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268B1 -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268B1
KR100867268B1 KR1020070068987A KR20070068987A KR100867268B1 KR 100867268 B1 KR100867268 B1 KR 100867268B1 KR 1020070068987 A KR1020070068987 A KR 1020070068987A KR 20070068987 A KR20070068987 A KR 20070068987A KR 100867268 B1 KR100867268 B1 KR 100867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epair material
retaining wall
repair
cau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9960A (ko
Inventor
노성석
Original Assignee
노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석 filed Critical 노성석
Priority to KR1020070068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2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79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06B1/64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by loosely-inserted means, e.g. strip, resilient ton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발코니 등의 창틀과 옹벽 사이에서 코킹재의 부실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창틀 상단과 천정 슬래브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틀 상단용 보수재로서, 판체의 안쪽단에서 위쪽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된 빗물 차단턱과, 상기 판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물끊기 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창틀 측단과 측부 옹벽 사이 또는 창틀 하단과 하부 옹벽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로서, 판체의 일단에는 꺽임부가 하향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판체의 저면에는 상기 꺽임부와 평행하도록 복수의 폭 조정 및 물끊기 턱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창틀, 누수, 발코니, 보수재, 베란다 방수, 창틀 누수

Description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Device for repairing window leak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누수 보수재로서, 창틀 상단용 보수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누수 보수재로서,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창틀 상단용 보수재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2의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를 이용한 창틀 측단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를 이용한 창틀 하단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9는 창틀 측단을 일자형 보수재로 시공한 경우의 비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창틀 상단용 보수재 101 : 미끄럼 방지턱
102 : 물끊기 턱 103 : 빗물 차단턱
104 : 꺽임부 200 :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
201 : 폭 조정 및 물끊기 턱 202 : 꺽임부
300a,300b,300c : 천정 슬래브 301a,301b,301c : 물끊기 홈
302a,302b : 측부 옹벽 303a,303b : 하부 옹벽
400a,400b,400c : 창틀 상단 401a,401b : 창틀 측단
402a,402b : 창틀 하단 403a,403b : 창틀 배수구
404 : 난간 기둥 406 : 난간 앵글
500a,500b,500c,500d,500e,500f : 기존 코킹재
501a,501b,501c,501d : 새로운 코킹재
600a,600b,600c,600d : 기존 백업재
601a,601b : 새로운 백업재
700a,700b,700c,700d : 고정못 800a,800b : 창틀 고임재
본 발명은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발코니 등의 창틀과 옹벽 사이에서 코킹재의 부실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아파트, 빌라, 주상복합 건물 등)의 베란다, 즉 발코니에는 창틀(새시)이 설치되고, 이 창틀과 옹벽 사이 틈새는 방수를 위한 접착제인 코킹재로 마감 처리되고 있다.
상기 코킹재는 주로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서, 창틀과 옹벽 사이 틈새에 백업(Back-up)재를 삽입한 후, 코킹(Caulking)되어 외부로부터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코킹재는 시공 후 시간이 지나면 창틀과 옹벽 표면으로부터 들뜨거나 찢어지는 등 부실해지게 되고, 이러한 코킹재의 부실화는 빗물 등이 실내쪽으로 유입되는 누수 현상의 원인이 된다.
