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083B1 - 저탕식 전기보일러 - Google Patents

저탕식 전기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083B1
KR100865083B1 KR1020080044160A KR20080044160A KR100865083B1 KR 100865083 B1 KR100865083 B1 KR 100865083B1 KR 1020080044160 A KR1020080044160 A KR 1020080044160A KR 20080044160 A KR20080044160 A KR 20080044160A KR 100865083 B1 KR100865083 B1 KR 10086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ter
pipe
hot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화성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성에너지 filed Critical (주)화성에너지
Priority to KR1020080044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탕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난방관이 배치되는 소규모의 실내공간에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일러의 폐열을 이용한 가습기능도 갖고 난방수 및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탱크가 각각 독립 설치되는 구성으로 열효율을 극대화하여 에너지소비도 절감할 수 있고 음용수 공급도 가능하고 외관이 미려한 저탕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캐비닛 형으로 구비된 본체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 표면에 보일러의 가열온도 및 감지센서 등이 구비되어 있는 제어판과; 상기 도어부 내측 상,하부에 온수가열실과 배관연결실이 구비되되 상기 온수가열실은 전기히터가 구비되어 난방수를 가열하기 위한 난방가열탱크와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온수가열탱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배관연결실은 난방관을 연결하기 위한 난방관 연결부재와 온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온수관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난방가열탱크의 상부에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충수탱크가 설치되되 보충수탱크 내에 난방가열탱크의 스팀압력배출관 출구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효율이 높고 열손실이 적은 전략형 저탕식 전기보일러를 특징으로 한다.
저탕식, 전기보일러, 난방가열탱크. 온수가열탱크, 보충수탱크, 배관연결실

Description

저탕식 전기보일러 {ENERGY SAVING TYPE ELECTRIC BOILER}
본 발명은 저탕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난방관이 배치되는 소규모의 실내공간에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일러의 폐열을 이용한 가습기능도 갖고 난방수 및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탱크가 각각 독립 설치되는 구성으로 열효율을 극대화하여 에너지소비도 절감할 수 있고 음용수 공급도 가능하고 외관이 미려한 저탕식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보일러는 급수관을 통해 유입된 냉수를 전기히터를 통해 가열하여 온수를 가열하는 것으로, 온수를 가열하는 방법에 따라 급탕식 보일러와 저탕식 보일러로 나뉘어진다.
상기 급탕식 전기보일러는 비교적 소형의 직수관으로 유입된 냉수가 펌프에 의해 대용량의 전열히터를 통해 고온으로 가열하여 배수관으로 배출한다.
이러한 급탕식 보일러는 대용량의 전기히터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하여 냉수를 온수로 전환하는 데 신속하고 별도의 온수탱크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소형으로 구비하여 벽걸이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소형의 실내를 난방하거나 순간온수기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급탕식 전기보일러를 이용하여 실내 난방 등을 하는 경우에는 대용량의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데 따른 전기소비량이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보일러 가동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곧바로 난방관에 있는 고온수가 냉각이 급속히 진행되기 때문에 몇 시간씩 외출을 하고 돌아오는 경우에도 난방을 유지하기 위해 보일러를 지속적으로 가동해야 되므로 난방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등 경제적인 부담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탕식 전기보일러는 급수관을 통해 대형으로 구비된 난방가열탱크에 저수된 저온수를 저수조에 설치된 전기히터를 통해 고온으로 가열하여 배수관으로 배출한다. 이때, 난방가열탱크에 저수된 물은 전기히터에 의해 서서히 가열되며, 온도차에 의해 난방가열탱크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전체적으로 가열된다. 즉, 난방가열탱크에 저수된 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가열된다.
