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677B1 -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677B1
KR100863677B1 KR1020060120132A KR20060120132A KR100863677B1 KR 100863677 B1 KR100863677 B1 KR 100863677B1 KR 1020060120132 A KR1020060120132 A KR 1020060120132A KR 20060120132 A KR20060120132 A KR 20060120132A KR 100863677 B1 KR100863677 B1 KR 100863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additional
service
network system
intellige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497A (ko
Inventor
김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12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677B1/ko
Publication of KR2008004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6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추가 전화번호에 대한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단말기로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되는 발신 호를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발신측 교환기에서,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가 착신자 전화번호로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여 지능망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 호에 착신자 전화번호로 설정된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변경된 기본 전화번호를 착신자 전화번호로 하여 상기 발신 호를 착신 처리하되, 통화 불가 상태인 경우, 상기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연결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호를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는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된 음성 메시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Figure R1020060120132
다중 전화번호, 투폰, 투넘버, 음성 사서함

Description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VOICE MESSAGE SERVICE IN MULTI NUMBER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메시지 녹음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메시지 확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메시지 확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 기지국 140 : 기지국 제어기
150 : 교환기 160 : 지능망 시스템
170 : 홈 위치 등록기 180 : 추가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
본 발명은 음성 사서함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무선 가입자 수의 증가에 따라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는 단순한 음성 통화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 중 하나로서,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부여받아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중번호'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국내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의 일예로 KTF사의 투넘버(Two Number) 서비스가 있다.
이러한 다중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는 최초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시 부여받은 전화번호(이하, 기본 전화번호)를 착신자의 단말에 발신자 정보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추가로 부여받은 추가 전화번호를 착신자의 단말에 발신자 정보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는 자신의 단말에 유입되는 착신 호를 선별적으로 받을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단말에 유입되는 착신 호가 자신의 기본 전화번호로 걸려온 것인 경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은 일반적인 발신자 정보를 표시한다. 그러나, 단말에 유입되는 착신 호가 자신의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것인 경우, 가입자의 단말은 발신자의 정보에 해당 착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것임을 나타내는 아이콘 등을 함께 표시한다(또는 단말에 발신 자 정보와 추가 전화번호를 함께 표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는 이와 같이 자신의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를 토대로 선별적으로 전화를 받는다.
그런데. 이러한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로 전화가 걸려올 때,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전원이 꺼져있거나, 응답이 없는 경우, 또는 통화권 이탈이나 통화 중인 경우, 이 추가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착신 호는 기본 전화번호의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된다.
즉, 다중번호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 입장에서 전화가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왔는지 기본 전화번호로 걸려왔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한 서비스 요소인데, 종래와 같이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유입된 착신 호가 무조건 기본 전화번호의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되면,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는 현재 녹음되어 있는 음성 메시지가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와서 녹음된 것인지 아니면 기본 전화번호로 걸려와서 녹음된 것인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추가 전화번호에 대한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하나의 단말기로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되는 발신 호를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a) 발신측 교환기에서,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가 착신자 전화번호로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호를 지능망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 호에 착신자 전화번호로 설정된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하는 단계; (c)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변경된 기본 전화번호를 착신자 전화번호로 하여 상기 발신 호를 착신 처리하되, 통화 불가 상태인 경우, 상기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연결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호를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c)는,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변경된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측 교환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착신측 교환기에 접속하여 상기 발신 호의 착신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통화 불가에 따른 호 전환 요구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연결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c)는,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변경된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측 교환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착신자의 통화 불가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연결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단계 (a)는, 발신측 교환기에서,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가 착신자 전화번호로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서,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추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가입자의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지능망 시스템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하나의 단말기로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가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에 접속하는 방법은, (a) 발신측 교환기에서,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추가 전화번호가 착신자 전화번호로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호를 지능망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 호에 설정된 착신자 전화번호인 추가 전화번호를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하는 단계; (c)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변경된 기본 전화번호를 착신자 전화번호로 하여 상기 발신 호의 착신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착신자 전화번호인 상기 기본 전화번호와 상기 발신 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e) 동일한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 정보를 상기 지능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 