즉, 코킹재는 경화되면서 그 부피가 수축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적인 긴장에 의하여 접착력이 약한 부위부터 들뜨거나 얇게 코킹된 부분이 찢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이 코킹재의 파손은 누수 현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의 옹벽에는 수성페인트가 도색되어 있는데 옹벽이 빗물에 젖게 되면 수성페인트의 박리현상이 촉진되어 코킹재가 옹벽에서 들뜨게 된다. 이후 발생된 틈새로 빗물이 조금씩 계속 유입됨에 따라 그 틈새가 더 커지면서 많은 양의 빗물이 실내(발코니)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빗물이 발코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대개 건물 발코니에는 개구부 쪽의 천정슬래브에 물끊기 홈(도 3에 도면부호 301a로 지시된 것 참조)이 형성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건물에서 발코니에 창틀(새시)을 시공하면서 제대로 활용되 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반창(위 부분만 창이고, 아래는 옹벽)의 경우는, 하부 옹벽의 두께가 창틀의 폭과 유사한 점, 그리고 옹벽의 안쪽 내부공간의 활용 등의 문제로 물끊기 홈보다 창틀을 바깥쪽으로 내밀어서 옹벽과 거의 나란하게 시공하고 있고, 전창(발목에서 천정까지 창문으로 구성됨)의 경우에도 근래 건축된 아파트는 발코니 난간이 옹벽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창틀이 물끊기 홈보다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렇게 창틀이 물끊기 홈보다 바깥쪽에 시공됨에 따라, 창틀이 지속적으로 빗물에 노출되는데, 특히 창틀의 상단부와 바로 위의 천정 슬래브 사이에 코킹된 코킹재는 지속적으로 빗물 등에 노출 접촉되어 밀봉상태가 나빠져 언젠가는 코킹재가 박리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 바로 윗층에 시공된 창틀의 배수구로부터 빗물이 배출되는 바, 이 배출된 빗물이 아래층의 천정 슬래브쪽 외벽을 타고 장시간 머무르기 때문에 천정 슬래브쪽의 코킹재에 대한 박리 현상이 더욱 촉진되어,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빗물 유입에 의한 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창틀 보수 방법은, 이미 시공되었던 코킹재(접착제로서 예를 들어, 실리콘) 위에 코킹재를 덧바르거나, 이미 시공되었던 기존의 코킹재를 완전히 제거하고 새로운 코킹재를 처음보다 더욱 든든히 코킹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코킹재를 재시공하게 되면 최초 시공된 시점보다 외벽의 청결상태가 불량하여 접착력이 약해질 뿐만 아니라, 코킹재 를 덧바르는 경우에는 코킹재가 더 넓고 두껍게 시공되기 때문에 수축력이 더욱 커지게 되어, 결국 코킹재가 단기간에 들뜨면서 누수가 재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미 시공되었던 코킹재를 제거하고 새로운 코킹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코킹재를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게 되어 작업효율이 현저히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창틀과 옹벽 사이에 코킹재의 부실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기존의 코킹재를 제거하거나 새롭게 코킹재를 바르지 않고도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일부에서 코킹재를 바르는 경우에도 쉽게 코킹 작업이 가능하고 표면의 접착력을 높여 코킹재의 들뜨는 현상이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창틀 누수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구조의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 상단과 천정 슬래브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틀 상단용 보수재로서, 판체의 안쪽단에서 위쪽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된 빗물 차단턱과; 상기 판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물끊기 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 보수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빗물 차단턱은 위쪽으로 수직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체의 상면에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판체의 바깥쪽단에는 꺽임부가 하향으로 절곡되며 일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 방지턱은 상기 빗물 차단턱과 평행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창틀 측단과 측부 옹벽 사이 또는 창틀 하단과 하부 옹벽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로서, 판체의 일단에는 꺽임부가 하향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판체의 저면에는 상기 꺽임부와 평행하도록 복수의 폭 조정 및 물끊기 턱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 보수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꺽임부는 그 끝단이 저면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판체의 안쪽단에서 위쪽으로 절곡되며 빗물 차단턱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판체의 상면에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판체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물끊기 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판체의 바깥쪽단에는 꺽임부가 하향으로 절곡되며 일체로 연장 형성된 구조의 창틀누수 보수재를 구비하는 단계와; 창틀 상단과 천정 슬래브 사이에 코킹되어 있는 기존 코킹재를 절개하는 단계와; 상기 창틀누수 보수 재를 상기 기존 코킹재를 절개시킨 틈새로 집어넣어, 안쪽단에 형성된 상기 빗물 차단턱을 상기 천정 슬래브의 물끊기 홈에 삽입하는 단계와; 백업재를 상기 미끄럼 방지턱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천정 슬래브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도록 밀어 넣어 상기 창틀누수 보수재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 