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170B1 -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보호재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보호재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170B1
KR100867170B1 KR1020080041430A KR20080041430A KR100867170B1 KR 100867170 B1 KR100867170 B1 KR 100867170B1 KR 1020080041430 A KR1020080041430 A KR 1020080041430A KR 20080041430 A KR20080041430 A KR 20080041430A KR 100867170 B1 KR100867170 B1 KR 100867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synthetic resin
delete delete
protective material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봉철
김선평
Original Assignee
문봉철
김선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봉철, 김선평 filed Critical 문봉철
Priority to KR102008004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적 환경조건인 강산 및 염소에 노출된 하수처리장 콘크리트 구조물인 수로, 소화조, 저류조, 토출조와 상수도 콘크리트 구조물인 정수장, 염소투입실, 배수지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합성수지 시트를 노출형 앵커볼트 타입, 매립형 앵커너트 타입, U컷팅 무용접 타입의 방법으로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과 열화를 방지하도록 한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수개의 천공홀이 형성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천공홀에 삽입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와셔와; 상기 앵커볼트의 두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Ⅱ);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단계(Ⅲ);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멍에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를 설치하는 단계(Ⅳ);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연결부를 열용접기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와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사이에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단계(Ⅵ)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충전 모르타르, 합성수지 시트,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Description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및 이의 시공방법{The concrete structure protective material for which filling mortar and synthetic resin sheet were used and this construction technique}
본 발명은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산과 염소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과 열화 방지를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및 이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 및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 처리용 수조, 수로 또는 대용량 탱크류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물 또는 약품의 침투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이러한 균열은 물 또는 약품의 누수 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벽을 소정의 재료를 이용하여 라이닝 한다.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 라이닝 방법으로 타일을 이용한 라이닝 방법이 제안된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벽에 타일을 이용하여 라이닝 하는 방법으로서, 일정한 크기의 타일을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벽에 부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타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라이닝 방법은 수돗물의 염소 성분으로 인해 타일이 부식됨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되어, 위생에 치명적일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학적 환경조건인 강산 및 염소에 노출된 하수처리장 콘크리트 구조물인 수로, 소화조, 저류조, 토출조와 상수도 콘크리트 구조물인 정수장, 염소투입실, 배수지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에 합성수지 시트를 노출형 앵커볼트 타입, 매립형 앵커너트 타입, U컷팅 무용접 타입의 방법으로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과 열화를 방지하도록 한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수개의 천공홀이 형성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천공홀에 삽입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와셔와; 상기 앵커볼트의 두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Ⅱ);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단계(Ⅲ);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멍에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를 설치하는 단계(Ⅳ);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연결부를 합성수지 용접봉과 열용접기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와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사이에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단계(Ⅵ)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및 이의 시공방법은 합성수지 시트를 노출형 앵커볼트 타입, 매립형 앵커너트 타입, U컷팅 무용접 타입의 방법으로 설치함으로써, 화학적 환경조건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청소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화학적 환경조건인 강산 및 염소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초기 상태와 같이, 장기간 유지관리가 가능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노후 상태에 적절하게 가공된 것을 사용하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는 합성수지 시트(10, 30, 50)와 고정수단(20, 4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콘크리트 구조물(C)에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은 합성수지 시트(10, 30, 50)를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노출형 앵커볼트 타입, 매립형 앵커너트 타입, U컷팅 무용접 타입의 방법으로 구분하여 설치 및 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시공 대상인 노후 콘크리트 구조물(C)에 대해서는 전처리공정을 시행한다.
즉, 사용중인 하수처리장 상수도 구조물의 경우 이물질인 강산 및 염소 등이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에 묻어 있고, 일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침투되어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철근부식 및 수명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는 중성화시험과 염분시험 및 철근부식도 측정을 통해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중 산 및 염소 중성화현상이 나타나는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일정한 깊이로 치핑하여, 철근 녹 제거를 한 후, 방청제를 사용해서 철근 방청을 한다.
이후,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붙은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표면이 박리 되거나 탈락된 경우에는 그 깊이에 따라 바탕 만들기(단면복구)를 실시한다.