호를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a)는, 발신측 교환기에서,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추가 전화번호가 착신자 전화번호로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서,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추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가입자의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지능망 시스템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능망 시스템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에 추가 전화번호를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부여받은 다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다수의 전화번호별로 독립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하나의 단말기로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가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에 접속하는 방법은, (a) 발신측 교환기에서,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착신자 전화번호로서 다중번호 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코드 및 추가 전화번호가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호를 지능망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 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를 대응하는 추가 전화번호로 변경하고, 착신자 전화번호인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대응하는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하는 단계; (c)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변경된 착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발신 호의 착신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변경된 착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를 대응하는 추가 전화번호로 변경하고, 그 변경된 추가 전화번호와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인 추가 전화번호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e) 동일한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 정보를 상기 지능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 호를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a)는, 발신측 교환기에서,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착신자 전화번호로서 다중번호 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코드 및 추가 전화번호가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서,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식별코드의 해석을 요청하고, 이에 대해 지능망 시스템 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교환기에서, 상기 발신 호를 상기 지능망 시스템으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부여받은 다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다수의 전화번호별로 독립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은,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사용자의 음성사서함 접속 전용 코드 입력시, 다중번호 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코드 및 추가 전화번호를 착신자 전화번호로 하여 호 발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110, 120), 기지국(130), 기지국 제어기(140), 교환기(150), 지능망 시스템(160), 홈 위치 등록기(170) 및 추가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110)은 다중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이고, 이동통신 단말(120)은 일반 가입자의 단말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110, 120)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본적인 음성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면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다중번호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110)은 가입자에게 부여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단말 내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전화번호별로 독립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BTS, 130)은 이동통신 단말(110, 120)과 무선 구간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10, 120)을 제어하고 통화 채널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 120)로부터 발신 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제어기(BSC, 140)로 전송한다. 기지국 제어기(140)는 기지국(130)을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100, 12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100, 120) 및 기지국(130)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 및 하드 핸드오프 결정, 트랜스 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기지국(130)에 대한 운영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교환기(MSC, 150)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다른 네크워크 즉, 공중망이나 지능 망 시스템(160) 등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지능망 시스템(160)은 통신망에 컴퓨터를 연결하여 새로운 기술을 쉽게 접목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즉, 통신망 내에 산재하는 교환기나 서비스 제어 노드, 망 내 제어용 데이터베이스를 공통선 신호망 또는 데이터망을 매개로 하여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나 부가 서비스를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시스템이다. 상기 지능망 시스템(160)은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Service Switching Point, 161) 및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SCP:Service Control Point, 162)를 포함한다.
지능망 시스템(160)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에 추가 전화번호를 매핑하여 저장 관리한다. 추가 전화번호가 착신자의 단말에 발신자 정보로 표시되도록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가 호를 발신하면, 지능망 시스템(160)은 상기 가입자의 발신 호에 포함된 기본 전화번호를 추가 전화번호로 변경하여 착신 단말로 착신 처리한다. 착신 단말은 상기 가입자의 발신자 정보로서 기본 전화번호가 아닌 추가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한편, 어느 한 사용자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경우, 지능망 시스템(160)은 상기 사용자의 발신 호에 착신자 전화번호로 포함된 추가 전화번호를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한 후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 착신 처리한다.
한편, 홈 위치 등록기(HLR, 170)는 가입자 정보에 관한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10, 120)의 단말 식별 번 호(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단말기 고유번호(ESN:Electronics Serial Number)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특히, 홈 위치 등록기(170)는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 정보를 저장하는데, 추가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70)의 경우. 가입자 DB에 다중번호 플래그 필드를 추가하여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를 관리한다. 또한,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70)의 경우, 가입자 부가 서비스 DB에 다중번호 서비스 필드 및 추가 전화번호 필드를 추가하여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를 관리한다.
추가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는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이 파워 오프, 통화권 이탈, 통화 중, 무응답 등의 통화 불가 상태인 경우,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발신 호를 수신하여 해당 발신 단말로 음성 녹음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재생한 후, 그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자에게 남겨질 음성을 수신하여 녹음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메시지 녹음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착신자인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가 통화 불가 상태인 경우 상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발신 호를 추가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에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가입자가 발신 단말(120)에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입력하여 호를 발신하면, 발신측 교환기(150)는 발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즉, 추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추가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로 전송한다(S201).