보수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창틀누수 보수재를 고정못으로 체결하여 상기 창틀 상단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판체의 일단에는 꺽임부가 하향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판체의 저면에는 상기 꺽임부와 평행하도록 복수의 폭 조정 및 물끊기 턱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창틀누수 보수재를 구비하는 단계와; 코킹재가 새로 발라질 부분의 측부 옹벽의 페인트를 제거하는 단계와; 일단에 형성된 상기 꺽임부를 창틀 측단 표면에 밀착시키고, 타단을 상기 측부 옹벽에 밀착시킨 후에, 그 각각의 밀착 부분에 새로운 코킹재를 발라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 보수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판체의 일단에는 꺽임부가 하향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판체의 저면에는 상기 꺽임부와 평행하도록 복수의 폭 조정 및 물끊기 턱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의 창틀누수 보수재를 구비하는 단계와; 일단에 형성된 상기 꺽임부를 창틀 배수구를 가리지 않도록 하여 창틀 하단 표면에 밀착시키고, 타단을 하부 옹벽보다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 옹벽에 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꺽임부와 상기 창 틀 하단 표면간의 밀착 부분에 새로운 코킹재를 발라주는 단계와; 상기 창틀누수 보수재를 고정못으로 체결하여 상기 하부 옹벽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 보수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누수 보수재는, 창틀 상단과 천정 슬래브 사이의 틈새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보수하는 창틀 상단용 보수재와, 창틀 측단과 측부 옹벽 사이 또는 창틀 하단과 하부 옹벽 사이의 틈새의 누수를 보수하는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를 포함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누수 보수재로서, 창틀 상단용 보수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창틀 상단용 보수재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는 플라스틱과 같이 얇은 두께의 판체로 성형된 것으로서, 판체의 안쪽단에 빗물 차단턱(103)이 위쪽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고, 판체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물끊기 턱(10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빗물 차단턱(103)은 위쪽으로 수직을 이루며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에 있어서, 판체의 상면에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턱(10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판체의 바깥쪽단에는 둔각의 꺽임 부(104)가 하향으로 절곡되며 일체로 연장 형성된 구조로 성형된다.
여기서, 상면의 상기 미끄럼 방지턱(101)과 저면의 상기 물끊기 턱(102)은 상기 빗물 차단턱(103)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 방지턱(101)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각 시공예에서 알 수 있듯이, 안쪽단 즉 상기 빗물 차단턱(103) 쪽이 창틀 상단(400a,400b,400c)과 그 위쪽의 천정 슬래브(300a,300b,300c: 상부 옹벽)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바깥쪽단은 창틀 상단(400a,400b,400c)의 외부로 향하게 된다.
한편, 창틀 상단(400a,400b,400c)과 그 위쪽의 천정 슬래브(300a,300b,300c) 사이에 누수가 발생하여 보수할 부분은 건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구조의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는 시공 부위에 맞는 크기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제작된 창틀 상단용 보수재의 일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창틀 상단과 그 위쪽의 천정 슬래브 사이의 틈새가 좁은 경우, 창틀 상단용 보수재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창틀 상단(400a)과 천정 슬래브(300a) 사이에 코킹되어 이미 손상된 기존 코킹재(500a)를 공업용 칼을 이용하여 절개하고, 그 절개된 틈새를 통하여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를 시공하게 되는데,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안쪽단을 상기 기존 코킹재(500a)를 절개시킨 틈새로 집어넣는다. 여기서, 상기 안쪽단 에 형성된 빗물 차단턱(103)이 천정 슬래브(300a)에 형성된 물끊기 홈(301a)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바깥쪽단은 틈새 밖에서 자유단 상태로 있게 되는데,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는 그 안쪽단에서 바깥쪽단 쪽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며, 상기 바깥쪽단이 상기 창틀 상단(400a)보다 외부로 차양처럼 돌출되는 형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와 천정 슬래브(300a) 사이의 틈새에 새로운 백업재(601a)를 밀어넣게 되는데,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 상면의 미끄럼 방지턱(101)이 상기 백업재(601a)를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해 주면서, 상기 백업재(601a)가 천정 슬래브(300a)에 밀착되는 상태로 틈새를 메우게 되어,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가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물끊기 턱이 기존의 백업재(600a) 및 코킹재(500a)와 접촉하여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고 마찰력을 크게 하므로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첨부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시공이 완료되어진다.