이러한 바탕 만들기는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치핑한 경우에는 폴리 머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충전하고, 그라인딩 한 경우에는 에폭시수지 또는 수지모르타르(에폭시+규사)를 사용한다.
바탕 만들기를 시행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를 설치한 후, 별도로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박리나 탈락으로 인한 배면 충전을 할 필요가 없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1실시예의 시트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수개의 천공홀(12)이 형성되는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천공홀(12)에 삽입되는 앵커볼트(22)와, 상기 앵커볼트(22)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와셔(24)와; 상기 앵커볼트(22)의 두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26)로 구성되는 고정수단(2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 물 보호재(P)는 시트(10)와 고정수단(2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시트(10)는 사각형, 삼각형, L형, ㄷ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외부가 관통되게 다수개의 천공홀(12)이 형성되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0)은 앵커볼트(22), 와셔(24), 너트(26), 커버(28)로 구성되며, 이들 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20)은 앵커볼트(22), 와셔(24), 합성수지 재질의 커버 겸용 너트(27)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너트(26)에는 그 외부를 덮음과 동시에 시트(10)에 용접 접합되는 커버(28)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커버(28)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추형, 삼각형, L형, ㄷ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1실시예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1실시예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에 다수개의 구멍(H)을 천공하는 단계(Ⅱ);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단계(Ⅲ);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구멍(H)에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를 설치하는 단계(Ⅳ);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의 연결부를 합성수지 용접봉과 열용접기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와 콘크리트 구조물(C)과의 사이에 모르타르(M)를 충전하는 단계(Ⅵ)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단계(Ⅰ)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로서,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C)과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와를 일체화 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C)의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바탕면 전처리 단계이다.
또한, 상기 단계(Ⅱ)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다수개의 구멍(H)을 천공하는 단계로서, 합성수지 노출 앵커볼트(22)의 설치 위치를 감안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에 다수개의 구멍(H)을 천공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Ⅲ)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에 붙은 먼지나 이물질 등을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한 물 분사를 통해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단계(Ⅳ)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구멍(H)에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를 설치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 구조물(C)의 구멍(H)에 합성수지 노출 앵 커볼트(22)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구조물(C)을 실측하여 합성수지 시트(10)를 일정한 규격으로 가공한 후, 상기 합성수지 노출 앵커볼트(22)에 시트(10)의 천공홀(12)를 일치시켜 설치하고, 상기 합성수지 노출 앵커볼트(22)에 합성수지 와셔(24)와 합성수지 너트(26)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고정한 후, 상기 합성수지 너트(2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합성수지 너트(26)를 합성수지 커버(28)로 차폐시킨 상태에서 상기 합성수지 커버(28)를 합성수지 시트(10)에 합성수지 용접봉과 열용접기를 사용하여 용접한다.
또는 상기 합성수지 너트(26)와 합성수지 커버(28) 및 합성수지 용접 대신에 합성수지 노출 앵커볼트(22)에 바로 커버 겸용 너트(27)로 고정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에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수개의 천공홀(12)이 형성되는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천공홀(12)에 삽입되는 앵커볼트(22)와, 상기 앵커볼트(22)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와셔(24)와; 상기 앵커볼트(22)의 두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26)로 구성되는 고정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10)와 고정수단(20)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10)는 사각형, 삼각형, L형, ㄷ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너트(26)는 합성수지 재질의 커버 겸용 너트(27)로 구성된다.
