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257Y1 - 창틀 밑 빗물 가리개 - Google Patents

창틀 밑 빗물 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257Y1
KR200478257Y1 KR2020130005596U KR20130005596U KR200478257Y1 KR 200478257 Y1 KR200478257 Y1 KR 200478257Y1 KR 2020130005596 U KR2020130005596 U KR 2020130005596U KR 20130005596 U KR20130005596 U KR 20130005596U KR 200478257 Y1 KR200478257 Y1 KR 200478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ndow frame
window
window sill
s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229U (ko
Inventor
박인주
Original Assignee
박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주 filed Critical 박인주
Priority to KR2020130005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25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2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2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2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12Metal frames
    • E06B1/18Metal frame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06B1/20Metal frame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이 고정설치된 창턱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창턱의 상부면이 외기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빗물이 직접 침투하지 않도록 하여 창턱의 상부면이 파손되지 않고 창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창틀 밑 빗물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는 창틀이 고정설치된 창턱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창틀 밑 빗물 가리개에 있어서, 판형상으로 폭방향으로 일정 경사를 갖는 가림판과; 가림판의 상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턱과; 가림판의 하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인입된 부분의 하부면에 수직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결합판;으로 구성되어, 고정턱이 창틀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창틀과 맞물려 구성되며, 결합판이 창턱의 외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창틀이 고정설치된 창턱의 상부면에 기존 창틀의 변형이나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창턱의 상부면이 외기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빗물, 직사광선 및 외부 요인에 의하여 창틀과 창턱이 맞닿는 부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균열된 부분으로 누수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등 창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결과로 결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단열 효과를 증대시키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틀 밑 빗물 가리개{Cover for preventing rain of window frame}
본 고안은 창틀 밑 빗물 가리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이 고정설치된 창턱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창턱의 상부면이 외기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빗물이 직접 침투하지 않도록 하여 창턱의 상부면이 파손되지 않고 창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창틀 밑 빗물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호는 창틀의 외측으로 창턱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면, 창턱은 외부에 노출되게 되며 우수 시 빗물이 창턱의 상부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우수뿐만 아니라 직사광선 및 외부 요인에 의하여 창틀과 창턱이 맞닿는 부위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균열과 같은 파손에 의하여 단열 효과가 저감되고, 외부 우수 등에 의하여 실내로 물이 침투될 수 있으므로 하자에 따른 보수작업을 매우 빈번하게 해야 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 등록 제0794457호 "창틀의 오염 방지장치"(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창턱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창틀의 일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고정 홈; 및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중공 사각 형상의 고정구와, 상기 창턱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구의 일측면 하단부에 연장 형성된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의 일측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되 창턱의 일측면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커버의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측면 커버와, 상기 측면 커버의 하부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측면 커버의 내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절곡 형성된 오염방지 턱;으로 구성된 보호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의 오염 방지장치."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창틀을 별도로 가공하여야 결합이 가능하여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등록 제0794457호 "창틀의 오염 방지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틀이 고정설치된 창턱의 상부면에 기존 창틀의 변형이나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창턱의 상부면이 외기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빗물, 직사광선 및 외부 요인에 의하여 창틀과 창턱이 맞닿는 부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균열된 부분으로 누수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등 창틀 밑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창턱 및 벽체의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는 창틀 밑 빗물 가리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창틀이 고정설치된 창턱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창틀 밑 빗물 가리개에 있어서, 판형상으로 폭방향으로 일정 경사를 갖는 가림판과; 가림판의 상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턱과; 가림판의 하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인입된 부분의 하부면에 수직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결합판;으로 구성되어, 고정턱이 창틀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창틀과 맞물려 구성되며, 결합판이 창턱의 외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밑 빗물 가리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가림판, 고정턱 및 결합판은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판은 일정간격으로 결합공이 통공되어 볼트를 결합공에 관통하여 창턱의 외측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밑 빗물 가리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가림판은 폭방향 중앙부가 나뉘어져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구성되며, 하부판의 상단부는 상부로 절곡되어 고리형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하부판의 걸림돌기와 대응하도록 ㄴ자 단면을 갖는 걸림턱을 상부판의 하부면에는 다단으로 결합구성하여, 상부판의 걸림턱에 하부판의 걸림돌기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밑 빗물 