이와 같이 시공되면, 기존 코킹재(500a)와 백업재(600a)를 제거하지 않고도 창틀누수를 보수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되며, 코킹재를 새로 사용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으므로 향후 코킹재의 부실과 박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창틀누수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창틀 상단(400a)과 천정 슬래브(300a) 사이로 침투하는 빗물은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안쪽단에 형성된 빗물 차단턱(103)에서 빗물을 차단하여 실내로 빗물 등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깥쪽단의 꺽임부(104)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경사진 상태이므로 빗물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쓸려 내려갈 수 있다.
특히, 빗물이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저면을 타고 들어오더라도, 저면에 형성된 물끊기 턱(102)이 타고 들어오는 빗물을 완벽하게 차단해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의 다른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는 창틀 상단과 그 위쪽의 천정 슬래브 사이의 틈새가 넓은 경우, 창틀 상단용 보수재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일 시공예와 같이,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안쪽단을 이미 손상된 기존 코킹재(500b)를 공업용 칼로 절개시킨 틈새를 통해 집어넣는다. 여기서, 상기 안쪽단에 형성된 빗물 차단턱(103)이 천정 슬래브(300b)에 형성된 물끊기 홈(301b)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는 넓은 틈새에 삽입됨에 따라, 그 안쪽단에서 바깥쪽단간의 하향 경사도가 커지고, 그에 따라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바깥쪽단 끝에 형성된 꺽임부(104)는 창틀 상단(400b)의 외표면까지 내려오게 되며, 상기 창틀 상단(400b)보다 외부로 차양처럼 돌출되는 형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와 천정 슬래브(300b) 사이의 틈새에 새로운 백업재(601b)를 밀어넣어 상기 백업재(601b)가 상기 천정 슬래브(300b)에 밀착되는 상태로 틈새를 메우면서,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가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상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턱(101)이 상기 새로운 백업재(601b)의 이탈을 방지해 주게 된다. 또한,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물끊기 턱이 기존의 백업재(600b) 및 코킹재(500b)와 접촉하여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고 마찰력을 크게 하므로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가 그 안쪽단에서 바깥쪽단 쪽으로 그 경사도가 커서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고정 상태를 보강해 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를 고정못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꺽임부(104) 외표면에서 창틀 상단(400b) 쪽으로 고정못(700a)을 체결하여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를 상기 창틀 상단(400b)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공되면, 기존 코킹재(500b)와 백업재(600b)를 제거하지 않고도 창틀누수를 보수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되며, 코킹재를 새로 사용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으므로 향후 코킹재의 부실과 박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창틀누수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창틀 상단(400b)과 천정 슬래브(300b) 사이로 침투하는 빗물은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안쪽단에 형성된 빗물 차단턱(103)에서 빗물을 차단하여 실내로 빗물 등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깥쪽단의 꺽임부(104)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경사진 상태이므로 빗물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쓸려 내려갈 수 있 다.