상기 너트(26)에는 그 외부를 덮음과 동시에 시트(10)에 용접 접합되는 커버(28)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28)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추형, 삼각형, L형, ㄷ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단계(Ⅴ)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부착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의 연결부를 합성수지 용접봉과 열용접기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단계(Ⅵ)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와 콘크리트 구조물(C)과의 사이에 모르타르(M)를 충전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의 합성수지 시트(10)와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C) 간에 탈락 및 박리부분이 큰 경우에는 폴리머 모르타르를 사용하고, 작을 경우에는 수지모르타르, 에폭시수지 등을 사용하여 충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모르타르(M) 충전은 콘크리트 구조물(C)이 요철로 인하여 공극이 발생된 경우에만 실시하고, 콘크리트 구조물(C)이 평활면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모르타르(M) 충전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최종으로 현장 청소 및 폐기물, 자재, 공구를 반출하는 현장 뒷정리를 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2실시예의 시트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2실시예의 매입앵커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시트(30)와; 상기 시트(30)의 좌우측면에 상하로 용접 설치되는 피스(42)와, 상기 피스(42)가 끼워지는 매립앵커너트(44)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4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는 시트(30)와 고정수단(4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시트(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각형, 삼각형, L형, ㄷ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40)은 피스(42), 매립앵커너트(44)로 구성되며, 이들 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42)는 유선형, 반유선형, 반원형 중의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매립앵커너트(44)는 전체적으로 외관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은 이에 삽입되는 피스(42)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유선형, 반유선형, 반원형 중의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매립앵커너트(44)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좌우가 분할되도록 격벽(45)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45)의 좌우에 일측 시트(30)의 피스(42)와 타측 시트(30)의 피스(42)가 각각 삽입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2실시예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2실시예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에 다수개의 구멍(H)을 천공하는 단계(Ⅱ);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단계(Ⅲ);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구멍(H)에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를 설치하는 단계(Ⅳ);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의 연결부를 합성수지 용접봉과 열용접기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와 콘크리트 구조물(C)과의 사이에 모르타르(M)를 충전하는 단계(Ⅵ)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단계(Ⅰ)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로서,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C)과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와를 일체화 되 도록 콘크리트 구조물(C)의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바탕면 전처리 단계이다.
또한, 상기 단계(Ⅱ)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다수개의 구멍(H)을 천공하는 단계로서, 합성수지 매립앵커너트(44)의 설치 위치를 감안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에 다수개의 구멍(H)을 천공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Ⅲ)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에 붙은 먼지나 이물질 등을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한 물 분사를 통해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단계(Ⅳ)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구멍(H)에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를 설치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 구조물(C)의 구멍(H)에 합성수지 매립앵커너트(44)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구조물(C)을 실측하여 합성수지 시트(30)를 일정한 규격으로 가공한 후, 상기 합성수지 매립앵커너트(44)에 합성수지 시트(30)의 배면에 부착된 피스(42)를 일치시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를 설치한다.
또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좌우가 분할되도록 격벽(45)이 형성된 매립앵커너트(44)의 좌우 삽입홀에 일측 시트(30)의 피스(42)와 타측 시트(30)의 피스(42)를 삽입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를 콘크리트 구조물(C)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시트(30)와; 상기 시트(30)의 좌우측면에 상하로 용접 설치되는 피스(42)와, 상기 피스(42)가 끼워지는 매립앵커너트(44)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30)와 고정수단(40)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30)는 사각형, 삼각형, L형, ㄷ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42)는 유선형, 반유선형, 반원형 중의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매립앵커너트(44)는 전체적으로 외관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은 이에 삽입되는 피스(42)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유선형, 반유선형, 반원형 중의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매립앵커너트(44)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좌우가 분할되도록 격벽(45)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45)의 좌우에 일측 시트(30)의 피스(42)와 타측 시트(30)의 피스(42)가 각각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매립앵커너트(44)의 가공은 주물로 금형을 제작하여 생산하되, 한 개의 매립앵커너트(44)에 가운데 격벽(45)을 기준으로 좌우에 두 개의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홀에 시트(30)의 피스(42)와 타측 시트(30)의 피스(42)가 각각 삽입 설치된다.
한편, 상기 단계(Ⅴ)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부착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의 연결부를 합성수지 용접봉과 열용접기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단계(Ⅵ)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와 콘크리트 구조물(C)과의 사이에 모르타르(M)를 충전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의 합성수지 시트(30)와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C) 간에 탈락 및 박리부분이 큰 경우에는 폴리머 모르타르를 사용하고, 작을 경우에는 수지모르타르, 에폭시수지 등을 사용하여 충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모르타르(M) 충전은 콘크리트 구조물(C)이 요철로 인하여 공극이 발생된 경우에만 실시하고, 콘크리트 구조물(C)이 평활면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모르타르(M) 충전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최종으로 현장 청소 및 폐기물, 자재, 공구를 반출하는 현장 뒷정리를 한다.
