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010B1 -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010B1
KR100867010B1 KR20060040500A KR20060040500A KR100867010B1 KR 100867010 B1 KR100867010 B1 KR 100867010B1 KR 20060040500 A KR20060040500 A KR 20060040500A KR 20060040500 A KR20060040500 A KR 20060040500A KR 100867010 B1 KR100867010 B1 KR 10086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scrap
rubber scrap
sheet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40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925A (ko
Inventor
양갑선
Original Assignee
양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갑선 filed Critical 양갑선
Priority to KR20060040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010B1/ko
Publication of KR2007010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05Direct recuperation and re-use of scrap material during moulding operation, i.e. feed-back of us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4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plates o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01F13/065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specially adapted for individual parking sp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2Upright or projecting signs or signals permanently installed directly on or in the roadway and designed to be depressed by rolling or other loads and then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e.g. collapsible or rockable stop signs,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for audible war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또는 산업용 벨트의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미가류 상태의 고무 스크랩 덩어리를 소정 크기의 고무 스크랩 입자로 분쇄한 후 판상 쉬트로 제조하여 이를 사용하여 성형 및 가류 함으로써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을 포함하는 기계적 강도와 내후성을 포함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가류 고무 스크랩, 타이어, 산업용 벨트, 과속방지턱, 주차블록

Description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Rubber Structure using Rubber Scrap comprised Cord Ya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인 과속방지턱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타이어 또는 산업용 벨트의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미가류 상태의 고무 스크랩 덩어리를 소정 크기의 고무 스크랩 입자로 분쇄한 후 판상 쉬트로 제조하여 이를 사용하여 성형 및 가류 함으로써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을 포함하는 기계적 강도와 내후성을 포함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단지 또는 대형백화점 등의 주차장에는 일정한 주차구역 이 정해져 있고, 개별 주차 구역의 일정 영역에는 주차 블록이 설치된다. 이러한 주차 블록은 자동차의 주차 위치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주차 과정에서의 차량 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주택가 도로와 같은 차량의 과속을 방지해야 하는 도로에는 차량의 과속 주행을 방지하기 위한 과속방지턱이 설치된다.
종래의 주차 블록 또는 과속방지턱과 같이 고기능을 요하지 않는 고무블록 제품은 일반적으로 재생고무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상기 재생고무는 폐타이어와 같이 일정 기간 사용된 고무 제품을 절단 또는 분쇄하고 첨가제를 첨가하여 연화시켜 재생한 후 미가류 고무를 추가로 혼합한 고무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재생 과정은 첨가제를 포함하는 유기 약품과 오일 등을 투입하고 일정한 압력과 온도 하에서 수 시간 동안 가열하여 진행되므로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어 재생비용이 과다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재생고무는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을 포함하는 기계적 특성이 낮으며, 내후성을 포함하는 내구성능이 떨어져 사용 중에 조기에 파손되거나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은 타이어 또는 산업용 벨트의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미가류 상태의 고무 스크랩 덩어리를 소정 크기의 고무 스크랩 입자로 분쇄한 후 판상 쉬트로 제조하여 이를 사용하여 성형 및 가류 함으로써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을 포함하는 기계적 강도와 내후성을 포함하는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은 타이어 또는 산업용 벨트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미가류 상태의 고무 스크랩 덩어리가 5mm 내지 50mm의 고무 스크랩 입자로 분쇄되어 스코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혼합되며, 판상 쉬트로 성형된 후에 가압 가열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코드사가 전체 중량비로 40% 내지 60%로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무 구조물은 과속방지턱 또는 주차블록일 수 있다. 상기 과속방지턱 또는 주차블록은 상면에 빗살무늬를 포함하는 소정 형상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제조방법은 타이어 또는 산업용 벨트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미가류 상태의 고무 스크랩 덩어리를 5mm 내지 50mm 크기의 고무 스크랩 입자로 분쇄하는 고무 스크랩 분쇄단계와, 스코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를 40 내지 80℃의 온도로 유지하며 혼합하는 고무 스크랩 입자 혼합단계와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를 판상 쉬트로 성형하는 판상 쉬트 성형단계 및 상기 판상 쉬트를 고무 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금형에 충진하고 1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30분간 성형하면서 가류하는 고무 구조물 성형 및 가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판상 쉬트 성형단계 후에 상기 판상 쉬트를 고무 구조 물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재단 쉬트로 절단하는 판상 쉬트 재단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무 구조물 성형 및 가류단계는 상기 재단 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무 구조물 성형 및 가류단계에서 사용되는 금형은 내면에 소정 형상의 무늬가 형성되어 상기 고무 구조물의 표면에 대응되는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구조물은 과속방지턱 또는 주차블록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의 하나인 과속방지턱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구조물의 하나인 과속방지턱(10)은, 도 1을 참조하면,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면서 중앙부분이 주위부분에 비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과속방지턱(10)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면 삼각형상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과속방지턱(10)은 상면에 빗살무늬(12)와 같은 무늬가 형성되어 내부에 포함되는 코드지가 표면으로 노출되어도 전체적으로 균일한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속방지턱(10)의 빗살무늬(12)는 상면의 마찰특성을 향상시키고, 상면에 존재하는 물이 도로로 흘러가도록 하여 마찰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과속방지턱(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무늬는 빗살 무늬(12)에 한정하지 않으며 타이어의 표면에 형성되는 다양한 무늬를 포함하는 다양한 무늬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과속방지턱(10)은 자동차 타이어 또는 산업용 벨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원재료로 하여 제조된다.
