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4545A - 다중번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번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4545A
KR20080104545A KR1020070051456A KR20070051456A KR20080104545A KR 20080104545 A KR20080104545 A KR 20080104545A KR 1020070051456 A KR1020070051456 A KR 1020070051456A KR 20070051456 A KR20070051456 A KR 20070051456A KR 20080104545 A KR20080104545 A KR 20080104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mobile communication
phone number
call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우
유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5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4545A/ko
Publication of KR2008010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04W8/28Number portability ; Network address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위한 이통통신 단말기 및 그 이통신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추가 전화번호를 부여받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착신 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여한 기본 전화번호 및 추가 전화번호에 각각 대응되어 단말기에 출력되는 화면과 단말기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착신 호를 구분하여 자동으로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단말기로 독립된 인터페이스로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단말기, 다중번호, 투넘버, 다중 인터페이스

Description

다중번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 전환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MULTIPLE INTERFACE FOR MULTI-NUMBER SERVICE AND INTERFACE CHANGING METHO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 호 유입시의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 수신이 차단되었을 때 각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기가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 수신이 차단되었을 때 각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기가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인터페이스부 140 : 표시부
150 : 입력부 160 : 메모리
200 : 이동통신 시스템 300 : 공중망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따라 추가 전화번호를 부여받아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켜, 대부분의 일반인도 핸드폰,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다니도록 우리의 생활을 변모시켰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통신망의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하면서 종래의 전통적인 통신 시스템이 가지던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최근의 이동 통신 서비스는 단순히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서비스의 제공에만 그치지 않고,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2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가입자가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해서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번호'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국내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추가번호 서비스의 일례로서 KTF사의 투넘버(Two Number) 서비스가 있다.
대부분의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부여된 하나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데, 사회나 업무의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일부 사용자들은 두 개 이상의 전화번호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를 두 개 이상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휴대하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단말기를 구입해야 하고 이용 요금도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추가번호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하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두 개 이상의 복수의 전화번호를 부여하여 가입자가 자신의 복수 전화번호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적절히 홍보함으로써 용도 또는 사용처에 맞도록 통화를 선택해서 발신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번호는 필요에 따라 업무용 또는 개인용 전화번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일례로서 추가번호 서비스 가입자는 업무용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선별해서 받거나 또는 곧바로 음성사서함으로 넘길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추가번호 서비스를 이용하면,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기존에 부여받은 원 번호를 발신번호로 하여 발신할 때에는 착신 번호만 입력하고 통화버튼을 누름으로써 발신하지만, 추가로 부여된 전화번호를 발신번호(발신정보 표시서비스에 나타내기 위한)로 하여 발신하고 자 할 때에는 착신 번호와 함께 특수기호(예, *77)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원 전화번호 및 추가 전화번호를 개인용과 업무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사적인 용도로 추가 전화번호를 사용하려는 사용자에게는 전화번호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그에 따른 단말기의 부가기능이나 단말기 사용에 관련한 작업은 분리되지 않아 두 가지의 영역을 철저히 구분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는 커다란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서로 다른 사용자가 추가 전화번호를 부여받아 하나의 단말기로 함께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주소록, 전화번호 목록, 착/발신 통화기록, 메시지 보관함 등의 부가 기능을 철저히 분리하고자 하는 요구가 절실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는 원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만 구분되어 그 구분된 전화번호를 이용시에는 단말기의 일반 기능이나 부가 기능이 구분되지 못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원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리하여 각 전화번호별로 독립된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화번호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리하되, 인입되는 착신 호가 원 전화번호로 인입된 호인지 추가 전화번호로 인입된 호인지 인식한 후 그 인식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추가 전화번호를 부여받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착신 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여한 기본 전화번호 및 추가 전화번호에 각각 대응되어 단말기에 출력되는 화면과 단말기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착신 호를 구분하여 자동으로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여한 기본 전화번호 및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착신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호가 기본 전화번호로 수신된 호인지 추가 전화번호로 수신된 호인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착신 호가 기본 전화번 호로 수신된 호인 경우, 상기 기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 