그러나 상기 저탕식 전기보일러는 사용자가 풍부한 난방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난방가열탱크를 크게 하였으나, 상기 대용량의 난방가열탱크 내에 설치되는 전기히터는 빠른 시간내에 난방가열탱크에 채워진 물을 온수로 전환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상기 저탕식 보일러는 상기 난방가열탱크의 전부분에 걸쳐 가 열하지 못하므로 난방가열탱크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난방가열탱크의 크기로 인해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게 되므로 주로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원룸과 같이 실내가 비교적 좁고 많은 거주공간에는 각각의 실내에 저탕식 전기보일러를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저탕식 전기보일러에서는 단일 난방가열탱크에 온수관과 난방관이 3방변밸브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온수관으로 배출되고, 이와 반대로 실내를 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온수관이 닫히면서 난방관으로 난방수가 순환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온수를 과다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난방가열탱크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난방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게 지는 단점이 있고,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급속한 급탕기능을 수행하는 데 따른 전기소모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실내 난방관을 계속적으로 순환되어져 나온 난방수를 온수로 함께 사용되는바, 이는 주로 신체나 그릇 등을 씻는 용도로 사용되는 온수로는 위생적이지 않았다.
본 발명의 저탕식 전기보일러는 캐비닛 형으로 구비된 보일러 본체와 그 본체 내부에 가열수단과 배관연결수단이 구비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소형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고 난방수와 온수 가열가열수단이 각각 따로 구비되어 난방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좋은 수질의 온수공급 뿐만 아니라 음용수 공급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가열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원을 이용하여 가습기 기능도 할 수 있고 난방관의 난방온도변화를 최소화하고 열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에너지소비도 줄이면서 사용이 편리한 저탕식 전기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 형으로 구비된 본체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 표면에 보일러의 가열온도 및 감지센서 등이 구비되어 있는 제어판과; 상기 도어부 내측 상,하부에 온수가열실과 배관연결실이 구비되되 상기 온수가열실은 전기히터가 구비되어 난방수를 가열하기 위한 난방가열탱크와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온수가열탱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배관연결실은 난방관을 연결하기 위한 난방관 연결부재와 온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온수관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난방가열탱크의 상부에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충수탱크가 설치되되 보충수탱크 내에 난방가열탱크의 스팀압력배출관 출구가 설치되는 구성; 을 포함하는 저탕식 전기보일러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저탕식 전기보일러는 캐비닛 형으로 구비되어 보일러의 외부 커버를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보일러의 가열수단 및 난방 및 온수 연결부재가 도어부내에 내장되어 연결설치가 가능하고 외관이 미려하므로 원룸과 같은 소형공간의 실내에 설치하여 난방 및 온수공급을 하고,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열원이 실내공간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보일러의 가동을 중단하더라도 난방가열탱크에 있는 고온의 온수가 장기간 지속되므로 보일러를 재가동하는 시점에서도 난방관의 온기가 남아 있게 되고 보일러의 재가동시의 온수가열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열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난방가열탱크가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과도한 압력에 의해 분출되는 스팀압력에 의해 보충수탱크 내의 물이 가열되는 수단에 의해 실내공간을 가습시키는 가습기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체 내에 난방가열탱크와 온수가열탱크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온수를 많이 사용하더라도 난방수의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온수의 과다사용에 따른 난방수 온도가 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온수는 온수가열탱크에 가열되어 저장된 물을 사용하므로 종래의 순간온수가열에 따른 많은 전기소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온수가열탱크에 저장된 물만을 사용하므로 좋은 수질의 온수를 제공하고,정수기의 필터와 같은 여과필터부를 통과시켜 음용할 수 있는 음용수로 공급하는 정수기 기능도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저탕식 전기보일러는, 캐비닛 형으로 구비된 본체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 표면에 보일러의 가열온도 및 감지센서 등이 구비되어 있는 제어판과, 상기 도어부 내측 상,하부에 온수가열실과 배관연결실이 구비되어 온수가열실은 전기히터가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는 난방가열탱크와 온수가열탱크가 각각 설치되고, 배관연결실은 난방관 및 온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난방가열탱크의 상부에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충수탱크가 