여기서,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의 또 다른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창틀 상단과 그 위쪽의 천정 슬래브 사이의 틈새가 협소한 경우, 창틀 상단용 보수재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일 시공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안쪽단을 기존 코킹재(500c)를 공업용 칼로 절개시킨 틈새로 집어넣는다. 여기서, 상기 안쪽단에 형성된 빗물 차단턱(103)이 천정 슬래브(300c)에 형성된 물끊기 홈(301c)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창틀 상단(400c)과 그 위쪽의 천정 슬래브(300c) 사이의 틈새가 협소하므로,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는 거의 수평을 이루게 되고, 그 바깥쪽단 끝에 형성된 꺽임부(104)는 상기 창틀 상단(400c)보다 외부로 차양처럼 돌출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창틀 상단(400c)과 그 위쪽의 천정 슬래브(300c) 사이의 틈새가 협소하므로, 별도의 새로운 백업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가 상기 창틀 상단(400c)과 그 위쪽의 천정 슬래브(300c) 사이에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고정 상태를 보강해 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를 고정못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천정 슬래브(300c)쪽으로 고정못(700b)을 체결하여 상기 천정 슬래브(300c)에 고정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공되면, 기존 코킹재(500c)와 백업재(600c)를 제거하지 않고도 창틀누수를 보수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되며, 코킹재를 새로 사용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으므로 향후 코킹재의 부실과 박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창틀누수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창틀 상단(400c)과 천정 슬래브(300c) 사이로 침투하는 빗물은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안쪽단에 형성된 빗물 차단턱(103)에서 빗물을 차단하여 실내로 빗물 등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깥쪽단의 꺽임부(104)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경사진 상태이므로 빗물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쓸려 내려갈 수 있고, 빗물이 상기 창틀 상단용 보수재(100)의 저면을 타고 들어오더라도, 저면에 형성된 물끊기 턱(102)이 타고 들어오는 빗물을 완벽하게 차단해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창틀누수 보수재로서, 창틀 측단과 측부 옹벽 사이 또는 창틀 하단과 하부 옹벽 사이의 틈새의 누수를 보수하는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누수 보수재로서,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2의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는 플라스틱과 같이 얇은 두께의 판체 로 성형된 것으로서, 그 일단에는 꺽임부(202)가 하향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되고, 상면은 평평하며, 저면에는 상기 꺽임부(202)와 평행하도록 복수의 폭 조정 및 물끊기 턱(201)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성형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꺽임부(202)는 그 끝단이 저면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폭 조정 및 물끊기 턱(201)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기의 시공예에서 알 수 있듯이, 창틀 측단(401a)과 측부 옹벽(302a) 사이 또는 창틀 하단(402a,402b)과 하부 옹벽(303a,303b) 사이의 틈새 및 손상된 코킹재의 부분의 길이는 건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는 길이 및 폭 방향을 따라 원하는 길이와 폭으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의 일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6은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를 이용한 창틀 측단의 일 시공예로서, 창틀 측단과 측부 옹벽 사이 틈새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보수하기 위해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를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를 구비하여, 시공 부위에 맞는 크기로 절단하게 되는데, 상기 폭 조정 및 물끊기 턱(201)을 폭을 재는 눈금으로 활용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폭 방향의 절단이 가능하므로 대단히 편리하며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부 옹벽(302a)에 기존에 도색된 페인트에서 나타나는 박리 현상에 의해 코킹재의 접착이 불량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새로 코킹재가 발라질(코킹될) 부분의 측부 옹벽의 페인트를 제거한다. 이와 같은 측부 옹벽의 페인트 제거는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의 절단에 앞서, 먼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시공 부위에 맞는 크기로 절단된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의 일단에 형성된 꺽임부(202)를 창틀 측단(401a) 표면에 밀착시키고, 그 타단을 측부 옹벽(302a)에 밀착시킨다.
이때, 새로운 코킹재(예: 실리콘 접착제)의 시공성을 고려하여,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100)가 측부 옹벽(302a)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꺽임부(202)와 창틀 측단(401a) 표면간의 밀착 부분 및 그 타단과 측부 옹벽(302a)간의 밀착 부분에 각각 새로운 코킹재(501a,501b)를 발라주면, 첨부한 도 6과 같은 시공 완료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의 꺽임부(202)가 상기 창틀 측단(401a)과 접촉하여 밀착되면 창틀 측단(401a)의 표면과 둔각을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이 접촉 면에 각도가 형성됨으로써 코킹 작업이 편리해지고 상기 새로운 코킹재(501b)가 균일하게 발라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꺽임부(202)의 끝단이 저면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날카롭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밀착성이 더욱 우수하다.