수신된 호인 경우, 상기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공중망(300)과 연결되어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와 함께 유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접속되는 기지국(210), 교환국(220), 지능망 시스템(230)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기본적인 호 처리를 수행하고 이동통신 서비스와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기지국(210)을 포함하는 무선 접속망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성을 보장하며,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 접속망은 기지국(210) 및 기지국 제어기(미도시)로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교환국(220) 사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지능망(23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기지국(210)은 신호 채널 중에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발신 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210)을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기지국(210)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 및 하드 핸드오프 결정, 트랜스 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기지국(210)에 대한 운영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교환국(220)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다른 네크워크, 즉 공중망(300)이나 지능망 시스템(230) 등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지능망 시스템(230)은 통신망에 컴퓨터를 연결하여 새로운 기술을 쉽게 접목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즉, 통신망 내에 산재하는 교환기나 서비스 제어 노드, 망 내 제어용 데이터베이스를 공통선 신호망 또는 데이터망을 매개로 하여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통신 서비스나 부가 서비스를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시스템이다. 상기 지능망 시스템(230)은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 지능망 서비스 제어기 및 고객관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공중망(300)은 복수의 교환국들이 연결된 네트워크로 광역의 통신망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발신측 교환국은 라우팅 정보에 따라 공중망(300)으로 착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라우팅 정보에 의해 공중망(300)의 착신측 교환국으로 착신호가 설정된다. 또한, 지능망(230)의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서도 상기 공중망(300)으로 라우팅 정보와 함께 착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중,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추가 전화번호를 부여하고, 사용자가 발신시에 착신측 사용자에게 상기 부여받은 추가 전화번호를 발신자 정보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면,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추가 전화번호를 부여받고 다른 사용자에게 발신할 때, 이 추가 전화번호를 발신자 정보로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착신측 전화번호에 식별코드를 추가하여 발신하게 된다. 이때, 교환국(220)에서는 상기 식별코드를 해석하여 지능망(230)으로 서비스를 요청한다. 지능망(230)에서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가입자의 추가번호 발신 시도임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추가 전화번호로 발신 정보를 처리한다. 이에 따라, 착신자의 단말기에는 상기 사용자의 원 전화번호가 아닌 추가 전화번호가 발신자 전화번호로서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식별코드의 예로서 특번(*77)을 착신측 전화번호 앞에 추가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사용자는 추가 전화번호로 전화 또는 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발신자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사용자의 추가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도하게 되고,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추가 전화번호 대 기본 전화번호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의 발신 호를 상기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사용자에게 라우팅한다. 이때,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사용자에게 라우팅되는 호에는 해당 호가 기본 전화번호로 수신되는 호인지, 또는 추가 전화번호로 수신되는 호인지 여부가 식별된다. 예를 들어, 음성 호의 경우, 이동통신시스템(200)에서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사용자에게 유입되는 호의 특정 필드에 기본 전화번호 또는 추가 전화번호를 삽입함으로써, 해당 호가 어느 전화번호로 발신되어 유입되는 음성 호인지를 식별한다.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특정 필드에 삽입되는 전화번호에 따라, 유입된 음성 호에 대한 벨소리, 통화 기록 등을 각각 제어 및 관리한다.
이하에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받는 본 발명의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 통화 호의 착/발신을 처리하는 제어부(120),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받기 위한 입력부(150),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0), 사용자에게 다양한 단말 기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130) 및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메모리(16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의 기지국(210)과 접속하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파일럿 채널, 페이징 채널, 트래픽 채널 등을 통하여 기지국(210)과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20)는 단말기를 구동하고 단말기의 전체적인 작업 처리를 제어하며 통신부(110)를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통화 호의 착/발신 작업을 처리하고 연결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와 연동하여 단말기 내부의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모리(160)에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추가 전화번호를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 설정한다.
입력부(150)는 마이크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키패드와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단말기를 조작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 모드의 전환과 관련된 입력을 수신한다.
표시부(140)는 사용자에게 단말기에서 처리된 정보를 제공한다. 표시부(140)는 단말기의 처리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액정 표시장치, 발광 소자의 발광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발광램프, 진동 모터의 진동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진동장치, 벨소리나 사운드를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에게 단말기의 기본 기능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제 1 인터페이스(131), 제 2 인터페이스(132), 전환모듈(133) 및 전환모드 설정모듈(13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물리적으로 한 개의 인터페이스부(130)를 구성하고 그 인터페이스부(130)가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실시 형태에 따라 물리적으로 다중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하여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다중 전화번호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분명히 한다.
