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221B1 - 사판식 압축기의 2단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사판식 압축기의 2단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221B1
KR100863221B1 KR1020070048893A KR20070048893A KR100863221B1 KR 100863221 B1 KR100863221 B1 KR 100863221B1 KR 1020070048893 A KR1020070048893 A KR 1020070048893A KR 20070048893 A KR20070048893 A KR 20070048893A KR 100863221 B1 KR100863221 B1 KR 100863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drive shaft
flat portion
compressor
mechanism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호
김학수
김기범
박익서
안기정
오브리스트 프랭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두원학원
주식회사 두원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두원학원, 주식회사 두원전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두원학원
Priority to KR102007004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04B27/1063Actuating-element bearing means or driving-axis bear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45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04B27/1072Pivo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creating "anti-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에 끼워지는 최소 경사각 유지용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는 구동축에 끼워지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연장편이 형성된 편평부와; 상기 편평부의 2개 연장편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2개의 지지편으로 구성되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편평부를 향해 볼록하게 절곡 형성된 곡형지지부와; 상기 편평부의 2개 연장편 일단과 상기 곡형지지부의 2개 지지편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곡형의 2개의 연결편으로 구성된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메커니즘 스프링이 장착된 압축기를 특징으로 하므로, 에어컨 작동시 최소경사각으로 구동하는 압축기의 초기 작동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에어컨 작동 중 미작동시 압축과정에 있는 사판 경사각의 급격한 최소경사각으로의 변동을 용이하게 완충시킬 수 있으며,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구동축과 메커니즘 스프링의 견고한 고정으로 압축기의 작동시 미끄럼 접촉에 의한 마찰소음을 없앨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사판, 압축기, 스프링, 경사각, 구동축, 판

Description

사판식 압축기의 2단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2-STEP MECHANISM SPRING OF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ND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도 1은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메커니즘 스프링과 구동축 사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메커니즘 스프링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메커니즘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반적인 스프링과 2단 메커니즘 스프링의 인장응력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주요 구성부호의 설명
110 : 실린더 블럭
110a: 실린더 보어
120 : 전방하우징
130 : 후방하우징
140 : 구동축
150 : 사판
160 : 메커니즘 스프링
161 : 편평부
162 : 곡형지지부
162a : 사판 지지편
162b : 2차 지지편
163 : 중간 연결부
169 : 연결바
200 : 피스톤
201 : 슈
300 : 흡입/토출 밸브장치
400 : 베어링
1000 : 사판식 압축기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의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에어컨 작동(ON)시 최소경사각(0도)으로 구동하는 압축기의 초기 작동성(초기압축과정)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에어컨 작동 중 미작동(OFF) 시 압축과정에 있는 사판 경사각의 급격한 최소경사각(0도)으로의 변동을 완충하는 기능을 가지는 사판식 압축기의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압축기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사판식 압축기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에 디스크 형상의 사판이 경사각이 가변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판의 둘레에는 슈(shoe)를 개재하여 다수의 피스톤들이 미끄럼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블록에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보어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함으로써 냉매가스를 흡인하고 압축하여 토출시키게 된다.
최근에는 열부하의 변동에 따라 사판의 경사각이 변화되어 피스톤의 이송량을 제어함으로써 정밀한 운동제어를 달성함과 동시에, 압축기에 의한 엔진의 급격한 토크 변동을 적게 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가 많이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6-0021953호로 개시된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개략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의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10)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보어(11a)를 가지는 실린더블록(11)과, 상기 실린더블록(11)의 전방에 밀폐 결합된 전방하우징(12)과, 상기 실린더블록(11)의 후방에 밸브 플레이트(13a)를 개재하여 밀폐 결합된 후방하우징(1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하우징(12)의 안쪽에는 사판실(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 방하우징(12)의 중심에는 구동축(15)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상기 구동축(15)의 타단은 상기 사판실(14)을 통과하여 실린더블록(11)의 중심축공(11b)에 베어링(11c)을 매개로 하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15)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억지 끼움되는 러그 플레이트(16)와, 경사각이 가변되게 상기 구동축(15)을 관통시켜 구비되는 사판(17)이 설치되며, 상기 러그 플레이트(16)와 사판(17) 사이에는 상기 러그 플레이트(16)에 대하여 사판(17)을 탄력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27)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7)에 의해 사판(17)의 최소 경사각이 유지될 수 있다.