설치되되 보충수탱크 내에 난방가열탱크의 스팀압력배출관 출구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보일러 본체(10)는 캐비닛 형으로 구비되어 보일러의 외부 커버를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좁은 실내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본체(10)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도어부(30)와, 상기 도어 부(30) 표면에 가열온도 및 감지센서 등이 구비되어 보일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일러 본체(10)는 실내에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점을 감안하여 제어판(20)에 MP3나 스피커, 충전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시스템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어부(30) 내측 상,하부에 온수가열실(40)과 배관연결실(70)이 각각 구비되되 온수가열실(40)은 전기히터(42)가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는 난방가열탱크(50)와 온수가열탱크(60)가 각각 설치되어 난방수와 온수를 독립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배관연결실(70)은 난방관(77)을 연결하기 위한 난방관 연결부재(72)와 온수관(78)을 연결하기 위한 온수관 연결부재(74) 등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설치 및 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난방가열탱크(50) 및 온수가열탱크(60)의 일측에 가열온도감지부(도시되지 않음) 등의 안전수단 등이 설치됨은 물론이고 난방가열탱크(50)의 입수관(43)은 보충수탱크(80)와 연결되어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보충수탱크(80)를 거쳐 보충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며, 온수가열탱크(60)의 입수관(43)은 수도관과 직접연결되어 공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방가열탱크(50)내에 출수안내관(54)이 수직으로 상부까지 설치되어 상부의 물을 하부의 난방출수관(52)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바, 이는 난방가열탱크(50)의 물이 가열되는 경우에 고온의 온수가 상부로 공급되므로 이를 난방가열탱크(50)내에서 출수안내관(54)에 의해 외부에 열을 뺏기지 않고 하부의 난방출수관(52)을 통해 배출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상기 배관연결실(70)은 난방관(77)을 연결하기 위한 난방관 연결부재(72)와 온수관(78)을 연결하기 위한 온수관 연결부재(74)가 각각 설치되어 난방가열탱크(50)와 온수가열탱크(60)에서 독립적으로 가열되는 난방수 및 온수를 따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난방가열탱크(50)는 난방관(77)을 난방출수관(52) 및 난방순환관(55)과 연결 결합하기 위한 난방관 연결부재(72) 및 개폐밸브(75)가 연결설치되는 것으로, 난방관 연결부재(72)는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바닥 난방관(77)을 끼워 온수가 순환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는 접속구와 체결구(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되어 있고 개폐밸브(75)는 온수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손으로 개폐밸브를 돌리거나 별도의 전자스위치 등에 개폐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 상기 난방출수관(52)에는 펌프(58)가 설치되어 난방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난방출수관(52)과 난방순환관(55)에는 난방분배관(56)이 설치되어 그 난방분배관(56)에 대구경 및 소구경으로 이루어진 난방관 연결부재(72)(72')가 각각 구비되어 대구경의 난방관 연결부재(72)에는 바닥 난방관(77)이 연결되고 소구경 난방관 연결부재(72')에는 온수난방매트에 사용되는 매트 난방관(77')이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수가열탱크(60)는 온수관(78)을 온수출수관(62)과 연결 결합하기 위한 온수관 연결부재(74) 및 개폐밸브(75)가 설치되되 온수출수관(62)에 온수분배관(64)이 설치되어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관(78)과 음용수로 공급하기 위한 음용수공급관(66)이 각각 연결되고 음용수공급관(66)은 정수기의 필터와 같은 여과필터부(67)를 거쳐 음용수공급부(68)를 통해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6에서는 음용가능한 냉,온수를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온수가열탱크(60)의 물을 여과필터부(67)를 거쳐 음용수공급부(68)에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온수가열탱크(6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관(43) 일측에 연결관체(61a)를 분기되게 연결하고 연결관체(61a)는 냉열소자 등이 장착되어 냉각기능을 하도록 설치된 냉각수통(61)에 연결하고 그 냉각수통(61)의 물이 여과필터부(67')를 거쳐 음용수공급부(68')를 통해 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음용수공급부(68)(68')는 도어부(30)의 전면 일측에 개폐밸브 등이 구비되어 음용수를 통상의 정수기와 같이 공급받을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방가열탱크(50)의 상부에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해 보충수탱크(80)가 설치되되 난방가열탱크(50)의 스팀압력배출관(85) 출구(86)가 보충수탱크(80)내에 설치되어 난방가열탱크(50)의 과도한 압력에 의해 분출되는 스팀압력에 의해 보충수탱크(80) 내의 물이 가열되어 가습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되 스팀압력배출관(85)의 출구(86)는 보충수탱크(80)에 잠긴상태이거나 수면방향으로 향하면서 수면과 약간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되게 하여 보충수탱크(80)의 물을 가열할 수 있게 하며, 보충수탱크(80)의 물이 스팀압력배출관(85)의 출구(86)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향절곡시킨 형태로 출구(86)를 형성한다.