이와 같이 시공되면, 기존 코킹재(500d) 및 백업재(600d)를 제거하지 않고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를 덮어씌워 시공하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며,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와 창틀 측단(401a) 및 측부 옹벽(302a) 사이의 밀착 부분에 새롭게 발라져 접착된 코킹재(501a,501b)의 밀폐성이 좋아져 빗물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창틀 측단을 일자형 보수재로 시공한 경우의 코킹 작업을, 본 발명의 상기 일 시공예(도 6)와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와 같이 창틀 측단(401b)과 측부 옹벽(302b) 사이의 틈새를 평평한 판체인 일자형 보수재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자형 보수재가 상기 창틀 측단(401b)과 꺽임 각도가 없이 수평 상태로 밀착되므로, 그 밀착 부분에 코킹재를 바를 때 볼록한 반원형으로 만들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작업효율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코킹된 상태도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의 다른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은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의 다른 시공예로서, 창틀 하단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하부 옹벽(303a)은 난간이 없는 반창(위 부분만 창이고, 아래는 옹벽)에 있어서의 하부 옹벽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를 구비하여, 시공 부위에 맞는 크기로 절단하게 되는데, 상기 폭 조정 및 물끊기 턱(201)을 폭을 재는 눈금으로 활용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폭 방향의 절단이 가능하므로 대단히 편리하며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절단된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의 일단에 형성된 꺽임부(202)를 창틀 하단(402a) 표면에 밀착시키고, 그 타단을 하부 옹벽(303a)에 밀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는 창틀 하단(402a)에 형성된 창틀 배수구(403a)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창틀 배수구(403a)를 가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는 상기 하부 옹벽(303a)보다 외부로 수 센티미터 더 돌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를 타고 내려오는 빗물이 상기 하부 옹벽(303a)에 흐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창틀 배수구(403a)에서 나오는 물에 의해 외벽의 도색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의 꺽임부(202)와 상기 창틀 하단(402a)간의 밀착 부분에 새로운 코킹재(501c)를 발라준다. 이때,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는 상기 꺽임부(202)로 인해 상기 창틀 하단(402a)과 그 접촉면이 오목한 구조로 각도를 이루게 되므로, 코킹 작업이 편리해지고, 상기 새로운 코킹재(501c)가 균일한 상태로 코킹될 수 있으므로 밀폐성이 좋아져 빗물의 창틀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의 고정 상태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의 상면에서 하부 옹벽(303a)쪽으로 고정 못(700c)을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의 또 다른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8은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의 또 다른 시공예로서, 창틀 하단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창틀 하단의 앞쪽에 난간이 있는 전창의 경우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를 구비하여, 시공 부위에 맞는 크기로 절단하게 되는데, 상기 폭 조정 및 물끊기 턱(201)을 폭을 재는 눈금으로 활용하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폭 방향의 절단이 가능하므로 대단히 편리하며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절단된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를 난간 앵글(406)의 끝단에 지지되도록 거치시키되,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의 일단에 형성된 꺽임부(202) 쪽이 난간 기둥(404)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그 타단이 창틀 하단(402b)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가 상기 창틀 하단(402b)에서 상기 난간 앵글(406)의 끝단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는 창틀 하단(402b)에 형성된 창틀 배수구(403b)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창틀 배수구(403b)를 가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는 상기 하부 옹벽(303b)보다 외부로 수 센티미터 더 돌출되게 하여,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를 타고 내려오는 빗물이 상기 하부 옹벽(303b)에 흐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빗물이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의 저면을 타고 들어오더라도, 저면에 형성된 폭 조정 및 물끊기 턱(201)이 타고 들어오는 빗물을 완벽하게 차단해 주게 된다.
이어서,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의 타단, 즉 상기 꺽임부(202)의 반대쪽 끝단과 창틀 하단(402b)간의 밀착 부분에 새로운 코킹재(501d)를 발라준다.