제 1 인터페이스(131)는 단말기에 부여된 기본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로서, 독립된 화면을 설정하고, 후술할 메모리(160)에 독립된 저장영역(161)을 할당하여 기본 전화번호에 관련된 단말기 기능과 부가 기능을 이 영역에 저장하고 액세스하며 데이터를 관리한다. 제 1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사용자가 추가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도할 경우, 사용자는 착신자 전화번호에 직접 식별번호(예로, *77)를 삽입하여 발신한다. 이 경우, 제 1 인터페이스(131)는 발신 기록을 제 2 인터페이스(132)에서 관리하는 제2 메모리 영역(162)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발신 내역은 제 2 인터페이스 모드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인터페이스(131)는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따라 추가로 단말기에 부여된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제 2 인터페이스(131) 역시 독립된 화면이 설정되고, 독립된 저장영역(162)이 할당되어 추가 전화번호에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특히, 제 2 인터페이스(131)는 발신시에 자동으로 착신 전화번호에 식별코드를 추가한다. 이는 상술한 이동통신 시스템(200)에서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따라 추가 전화번호를 발신자 정보로서 표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함 이다. 이로써, 제 2 인터페이스(13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발신을 하게 되면 특별한 행동 없이도 착신측 단말기에는 추가 전화번호가 발신자 정보로서 표시된다.
또한, 상기 각 인터페이스(131, 132)에는 배경화면, 벨소리, 진동/발광 여부 등의 단말기 설정 값들이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이는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에 따라 배경화면, 벨소리, 진동/발광 여부가 각각 서로 독립되어 적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 인터페이스(131, 132)는 메시지(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 표시를 서로 다르게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인터페이스(131,132)는 수신되는 메시지의 특정 필드를 참조하여 해당 메시지가 어느 전화번호로 수신되는 것인지 인지하고, 해당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의 메모리 영역에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해당하는 전화번호의 메시지 수신 아이콘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 1 인터페이스(13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 수신시, 제 1 인터페이스(131)는 제 2 인터페이스(132)가 관리하는 메모리 영역(162)에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추가 전화번호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이때, 아이콘은 기본 전화번호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표시되는 아이콘과는 모양 또는 색이 다르다.
한편, 제 1 인터페이스(13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 호가 유입된 경우, 제 1 인터페이스(131)는 상기 착신 호에 포함된 식별코드(예를 들면, 추가 전화번호)를 토대로 해당 착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임을 인지하고,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해당 전화가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함께 표시하여 발신자 번호표시를 한다. 만약, 사용자가 전화를 받 지 않은 경우 제 1 인터페이스(131)는 부재중 전화 표시를 하게 되는데, 역시 제 1 인터페이스(131)는 부재중 전화 내용에 상기 아이콘을 함께 표시한다. 사용자가 발신자 번호표시 서비스 미가입시 상기 아이콘만을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발신자 전화번호와 함께 표시되는 아이콘을 토대로 현재 걸려온 전화가 자신의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임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인터페이스(132)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 호가 유입된 경우, 제 2 인터페이스(132)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131)와 동일하게 상기 착신 호에 포함된 식별코드(예를 들면, 추가 전화번호)를 토대로 해당 착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임을 인지하고,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해당 전화가 추가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함께 표시한다. 부재중 전화 표시도 동일하다. 또한 사용자가 발신자 번호표시 서비스 미가입시 상기 아이콘만을 표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 호 유입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전화번호로 착신 호 유입시 각 인터페이스(131,132)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발신자 번호표시 미가입시는 '전화가 왔습니다') 앞에 아이콘(여기서는 'B')을 함께 표시한다.