사판(17)이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최소 경사각이 유지되지 않으면 압축기의 작동 초기에 구동축(15)이 회전하더라도 냉매의 압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압축기의 초기 작동이 불안정하게 되고 초기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된다.
상기 러그 플레이트(16)에는, 힌지홀(16b)이 각각 직선 천공된 한쌍의 동력전달용 돌기(16a)가 일면 선단부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동축(15)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판(17)은 구동축(15)에 소정 각도로 경사 가능하게 끼워진 채로 그 일면에 고정된 힌지핀(18)이 상기 러그 플레이트(16)의 동력전달용 돌기(16a)에 형성된 힌지홀(16b)에 삽입되어, 상기 러그 플레이트(16)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그 경사각이 가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판(17)의 외주면은 슈(20)를 개재하여 각 실린더보어(11a)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19)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사판(17)이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그 외주면에 슈(20)를 개재하여 끼워진 피스톤(19)들은 상기 실린더블록(11)의 각 실린더보어(11a) 내에서 왕복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하우징(13)에는 흡입실(21)과 토출실(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하우징(13)과 실린더블록(11)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 플레이트(13a)에는 각 실린더보어(11a)에 대응하는 곳에 흡입구(23)과 토출구(2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13a)에 형성된 각각의 흡입구(23) 및 토출구(24)에는 상기 피스톤(19)의 왕복 운동에 따른 압력변화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23)와 토출구(24)를 개폐시키기 위한 흡입밸브(25)와 토출밸브(2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후방하우징(13)에는 상기 실린더보어(11a) 내의 냉매 흡입압과 사판실(14) 내의 압력과의 차압을 가변시켜 사판(17)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사판실(14)과 흡입실(21)을 통하게 하는 제어밸브(28)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10)는, 사판실(14) 내의 압력과 실린더보어(11a) 내의 흡입압과의 차압에 대응하여 사판(17)의 경사각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사판(17)의 경사각 변화에 의해 상기 사판(17)에 연결된 피스톤(19)의 행정거리가 변화하여 압축기의 토출용량이 가변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에서는 용수철 형태의 스프링(17)에 의해 최소 경사각이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사판식 압축기에서는 단순한 용수철 형태의 스프링에 의해 최 소 경사각의 유지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에어컨 작동시 최소경사각으로 구동하는 압축기의 초기 작동성이 다소 부족했고, 미작동시 압축과정에 있는 사판 경사각의 급격한 최소경사각으로의 변동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러그 플레이트(16)와 사판(27) 사이에 스프링(27)이 개재되어 있었기 때문에 구동축(15)과의 조립작업이 번거롭고 구조 자체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구동축(15)에 의해 러그 플레이트(16)와 사판(27)이 회전할 때 스프링(27)이 러그 플레이트(16)와 사판(27)에 대하여 미끄러질 수 있어 작동 중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컨 작동시 최소경사각으로 구동하는 압축기의 초기 작동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에어컨 작동 중 미작동시 압축과정에 있는 사판 경사각의 급격한 최소경사각으로의 변동을 완충하는 기능을 가지는 사판식 압축기의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한 사판식 압축기의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축에 견고히 고정되어 작동시 미끄럼 접촉에 의한 마찰소음을 없앨 수 있는 사판식 압축기의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에 끼워지는 2단 메커니즘 스프링은,
일측에는 구동축에 끼워지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연장편이 형성된 편평부;
상기 구동축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편평부의 2개 연장편에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는 2개의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곡형지지부; 및
상기 편평부의 2개 연장편 일단과 상기 곡형지지부의 2개 지지편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연결편으로 구성된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지지편은, 각각 중간 연결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중간 연결부와편평부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사판 지지편과, 상기 사판 지지편의 단부로부터 상기 편평부를 향해 절곡되게 연장되되 상기 편평부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대향 배치되는 2차 지지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지지편끼리는 연결바에 의해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바는 상기 2차 지지편의 편평부쪽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평부의 