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571B1 - 다슬기 양식조 - Google Patents

다슬기 양식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571B1
KR100865571B1 KR1020060097201A KR20060097201A KR100865571B1 KR 100865571 B1 KR100865571 B1 KR 100865571B1 KR 1020060097201 A KR1020060097201 A KR 1020060097201A KR 20060097201 A KR20060097201 A KR 20060097201A KR 100865571 B1 KR100865571 B1 KR 100865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water
tank
shellfish
plate
freshwater shell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0814A (ko
Inventor
최진하
Original Assignee
최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하 filed Critical 최진하
Priority to KR102006009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57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슬기 등 민물에서 깨끗한 민물에서 서식하는 민물패류를 양식하기 위한 양식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슬기와 같이 깨끗한 물에서 서식하며 양식하기가 어려운 민물패류를 용이하게 양식하기 위한 것으로, 민물이 유입되고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양식조와, 양식조 내부에 다슬기 및 달팽이 등 민물패류가 주로 서식하게 되는 서식판을 구성하고, 상기 서식판의 이동성을 높이기 위한 거치대를 통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상측부에 살수부가 구성된 덮개부를 구성함으로 다슬기와 같은 민물패류의 효과적인 양식을 꽤할 수 있는 다슬기 양식조에 관한 것이다.
다슬기, 양식, 민물패류