사용자는 추가 전화번호로의 착신 호 수신을 차단할 수 있다. 추가 전화번호의 수신 차단 설정은 일반적인 단말기 기능 설정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에 대해 차단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 각 인터페이스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인터페이스(13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가 유입되면, 제 1 인터페이스(131)는 벨소리, 진동 등의 알림을 행하지 않고, 부재중 처리한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131)는 부재중 전화 내역을 제 2 인터페이스(132)의 메모리 영역에 기록하여, 제 2 인터페이스 모드에서만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 2 인터페이스(132)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가 유입되면, 제 2 인터페이스(132)는 착신 호에 대해 부재중 처리하고 통화 목록에서만 그 기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각 인터페이스(131,132)는 현재의 인터페이스 모드를 구별할 수 있는 표시기(indicator)를 화면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 수신을 차단하였는지 허용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표시를 하여 현재의 인터페이스 모드를 구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1 인터페이스(131)에서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 수신 차단을 표시하는 표시기와 제 2 인터페이스(132)에서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 수신 차단을 표시하는 표시기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 수신의 차단 여부와 현재의 인터페이스 모드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 수신이 차단되었을 때 각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기가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의 (a)는 제 1 인터페이스의 화면이고 도 3b의 (b)는 제 2 인터페이스의 화면으로,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 수신이 차단되었음을 오른쪽 상단에 표시기(301b, 302b)를 두어 나타낸다.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 수신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기(301b, 302b)가 각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서로 다르다. 사용자는 표시 기(301b, 302b)의 모양을 보고 현재 모드가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지 파악할 수 있고, 또한 현재 추가 전화번호로의 착신 호 수신이 차단 설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 수신이 허용되었을 때 각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기가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의 (a)는 제 1 인터페이스의 화면이고 도 3c의 (b)는 제 2 인터페이스의 화면으로, 추가 전화번호의 착신 호 수신이 허용되었음을 오른쪽 상단에 표시기(301c, 302c)를 두어 나타낸다. 추가 전화번호로의 착신 호 수신이 허용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기(301c, 302c)가 각 인터페이스마다 다르다. 사용자는 표시기(301c, 302c)의 모양을 보고 현재 모드가 어느 모드에 해당하는지 파악할 수 있고, 또한 현재 추가 전화번호로의 착신 호 수신이 허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환모듈(133)은 제 1 인터페이스(131)와 제 2 인터페이스(132)를 서로 전환시키고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여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로 적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환모듈(133)은 메모리(160)에 저장된 인터페이스 전환 모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제 1 인터페이스(131) 및 제 2 인터페이스(132)를 서로 전환시킨다.
즉, 메모리(160)에 수동 인터페이스 전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환모듈(133)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조작을 입력받아 상기 두 인터페이스의 전환을 실시한다. 상기 소정의 조작으로는 단말기에 구비된 기능키를 누르는 조작 또는 키패드의 특정키를 일정시간 지속하여 누르는 조작이 있으며, 이 외에도 단말기의 다른 기능을 지시하는 조작과 중복되지 않는 다양한 조작이 있을 수 있다.
또는, 메모리(160)에 자동 인터페이스 전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환모듈(133)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유입되는 착신 호의 종류에 따라 인터페이스 전환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유입되는 착신 호가 기본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 경우, 전환모듈(133)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를 제 1 인터페이스(131)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반대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유입되는 착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 경우, 전환모듈(133)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를 제 2 인터페이스(132)로 자동으로 전환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유입되는 착신 호가 어느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지의 판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착신 호의 특정 필드에 포함된 식별코드(예를 들면, 기본 전화번호 또는 추가 전화번호)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때, 전환모듈(133)을 통하여 두 인터페이스를 전환할 때에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인증한 후에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미리 패스워드를 설정하게 한 다음 인터페이스가 전환될 때 상기 설정된 패스워드를 입력받고 인증 처리를 한다. 이와 같은 패스워드를 이용한 전환 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환모듈(133)은 사용자의 키 입력이 아닌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접히는 경우, 또는 슬라이드가 내려지는 경우에 자동으로 인터페이스를 전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인터페이스(132)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단말기의 폴더가 접히거나 슬라이더가 내려지는 경우 전환모듈(133)은 제 1 인터페이스로 자동으로 전환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2 개의 인터페이스(131,132)를 갖는 것으로 설명 하였으나,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서 복수의 추가 전화번호를 부여받고 그에 따른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더 추가하고 전환모듈(133)에서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활성화시키는 인터페이스부(130)가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환모드 설정모듈(135)은, 인터페이스 전환 모드 설정을 위한 메뉴를 표시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 전환 모드 설정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전화모드 설정모듈(135)은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전환모드 설정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표시부(140)를 통해 수동 모드 전환 및 자동 모드 전환의 두 가지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입력부(150)를 통해 상기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받는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 전환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된다. 전환모듈(133)은 이와 같이 메모리(160)에 저장된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인터페이스 전환을 수행한다.