추가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는 가입자 정보에 다중번호 플래그 필드를 추가하여 가입자의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 유무를 관리한다. 따라서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는 다중번호 플래그 필드를 토대로 상기 발신측 교환기(150)로부터 전송된 착신자 전화번호(즉,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자가 다중번호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 판단한 후,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지능망 시스템(160)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발신측 교환기로 응답한다(S203).
다음으로, 발신측 교환기(150)는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로부터의 라우팅 정보에 따라 지능망 시스템(160)으로 호 설정한다(S205). 이때, 발신측 교환기(150)는 지능망 시스템(160)으로 발신자 전화번호, 착신자 전화번호(즉, 추가 전화번호) 등을 전송한다.
지능망 시스템(160)은 상기 발신 호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되는 호임을 인지하고, 상기 발신측 교환기(150)로부터 전송된 착신자 전화번호(즉, 추가 전화번호)를 착신자의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한다(S207). 이를 위해 지능망 시스템(160)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에 추가 전화번호를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능망 시스템(160)의 서비스 교환기(161)는 발신측 교환기(150)의 호 설정에 따라 서비스 제어기(162)로 다중번호 서비스 처리를 요구한다. 서비스 제어기(162)는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 정보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에 추가 전화번호를 매핑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측 교환기(150)로부터 전송된 착신자 전화번호(즉, 추가 전화번호)를 착신자의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서비스 교환기(161)로 전송한다.
이어서, 지능망 시스템(160)은 착신측 교환기(150)와의 호 설정을 위해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로 착신측 교환기(15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209). 이때, 지능망 시스템(160)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50)로 착신자의 기본 전화번호와 다중번호 서비스 표시자를 함께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어기(162)의 응답에 따라 서비스 교환기(161)는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로 위치정보를 요청한다.
지능망 시스템(160)의 요청에 따라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는 착신측 교환기(150)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211). 그리고,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는 착신측 교환기(150)의 응답에 따라 지능망 시스템(160)으로 착신측 교환기(150)의 위치 정보를 응답한다(S213). 보다 구체적으로,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는 지능망 시스템(160)의 서비스 교환기(161)로 응답한다.
다음으로, 지능망 시스템(160)은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로부터의 위치 정보 응답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150)에 접속하여 착신자의 기본 전화번호로 호 설 정을 요청한다(S215). 보다 구체적으로, 지능망 시스템(160)의 서비스 교환기(161)는 착신측 교환기(150)에 접속하여 호 설정을 요청한다. 그런데, 착신 단말이 무응답이나 통화권 이탈 등의 통화 불가능 상태인 경우(S217), 착신측 교환기(150)는 지능망 시스템(160)으로 호 전환을 요구한다(S219).
지능망 시스템(160)의 서비스 교환기(161)는 착신측 교환기(150)의 호 전환 요구에 따라 착신자의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로 기본 전화번호 및 다중번호 서비스 표시자 등을 전송하며 호 전환을 요구한다(S221).
지능망 시스템(160)의 호 전환 요구를 수신한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는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표시자를 기초로 해당 발신 호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되는 호임을 인지하고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의 연결 정보를 검색한다(S223).
이어서,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는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로의 연결 정보를 지능망 시스템(160)으로 전송하고(S225), 지능망 시스템(160)의 서비스 교환기(161)는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로 호 설정한다(S227). 이후, 발신자는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의 음성 메시지 녹음 안내에 따라 착신자, 즉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남길 음성 메시지를 녹음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착신자인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가 발신 호에 응답하지 않거나, 통화권을 이탈한 경우, 또는 통화 중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런데, 착신자인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이 파워 오프인 경우, 해당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 파워 오프 상태 정보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에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착신자인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이 파워 오프인 경우, 도 2의 단계 S209에서 지능망 시스템(160)으로부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로 착신측 교환기(150)의 위치 정보 요청이 올라오면,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170)는 착신 단말의 전원이 꺼져 있음을 인지하고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의 연결 정보를 조회한다(S223). 그리고, 지능망 시스템(160)으로 그 연결 정보를 전달하여 지능망 시스템(160)으로 하여금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에 접속하여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메시지 확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가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추가 전화번호로 남겨진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중 번호 서비스에 대한 식별 코드(예로, *77) 및 추가 전화번호를 착신자 전화번호로 하여 호를 발신한다(S301).