Description

다슬기 양식조{DASULGI FEED SUPPLY}
도 1은 본 발명의 덮개의 단면을 통한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측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식판의 이동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부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 : 양식조 1a : 배출구 1b : 유입구
10 : 바닥판 30 : 서식판 30a : 연결판
50 : 거치대 70 : 살수부 90 : 덮개
본 발명은 다슬기와 같은 민물패류의 양식에 사용되는 다슬기 양식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있어서 민물에서 살고 있는 패류의 양식과 관련된 기술의 개발은 매우 미흡한 상태로 아직까지도 기술 개발에 노력을 기하고 있는 상태이며, 민물패류의 대표 격인 다슬기의 경우 그 자연서식환경이 매우 까다롭고 먹이공급이 어려워 양식이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슬기 양식과 관련된 기술을 살펴보면,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2-33879는 다슬기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슬기 생육할 수 있도록 내수면의 민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저수조 저수조의 민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관과 배수관이 설치되고 순환시킬 수 있는 유속장치가 있고, 민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방수판으로 된 공간에 바닥에 양분을 함유한 부양토가 매설된 양식조로 구성된 다슬기 양식장치에 관한 것이 고작이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다슬기 및 달팽이와 같은 민물패류가 살수 있는 생태환경을 제공하기에 부족하고, 먹잇감이 될 수 있는 수생물질(갈조류 등)의 생육에도 효과적이지 못해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슬기 및 달팽이와 같은 민물패류의 효과적인 양식을 위해 생태환경의 효과적인 변화와 먹잇감의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형태의 다슬기 양식조를 제공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기존의 기술과 같이 물을 유입시키고 배출시킬 수 있는 양식조(1)와 양식조(1)의 내부로 서식판을 다수개 구성함에 있어서, 민물패류의 먹잇감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될 수 있도록 목재를 사용하여 적용하고, 상부로 그늘을 만들 수 덮개(90)를 구성함과 동시에 살수부(70)를 구성함으로 필요시에 물을 양식조(1) 내부로 분사하여 서식환경을 도와주어 효과적인 민물패류의 양식을 이끌어 낼수 있는 다슬기 양식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다슬기 등 빨판을 이용하여 먹잇감을 찾아 이동하는 민물패류의 양식에 효과적인 다슬기 양식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 다슬기 양식조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식조(1), 서식판(30), 거치대(50), 살수부(70), 덮개(90)로 대분 구성되어 진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조(1)는 통상의 양식조와 같이 물을 가두어 둘수 있도록 구성되며, 일측으로 물을 유입시킬수 있는 유입구(1b)와 배출구(1a)가 각각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내부의 물의 순환을 돕기 위하여 순환장치를 구성하여 둔다. 순환장치의 경우 일측으로 펌프를 구성하여 물을 펌핑하거나 회전판을 회전 시킴으로 물의 순환을 유도하는 등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식조(1)의 내부를 구성함에 있어 나무재질의 바닥판(10)을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 있는데 이와 같은 나무재질의 바닥판(10)을 구성하는 이유는 다슬기의 먹잇감이 되는 갈조류 등의 서식이 용이하여 자연적으로 먹잇감이 많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재질로 바닥판을 구성할 수도 있는데, 먹잇감의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면, 기존의 바다에서 양식할 때 사용되는 패류 취패판 재질을 사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식판(30)은 패류가 양식조(1)의 바닥판(10)과 더불어 패류가 주로 머무르는 곳으로 양식조(1) 내부에 다수개가 구성되며, 상측부를 거치대(50)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거치대(50)를 구성하여 일괄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이유는 패류의 채취등이 용이하게 서식판(30)을 이동시키게 하기 위한 것이다. 서식판(30)의 크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판넬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서식판(30)은 바닥판(10)이 닿는 측의 단부에 연질의 연결판(30a)을 결착 구성하여, 거치대상에서 이동할 경우 혹 발생할 수 있는 바닥판(10)과의 마찰을 줄이고 패류가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바닥판과 같이 다슬기의 먹잇감이 되는 갈조류 등의 서식이 용이하여 자연적으로 먹잇감이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먹잇감의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면, 기존의 바다에서 양식할 때 사용되는 패류 취패판 재질을 사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거치대(50)는 상기 서식판(30)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양식조(1) 상에 걸쳐 구성되고, 고리를 서식판에 고정하여 거치대(50)를 고리에 관통하여 고리가 거치대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방법의 공지의 연결수단을 통하여 서식판(30)이 거치대(5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결착한다.
도 1,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90)는 양식조(1) 및 거치대(50)를 포함하며 상부 및 측면전체에 걸쳐 구성되는데, 필요에 따라 햇빛을 가리거나 일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방,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서식환경의 조건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90)의 하측으로 살수부(70)를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물을 분무하여 하부의 서식판(30)과 양식조(1)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습도조절 및 물의 양을 조절하여 민물패류의 생태환경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살부부(70)를 통하여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서는 펌프등의 필수 구성요소가 필요하나 공지공용의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는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양식조(1)에 물을 가두어 다슬기 등 민물패류를 투입하여 두면 민물패류는 양식조(1) 바닥부(10)와 서식판(30) 사이를 이동하며 바닥부(10)와 서식판(30)에 발생하여 기생하게 되는 갈조류 등의 먹이를 먹게 된다. 이때 바닥부(10)와 서식판(30) 사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연결판(30a)이 구성되는 것이다.
양식조(1)의 바닥부(10)는 항상 물이 고여 있으므로 습도 및 기타 식행환경이 우수하나 서식판의 경우 필요에 따라 습도조절을 해주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상측으로 구성되는 살수부(70)를 통하여 물을 분무하여 서식판(30) 및 양식조 상의 공간부의 습도를 조절하여 전체적 생태환경의 조절을 하게 되는 것이다. 서식판(30)의 경우 다수개를 거치대(50)를 통하여 겹을 이루도록 하여 구성하게 되는 데 사이사이에 그늘 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90)에서 일차적으로 그늘막을 형성하고 2차적으로 서식판(30)사이에 그늘이 형성되도록 함으로 우수한 생태환경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민물패류의 경우 야행성으로 주로 밤에 먹이활동과 이동이 왕성하게 되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다. 물론 덮개(90)는 개폐 및 일조량이 조절 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어 필요에 따라서는 원하는 일조량을 제공할 수도 있도록 한다.
서식판(30)은 거치대를 이용하여 거치대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패류의 채취 시 공간부를 쉽게 만들어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양식조 바닥 등의 청소작업 시에도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조로 밀물달팽이, 조개 등 민물패류의 양식에 적용하여 사용도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달팽이 양식조를 제공함으로서,
기존의 단순한 가두리 효과밖에 없는 양식조의 기능을 탈피하여, 효과적으로 필요에 따라 생태환경을 조절하여 궁극적으로 자연서식지와 가까운 생태환경을 만들어 주어 다슬기와 같은 민물패류의 양식을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가 수입이 줄어드는 현실에서 농가의 경제활동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Claims (3)