상기 자동차 타이어는 공기 압력에 견디고 충격을 유지하는 완충작용을 담당해야 하므로, 사이드월(side wall) 부분은 내구성과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코드사가 함께 포함되어 형성된다. 상기 코드사는 나일론, 레이욘,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에 고무가 코팅되어 형성되며, 상기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가 적층되어 사이드월을 형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차 타이어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다. 먼저, 타이어를 구성하는 트레드부, 사이드월부, 벨트 등 각 부위에 사용되는 고무 쉬트가 별도로 제작되어 규격에 맞추어 재단된 후 함께 성형되어 타이어 형상으로 제조된다. 성형된 자동차 타이어는 가류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다. 이때 사이드월부를 형성하는 고무쉬트는 고무 및 표면에 고무가 코팅된 나일론, 레이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코드사가 함께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무 쉬트는 통상 코드사가 중량비로 고무쉬트 전체에 대하여 40% 내지 60%로 포함된다. 상기 고무쉬트가 사이드월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되는 과정에서 코드사가 포함된 고무 스크랩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과속방지턱(10)은 타이어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무 스크랩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예전에는 이러한 고무 스크랩을 전량 폐기하였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 또는 브이 벨트와 같은 산업용 벨트는 탄성고무의 내부에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코드가 배치되고 그 위에 커버고무가 피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산업용 벨트는 탄성고무의 내부에 코드사를 삽입한 후에 소정 규격으로 재단하여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산업용 벨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도 코드사가 내부에 포함된 고무 스크랩이 발생된다. 상기 산업용 벨트는 탄성고무와 코드사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코드사가 40% 내지 60%로 포함되어 형성된다.
상기 코드사가 포함된 고무 스크랩은 타이어 또는 산업용 벨트의 제조과정 중에서 가류 과정이 진행되기 전에 발생되므로 미가류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과속방지턱(10)은 미가류 상태의 고무 스크랩을 원재료로 하여 성형된 후에 가류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기 과속방지턱(10)은 코드사가 전체에 대한 중량비로 40% 내지 60%로 포함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과속방지턱(10)은 재생고무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내후성을 포함하는 내구 특성이 좋게 된다. 또한, 상기 과속방지턱(10)은 내부에 코드사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인장강도, 내마모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 구조물은 과속방지턱 외에도 주차블록과 같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블록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대략 사각블럭 형상으로 형성되며, 인장강도와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중요하게 된다. 상기 주차블록은 타이어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미가류 상태의 고무 스크랩을 사용하므로 타이어와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갖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제조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의 제조방법은, 도 2를 참조하면, 고무 스크랩 분쇄단계(S10)와 고무 스크랩 입자 혼합단계(S20)와 판상 쉬트 성형단계(S30)와 고무 구조물 성형 및 가류단계(S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의 제조방법은 판상 쉬트 재단단계(S35)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은 타이어 또는 산업용 벨트의 주성분인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 재질이며, 합성고무로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 SBR)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사는 나일론, 레이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섬유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 스크랩 분쇄단계(S10)는 고무 스크랩 덩어리를 소정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무 스크랩은 타이어 또는 산업용 벨트 제조과정의 재단 과정에서 조각으로 발생되며, 수집과정에서 서로 붙어 덩어리를 이루게 된다. 