[실시예 3]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3실시예의 시트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시트(50)와, 상기 시트(50)의 일측이 하향으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날개부(52)와, 상기 시트(50)의 타측이 하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꺾여지는 연결부(54)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시트(50)를 좌우를 각각 절곡하여 날개부(52)와 연결부(54)가 형성된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시트(50)는 설치대상 콘크리트 구조물(C)의 단면 형상에 따라 사각형, 삼각형, L형, ㄷ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날개부(52)와 연결부(54)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콘크리트 보호재(P)를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3실시예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에 일정한 간격으로 커팅기를 사용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Ⅱ);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단계(Ⅲ);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부위(R)에 접착제(B)를 충전하는 단계(Ⅳ); 상기 접착제(B)가 충전된 콘크리트 구조물(C)의 절단부위(R)에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와 콘크리트 구조물(C)과의 사이에 모르타르(M)를 충전하는 단계(Ⅵ)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단계(Ⅰ)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로서,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C)과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와를 일체화 되 도록 콘크리트 구조물(C)의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바탕면 전처리 단계이다.
또한, 상기 단계(Ⅱ)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일정한 간격으로 커팅기를 사용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 구조물(C)에 일정한 간격으로 커팅기를 사용하여 U자 또는 V자 형상으로 절단부위(R)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Ⅲ)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에 붙은 먼지나 이물질 등을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한 물 분사를 통해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단계(Ⅳ)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절단부위(R)에 접착제(B)를 충전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 구조물(C)의 절단부위(C)에 충전기 및 헤라 등을 사용하여 합성수지 탄성 접착제(B)를 충전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Ⅴ)는 합성수지 탄성 접착제(B)가 충전된 콘크리트 구조물(C)의 절단부위(R)에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 구조물(C)의 절단부위(R)에 합성수지 탄성 접착제(B)가 충전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를 설치하되,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의 시트(50)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벽체에 부착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절단부위(R)에 각각 직각의 날개부(52)와 U형의 연결부(54)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시트(50)는 설치대상 콘크리트 구조물(C)의 단면형상에 따라 사각형, 삼각형, L형, ㄷ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계(Ⅵ)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와 콘크리트 구조물(C)과의 사이에 모르타르(M)를 충전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의 합성수 지 시트(50)와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C) 간에 탈락 및 박리부분이 큰 경우에는 폴리머 모르타르를 사용하고, 작을 경우에는 수지모르타르, 에폭시수지 등을 사용하여 충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모르타르(M) 충전은 콘크리트 구조물(C)이 요철로 인하여 공극이 발생된 경우에만 실시하고, 콘크리트 구조물(C)이 평활면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모르타르(M) 충전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최종으로 현장 청소 및 폐기물, 자재, 공구를 반출하는 현장 뒷정리를 한다.
특히,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C)에 U커팅을 실시하여 절단부위(R)를 형성하고, 상기 절단부위(R)에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와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를 서로 결합되게 가공 설치하여 연결부를 다른 실시예와 같이 용접하지 않고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1실시예의 시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1실시예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1실시예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2실시예의 시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2실시예의 매입앵커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2실시예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2실시예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3실시예의 시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의 제3실시예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트 12: 천공홀
20: 고정수단 22: 앵커볼트
24: 와셔 26: 너트
27: 커버 겸용 너트 28: 커버
30: 시트 40: 고정수단
42: 피스 44: 매립앵커너트
45: 격벽 50: 시트
52: 날개부 54: 연결부
B: 접착제 C: 콘크리트 구조물
H: 구멍 M: 모르타르
P: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R: 절단부위

Claims (3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시트(50)와,
    상기 시트(50)의 일측이 하향으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날개부(52)와,
    상기 시트(50)의 타측이 하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꺾여지는 연결부(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50)는 사각형, 삼각형, L형, ㄷ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그라인딩 처리하는 단계(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에 일정한 간격으로 커팅기를 사용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Ⅱ);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표면을 고압수 세정기를 이용하여 세정하는 단계(Ⅲ);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부위(R)에 접착제(B)를 충전하는 단계(Ⅳ);
    상기 접착제(B)가 충전된 콘크리트 구조물(C)의 절단부위(R)에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시트(50)와, 상기 시트(50)의 일측이 하향으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날개부(52)와, 상기 시트(50)의 타측이 하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상향으로 꺾여지는 연결부(54)로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를 삽입 설치하는 단계(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P)와 콘크리트 구조물(C)과의 사이에 모르타르(M)를 충전하는 단계(Ⅵ)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Ⅱ)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일정한 간격으로 커팅기를 사용하여 U자 또는 V자 형상으로 절단부위(R)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
  33. 삭제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50)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
  35.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50)는 사각형, 삼각형, L형, ㄷ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
  36.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B)는 합성수지 탄성 접착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
  37.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M)는 폴리머 모르타르, 수지모르타르, 에폭시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재 시공방법.