  1. 물의 배출구 및 유입구가 구성되는 민물패류장식조에 있어서,
    양식조의 상측부로 거치대(50)가 구성되고,
    상기 거치대(50) 걸림되어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양식조 내부에 걸쳐 구성되는 다수개의 서식판(30)이 구성되고,
    거치대(50) 상부로 살수부(70)와 덮개(90)가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민물패류양식조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서식판(30)의 하부로 연질의 연결판(30a)을 구성하여 서식판(30) 이동시 양식조(1)의 바닥판(10)과 마찰을 줄이고 패류의 이동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민물패류양식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양식조(1)의 바닥판(10) 또는 서식판(30)을 목재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민물패류양식조
KR1020060097201A 2006-10-02 2006-10-02 다슬기 양식조 KR100865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201A KR100865571B1 (ko) 2006-10-02 2006-10-02 다슬기 양식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201A KR100865571B1 (ko) 2006-10-02 2006-10-02 다슬기 양식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814A KR20070050814A (ko) 2007-05-16
KR100865571B1 true KR100865571B1 (ko) 2008-10-28

Family

ID=3827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201A KR100865571B1 (ko) 2006-10-02 2006-10-02 다슬기 양식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5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01B1 (ko) 2009-11-27 2010-09-13 김성락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KR101011174B1 (ko) 2010-09-03 2011-01-26 고시철 다슬기 양식 설비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8534B (zh) * 2010-05-21 2011-12-21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生态工程化南美白对虾养殖设施系统
CN103141419A (zh) * 2013-03-11 2013-06-12 杨成胜 湿地水域田螺增殖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233A (ja) * 1993-03-19 1994-09-27 Hakodate Seimo Sengu Kk 巻貝類の養殖方法
JP2002281865A (ja) 2001-03-27 2002-10-02 Kajioka:Kk 蛍養殖装置
KR200304135Y1 (ko) 2002-11-13 2003-02-14 양철훈 다슬기양식장치
JP2003232026A (ja) 2002-02-05 2003-08-19 Hiroshi Inada 動植物生息水路用のブロック及び動植物生息用水路
KR20030068689A (ko) * 2002-02-15 2003-08-25 강명우 어패류 중간 양식용 육상 수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233A (ja) * 1993-03-19 1994-09-27 Hakodate Seimo Sengu Kk 巻貝類の養殖方法
JP2002281865A (ja) 2001-03-27 2002-10-02 Kajioka:Kk 蛍養殖装置
JP2003232026A (ja) 2002-02-05 2003-08-19 Hiroshi Inada 動植物生息水路用のブロック及び動植物生息用水路
KR20030068689A (ko) * 2002-02-15 2003-08-25 강명우 어패류 중간 양식용 육상 수조
KR200304135Y1 (ko) 2002-11-13 2003-02-14 양철훈 다슬기양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01B1 (ko) 2009-11-27 2010-09-13 김성락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KR101011174B1 (ko) 2010-09-03 2011-01-26 고시철 다슬기 양식 설비 및 방법
CN102379257A (zh) * 2010-09-03 2012-03-21 高时喆 短沟蜷养殖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814A (ko)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838B1 (ko) 피양식 생물의 양식 방법 및 그 양식 시설
CN104126549B (zh) 水蛭苗种与螺类和水草共栖标粗培育方法
KR20150127328A (ko) 양어 및 수경재배 수조의 관리 시스템
CN106577410B (zh) 水蛭庭院式立体养殖方法
CN101084745A (zh) 花坞除蚊装置
CN201347631Y (zh) 生态墙
KR100865571B1 (ko) 다슬기 양식조
CN105766811B (zh) 一种蚯蚓养殖方法
CN203590779U (zh) 一种节能、生态自动灌溉系统
CN103875490A (zh) 稻鳅混养的方法
CN106359222B (zh) 一种小水池养殖中华绒螯蟹的方法
KR102044634B1 (ko) 육상수조를 이용한 전복 및 해삼양식장
CN206760345U (zh) 定植装置以及鱼菜共生系统
CN110651743B (zh) 林蟹贝共生海水生物净化装置
CN107466622A (zh) 一种莲田养鱼的养殖方法
CN204670125U (zh) 光唇鱼亲本培育、产卵和成品鱼驯养池
CN111149755B (zh) 一种鱼田共生系统
KR101809351B1 (ko) 갯벌을 이용한 가리맛조개 인공종묘 중간 육성방법
KR200406763Y1 (ko) 참게 양식장
CN207092696U (zh) 一种立体生态养殖组合墙
KR200411254Y1 (ko) 갯지렁이 양식장치
CN103283674A (zh) 一种蟾蜍养殖方法
CN105994093B (zh) 水产混合养殖方法
CN206303022U (zh) 可移动循环式微型景观装置
CN208540466U (zh) 一种果园生态土壤保持的土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