상기 고무 스크랩 덩어리는 내부에 코드사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고무 스크랩 덩어리는 그대로 판상쉬트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없으며 적정한 크기로 분쇄되어야 한다. 상기 고무 스크랩 덩어리는 5 내지 50mm의 크기를 갖는 입자로 분쇄되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mm의 크기를 갖는 입자로 분쇄된다.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의 크기가 5mm보다 작게 되면 분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분쇄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고무 스크랩이 부분적으로 스코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의 크기가 50mm보다 크게 되면 이후에 진행되는 고무 스크랩 입자 혼합단계와 판상 쉬트 성형단계에서 고무 스크랩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사가 서로 얽혀 고무 스크랩 입자의 흐름을 방해하여 성형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의 크기가 5 mm 내지 10mm의 범위에 있게 되면, 고무 스크랩 입자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고무 스크랩 입자 혼합 단계와 판상 쉬트 성형단계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스크랩 덩어리를 분쇄하는 분쇄기로는 해머식, 커팅식, 맷돌식과 같은 분쇄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커터밀, 볼밀과 같은 분쇄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 혼합단계(S20)는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무 스크랩은 생산 로드 별로 또는 사용되는 제품에 따라 각각 성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다수의 고무 스크랩으로 분쇄되어 만들어지는 고무 스크랩 입자간에는 성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를 혼합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 고무 구조물에서 전체적으로 고무 특성을 균일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 혼합단계(S20)는 대략 3분에서 10분 정도의 시간동안 혼합된다. 상기 혼합 시간이 작게 되면 충분히 혼합되지 않으며, 혼합 시간이 길게 되면 열이 발생되어 부분적으로 스코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 혼합단계(S20)는 각 고무 스크랩에서 분쇄된 고무 스크랩 입자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특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의 혼합은 고무 입자를 혼합하는 일반적인 혼합기를 사용하여 진행된다. 한편,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는 미가류 상태의 고무 입자이므로 혼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스코치(scorch)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의 혼합과정에서 스코치가 발생되는 경우에 고무의 흐름성이 떨어져서 최종 제품의 외관에 불량이 발생되며 동시에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 혼합단계(S20)는 고무 스크랩 입자를 고무 스크랩의 가류온도 이하의 소정 온도로 냉각하면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는 고무 스크랩의 가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인 40 내지 80℃의 온도로 유지되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의 온도가 40℃보다 낮게 되면 냉각효과는 작으면서 상대적으로 비용이 상승된다.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의 온도가 80℃보다 높게 되면 전체적으로는 가류 온도보다는 낮지만, 부분적으로는 가류 온도까지 상승하여 국부적인 가류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의 온도는 혼합 속도와 시간에 따라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 혼합단계(S20)는 고무 구조물의 제조공정에서 필요한 경우나 고무 구조물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첨가제를 더 추가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판상 쉬트 성형단계(S30)는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를 판상으로 연신 및 냉각하여 소정 크기의 판상 쉬트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판상 쉬트 성형단계(S30)는 고무 스크랩 입자의 재질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롤러를 사용한 쉬트 성형과정에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는 성형 과정을 통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상 쉬트로 형성된다.
상기 판상 쉬트 재단단계(S35)는 고무 구조물의 형상을 고려하여 적정한 형상으로 판상 쉬트를 재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판상 쉬트는 바람직하게는 고무 구조물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된 재단 쉬트가 금형에 안착되어 성형된다.