끼움홈을 형성하는 2개 연장편 안쪽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평부의 끼움홈 입구에는 2개 연장편 안쪽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평부의 걸림턱 부근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는, 복수개의 실린더 보어를 가지고 있는 실린더 블럭과, 사판실을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 보어와 흡입/토출 밸브를 통해 연통되는 흡입실과 토출실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럭 및 하우징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경사각이 변할 수 있게 설치되는 사판과, 상기 사판과 구동축을 연결하는 링크와,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사판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사판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 보어에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삭제
상기 스프링은 전술한 2단 메커니즘 스프링이며, 사판의 최소 경사각시 상기 지지편이 상기 사판 또는 연결링크와 접촉하도록 구동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축의 양측면에는 원주방향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편평부의 2개 연장편의 안쪽 측면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개 연장편이 구동축에 끼워질 때, 먼저 상기 2개 걸림턱이 상기 구동축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상기 2단 메커니즘 스프링이 구동축에 조립된 상태에서, 구동축의 축심은 상기 메카니즘 스프링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 및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에 끼워지는 메커니즘 스프링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왕복동식 압축기(1000)는, 하우징(100)과, 복수개의 실린더 보어(110a)를 가지고 있는 실린더 블럭(110)과, 상기 실린더 블럭(110)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140)과, 상기 구동축(140)에 연결되어 회전운동하면서 경사각이 변할 수 있게 설치되는 사판(150)과, 상기 사판(150)과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보어(110a)에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200)과, 상기 피스톤(200)의 바닥에 대향하여 설치된 흡입/토출 밸브장치(300)와, 상기 흡입/토출 밸브장치(300)를 개재하여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흡입실(131)과 토출실(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실린더 블럭(110)을 사이에 두고 전방하우징(120)과 후방하우징(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하우징(130)에는 흡입실(131)과 토출실(13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330)에는 실린더 보어(110a)와 흡입실(131)을 연통시키는 흡입구(331), 및 실린더 보어(110a)와 토출실(132)을 연통시키는 토출구(3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 플레이트(330)에 형성된 흡입구(331) 및 토출구(332)에는, 상기 피스톤(180)의 왕복운동에 따른 압력변화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331)와 토출구(332)를 개폐시키기 위한 흡입밸브와 토출밸브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 블럭(110)은 8개의 실린더 보어(1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실린더 보어(110a)를 통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00)에 의해 상기 흡입실(131)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연속적으로 압축된다. 물론, 실린더 보어(110a)의 갯수는 변동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축(140)은 베어링(400)를 개재하여 상기 전방하우징(120)과 실린더 블럭(110)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사판(150)은 슈(201)를 개재하여 상기 피스톤(200)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욱이, 상기 사판(150)의 전후에는 각각 연결 돌출부(1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돌출부(155)와 구동축(140) 사이에는 연결링크(600)가 개재되어 있으며, 서로는 힌지핀(6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링크(600)와 연결 돌출부(155), 연결링크(600)와 구동축(140)은 서로에 대하여 힌지 운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40)에는 사판(150)의 최소 경사각을 유지하기 위한 2단 메커니즘 스프링(1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2단 메커니즘 스프링(160)은 다양한 곡률로 절곡되어 있기는 하지만, 전개하면 편평한 판상(板狀)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 두께가 전체적으로 일률적일 필요는 없다. 특히, 전개하였을 경우, 상기 구동축(140)의 둘레에 끼울 수 있도록 판에 기다란 홈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최종 완성된 구조를 기준으로 2단 메커니즘 스프링(160)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2단 메커니즘 스프링(160)은 편평부(161)와, 상기 편평부(161)에 대향되게 배치된 곡형지지부(162)와, 상기 편평부(161)와 곡형지지부(162)를 단부(端部)끼리 연결한 중간 연결부(163)로 구성되어 있는 판 스프링이다.