메모리(160)는 단말기 구동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제어부(120)가 단말기를 구동하게 한다. 또한, 단말기의 기본 기능과 부가 기능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160)에는 제 1 영역(161), 제 2 영역(162), 공유 영역(163)으로 저장 영역이 구분되는데, 상기 제 1 영역(161)의 저장 공간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131)가 액세스하여 관리한다. 반면에 상기 제 2 영역(162)의 저장 공간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132)가 액세스하여 관리한다. 공유 영역(163)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131)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132)가 함께 액세스하여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60)의 물리적인 영역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물 리적 영역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영역을 구분한 경우 메모리(160)의 저장공간이 2N 개라면, 각 인터페이스(131,132)는 각각 N개의 저장공간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리적 영역을 구분하지 않은 경우, 각 인터페이스(131,132)는 접근은 서로 분리되며 메모리(160)의 상기 2N 개의 저장공간을 경쟁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제 1 인터페이스(131)에서 1.5N 개의 저장공간을 사용하게 될 경우, 제 2 인터페이스(132)는 0.5N 개의 저장공간만을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160)에 구분되어 저장되는 단말기의 기본 기능과 부가 기능에 관련된 데이터에는, 주소록 데이터, 전화번호 목록 데이터, 메시지 보관함 데이터 및 통화기록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이 외에도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다양한 데이터가 각 영역에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렇게,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에 각각 대응되는 인터페이스와 이에 따른 독립된 저장영역을 구비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는 마치 두 개의 기기를 사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통화 기록(음성 통화 및 메시지에 대한 수신, 발신 기록), 수신/발신 메시지, 주소록,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동영상 등 인터페이스 모드별로 구분되어 별도로 저장되어야 하는 데이터들이 제 1 영역(163) 및 제 2 영역(164)에 각각 분리 저장되고, 벨소리/효과음/그림/다운로드 파일 등의 콘텐츠와 모닝콜/알람/일정관리 등 인터페이스 모드별로 구분될 필요가 없는 데이터는 공유 영역(165)에 저장된다. 공유 영역(165)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는 어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든 접근이 가능하고, 등록 및 삭제 등의 관리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유 영역(163)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형태에 따라 제 1 영역(163)과 제 2 영역(164)만으로 구분하여 모두 전화번호에 따라 별도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음을 분명히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착신 호(예컨대, 음성/화상 호 또는 문자 메시지 등)를 수신한다(S401)..
다음으로, 착신 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모리(160)를 참조하여 현재 설정된 인터페이스 전환 모드가 자동 전환 모드인지 판별한다(S403). 즉,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어야만 인터페이스 전환을 수행하는 수동 전환 모드인지 사용자의 키 입력에 상관없이 유입되는 착신 호의 종류에 따라 인터페이스 전환을 수행하는 자동 전환 모드인지 판별한다. 만약, 현재 설정된 인터페이스 전환 모드가 수동 전환 모드인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전환을 행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고, 현재 설정된 인터페이스 전환 모드가 자동 전환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착신 호가 기본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지 추가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지 판별한다(S405).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착신 호의 특정 필드에 삽입된 식별정보(예컨대, 착신자 전화번호)를 토대로 해당 착신 호가 기본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지 추가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지 판별한다.
만약, 상기 수신된 착신 호가 기본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제 1 인터페이스(131)로 자동으로 전환한다(S407). 즉, 현재 인터페이스가 제 2 인터페이스(132)인 경우 제 1 인터페이스(131)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현재 인터페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131)인 경우에는 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수신된 착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제 2 인터페이스(132)로 자동으로 전환한다(S409). 즉, 현재 인터페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131)인 경우 제 2 인터페이스(132)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현재 인터페이스가 제 2 인터페이스(132)인 경우에는 현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단말기에 활성화 중인 인터페이스에 따라 착신측 단말기에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가 다르게 발신정보로 표시된다. 또한, 단말기에 활성화 중인 인터페이스에 따라 통화기록 등의 데이터가 구분되어 저장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두 가지의 전화번호 중에 사용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그 번호에 따른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활성화한 뒤에 각 번호에 따른 서로 다른 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유입되는 착신 호의 유형에 따라 자동으로 인터페이스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키 버튼을 눌러 인터페이스를 전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 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각 인터페이스별로 독립된 메모리 영역을 관리함으로써 기본 전화번호와 추가 전화번호에 따라 독립된 사용 환경을 제공하여 마치 두 개의 단말 기기를 사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추가 전화번호에 따른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발신을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착신측 단말기에 추가 전화번호가 발신자 정보로 표시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인터페이스 전환이 다소 번거로울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 호의 유형에 따라 자동으로 인터페이스를 전환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의 이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추가 전화번호를 부여받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착신 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여한 기본 전화번호 및 추가 전화번호에 각각 대응되어 단말기에 출력되는 화면과 단말기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착신 호를 구분하여 자동으로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인터페이스 전환 모드(수동 또는 자동)를 설정하는 전환모드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착신 호가 기본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지 추가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지 구분하여 자동으로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착신 호가 기본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 경우 기본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로 자동 전환하고, 상기 착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 유입되는 호인 경우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인증한 후에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배경화면, 벨소리, 진동/발광 여부, 통화기록, 주소록, 발신/수신 메시지, 카메라 앨범 중 적어도 하나가 인터페이스별로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별로 저장 영역이 구분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여한 기본 전화번호 및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를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착신 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착신 호가 기본 전화번호로 수신된 호인지 추가 전화번호로 수신된 호인지 판별하는 단계;
    (c) 상기 착신 호가 기본 전화번호로 수신된 호인 경우, 상기 기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단계; 및
    (d) 상기 착신 호가 추가 전화번호로 수신된 호인 경우, 상기 추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인터페이스 전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착신 호에 포함된 착신자 전화번호에 근거하여 착신 호의 유형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인터 페이스 전환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현재의 인터페이스 전환 모드가 자동 전환 모드인지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현재의 인터페이스 전환 모드가 자동 전환 모드인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인터페이스 전환 방법.
