇄구 24:안내축
26,46:플랜지 28:안내공
30:커버 32:허브
34:홈 36:키이
38:스프링 40:호퍼
42:조정부재 44:핸들
48:이동공 50:핀
52:고정공
본 발명은 다용도 액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된 슬러지의 입자 크기에 따라 슬리브의 플랜지에 형성된 이동공을 이동시켜 고정분쇄구와 회전분쇄구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격 조정작업에 따른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고, 또한 본체의 바닥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여과망을 통과한 액즙이 곧바로 외측으로 흘러 배출구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위생적인 액즙이 만들어질 수 있게 한 다용도 액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즙기는 한 쌍의 분쇄구를 이용하여 고형물의 콩, 감자, 마늘, 당근, 과일류 등을 분쇄하므로서 쥬스(juice) 형태의 액즙을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액즙은 두부, 부침류 및 건강 음료용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특허등록번호제10-308413호 "다용도 액즙 추출기"를 도 1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실(1)의 상부와 중간부 외측에는 슬러지배출구(71)와 탈수액배출구(13)가 각각 형성되고, 작동실(1)의 상단부 중앙에는 압력고정구가 돌출 형성되며, 작동실(1)의 내부 중간 측에는 밀폐막(11)이 설치된다.
전술한 밀폐막(11) 상부에는 여과망(4)이 위치하면서 작동실(1)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밀폐막(11)의 중앙에는 동력모터(21)가 축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축에는 투입된 내용물을 분쇄하는 회전분쇄구(5)가 결합되면서 여과망(4) 내부에 위치한다.
회전분쇄구(5) 상부에는 고정분쇄구(62)가 대향 되게 배치되면서 유도관(61)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유도관(61)은 작동실(1) 상부에 형성된 압력고정구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압력고정구에는 스프링(S)을 내포한 압력조절구(63)가 나사 결합되면서 유도관(61)을 결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력모터(21)를 작동시키면 회전분쇄구(5)는 회전하게 되고 고정분쇄구(62)는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호퍼(64)에 투입하면 유도관(61)을 따라 내용물이 하강하면서 고정분쇄구(62)를 지나 회전분쇄구(5) 상부로 낙하한 후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퍼지게 된다.
동시에 내용물은 회전분쇄구(5)와 고정분쇄구(62) 사이의 틈으로 이동하면서 분쇄되어 액즙은 여과망(4)을 통과하고 슬러지는 여과망(4)을 따라 상부로 밀려져 올라간 후 슬러지배출구(7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즙은 여과망(4)을 통과한 이후로 밀폐막(11) 위로 낙하한 다음 탈수액배출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즙기를 일정기간 사용하면 마모로 인해 회전분쇄구(5)와 고정분쇄구(62)의 틈은 벌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슬러지의 입자는 커지면서 액 즙의 양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압력조절구(63)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S)은 압축되면서 유도관(61)의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분쇄구(62)가 회전분쇄구(5)의 상부에 더욱 밀착 되도록 하는데, 이로 인해 호퍼(64)로 투입되는 내용물을 알맞은 크기의 입자로 분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압력조절구(63)를 일측 방향으로 적당히 회전시켜 고정분쇄구(62)와 회전분쇄구(5)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하는 방식이므로 간격 조정작업에 있어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여과망(4)을 통과한 액즙은 수평을 이루는 밀폐막(11)으로 낙하한 후 탈수액배출구(13)로 배출되는 관계로 액즙의 일부가 밀폐막(11)에 항상 잔류하게 되어 비위생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는 분쇄된 슬러지의 입자 크기에 따라 슬리브의 플랜지에 형성된 이동공을 이동시켜 고정분쇄구와 회전분쇄구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간격 조정작업에 따른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본체의 바닥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여과망을 통과한 액즙이 곧바로 외측으로 흘러 배출구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위생적인 액즙이 만들어질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상부를 개방 형성하면서 일측에 배출구(6)를 결합한 본체(2); 상기 본체(2)의 바닥면 중앙에 수평유지구(14)를 결합한 샤프트(12)를 수직으로 관통 결합하면서 설치되는 모터(10); 상기 수평유지구(14)를 관통 결합하면서 본체(2)에 설치되는 여과망(18); 상기 수평유지구(14)에 결합 되면서 여과망(18)에 위치하는 회전분쇄구(20); 상기 회전분쇄구(20)상에 대향 되게 배치되는 고정분쇄구(22); 상기 고정분쇄구(22)를 하단부에 형성한 플랜지(26)에 결합하고, 상부에는 호퍼(40)를 결합하며, 외주에는 나사부(25)를 형성한 안내축(24); 상기 안내축(24)을 허브(32)로 결합하며 본체(2)상에 설치되는 커버(30); 및 상기 허브(32)와 플랜지(26) 사이에 위치하면서 안내축(24) 외주에 결합 되는 스프링(38);으로 이루어진 다용도 액즙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축(24)의 나사부(25)에 핸들(44)을 결합한 슬리브(43)가 나사 결합 되고, 슬리브(43) 하단부에는 플랜지(46)가 형성되며, 플랜지(46)에는 이동공(48)이 40-50개 관통 형성되고, 이동공(48)에는 핀(50)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며, 핀(50)이 끼워지는 고정공(52)은 커버(30)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2)의 바닥면은, 중앙부분은 높이가 높고 가장자리 둘레는 높이가 낮은 경사면(8)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8)의 일측 일부는 배출구(6)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도 2 내지 도 4에서 살펴 보면, 먼저 상부를 개방 형성한 원통형의 본체(2)가 구성되고, 본체(2)의 일측 하부에는 관통된 배출공(4)이 형성되며, 배출공(4)에는 추출된 액즙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출구(6)가 결합 된다.