여기서,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이 하나의 전화번호만 지원하는 일반적인 단말인 경우, 사용자는 다중번호 서비스에 대한 식별 코드(예로, *77)와 추가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을 시도한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이 다수의 전화번호 를 지원하는 단말, 즉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부여받은 다수의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전화번호별로 독립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다중번호 서비스 전용 단말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기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서는 다중번호 서비스에 대한 식별 코드(예로, *77)와 추가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서는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을 위한 전용 식별 코드(예로, *88)만을 입력하여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다중번호 서비스 전용 단말은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을 위한 전용 식별 코드가 입력된 경우, 자동으로 다중번호 서비스에 대한 식별 코드(예로, *77) 및 추가 전화번호를 착신자 전화번호로 하여 발신을 시도한다.
이와 같이,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호 발신시 발신측 교환기(150)로 전송되는 발신자 전화번호는 기본 전화번호이고, 착신자 전화번호는 다중번호 서비스 식별 코드(*77) 및 추가 전화번호이다.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다중번호 서비스 식별 코드가 포함된 발신 호를 수신한 발신측 교환기(150)는 발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70)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한다(S303). 이때, 발신측 교환기(150)는 홈 위치 등록기(170)로 발신자 전화번호(즉, 기본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즉, 다중번호 서비스 식별 코드(*77) 및 추가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70)는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식별 코드를 토대로 해당 발신 호가 다중번호 서비스 호임을 인지하고 상기 발신측 교환기(150)로 지능망 시스템(160)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응답한다(S305). 실시 형태에 따라,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70)는 가입자 부가서비스 정보에 다중번호 서비스 필드를 추가하여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 유무를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70)는 발신측 교환기(150)에 지능망 시스템(160)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응답하기 전에 상기 발신측 교환기(150)로부터 전송된 발신자 전화번호(즉, 기본 전화번호)를 기초로 해당 발신자의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가 아닌 경우, 발신측 교환기(150)로 호 실패를 응답한다.
한편, 홈 위치 등록기(170)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수신한 발신측 교환기(150)는 지능망 시스템(160)으로 호 설정한다(S307). 이때, 발신측 교환기(150)는 지능망 시스템(160)으로 발신자 전화번호(즉, 기본 전화번호)와, 착신자 전화번호(즉, 추가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이어서, 지능망 시스템(160)은,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표시자를 토대로 해당 발신 호가 다중번호 서비스 호임을 인지하고, 발신측 교환기(150)로부터 전송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즉, 기본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발신자 및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즉, 추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착신자가 다중번호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지능망 시스템(160)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에 추가 전화번호를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능망 시스템(160)의 서비스 교환기(161)는 발신측 교환기(150)의 호 설정에 따라 서비스 제어기(162)로 다중번호 서비스 처리를 요구한 다. 서비스 제어기(162)는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 정보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에 추가 전화번호를 매핑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측 교환기(150)로부터 전송된 발신자 전화번호(즉, 기본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발신자와, 착신자 전화번호(즉, 추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착신자가 다중번호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신자는 자신의 추가 전화번호를 착신자 전화번호로 하여 발신을 하였으므로, 지능망 시스템(160)의 서비스 제어기(162)는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즉, 기본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발신자 및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즉, 추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착신자가 다중번호 서비스에 가입했음을 인지하고,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발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를 추가 전화번호로 변경하고, 착신자 전화번호인 추가 전화번호를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한다(S309).
이어서, 지능망 시스템(160)은 상기 변경된 착신자 전화번호, 즉 기본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 처리를 홈 위치 등록기(170)로 요청한다(S311).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교환기(161)는 서비스 제어기(162)의 다중번호 서비스 처리 응답에 따라 상기 변경된 착신자 전화번호, 즉 기본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 처리를 홈 위치 등록기(170)로 요청한다. 이때, 지능망 시스템(160)의 서비스 교환기(161)는 변경된 착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와, 변경된 발신자 전화번호인 추가 전화번호 그리고 해당 발신 호가 다중번호 서비스 호임을 나타내는 다중번호 서비스 표시자를 홈 위치 등록기(170)로 전송한다.