KR1020080041430A 2008-05-02 2008-05-02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보호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6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430A KR100867170B1 (ko) 2008-05-02 2008-05-02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보호재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430A KR100867170B1 (ko) 2008-05-02 2008-05-02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보호재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170B1 true KR100867170B1 (ko) 2008-11-06

Family

ID=4028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430A KR100867170B1 (ko) 2008-05-02 2008-05-02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보호재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987B1 (ko) 2015-12-24 2016-07-08 김원희 열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614Y1 (ko) * 2000-01-14 2000-08-16 이옥신 고강도 투명 레진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구조
KR20040052589A (ko) * 2004-04-08 2004-06-23 (주)영광산업개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을 위한 패널과 이를 이용한보수보강 방법
KR200404731Y1 (ko) * 2005-10-18 2005-12-27 봉종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방지용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614Y1 (ko) * 2000-01-14 2000-08-16 이옥신 고강도 투명 레진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구조
KR20040052589A (ko) * 2004-04-08 2004-06-23 (주)영광산업개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을 위한 패널과 이를 이용한보수보강 방법
KR100697341B1 (ko) * 2004-04-08 2007-03-26 (주)엘림인더스트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을 위한 패널과 이를 이용한보수보강 방법
KR200404731Y1 (ko) * 2005-10-18 2005-12-27 봉종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방지용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987B1 (ko) 2015-12-24 2016-07-08 김원희 열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01517B (zh) 一种预制多孔板砖混合结构的校舍体外加固加强方法
CN103074905A (zh) 后置可替换式地下室变形缝防水装置及其安装方法
KR10175239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 이음부 및 균열부의 누수 유도 공법
KR100867170B1 (ko) 충전 모르타르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보호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64697B1 (ko) 콘크리트 물탱크의 배수시스템
CN203034493U (zh) 后置可替换式地下室变形缝防水装置
KR10069165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를 위한 우산살 앵커 및이를 이용한 파단면 보수공법
KR200368757Y1 (ko) 상수도관의 보호장치
KR20050034978A (ko) 평면, 곡면 및 각형 구조물 방수 겸 보수보강공법
CN211898410U (zh) 一种放坡土钉墙复合面层支护结构
CN210563409U (zh) 一种临墙吊洞施工结构
KR200469296Y1 (ko) 상수용 저수조 내벽 마감구조
KR100452622B1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
KR101466644B1 (ko) 건축물의 옥상바닥 시공방법
CN107401216B (zh) 一种房屋地下室防水施工方法
KR101215875B1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저류조와 그의 제조 방법
JP2008106598A (ja) 防水構造物の改修方法
JP2011058169A (ja) ドレインの設置方法及びドレイン構造
KR100582985B1 (ko) 맨홀의 보강 구조물
KR20220150698A (ko) 탱크 하부 빗물 유입 방지 방법 및 구조
CN215802143U (zh) 一种二次排水止水结构
CN216446212U (zh) 一种建筑顶板无痕暗排水结构
CN219011910U (zh) 一种地下外墙止水翼环套管加强防水模板体系
KR200218984Y1 (ko) 엠보싱 방수패드
CN215715588U (zh) 一种处理水工建筑物裂缝的防渗密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