전술한 본체(2)의 바닥면에는 추출된 액즙이 한쪽으로 모여서 배출구(6) 측으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 경사면(8)이 형성되는데, 이때 경사면(8)의 중앙부는 높고 가장자리 외측 둘레는 낮게 형성된다.
전술한 본체(2)의 저부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0)가 장착되면서 샤프트(12)를 바닥면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하고, 샤프트(12)의 상부에는 수평유지구(14)가 결합 되면서 본체(2) 내부에 위치한다.
본체(2)의 저부에는 중공형으로 된 베이스(16)가 설치되면서 내부에 모터(10)를 포함하고, 본체(2) 상단부에는 여과망(18)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본체(2) 내부에 위치하는데, 이때 여과망(18)은 호퍼형(hopper type)으로 된 것으로 저부 중앙에는 수평유지구(14)가 관통하여 결합 된다.
전술한 수평유지구(14) 상부에는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투입된 내용물(콩, 감자, 마늘, 당근, 과일류 등등)을 분쇄시키는 회전분쇄구(20)가 결합 되고, 회전분쇄구(20) 상부에는 고정분쇄구(22)가 대향되게 배치되면서 내용물이 분쇄되도록 하는데, 이때 회전분쇄구(20)와 고정분쇄구(22)의 간격은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간격을 달리하되 여과망(18)에 걸러지는 슬러지의 크기 정도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전술한 고정분쇄구(22)는 본체(2)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슬리브(sleeve) 타입의 안내축(24)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26)에 결합 되고, 고정분쇄구(22)에는 내용물이 회전분쇄구(20)상에 도달할 수 있도록 통로를 마련하게 된다.
전술한 안내축(24)은 투입되는 내용물의 통로인 안내공(28)을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하면서 고정분쇄구(22)의 통로에 연결하고, 안내축(24) 외주에는 나사부(25)가 형성되며, 나사부(25)의 일측에는 키이(36)가 설치된다.
전술한 본체(2)의 상단부에는 커버(30)가 여과망(18) 상부에 위치하면서 설치되고, 이러한 커버(30)의 중앙에는 안내축(24)을 미끄럼 결합하는 허브(32)가 형성되며, 허브(32)의 내면에는 키이(36)를 미끄럼 결합하는 홈(34)이 형성되고, 커버(30)의 일측 벽에는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배출공(31)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전술한 안내축(24)의 플랜지(26)와 허브(32) 사이에는 고정분쇄구(22)가 회전분쇄구(20)상에 밀착 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8)이 위치하면서 안내축(24)의 외주에 결합 되고, 안내축(24) 상부에는 내용물이 투입되는 호퍼(40)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 된다.
한편 안내축(24) 상부에는 고정분쇄구(22)와 회전분쇄구(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부재(42)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조정부재(42)는 안내축(24)의 나사부(25)에 나사 결합 되는 슬리브(43)가 구성되고, 슬리브(43)의 상부 외주에는 핸들(44)이 결합 되며, 슬리브(43)의 하단부에는 플랜지(46)가 형성된다.
전술한 플랜지(46)에는 이동공(48)이 40-50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이동공(48)의 어느 하나에는 고정역할을 하는 핀(50)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 되며, 핀(50)이 끼워지는 고정공(52)은 커버(30)의 상단면에 관통 형성된다.