가리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부판의 걸림돌기는 외부에 고무재질의 패킹이 끼워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밑 빗물 가리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는 창틀이 고정설치된 창턱의 상부면에 기존 창틀의 변형이나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창턱의 상부면이 외기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빗물, 직사광선 및 외부 요인에 의하여 창틀과 창턱이 맞닿는 부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균열된 부분으로 누수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등 창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창턱 및 벽체의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의 제1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의 제1 실시 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의 제2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의 제2 실시 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창틀의 오염 방지장치를 설치한 창틀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1)는 창틀(50)이 고정설치된 창턱의 상부면(A)에 설치되어, 창턱의 상부면(A)이 외기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빗물이 직접 침투하지 않도록 하여 창턱의 상부면(A)이 파손되지 않고 창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의 제1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1)는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1)는 가림판(10)과 가림판(10)의 상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고정턱(20)과 가림판(10)의 하단부의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판(30)으로 형성된다.
가림판(10)은 창틀(50)이 고정설치된 외벽 창턱의 상부면(A)에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창틀(50)이 설치된 건물 외벽의 창턱은 하향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며, 이와 동일하게 가림판(10)이 창틀에서 외측부로 갈수로 낮아지도록 경사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창틀(50)의 외측면에서부터 건물의 외벽의 외측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가 형성되기 때문에 가림판(10)의 상부에 빗물이 침투하지 않고 외부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가림판(10)의 폭은 창틀(50)의 외측면에서 창턱의 외측면까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가림판(10)의 상단부는 창틀(50)의 일측에 맞물려 결합되고, 하단부는 창턱의 외측면으로 더 돌출하도록 하여 창턱 및 외벽을 외기노출, 우수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턱(20)은 가림판(10)의 상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고정턱(20)은 가림판(10)의 상단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턱의 형상으로 특별한 형상의 제한은 없으나, 고정턱(20)이 창틀(50)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창틀(50)과 맞물려 구성되기 때문에, 창틀(50)의 하단부의 형상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턱(20)은 창틀(50)의 하단부의 하부에서 창틀(5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맞물리도록 하여, 고정턱(20)에 의하여 가림판(10)이 창틀(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시공시에도 별도의 결합부재의 구성 없이도 간단하게 고정턱(20)을 창틀(50)의 하단부와 창턱 사이에 끼워 넣어 고정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시공 결합이 매우 용이하다.
결합판(30)은 가림판(1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결합판(30)은 창턱이 형성된 건물의 외벽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데, 가림판(10)의 하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인입된 부분에 형성되도록 하여, 창턱의 모서리를 보호하도록 하고, 빗물이 외벽으로 바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판(30)에는 일정간격으로 결합공(31)이 통공되도록 하여, 건물 외벽면에 볼트(32)를 결합공(31)에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림판(10), 고정턱(20) 및 결합판(3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개의 부재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의 제1 실시 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1)는 창틀(50)이 고정설치된 창턱의 상부면(A)에 설치된다.
가림판(10)의 상단부는 창턱의 상부면(A)과 창틀(50)의 하부면 사이에 인입되어 고정턱(20)이 창틀(50)과 맞물려 고정되며, 가림판(10)은 창턱의 상부면(A)을 덮도록 구성되고, 결합판(30)은 외벽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의 제2 실시 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의 제2 실시 예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는 폭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폭을 조절할 수 없으나,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가림판(10)을 상부판(11)과 하부판(12)의 두 부재로 나누어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가림판(10)은 폭방향 중앙부가 나뉘어져 상부판(11)과 하부판(1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판(11)과 하부판(12)은 폭조절을 하면서 상호 겹쳐져 결합이 되도록 하여, 창턱의 상부면(A)으로 우수 등이 인입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판(11)의 하단부와 하부판(12)의 상단부가 상호 겹쳐지도록 하되, 상부판(11)의 하단부 하부면이 하부판(12)의 상단부의 상부면에 안착이 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우수가 침투하지 않고 상부판(11) 및 하부판(12)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리도록 한다.
상부판(11)의 하단부의 하부면에는 걸림턱(111)을 형성하도록 하고, 하부판(12)의 상단부에는 걸림돌기(121)를 형성하도록 하여 걸림턱(111)에 걸림돌기(121)가 맞물려 상부판(11)과 하부판(12)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부판(11)에 형성되는 걸림턱(111)은 경사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하부판(12)이 결합되는 위치를 바꾸어 고정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창틀 밑 빗물 가리개(1)의 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걸림돌기(121)는 하부판(12)의 상단부를 상부로 절곡하여 고리형태로 형성하고, 상부판(11)의 걸림턱(111)은 ㄴ자 단면으로 형성되어 개구부가 상부판(11)의 상부를 향하도록 상부판(11)의 하부면에 다단으로 결합되어, 걸림돌기(121)와 맞물려 결합되도록 한다.
걸림돌기(121)의 걸림턱(111)과의 고정시 기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걸림돌기(121)는 외부에 고무재질의 패킹(122)이 끼워져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우수 등이 하부판(12)의 상부면을 따라 창턱의 상부면(A)으로 역류하여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창틀 밑 빗물 가리개는 창틀이 고정설치된 창턱의 상부면(A)에 기존 창틀의 변형이나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창턱의 상부면(A)이 외기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빗물, 직사광선 및 외부 요인에 의하여 창틀과 창턱이 맞닿는 부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균열된 부분으로 누수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등 창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창턱 및 벽체의 오염을 방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창틀 밑 빗물 가리개
10 : 가림판
11 : 상부판
111 : 걸림턱
12 : 하부판
121 : 걸림돌기
122 : 패킹
20 : 고정턱
30 : 결합판
31 : 결합공
32 : 볼트
50 : 창틀
A : 창턱의 상부면