또, 상기 보충수탱크(80)는 수위감지구가 구비되어 수도관 등으로 부터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거나 물을 직접 채워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보충수탱크(80) 상면에 증기가 배출되는 통기구멍(82)이 형성되어 가습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보충수탱크(80)의 전면에는 투시창을 구비한 다음 보충수탱크(80)에 모형 물고기 등을 수장하고 투명창으로 외부에서 모형 물고기 등을 볼 수 있게 하여 장식적인 효과 등도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 32는 보충수탱크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을 나타내고, 34는 가열탱크의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저탕식 전기보일러는 캐비닛 형으로 구비되어 보일러의 외부 커버를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보일러의 가열수단 및 난방 및 온수 연결부재가 도어부(30)내에 내장되어 연결설치가 가능하고 외관이 미려하므로 원룸과 같은 소형공간의 실내에 설치하여 난방 및 온수공급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보일러의 설치공간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저탕식 전기보일러를 난방관(77)이 배치되는 실내공간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보일러의 가열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원이 실내공간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보일러의 가동을 중단하더라도 난방가열탱크(50)에 있는 고온의 온수가 장기간 지속되므로 실내공간에 거주하는 동안에는 보일러를 가동하고 외부활동을 하기 위해 몇 시간씩 외출하고 돌아오는 동안에는 보일러 가동을 중단한 다음 다시 보일러를 재가동하는 시점에서도 난방관의 온기가 남아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보일러의 재가동시의 온수가열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열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체(10) 내에 난방가열탱크(50)와 온수가열탱크(60)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난방수와 온수를 따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난방수는 난방가열탱크(50)에서 가열된 물을 공급하고 온수는 온수가열탱크(60)에서 가열된 물만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를 많이 사용하더라도 난방수의 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온수의 과다사용에 따른 난방수 온도가 떨어지는 종래와 같은 단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온수는 온수가열탱크(60)에 가열되어 저장된 물을 사용하므로 종래의 순간온수가열에 따른 많은 전기소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온수가열탱크(60)에 저장에 물만을 사용하므로 종래에 난방관 등을 거쳐 나오는 난방수와 함께 사용되는 것에 비해 좋은 수질의 온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온수가열탱크(60)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수질이 좋은 온수를 공급하게 되므로 그 온수출수관(62)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정수기의 필터와 같은 여과필터부(67)를 통과시켜 음용할 수 있는 따뜻한 음용수로 공급하는 정수기 기능도 하게 된다.