이때 하나의 이동공(48)이 고정공(52)을 벗어나고 다른 이동공(48)이 고정공(52)에 도달하면,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축(24)이 하강하면서 고정분쇄구(22)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이동공(48)과 이동공(48)과의 간격을 설정하되, 고정분쇄구(22)의 가장 바람직한 하강거리인 0.075mm 정도가 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키면 샤프트(12)가 회전하면서 수평유지구(14)와 회전분쇄구(20)를 함께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고정분쇄구(22)는 안내축(24) 하단부에 고정 설치된 관계로 정지상태에서 저면부가 회전분쇄구(20)의 상단면과 마찰을 일으키고 있게 된다.
더욱이 고정분쇄구(22)의 저면은 스프링(38)으로 부터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 플랜지(26)가 눌려지면서 회전분쇄구(20)의 상단 면을 가압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퍼(40)에 내용물(콩, 감자, 마늘, 당근, 과일류 등등)을 투입하면, 상기 내용물은 안내공(28)을 따라 하강하면서 고정분쇄구(22)의 통로를 통해 회전분쇄구(20)상에 도달하게 되고, 이후로 회전분쇄구(20)의 원심력에 의해 내용물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분쇄구(22)와 회전분쇄구(20)의 틈 사이에 끼여져 분쇄된다.
따라서 내용물은 분쇄되면서 액즙과 슬러지로 나누어지는데, 이때 액즙은 액체인 관계로 여과망(18)을 통하여 본체(2)의 바닥면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후로 액즙은 경사면(8)을 따라 아래로 흐르면서 배출공(4)을 통해 배출구(6)를 지나 본체(2) 외부로 흐르게 된다.
동시에 회전분쇄구(20)와 고정분쇄구(22)를 통하여 빠져나온 슬러지는 연속하여 빠져나오는 다른 슬러지에 의해 밀려지면서 호퍼 형태로 된 여과망(18)의 경사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커버(30)에 형성된 배출공(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분쇄구(22)와 회전분쇄구(20)를 통하여 내용물이 연속하여 분쇄되면서 액즙과 슬러지로 나누어지면, 고정분쇄구(22)와 회전분쇄구(20)는 사용된 시간에 비례하여 마모되면서 마찰면의 틈이 점차적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배출되는 슬러지의 입자는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고, 동시에 액즙의 양은 슬러지 측으로 손실되어 액즙의 생산 양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출공(31)을 통해 빠져나오는 슬러지의 크기를 육안으로 판별하여 고정분쇄구(22)와 회전분쇄구(20)의 간격을 조정하는 시기로 보고, 조정부재(42)를 구성하는 핀(50)을 이동공(48)과 고정공(52)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핸들(44)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리브(43)는 안내축(24)의 나사부(25)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하여 허브(32)의 상단 면으로부터 이격하게 된다.
동시에 스프링(38)이 허브(32)를 지지점으로 하여 반발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안내축(24)의 플랜지(26)를 고정분쇄구(22)와 함께 하방으로 밀게 되는데, 이때 안내축(24)에 결합된 키이(36)는 홈(34)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안내축(24) 상부에 결합된 슬리브(43)의 플랜지(46)는 하강하다가 허브(32)의 상단 면에 도달하면서 하강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고정분쇄구(22)는 이동공(48)이 한 칸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하강 하므로서 회전분쇄구(20)와의 틈을 좁히게 된다. 이때 이동공(48)이 한 칸 이동함에 따른 고정분쇄구(22)의 하강거리는 0.075mm 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부재(42)를 통하여 고정분쇄구(22)와 회전분쇄구(20)의 간격 조정작업이 완료되면, 분리한 핀(50)을 이동공(48)과 고정공(52)에 끼우므로서 플랜지(46)가 조정된 위치에 정지하여 있게 한 다음 호퍼(40)에 내용물을 투입하여 액즙생산 과정을 연속하여 실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호퍼(40)에 투입되는 내용물의 종류 및 슬러지의 입자 크기에 따라 고정분쇄구(22)와 회전분쇄구(20)의 간격을 슬리브(43)의 플랜지(46)에 형성된 이동공(48)을 통해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고정분쇄구(22)와 회전분쇄구(20)의 간격 조정작업에 따른 편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로는 본체(2)의 바닥면에 형성된 경사면(8)으로 인해 여과망(18)을 통과한 액즙은 곧바로 외측으로 흘러 배출구(6)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위생면에 있어서 우수하다.