KR1020070051456A 2007-05-28 2007-05-28 다중번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전환 방법 KR20080104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456A KR20080104545A (ko) 2007-05-28 2007-05-28 다중번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456A KR20080104545A (ko) 2007-05-28 2007-05-28 다중번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545A true KR20080104545A (ko) 2008-12-03

Family

ID=4036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456A KR20080104545A (ko) 2007-05-28 2007-05-28 다중번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454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848A (ko) * 2009-12-15 2011-06-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기반한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40013217A (ko) * 2012-07-20 2014-02-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넘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이동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다중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30436B1 (ko) * 2013-10-16 2015-06-19 주식회사 엑스팬프솔루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WO2016208929A1 (ko) * 2015-06-25 2016-12-29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번호 서비스를 위한 통신 단말 및 그 통신 단말의 정보 구분 표시 방법
CN107810628A (zh) * 2015-06-25 2018-03-16 株式会社 Kt 用于多个号码服务的通信终端及该通信终端的信息区分显示方法
KR20190011310A (ko) * 2019-01-25 2019-02-01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투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848A (ko) * 2009-12-15 2011-06-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에 기반한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40013217A (ko) * 2012-07-20 2014-02-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넘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이동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다중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30436B1 (ko) * 2013-10-16 2015-06-19 주식회사 엑스팬프솔루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WO2016208929A1 (ko) * 2015-06-25 2016-12-29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번호 서비스를 위한 통신 단말 및 그 통신 단말의 정보 구분 표시 방법
CN107810628A (zh) * 2015-06-25 2018-03-16 株式会社 Kt 用于多个号码服务的通信终端及该通信终端的信息区分显示方法
KR20190011310A (ko) * 2019-01-25 2019-02-01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기 및 이의 투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410B1 (ko) 다중번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003585A1 (en) Communication mode swapping for telecommunications devices
EP2071858A1 (en) Mobile object terminal device
KR20080104545A (ko) 다중번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페이스전환 방법
KR20110102760A (ko) 다중번호 서비스를 위한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7124658A (ja) マルチナンバー式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60697B1 (ko) 이동체 통신단말, 통신시스템 및 기억매체
KR100779369B1 (ko)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가입, 변경 및 해지 방법
GB2465192A (en) Controlling connection establishment
KR100883073B1 (ko)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070045989A (ko) 멀티 단말기 및 그의 발착신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다중 번호 지원 시스템
KR100823439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0749435B1 (ko) 다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발신자 표시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JP2009200943A (ja) 通信制御装置、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170001526A (ko) 다중 번호 서비스를 위한 통신 단말 및 그 통신 단말의 정보 구분 표시 방법
JP4527772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KR100866755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0863677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76838B1 (ko) 착신 가입자가 지정한 영상신호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6208929A1 (ko) 다중 번호 서비스를 위한 통신 단말 및 그 통신 단말의 정보 구분 표시 방법
EP2120432B1 (en) Line indication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KR101089831B1 (ko) 플래그 설정을 통해 각 통신 번호에 관련된 상대 단말기 정보를 구분하는 다중 번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170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폰 기능 제공 방법과 투폰 기능을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336454A (ja) 携帯端末に固定電話番号を付与するサービスシステム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