상기 고무 구조물 성형 및 가류단계(S40)는 상기 재단된 판상 쉬트를 고무 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금형에 충진하고 성형하면서 가류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무 구조물 성형 및 가류단계(S40)는 판상 쉬트의 고무 재질과 첨가제에 따라 적정한 온도에서 수행되며, 120 내지 200℃의 가류온도에서 10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된다. 상기 가류온도가 120℃보다 낮게 되면 가류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고무 구조물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가류온도가 200℃보다 높게 되면 가류가 너무 많이 되거나 고무가 다시 연해지는 리버젼(reversion)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고무 구조물의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가류가 진행되는 시간이 10분보다 작게 되면 가류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고무 구조물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가류가 진행되는 시간이 30분보다 길게 되면, 가류가 너무 많이 되거나 고무가 다시 연해지는 리버젼(reversion)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고무 구조물의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고무 구조물 성형 및 가류단계(S40)는 타이어 또는 산업용 벨트의 제조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무 구조물을 성형하는 금형은 내면에 일정 무늬를 형성하여 고무 구조물의 표면에 무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고무 구조물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사가 고무 구조물의 표면에 노출되더라도 식별이 용이하지 않게 되므로 고무 구조물의 전체적인 외관을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금형에 형성되는 무늬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거나, 부식에 의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무 구조물의 무늬는 고무 구조물의 용도와 관련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무 구조물이 과속방지턱인 경우에 빗살무늬와 같은 무늬를 상면에 형성하여 상면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는 배수기능과 마찰력을 높이는 기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의 제조방법에 의한 고무 구조물은 내부에 코드사가 충전체로서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인장강도를 포함하는 기계적 강도와 내마모성을 증가된다. 또한, 상기 고무 구조물은 미가류 상태의 고무 스크랩으로부터 성형 및 가류되어 제조되므로 타이어나 산업용 벨트가 갖는 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무 구조물은 내후성과 같은 내구 특성이 재생고무를 사용한 경우보다 매우 양호하게 된다. 상기 고무 구조물은 내후 성과 내마모성 및 기계적 강도를 필요로 하는 과속방지턱 또는 주차블록과 같은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며, 다만 여기서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타이어 생산과정에서 발생된 코드지가 포함된 미가류 고무 스크랩 덩어리를 대략 평균치가 6mm 크기의 고무 스크랩 입자로 분쇄하였다. 상기 미가류 고무 스크랩 덩어리는 재질이 스티렌부타디엔고무가 주성분이며, 내부에 폴리에스테르 코드사가 대략 45% 정도로 적층되어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를 상온에서 50도 온도의 범위로 유지하면서 10분 정도 혼합을 하였다. 혼합된 고무 스크랩 입자는 스코치가 발생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혼합된 고무 스크랩 입자는 판상 쉬트로 성형하였으며 상기 판상 쉬트는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에 대응되는 재단 쉬트로 절단하였다. 상기 재단 쉬트를 금형에 충진하고 140℃ 내지 150℃의 온도에서 20분간 성형 및 가류를 통하여 과속방지턱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금형은 내면에 빗살무늬가 형성되며, 과속방지턱은 표면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코드사에 관계없이 균일한 외관으로 형성되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과속방지턱은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을 포함하는 기계적 특성과 내후성을 포함하는 내구성이 타이어의 물성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때, 상 기 타이어는 실시예1의 고무 스크랩을 제공하는 타이어이다.
<실시예2>
상기 고무 스크랩 덩어리를 대략 평균치가 9mm 크기의 고무 스크랩 입자로 분쇄하였다. 상기 미가류 고무 스크랩 덩어리는 재질이 천연고무와 스티렌부타디엔고무가 혼합된 고무이며, 내부에 폴리에스테르 코드사가 대략 55% 정도로 적층되어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를 60 내지 80도 온도의 범위로 유지하면서 5분 정도 혼합을 하였다. 상기 과속방지턱은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로 형성된 판상 쉬트를 금형에 충진하고 14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성형 및 가류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과속방지턱은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을 포함하는 기계적 특성과 내후성을 포함하는 내구성이 타이어의 물성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 이의 제 조방법에 따르면 타이어나 산업용 벨트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고무 스크랩을 사용함으로써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 구조물은 미가류 상태의 고무 스크랩이 입자로 분쇄 및 혼합되어 사용됨으로써 고무의 제반 성분과 코드사가 균일한 분포를 갖게 되며, 특성이 전체적으로 균일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 구조물은 미가류 상태의 고무 스크랩을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후성과 같은 물성에서 타이어나 산업용 벨트와 동일한 특성을 갖으며 재생고무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우수한 물성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타이어 또는 산업용 벨트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미가류 상태의 고무 스크랩 덩어리가 5mm 내지 50mm의 고무 스크랩 입자로 분쇄되어 스코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혼합되며, 판상 쉬트로 성형된 후에 가압 가열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코드사가 전체 중량비로 40% 내지 60%로 포함되며,
    과속방지턱 또는 주차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 또는 주차블록은 상면에 빗살무늬를 포함하는 소정 형상의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4. 타이어 또는 산업용 벨트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미가류 상태의 고무 스크랩 덩어리를 5mm 내지 50mm 크기의 고무 스크랩 입자로 분쇄하는 고무 스크랩 분쇄단계;
    스코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를 40 내지 80℃의 온도로 유지하며 혼합하는 고무 스크랩 입자 혼합단계;
    상기 고무 스크랩 입자를 판상 쉬트로 성형하는 판상 쉬트 성형단계 및
    상기 판상 쉬트를 고무 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금형에 충진하고 120℃ 내지 20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30분간 성형하면서 가류하는 고무 구조물 성형 및 가류단계를 포함하며,
    과속방지턱 또는 주차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쉬트 성형단계 후에 상기 판상 쉬트를 고무 구조물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재단 쉬트로 절단하는 판상 쉬트 재단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무 구조물 성형 및 가류단계는 상기 재단 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구조물 성형 및 가류단계에서 사용되는 금형은 내면에 소정 형상의 무늬가 형성되어 상기 고무 구조물의 표면에 대응되는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제조방법.