Claims (2)

  1. 상부를 개방 형성하면서 일측에 배출구(6)를 결합한 본체(2);
    상기 본체(2)의 바닥면 중앙에 수평유지구(14)를 결합한 샤프트(12)를 수직으로 관통 결합하면서 설치되는 모터(10);
    상기 수평유지구(14)를 관통 결합하면서 본체(2)에 설치되는 여과망(18);
    상기 수평유지구(14)에 결합 되면서 여과망(18)에 위치하는 회전분쇄구(20);
    상기 회전분쇄구(20)상에 대향 되게 배치되는 고정분쇄구(22);
    상기 고정분쇄구(22)를 하단부에 형성한 플랜지(26)에 결합하고, 상부에는 호퍼(40)를 결합하며, 외주에는 나사부(25)를 형성한 안내축(24);
    상기 안내축(24)을 허브(32)로 결합하며 본체(2)상에 설치되는 커버(30); 및
    상기 허브(32)와 플랜지(26) 사이에 위치하면서 안내축(24) 외주에 결합 되는 스프링(38);으로 이루어진 다용도 액즙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축(24)의 나사부(25)에 핸들(44)을 결합한 슬리브(43)가 나사 결합 되고, 슬리브(43) 하단부에는 플랜지(46)가 형성되며, 플랜지(46)에는 이동공(48)이 40-50개 관통 형성되고, 이동공(48)에는 핀(50)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며, 핀(50)이 끼워지는 고정공(52)은 커버(30)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용도 액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바닥면은, 중앙부분은 높이가 높고 가장자리 둘레는 높이가 낮은 경사면(8)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8)의 일측 일부는 배출구(6)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액즙기.
KR1020070065374A 2007-06-29 2007-06-29 다용도 액즙기 KR100867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374A KR100867387B1 (ko) 2007-06-29 2007-06-29 다용도 액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374A KR100867387B1 (ko) 2007-06-29 2007-06-29 다용도 액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387B1 true KR100867387B1 (ko) 2008-11-10

Family

ID=4028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374A KR100867387B1 (ko) 2007-06-29 2007-06-29 다용도 액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3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3445A (zh) * 2016-07-28 2016-11-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原汁机
CN106235860A (zh) * 2016-10-19 2016-12-21 裴学华 蒜泥磨具
CN106983347A (zh) * 2016-01-22 2017-07-28 龚建良 改进的螺杆式榨汁机
CN108888086A (zh) * 2018-09-05 2018-11-27 东莞市可乐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榨汁机的主机
CN109805786A (zh) * 2017-11-21 2019-05-2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无渣食品加工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223Y1 (ko) * 1996-12-04 1999-06-15 김병기 분쇄커피 제조기의 분쇄날 안전장치
KR100308413B1 (ko) * 1999-06-30 2001-09-24 양희준 다용도 액즙(液汁) 추출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223Y1 (ko) * 1996-12-04 1999-06-15 김병기 분쇄커피 제조기의 분쇄날 안전장치
KR100308413B1 (ko) * 1999-06-30 2001-09-24 양희준 다용도 액즙(液汁) 추출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3347A (zh) * 2016-01-22 2017-07-28 龚建良 改进的螺杆式榨汁机
CN106073445A (zh) * 2016-07-28 2016-11-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原汁机
CN106235860A (zh) * 2016-10-19 2016-12-21 裴学华 蒜泥磨具
CN109805786A (zh) * 2017-11-21 2019-05-28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无渣食品加工机
CN109805786B (zh) * 2017-11-21 2021-12-0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无渣食品加工机
CN108888086A (zh) * 2018-09-05 2018-11-27 东莞市可乐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榨汁机的主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387B1 (ko) 다용도 액즙기
CN105686666B (zh) 一种磨豆咖啡壶的防漏流水装置
JP2016519980A (ja) 網ドラム及びこれを含む搾汁ジューサー
KR100793852B1 (ko) 착즙주스기
JP6542463B2 (ja) 漏れ防止装置を備えるコーヒーメーカー及びその作動方法
JP6017090B2 (ja) 搾り滓開閉機構が備えられたジューサー
US9253995B2 (en) Juicer with soymilk grinding function
KR200274699Y1 (ko) 착즙 분쇄기
CN102133058B (zh) 食品加工器具
JP3209833U (ja) 快速且つ自動的なフィーディングができる押付型搾汁機
WO2013053228A1 (zh) 榨汁机
CN103082865A (zh) 具有二次研磨功能的豆浆/榨汁机
RU2519987C2 (ru) Кух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4223926A (zh) 榨汁机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05326328A (zh) 具有实心型过滤器的果汁提取装置和包括该装置的榨汁机
CN203138083U (zh) 具有二次研磨功能的豆浆/榨汁机
KR200494674Y1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JP3098005B2 (ja) 作動圧力を調節することができる粉砕搾汁機
KR102661108B1 (ko) 분리 스크류 및 분리 스크류를 사용한 착즙기
CN107457052B (zh) 一种中草药破碎机
CN214905826U (zh) 研磨间隙可调式果汁机
WO2020239031A1 (zh) 一种榨汁机的压榨模组
KR100308413B1 (ko) 다용도 액즙(液汁) 추출기
JP2017537784A (ja) 三段石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