홈 위치 등록기(170)는, 지능망 시스템(160)의 착신 처리 요청에 따라 착신 측 교환기와 착신 처리 과정을 수행해야 하나, 지능망 시스템(160)으로부터 다중번호 서비스 표시자가 전송되었으므로, 먼저 지능망 시스템(160)으로부터 전송된 착신자 전화번호, 즉 기본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가입자의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착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와 발신자 전화번호인 추가 전화번호가 같은지 비교한다(S313). 즉,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가입자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이므로 홈 위치 등록기(170)는 착신자 전화번호, 즉 기본 전화번호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추가 전화번호를 DB에서 조회하고, 그 조회한 추가 전화번호와 발신자 전화번호, 즉 추가 전화번호를 비교한다.
만약, 착신자 전화번호를 키로 하여 조회된 추가 전화번호와 발신자 전화번호가 다를 경우,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처리를 수행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 착신자 전화번호를 키로 하여 조회된 추가 전화번호와 발신자 전화번호, 즉 추가 전화번호가 서로 동일하므로, 홈 위치 등록기(170)는 해당 발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에 대한 호임을 인지하고, 지능망 시스템(160)으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을 위한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S315).
홈 위치 등록기(170)로부터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을 위한 연결 정보를 수신한 지능망 시스템(160)의 서비스 교환기(161)는 그 연결 정보를 토대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에 호 설정한다(S317).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는 발신 단말로 음성 메시지 청취에 대한 안내를 하고 발신자 의 선택에 따라 해당하는 음성 메시지를 조회하여 발신 단말로 재생한다. 이로써,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는 간단한 키 입력으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에 바로 접속하여, 자신의 추가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었던 사용자들이 남겨둔 음성 메시지를 바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메시지 확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가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추가 전화번호로 남겨진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는 다른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는 단말에 자신의 추가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호를 발신한다. 그러면,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은 발신측 교환기(150)로 호 접속하고, 발신측 교환기(150)는 상기 발신 호의 착신자 전화번호, 즉 추가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70)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한다(S401). 이때, 발신측 교환기(150)는 홈 위치 등록기(170)로 발신자 전화번호(즉, 기본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전화번호(즉, 추가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홈 위치 등록기(170)는 추가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가입자 정보에 다중번호 플래그 필드를 추가하여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 유무를 관리한다. 따라서, 홈 위치 등록기(170)는 상기 발신측 교환기(150)로부터 전송된 착신자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착신자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인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발신측 교환기(150)로 지능망 시스템(160)으로의 라 우팅 정보를 응답한다(S403).
홈 위치 등록기(170)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수신한 발신측 교환기(150)는 지능망 시스템(160)으로 호 설정한다(S405). 이때, 발신측 교환기(150)는 지능망 시스템(160)으로 발신자 전화번호(즉, 기본 전화번호)와, 착신자 전화번호(즉, 추가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이어서, 지능망 시스템(160)은, 상기 발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의 착신 호임을 인지하고, 발신측 교환기(150)로부터 전송된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 즉 추가 전화번호를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한다(S407). 지능망 시스템(160)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에 추가 전화번호를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 관리하고, 발신측 교환기(150)로부터 전송된 착신자 전화번호, 즉 추가 전화번호를 키 값으로 하여 상기 테이블에서 기본 전화번호를 조회하여 착신자 전화번호를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능망 시스템(160)의 서비스 교환기(161)는 서비스 제어기(162)로 다중번호 서비스 처리를 요청하고, 서비스 제어기(162)는 상기 발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의 착신 호임을 인지하고,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 즉 추가 전화번호를 키 값으로 하여 상기 테이블에서 기본 전화번호를 조회하여 착신자 전화번호를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하여 서비스 교환기(161)로 다중번호 서비스 응답한다.