Claims (5)

  1. 창틀(50)이 고정설치된 창턱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창틀 밑 빗물 가리개에 있어서,
    판형상으로 폭방향으로 일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며, 폭방향 중앙부가 나뉘어져 상부판(11)과 하부판(12)으로 구성되며, 하부판(12)의 상단부는 상부로 절곡되어 고리형태의 걸림돌기(121)가 형성되고, 하부판(12)의 걸림돌기(121)는 외부에 고무재질의 패킹(122)이 끼워져 구성되며, 하부판(12)의 걸림돌기(121)와 대응하도록 ㄴ자 단면을 갖는 걸림턱(111)을 상부판(11)의 하부면에는 다단으로 결합구성하여, 상부판(11)의 걸림턱(111)에 하부판(12)의 걸림돌기(121)가 맞물려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림판(10)과;
    가림판(10)의 상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턱(20)과;
    가림판(10)의 하단부에서 일정거리 내측으로 인입된 부분의 하부면에 수직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결합공(31)이 통공되는 결합판(30);으로 구성되어,
    고정턱(20)이 창틀(50)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창틀(50)과 맞물려 구성되며, 결합판(30)을 볼트(32)를 결합공(31)에 관통하여 창턱의 외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밑 빗물 가리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림판(10), 고정턱(20) 및 결합판(30)은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밑 빗물 가리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5596U 2013-07-08 2013-07-08 창틀 밑 빗물 가리개 KR200478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596U KR200478257Y1 (ko) 2013-07-08 2013-07-08 창틀 밑 빗물 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596U KR200478257Y1 (ko) 2013-07-08 2013-07-08 창틀 밑 빗물 가리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29U KR20150000229U (ko) 2015-01-16
KR200478257Y1 true KR200478257Y1 (ko) 2015-09-10

Family

ID=5257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596U KR200478257Y1 (ko) 2013-07-08 2013-07-08 창틀 밑 빗물 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25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457B1 (ko) * 2006-11-20 2008-01-16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창틀의 오염 방지장치
KR100867268B1 (ko) 2007-07-10 2008-11-06 노성석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457B1 (ko) * 2006-11-20 2008-01-16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창틀의 오염 방지장치
KR100867268B1 (ko) 2007-07-10 2008-11-06 노성석 창틀누수 보수재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29U (ko) 201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339B1 (ko) 단열 및 수밀성능이 증가된 pvc 복합 커튼월
US20170040940A1 (en) Integrated Solar Energy Curtain Wall System
US8567141B2 (en) Panel assembly for mounting to the façade of a building
KR101171103B1 (ko) 차양구조물용 몰딩바
KR101778979B1 (ko) 차양구조물의 지붕 마감장치
US20160040477A1 (en) Gazebo Screen Installation System
JP2013124516A (ja) 独立構造体
KR101908937B1 (ko) 차양패널용 몰딩바
KR102200708B1 (ko)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KR102164574B1 (ko) 알루미늄 창의 글레이징 비드
KR200478257Y1 (ko) 창틀 밑 빗물 가리개
KR101877759B1 (ko) 가변형 창호 시스템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KR20090008700U (ko) 착탈식 방충창
JP65431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6872983B2 (ja) 建具の取付構造
JP6445317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およびカーテンウォール
JP4969898B2 (ja) 建物用換気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0725840B1 (ko) 천막의 구조
KR101207212B1 (ko) 건축물의 외장 패널 시공방법
KR101345281B1 (ko) 커튼월
JP6205338B2 (ja) パラペット用換気装置
JP5671372B2 (ja) 窓上防水部材、窓縦枠用蓋部材、窓上防水構造
US20150059993A1 (en) Window treatment mounting system
JP2007040101A (ja) サッシ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