이때,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는 상기 창틀 하단(402b)과 둔각을 이루며 밀착되는데, 이와 같이 각도가 있는 상태에서 코킹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이 편리해지고, 상기 새로운 코킹재(501d)의 밀폐성이 좋아져 빗물의 창틀누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의 고정 상태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창틀 측단 및 하단용 보수재(200)의 상면에서 하부 옹벽(303b)쪽으로 고정못(700d)을 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창틀과 옹벽 사이에 코킹재의 부실로 인하여 박리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기존의 코킹재를 제거하지 않고도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창틀의 상단은 새롭게 코킹재를 바르지 않아도 되고, 창틀의 측단 및 하단과 같이 코킹재를 바르는 경우에도 쉽게 작업이 가능하고 표면의 접착력을 높여 코킹재의 박리가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창틀 누수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틀누수 보수재에는 물끊기 턱, 미끄럼 방지턱, 빗물차단턱, 꺽임부, 폭 조정 및 물끊기 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빗물을 차단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0)

  1. 창틀 상단과 천정 슬래브 사이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며, 판체의 안쪽단이 상기 창틀 상단과 천정 슬래브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는 창틀 상단용 보수재로서,
    상기 판체의 안쪽단에서 위쪽으로 절곡되며 연장 형성된 빗물 차단턱과;
    상기 판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물끊기 턱과;
    상기 판체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미끄럼 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 보수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차단턱은 위쪽으로 수직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 보수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턱은 상기 빗물 차단턱과 평행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 보수재.
  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의 바깥쪽단에는 꺽임부가 하향으로 절곡되며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 보수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68987A 2007-07-10 2007-07-10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867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987A KR100867268B1 (ko) 2007-07-10 2007-07-10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987A KR100867268B1 (ko) 2007-07-10 2007-07-10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960A KR20070079960A (ko) 2007-08-08
KR100867268B1 true KR100867268B1 (ko) 2008-11-06

Family

ID=3860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987A KR100867268B1 (ko) 2007-07-10 2007-07-10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2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257Y1 (ko) 2013-07-08 2015-09-10 박인주 창틀 밑 빗물 가리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771B1 (ko) * 2013-04-29 2013-11-04 (주)칠칠공사 창틀 주변 오염방지와 누수부위 보수용 보수 부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34Y1 (ko) * 2000-12-27 2001-06-15 주식회사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콘크리트 돌출구조물의 물끊기성형부재
KR100719461B1 (ko) * 2004-11-22 2007-05-17 김영철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634Y1 (ko) * 2000-12-27 2001-06-15 주식회사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콘크리트 돌출구조물의 물끊기성형부재
KR100719461B1 (ko) * 2004-11-22 2007-05-17 김영철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257Y1 (ko) 2013-07-08 2015-09-10 박인주 창틀 밑 빗물 가리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960A (ko)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1354B2 (en) Weep screed
US76769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or and window head flashing
US6725617B2 (en) Waterproof deck
US85613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or and window head flashing
US6044600A (en) Retrofit threshold
WO2009032908A1 (en) Deck flashing trim system
WO2003023159A1 (en) Secondary moisture drainage system for structures having pre-manufactured exterior cladding systems
US5305566A (en) Molding system for replacement doors and windows
US20190003241A1 (en) Threshold gasket assembly
KR100867268B1 (ko)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
US20070220818A1 (en) Concrete masonry units window and door flashing and installation
US200500978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water infiltration at window openings
US9238915B2 (en) Asphalt roof shingle sealing device
KR200382106Y1 (ko) 창호시스템
JP2004278224A (ja) 壁面施工アセンブリ,化粧板,化粧板固定部材,目地部材および壁面施工方法
US6073418A (en) Weather resistant chimney cap system
US5974755A (en) Wall patch and repair of basement walls
US20130014449A1 (en) One piece corner fitting
FR2678659A1 (fr) Procede de protection et d&#39;habillage d&#39;une facade de batiment, et batiment correspondant.
JP3920147B2 (ja) サッシ下部の止水構造体
US20080066390A1 (en) Method for preventing clogs in a gutter
US20150267411A1 (en) Asphalt roof shingle sealing device
EP3070226B1 (en) Method of renovation using a roof profile
JPS6040786Y2 (ja) 改装窓枠における雨仕舞構造
JP2017172156A (ja) 雨仕舞構造および雨押さえ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