  7. 삭제
KR20060040500A 2006-05-04 2006-05-04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086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0500A KR100867010B1 (ko) 2006-05-04 2006-05-04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0500A KR100867010B1 (ko) 2006-05-04 2006-05-04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925A KR20070107925A (ko) 2007-11-08
KR100867010B1 true KR100867010B1 (ko) 2008-11-10

Family

ID=3906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40500A KR100867010B1 (ko) 2006-05-04 2006-05-04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700B1 (ko) 2011-07-21 2013-12-02 원용 이 폐합성고무를 이용한 재생고무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1245B (zh) * 2015-05-18 2016-09-07 东营金岛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油泥再生胶减速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677A (ko) * 1996-09-02 1998-06-25 이대우 미가류 상태인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9980035002A (ko) * 1996-11-11 1998-08-05 정윤식 폐타이어 재생장치
KR19990001191A (ko) * 1997-06-12 1999-01-15 남일 미가황 고무폐기물의 분쇄방법
KR20020075820A (ko) * 2001-12-13 2002-10-07 김인중 폐타이어 고무분말을 이용한 레일 저진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2092A (ko) * 2001-06-02 2002-12-11 이장춘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677A (ko) * 1996-09-02 1998-06-25 이대우 미가류 상태인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9980035002A (ko) * 1996-11-11 1998-08-05 정윤식 폐타이어 재생장치
KR19990001191A (ko) * 1997-06-12 1999-01-15 남일 미가황 고무폐기물의 분쇄방법
KR20020092092A (ko) * 2001-06-02 2002-12-11 이장춘 폐타이어를 이용한 건축재 제조방법
KR20020075820A (ko) * 2001-12-13 2002-10-07 김인중 폐타이어 고무분말을 이용한 레일 저진블럭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700B1 (ko) 2011-07-21 2013-12-02 원용 이 폐합성고무를 이용한 재생고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925A (ko)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2787B (zh) 源自磨碎的轮胎橡胶颗粒的互穿弹性体网络
US5468539A (en) Precast surface paving overlay comprising rubber crumbs and clay particles
KR102531096B1 (ko) 분쇄된 타이어 고무 입자로부터 모노리식, 매크로-구조적, 상호 침투 엘라스토머 네트워크 모폴로지를 재생하기 위한 공정
KR101773223B1 (ko) 가황 고무와 타이어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와 폐기물로부터 제조된 복합 재료
EP3045492B1 (en) Recycled micronized rubber formulation having improved abrasion resistance
US20130153100A1 (en) Tire with tread having improved wet traction
US20140220305A1 (en) Article of manufacture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CN105602057A (zh) 由工程回收橡胶粉末制备的热固性组合物
KR100867010B1 (ko) 코드사를 포함하는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고무 구조물 및이의 제조방법
CN108137865A (zh) 轮胎胎面用橡胶组合物和轮胎
CN108137872A (zh) 橡胶组合物和轮胎
US2672910A (en) Nonskid ti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A2800435A1 (en) Rubber asphalt composite block
CN100551959C (zh) 轮胎用橡胶组合物及使用该橡胶组合物的充气轮胎
US11421099B2 (en) Thermoplastic rubber
GB2474908A (en) A floor tile comprising rubber crumb and polyolefin
KR101334700B1 (ko) 폐합성고무를 이용한 재생고무 제조방법
CN102417635A (zh) 离合器阻尼片及其加工方法
EP4087899A1 (en) Method for preparing a recycled rubber-based elastomer
CA1152249A (en) Body containing vulcanized rubber fibers embedded in a synthetic plastic material
CN102050974A (zh) 橡胶垫的生产工艺
JP2001252989A (ja) 廃タイヤを原料とした総ゴム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おける破砕ゴム粉混合物充填方法並びに前記廃タイヤを原料とした総ゴムタイヤ。
RU209551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иты на основе резины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ереезда
SE517092C2 (sv)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pulver av elastikt material
Isayev et al. Tire Materials: Recovery and Re-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