또한, 도 6에서는 음용가능한 냉,온수를 함께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온수가열탱크(6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관(43) 일측에 연결관체(61a)를 통해 냉열소자 등이 장착되어 냉각기능을 하도록 설치된 냉각수통(61)의 물이 여과필터부(67')를 거쳐 음용수공급부(68')를 통해 냉각된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일러 본체(10)의 내부 상하부에 온수가열실(40)과 난방관연결실()이 구비되어 난방가열탱크(50)와 온수가열탱크(60), 난방관(77) 및 온수관(78)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등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설치 및 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난방가열탱크(50)의 난방출수관(52)에는 펌프(58)가 설치되어 온수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난방출수관(52)과 난방순환관(55)에는 난방분배관(56)이 설치되어 그 난방분배관(56)에 대구경 및 소구경으로 이루어진 난방관 연결부재(72)(72')가 각각 구비되어 대구경 난방관 연결부재(72)에는 바닥 난방관(77)이 연결되고 소구경 난방관 연결부재(72')에는 온수난방매트에 사용되는 매트 난방관(77')이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실내 바닥난방뿐만 아니라 비교적 소구경의 난방호스로 이루어진 온수난방매트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난방가열탱크(50)의 상부에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충수탱크(80) 내에 난방가열탱크(50)의 스팀압력배출관(85)의 출구(86)가 설치되어 난방가열탱크(50)가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과도한 압력에 의해 분출되는 스팀압력에 의해 보충수탱크(80) 내의 물이 가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이렇게 가열되는 보충수탱크(80)의 물은 상부의 통기구멍(82)을 통해 실내공간을 가습시키는 가습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보일러를 가동함으로서 건조되기 쉬운 실내공간을 보일러의 난방가열탱크(50)에 물을 보충공급하는 보충수탱크(80)에 의해 가습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되어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보일러 구성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일러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가열탱크 부분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온수가열탱크 부분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일러에 난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음용수 공급부의 또 다른 구성실시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제어판
30 : 도어부 40 : 온수가열실
42 : 전기히터 43 : 입수관
50 : 난방가열탱크 52 : 난방출수관
54 : 출수안내관 55 : 난방순환관
56 : 난방분배관 58 : 펌프
60 : 온수가열탱크 61 : 냉각수통
61a : 연결관체 62 : 온수출수관
64: 온수분배관 66 : 음용수공급관
67,67' : 여과필터부 68,68' : 음용수공급부
70 : 배관연결실 72,72' : 난방관 연결부재
74 : 온수관 연결부재 75 : 개폐밸브 77,77' : 난방관 78 : 온수관
80 : 보충수탱크 82 : 통기구멍
85 : 스팀압력배출관 86 :
출구

Claims (6)

  1. 캐비닛 형으로 구비된 본체(10)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도어부(30)와;
    상기 도어부(30) 표면에 보일러의 가열온도 및 감지센서 등이 구비되어 있는 제어판(20)과;
    상기 도어부 내측 상,하부에 온수가열실(40)과 배관연결실(70)이 구비되되
    상기 온수가열실(40)은 전기히터(42)가 구비되어 난방수를 가열하기 위한 난방가열탱크(50)와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온수가열탱크(6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배관연결실(70)은 난방관(77)을 연결하기 위한 난방관 연결부재(72)와 온수관(78)을 연결하기 위한 온수관 연결부재(74)가 설치되고;
    상기 난방가열탱크(50)의 상부에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충수탱크(80)가 설치되되 보충수탱크(80) 내에 난방가열탱크(50)의 스팀압력배출관(85) 출구(86)가 설치되는 구성;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전기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가열탱크(50)는 난방관(77)을 난방출수관(52) 및 난방순환관(55)과 연결 결합하기 위한 난방관 연결부재(72) 및 개폐밸브(75)가 연결설치되되
    상기 난방출수관(52)에는 난방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펌프(58)가 설치되고, 난방출수관(52)과 난방순환관(55)에는 난방분배관(56)이 설치되어 그 난방분배관(56)에 실내 바닥 난방관(77)이 연결되는 대구경 난방관 연결부재(72)와 온수난방매트의 매트 난방관(77')이 연결된 소구경 난방관 연결부재(72')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전기보일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가열탱크(60)는 온수관(78)을 온수출수관(62)과 연결 결합하기 위한 온수관 연결부재(74) 및 개폐밸브(75)가 연결설치되되
    온수출수관(62)에 온수분배관(64)이 설치되어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관(78)과 음용수로 공급하기 위한 음용수공급관(66)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음용수공급관(66)은 정수기의 필터와 같은 여과필터부(67)를 거쳐 음용수공급부(68)를 통해 따뜻한 음용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전기보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온수가열탱크(6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관(43) 일측에 연결관체(61a)를 분기되게 연결하고 연결관체(61a)는 냉열소자 등이 장착되어 냉각기능을 하도록 설치된 냉각수통(61)에 연결하고 그 냉각수통(61)의 물이 여과필터부(67')를 거쳐 음 용수공급부(68')를 통해 음용이 가능한 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전기보일러.