다음으로, 지능망 시스템(160)은 상기 변경된 착신자 전화번호, 즉 기본 전화번호에 대한 착신 처리를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70)로 요청한다(S409). 이때, 지능망 시스템(160)은 발신자 전화번호와 상기 변경된 착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 그리고 해당 발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의 착신 호임을 다중번호 표시자를 상기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70)로 전송한다.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70)는, 지능망 시스템(160)의 착신 처리 요청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와 착신 처리 과정을 수행해야 하나, 지능망 시스템(160)으로부터 다중번호 서비스 표시자가 전송되었으므로, 먼저 지능망 시스템(160)으로부터 전송된 착신자 전화번호, 즉 기본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가입자의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착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와 발신자 전화번호가 같은지 비교한다(S411).
만약, 착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와 발신자 전화번호가 다를 경우,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처리를 수행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 착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와 발신자 전화번호는 서로 동일하므로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70)는 해당 발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에 대한 호임을 인지하고, 지능망 시스템(160)의 서비스 교환기(161)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을 위한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S413).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170)로부터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을 위한 연결 정보를 수신한 지능망 시스템(160)은 그 연결 정보를 토대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에 호 설정한다(S415). 추가 전화번호 용 음성 사서함 서버(180)는 발신자인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 음성 메시지 청취에 대한 안내를 하고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하는 음성 메시지를 조회하여 재생한다. 이로써,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는 간단한 키 입력으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에 바로 접속하여, 자신의 추가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었던 사용자들이 남겨둔 음성 메시지를 바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510), 통화 호의 착/발신을 처리하는 제어부(520),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550),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40), 사용자에게 다양한 단말기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530) 및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560)를 포함한다.
통신부(51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접속하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510)는 파일럿 채널, 페이징 채널, 트래픽 채널 등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520)는 단말기를 구동하고 단말기의 전체적인 작업 처리를 제어하며 상기 통신부(510)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화 호의 착/발신 작업을 처리하고 연결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530)와 연동하여 단말기 내부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상기 통신부(510)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추가 전화번호를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 설정한다.
입력부(550)는 마이크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키패드와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단말기를 조작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표시부(540)는 사용자에게 단말기에서 처리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540)는 단말기의 처리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액정 표시장치, 발광 소자의 발광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발광램프, 진동 모터의 진동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진동장치, 벨소리나 사운드를 통하여 소리로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530)는 사용자에게 단말기의 기본 기능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530)는 제 1 인터페이스(531), 제 2 인터페이스(532) 및 전환부(5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물리적으로 한 개의 인터페이스부(530)를 구성하고 그 인터페이스부(530)가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실시 형태에 따라 다중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하여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다중 전화번호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분명히 한다.
상기 제 1 인터페이스(531)는 단말기에 부여된 기본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로서, 독립된 화면을 설정하고, 후술할 메모리(560)에 독립된 저장영역을 할당하여 기본 전화번호에 관련된 단말기 기능과 부가 기능을 이 영역에 저장하고 액세스하며 데이터를 관리한다. 제 1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사용자가 추가 전화번호 로 발신을 시도할 경우, 사용자는 착신자 전화번호에 직접 다중번호 서비스 식별코드(예로, *77)를 삽입하여 발신한다. 이 경우, 제 1 인터페이스(531)는 발신 기록을 제 2 인터페이스(532)에서 관리하는 제2 메모리 영역(562)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발신 내역은 제 2 인터페이스 모드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에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착신자 전화번호로 다중번호 서비스 식별 코드(예로, *77)와 추가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발신을 시도한다. 또는, 다중번호 서비스 식별 코드 없이 추가 전화번호만을 입력하여 발신을 시도한다.
상기 제 2 인터페이스(532)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따라 추가로 단말기에 부여된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제 2 인터페이스(532) 역시 독립된 화면이 설정되고, 독립된 저장영역이 할당되어 추가 전화번호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특히, 제 2 인터페이스(532)는 발신시에 자동으로 착신 전화번호에 식별코드를 추가한다. 이는 상술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따라 추가 전화번호로 발신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제 2 인터페이스(532)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발신을 하게 되면 특별한 행동 없이도 착신측 단말기에는 추가 전화번호의 발신자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제 2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에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착신자 전화번호로 추가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발신을 시도한다. 이때, 제 2 인터페이스(532)는 착신자 전화번호인 추가 전화번호 앞에 다중번호 서비스 식별코드를 붙이지 않는다. 또는,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 는 착신자 전화번호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전용 접속 코드(예로, *88)만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제 2 인터페이스(532)는 상기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전용 접속 코드를 다중번호 서비스 식별코드(예, *77) 및 추가 전화번호로 변경하여 발신을 시도한다.