상기 2단 메커니즘 스프링(160)은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회전시 편심에 의한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에서 바라볼 때의 무게중심(G)을 구동축(140)의 회전중심과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평부(161)는 구동축(140)에 직접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일측에는 상기 구동축(140)에 끼워지도록 끼움홈(16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161a)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연장편(161b)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편평부(161)의 끼움홈(161a)을 형성하는 2개의 연장편(161b) 안쪽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2개의 연장편(161b)은 구동축(140)에 실제로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조립시 연장편(161b)의 안쪽 측면이 구동축(140)의 둘레에 형성된 결합홈(144)에 밀접하게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편평부(161)의 끼움홈(161a) 입구에는 2개 연장편(161b) 안쪽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걸림턱(161c)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2개 연장편(161b)이 구동축(140)에 결합될 때, 먼저 상기 2개 걸림턱(161c)이 상기 구동축(140)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기 때문에, 결합 후 스프링(160)이 그 조립방향으로 스스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평부(161)의 걸림턱(161c) 부근에는 관통공(161d)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턱(161c)이 구동축(140)을 넘어갈 때 탄성이 한층 향상되어 보다 원활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곡형지지부(162)는 상기 편평부(161)의 2개 연장편(161b)에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2개의 지지편은 각각 중간 연결부(163)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중간 연결부(163)와 편평부(161)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사판 지지편(162a)과, 상기 사판 지지편(162a)의 단부로부터 상기 편평부(161)를 향해 절곡되게 연장되되 상기 편평부(161)에 이격된 상태로 대향 배치되는 2차 지지편(162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사판 지지편(162a)은 직선형으로 경사져 있으나 도중에 약간의 곡면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지지편끼리는 연결바(169)에 의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2단 메커니즘 스프링의 비틀림 변형을 방지하고 소정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연결바(169)는 상기 2차 지지편(162b)의 편평부(161)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변형방지에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중간 연결부(163)는 상기 편평부(161)의 연장편(161b) 하단과 상기 곡형지지부(162)의 지지편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곡형으로 절곡된 후 직선형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연결편(163a)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중간 연결부(163)의 곡형은 원호형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원호형일 필요는 없다.
실제 압축기의 작동시에, 사판(150)이 최소 경사각 상태에 오게 되면, 사판(150) 또는 링크(600)가 2단 메커니즘 스프링(160)의 곡형지지부(162)에 접촉하여 상기 중간 연결부(163)에서 1차로 탄성 변형하게 되며, 더 커다란 힘이 작용하면 상기 곡형지지부(162)의 2차 지지편(162b)이 편평부(161)에 접촉하여 2차적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이는, 도 5의 본 실시예에 따른 2단 메커니즘 스프링(160)이 구동축(140)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구성에 나타나 있는데, (a)에는 최대 경사각시의 구성이며, (b)는 최소 경사각시의 도면이다.
이와 같이, 2단 메커니즘 스프링(160)에 의해 2단계 변형이 이루어짐으로써 1차 스프링에 비해 더 커다란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단 메커니즘 스프링(160)은 일반적인 스프 링과는 달리 2단계로 압축력에 대하여 저항하므로 더 커다란 탄성 압축 저항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2단 메커니즘 스프링(160)의 조립시에는 중간 연결부(163)로부터 구동축(140)의 둘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데 실제로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편평부(161)의 2개 연장편(161b) 안쪽 측변과 구동축(140) 둘레의 결합홈(144) 부분이다.
이 경우, 상기 연장편(161b)의 안쪽 측변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161c)이 구동축(140)의 결합홈(144)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기 때문에 2단 메커니즘 스프링(160)이 상기 구동축(1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판(150)이 최소 경사각 상태로 올 때, 상기 2단 메커니즘 스프링(160)의 곡형지지부(162) 선단이 상기 사판(150) 또는 연결링크(600)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사판(150)의 최소 경사각을 탄성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들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구성상의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사판, 링크 및 구동축이 존재하는 모든 압축기에 본 발명의 2단 메커니즘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용수철 형태가 아니라 판상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에어컨 작동시 최소경사각으로 구동하는 압축기의 초기 작동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에어컨 작동 중 off조작에 의해 압축과정에 있는 사판 경사각의 급격한 최소경사각으로의 변동을 용이하게 완충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커니즘 스프링이 2단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판이 최소 경사각에 올 때 더 커다란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지지편 사이에 연결바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2단 메커니즘 스프링의 강성을 유지하고 비틀림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축의 둘레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그 결합홈을 따라 끼우는 것에 의해 스프링이 조립되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축의 결합홈과 편평부의 연장편의 결합 및 걸림턱의 구동축 결합에 의해 구동축과 메커니즘 스프링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압축기의 작동시 미끄럼 접촉에 의한 마찰소음을 없앨 수 있다.