  5. 제 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공급부는 도어부(3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전기보일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압력배출관(85)의 출구(86)는 보충수탱크(80)의 물이 스팀압력배출관(85)의 출구(86)로 역류되지 않도록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향절곡시킨 형태로 형성됨을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전기보일러.
KR1020080044160A 2008-05-13 2008-05-13 저탕식 전기보일러 KR10086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160A KR100865083B1 (ko) 2008-05-13 2008-05-13 저탕식 전기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160A KR100865083B1 (ko) 2008-05-13 2008-05-13 저탕식 전기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083B1 true KR100865083B1 (ko) 2008-10-24

Family

ID=4017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160A KR100865083B1 (ko) 2008-05-13 2008-05-13 저탕식 전기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334B1 (ko) * 2012-01-16 2014-02-28 이진성 온수 및 난방수 순간 가열 구조를 갖는 전기보일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847A (ja) * 1989-10-11 1991-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温水器
KR970019293U (ko) * 1995-10-16 1997-05-26 이성일 면류 자동판매기의 온수보일러
KR19980059222U (ko) * 1998-03-18 1998-10-26 이홍근 온수기
KR200426539Y1 (ko) 2006-06-27 2006-09-19 오임경 소형 온수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이동형 라디에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847A (ja) * 1989-10-11 1991-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温水器
KR970019293U (ko) * 1995-10-16 1997-05-26 이성일 면류 자동판매기의 온수보일러
KR19980059222U (ko) * 1998-03-18 1998-10-26 이홍근 온수기
KR200426539Y1 (ko) 2006-06-27 2006-09-19 오임경 소형 온수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이동형 라디에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334B1 (ko) * 2012-01-16 2014-02-28 이진성 온수 및 난방수 순간 가열 구조를 갖는 전기보일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081B1 (ko) 저탕식 전기보일러
CN104508393B (zh) 冷暖干衣空气能热水器
CN102635893B (zh) 卫生间地暖节能方法
KR20090008174A (ko) 3 웨이 캠핑 보일러
KR102049202B1 (ko) 캠핑카의 난방 제어시스템
JP6732672B2 (ja) 浴湯熱暖房システム
KR102049201B1 (ko) 캠핑카의 난방시스템
KR101038120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바닥 난방시스템
CN209315576U (zh) 一种带有加湿器的下置式饮水机
KR100865083B1 (ko) 저탕식 전기보일러
CN110030614A (zh) 一种农村家用太阳能联合沼气的毛细管供暖系统
CN101280933A (zh) 不同种类热水器的联合使用方法
CN209512288U (zh) 一种具有烘干功能的热水循环装置
KR200238364Y1 (ko) 난방라인에서 온수사용이 가능한 축열식 보일러의 배관구조
KR102049203B1 (ko) 캠핑카의 난방용 부동액탱크 구조
KR20200000796A (ko) 별개의 온수 저장탱크가 설치되어있는 온수매트 보일러
KR20090086889A (ko) 다기능 구들난방 장치
JP5606140B2 (ja) 熱源装置、暖房装置、その凍結防止制御方法及び凍結防止制御プログラム
KR102307519B1 (ko) 난방 및 냉방 겸용 보일러
CN208504740U (zh) 一种热泵热水机组
TWM603948U (zh) 無扣可調拆交錯式之機構
CN216384347U (zh) 一种两联供能源互补调温装置及系统
CN216346567U (zh) 一种可监控供暖系统水循环的壁挂炉
JP6653219B2 (ja) 給湯システム
KR102123875B1 (ko) 에너지 절약형 보일러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