한편, 상기 각 인터페이스(531, 532)에는 배경화면, 벨소리, 진동/발광 여부 등의 단말기 설정 값들이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이는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에 따라 배경화면, 벨소리, 진동/발광 여부가 각각 서로 독립되어 적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인터페이스(531, 532)는 메시지(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 표시를 서로 다르게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인터페이스(531, 532)는 수신되는 메시지의 특정 필드를 참조하여 해당 메시지가 어느 전화번호로 수신되는 것인지 인지하고, 해당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메모리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해당하는 전화번호의 메시지 수신 아이콘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 1 인터페이스(53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 수신시 제 1 인터페이스(531)는 제 2 인터페이스(532)가 관리하는 메모리 영역에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추가 전화번호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이때, 아이콘은 기본 전화번호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표시되는 아이콘과는 모양 또는 색이 다르다.
한편, 제 1 인터페이스(53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 호가 유입된 경우, 제 1 인터페이스(531)는 상기 착신 호에 포함된 식별코드(예를 들면, 추가 전화번호)를 토대로 해당 착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임을 인 지하고,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해당 전화가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함께 표시하여 발신자 번호표시를 한다. 만약,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은 경우 제 1 인터페이스(531)는 부재중 전화 표시를 하게 되는데, 역시 제 1 인터페이스(531)는 부재중 전화 내용에 상기 아이콘을 함께 표시한다. 사용자가 발신자 번호표시 서비스 미가입시 상기 아이콘만을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발신자 전화번호와 함께 표시되는 아이콘을 토대로 현재 걸려온 전화가 자신의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임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인터페이스(532)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 호가 유입된 경우, 제 2 인터페이스(532)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531)와 동일하게 상기 착신 호에 포함된 식별코드(예를 들면, 추가 전화번호)를 토대로 해당 착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임을 인지하고,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해당 전화가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함께 표시한다. 부재중 전화 표시도 동일하다. 또한 사용자가 발신자 번호표시 서비스 미가입시 상기 아이콘만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자인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가 통화 불가 상태인 경우, 그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로 착신되는 호는 기본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에 연결시키고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되는 호는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에 연결시켜 음성 메시지를 녹음한다. 이로써,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는 통화 불가 상태에서 녹음된 음성 메시지가 어느 전화번호로 걸려와 녹음된 메시지인지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다중번호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하나의 단말기로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되는 발신 호를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가 착신자 전화번호로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호를 지능망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 호에 착신자 전화번호로 설정된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하는 단계;
    (c)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변경된 기본 전화번호를 착신자 전화번호로 하여 상기 발신 호를 착신 처리하되, 통화 불가 상태인 경우, 상기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연결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호를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변경된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측 교환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착신측 교환기에 접속하여 상기 발신 호의 착신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통화 불가에 따른 호 전환 요구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연결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변경된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착신측 교환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착신자의 통화 불가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착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연결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 전화번호가 착신자 전화번호로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추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가입자의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지능망 시스템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5. 하나의 단말기로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가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에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추가 전화번호가 착신자 전화번호로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호를 지능망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 호에 설정된 착신자 전화번호인 추가 전화번호를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하는 단계;
    (c)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변경된 기본 전화번호를 착신자 전화번호로 하여 상기 발신 호의 착신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착신자 전화번호인 상기 기본 전화번호와 상기 발신 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e) 동일한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 정보를 상기 지능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 호를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추가 전화번호가 착신자 전화번호로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라우팅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추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가입자의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상기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지능망 시스템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시스템은,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에 추가 전화번호를 매핑한 테이블을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부여받은 다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다수의 전화번호별로 독립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9. 하나의 단말기로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가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에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a)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착신자 전화번호로서 다중번호 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코드 및 추가 전화번호가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신 호를 지능망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 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를 대응하는 추가 전화번호로 변경하고, 착신자 전화번호인 상기 추가 전화번호를 대응하는 기본 전화번호로 변경하는 단계;