Claims (10)

  1. 일측에는 구동축에 끼워지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연장편이 형성된 편평부;
    상기 구동축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편평부의 2개 연장편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2개의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곡형지지부; 및
    상기 편평부의 2개 연장편 일단과 상기 곡형지지부의 2개 지지편 일단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연결편으로 구성된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지지편은, 각각 중간 연결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중간 연결부와 편평부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사판 지지편과, 상기 사판 지지편의 단부로부터 상기 편평부를 향해 절곡되게 연장되되 상기 편평부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대향 배치되는 2차 지지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에 끼워지는 2단 메커니즘 스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편끼리는 연결바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에 끼워지는 2단 메커니즘 스프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상기 2차 지지편의 편평부쪽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에 끼워지는 2단 메커니즘 스프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부의 끼움홈을 형성하는 2개 연장편 안쪽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에 끼워지는 2단 메커니즘 스프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부의 끼움홈 입구에는 2개 연장편 안쪽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에 끼워지는 2단 메커니즘 스프링.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평부의 걸림턱 부근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에 끼워지는 2단 메커니즘 스프링.
  7. 복수개의 실린더 보어를 가지고 있는 실린더 블럭과, 사판실을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 보어와 흡입/토출 밸브를 통해 연통되는 흡입실과 토출실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럭 및 하우징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경사각이 변할 수 있게 설치되는 사판과, 상기 사판과 구동축을 연결하는 링크와,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사판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사판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 보어에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단 메커니즘 스프링이며, 사판의 최소 경사각시 상기 지지편이 상기 사판 또는 연결링크와 접촉하도록 구동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양측면에는 원주방향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편평부의 2개 연장편의 안쪽 측면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연장편이 구동축에 끼워질 때, 먼저 상기 2개 걸림턱이 상기 구동축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단 메커니즘 스프링이 구동축에 조립된 상태에서, 구동축의 축심은 상기 메카니즘 스프링의 무게중심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KR1020070048893A 2007-05-18 2007-05-18 사판식 압축기의 2단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 KR100863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893A KR100863221B1 (ko) 2007-05-18 2007-05-18 사판식 압축기의 2단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893A KR100863221B1 (ko) 2007-05-18 2007-05-18 사판식 압축기의 2단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221B1 true KR100863221B1 (ko) 2008-10-13

Family

ID=4015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893A KR100863221B1 (ko) 2007-05-18 2007-05-18 사판식 압축기의 2단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2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659A (ko) * 2013-10-23 2015-05-06 학교법인 두원학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580U (ko) 1987-09-21 1989-04-07
JPH0199984U (ko) * 1987-12-23 1989-07-05
JP2006002770A (ja) 2004-06-14 2006-01-05 Obrist Engineering Gmbh ピストン式コンプレッサ
JP2007113504A (ja) 2005-10-21 2007-05-10 Sanden Corp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580U (ko) 1987-09-21 1989-04-07
JPH0199984U (ko) * 1987-12-23 1989-07-05
JP2006002770A (ja) 2004-06-14 2006-01-05 Obrist Engineering Gmbh ピストン式コンプレッサ
JP2007113504A (ja) 2005-10-21 2007-05-10 Sanden Corp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659A (ko) * 2013-10-23 2015-05-06 학교법인 두원학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2125926B1 (ko) * 2013-10-23 2020-06-24 학교법인 두원학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326655A (ja) 斜板式コンプレッサ
KR101935805B1 (ko) 흡입체크밸브
KR100529716B1 (ko) 경사이동이 원활한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863221B1 (ko) 사판식 압축기의 2단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
KR101280515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104275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0834768B1 (ko) 사판식 압축기의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
KR101074933B1 (ko) 사판식 압축기의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
KR100462433B1 (ko)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2005105975A (ja) 圧縮機の弁構造
KR100515285B1 (ko) 이중 가이드를 가지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CA2181850C (en) Cylinder assembly for a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963936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0661359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의 사판 힌지구조
KR100614023B1 (ko) 가변 용량 압축기
US20050058561A1 (en) Compressor
CN113167261B (zh) 斜盘式压缩机
US20090148312A1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US20160069334A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0519745B1 (ko)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596159B1 (ko)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용 피스톤 및 그 제조방법
KR100903034B1 (ko) 링크식 힌지기구를 가지는 사판식 압축기
JP6052016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KR20130143398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0943703B1 (ko) 로터리 밸브를 구비한 왕복동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