    (c)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변경된 착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발신 호의 착신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상기 변경된 착신자 전화번호인 기본 전화번호를 대응하는 추가 전화번호로 변경하고, 그 변경된 추가 전화번호와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인 추가 전화번호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e) 동일한 경우, 상기 홈 위치 등록기에서,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접속 정보를 상기 지능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발신 호를 추가 전화번호용 음성 사서함 서버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착신자 전화번호로서 다중번호 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코드 및 추가 전화번호가 설정된 발신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식별코드의 해석을 요청하고, 이에 대해 지능망 시스템으로의 라우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발신 호를 상기 지능망 시스템으로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부여받은 다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다수의 전화번호별로 독립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은,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사용자의 음성사서함 접속 전용 코드 입력시, 다중번호 서비스를 나타내는 식별코드 및 추가 전화번호를 착신자 전화번호로 하여 호 발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다중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기본 전화번호를 수용하는 홈 위치 등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60120132A 2006-11-30 2006-11-30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63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132A KR100863677B1 (ko) 2006-11-30 2006-11-30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132A KR100863677B1 (ko) 2006-11-30 2006-11-30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497A KR20080049497A (ko) 2008-06-04
KR100863677B1 true KR100863677B1 (ko) 2008-10-15

Family

ID=3980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132A KR100863677B1 (ko) 2006-11-30 2006-11-30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572B1 (ko) * 2017-11-06 2019-03-14 박순호 발신번호 변경 시스템 및 발신번호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19A (ko) * 1998-08-29 1999-01-25 김덕우 복수의 가입자번호를 사용하는 무선호출시스템 및 무선호출기
KR20040026339A (ko) * 2002-09-24 2004-03-3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멀티 전화번호 서비스에서 지능형 착신전환 방법
JP2005210281A (ja) 2004-01-21 2005-08-04 Vodafone Kk メッセージ通信方法及びメッセージ通信システム
KR20050080660A (ko) * 2004-02-10 2005-08-17 주식회사 유퍼스트에프엔 투넘버를 이용한 공무용 인터페이스장치 및 요금부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19A (ko) * 1998-08-29 1999-01-25 김덕우 복수의 가입자번호를 사용하는 무선호출시스템 및 무선호출기
KR20040026339A (ko) * 2002-09-24 2004-03-3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멀티 전화번호 서비스에서 지능형 착신전환 방법
JP2005210281A (ja) 2004-01-21 2005-08-04 Vodafone Kk メッセージ通信方法及びメッセージ通信システム
KR20050080660A (ko) * 2004-02-10 2005-08-17 주식회사 유퍼스트에프엔 투넘버를 이용한 공무용 인터페이스장치 및 요금부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497A (ko)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5999B2 (en) Voice mail bridging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0392766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및 장치
EP2099242A2 (en) Single IMSI Multi MSISDN service allocating a local number to a roaming subscriber
EP1890473B1 (en) A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alizing the universal personal number ring back tone service
KR100392768B1 (ko) 발신 교환기를 이용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813410B1 (ko) 다중번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394976B1 (ko) 통화 대기 중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20020039501A (ko) 이동전화망에서의 광고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KR20080104545A (ko) 다중번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전환 방법
KR20070045989A (ko) 멀티 단말기 및 그의 발착신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다중 번호 지원 시스템
KR100863677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23439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0866755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0430337B1 (ko) 링백톤 대체음 설정 방법
KR100706899B1 (ko) 가입자 기반 복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576838B1 (ko)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565822B1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안내 링백톤 제공 방법
KR100909830B1 (ko) 통화연결음 대체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치
KR100909832B1 (ko) 수신 가입자가 설정한 수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KR100441668B1 (ko) 착신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20020097040A (ko) 프로그래스 톤을 없앤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842415B1 (ko)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09831B1 (ko) 수신 가입자가 설정한 발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제공 시스템
KR100838023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착신자 기반의 고객 센터 정보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FI97509B (fi) Televerkkoon järjestetty puhelinvastaaja sekä puhelinvastaajajärjestelm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