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433B1 -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433B1
KR100462433B1 KR1020030048685A KR20030048685A KR100462433B1 KR 100462433 B1 KR100462433 B1 KR 100462433B1 KR 1020030048685 A KR1020030048685 A KR 1020030048685A KR 20030048685 A KR20030048685 A KR 20030048685A KR 100462433 B1 KR100462433 B1 KR 100462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contact
hole
compressor
driv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호
권윤기
이태진
한영창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두원학원
이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두원학원, 이건호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두원학원
Priority to KR1020030048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2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having plural sets of cylinders or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04B27/0886Piston sh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3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8Suction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피스톤과 실린더보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탑클리어런스가 항상 일정하게 되어 압축기의 체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판의 경사각이 변화하여도 사판의 회전 중심점은 구동축에 근접되게 위치함으로써 사판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크랭크실의 요구 압력을 낮추어 냉매 순환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구동축에 스프링을 개재시켜 경사각 가변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선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슈를 개재시켜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되, 그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 주위에 형성된 돌출부의 일측에는 개구부를 갖는 관통공이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용 돌기부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사판과, 상기 슬라이드용 돌기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미끄럼용 핀과, 상기 구동축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중앙부에 끼움용 홀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쌍의 접촉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접촉돌기의 전면에는 상기 미끄럼용 핀과 선접촉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접촉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동력전달용 전달편이 형성된 동력 전달용 러그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Description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축에 설치된 사판을 회전 중심점의 변화 없이 회전가능하게 하여 압축기의 체적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압축기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압축기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사판식 압축기는, 엔진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에 디스크 형상의 사판이 구동축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에 따른 경사각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사판의 회전에 의하여 사판의 둘레를 따라 슈(shoe)를 끼움시켜 설치된 다수의 피스톤들이 실린더블록에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보어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함으로써 냉매가스를 흡인하고 압축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열부하 변동에 대한 압축기의 제어방식은 엔진으로부터 압축기로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를 온/오프시킬 때, 엔진에 순간적인 토크가 증가하여 엔진에 무리가 발생함과 동시에 승차감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정밀한 차실내의 온도제어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열부하의 변동에 따라 사판의 경사각이 변화되어 피스톤의 이송량을 제어함으로써 정밀한 운동제어를 달성함과 동시에, 경사각이 연속적으로 변화함으로써 압축기에 의한 엔진의 급격한 토크 변동을 적게 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가 제시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6-0021953호로 개시된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종래의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10)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보어(11a)를 가지는 실린더블록(11)과, 상기 실린더블록(11)의 전방에 밀폐 결합된 전방하우징(12)과, 상기 실린더블록(11)의 후방에 밸브 플레이트(13a)를 개재하여 밀폐 결합된 후방하우징(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하우징(12)의 안쪽에는 크랭크실(14)이 마련되며, 전방하우징(12)의 중심에는 구동축(15)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상기 구동축(15)의 타단은 상기 크랭크실(14)을 통과하여 실린더블록(11)의 중심축공(11b)에베어링(11c)을 매개로 하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15)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억지 끼움되는 러그 플레이트(16)와 경사각이 가변가능하게 상기 구동축(15)을 관통시켜 구비되는 사판(17)이 설치되며, 상기 러그 플레이트(16)와 사판(17) 사이에는 상기 러그 플레이트(16)에 대하여 사판(17)을 탄력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27)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러그 플레이트(16)에는, 힌지홀(16b)이 각각 직선 천공된 한쌍의 동력전달용 돌기(16a)가 일면 선단부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동축(15)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사판(17)은 구동축(15)에 소정 각도로 경사가능하게 끼워진 채로 그 일면에 고정된 힌지핀(18)이 상기 러그 플레이트(16)의 동력전달용 돌기(16a)에 형성된 힌지홀(16b)에 삽입되어, 상기 러그 플레이트(16)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그 경사각이 가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판(17)의 외주면은 슈(20)를 개재하여 각 실린더보어(11a)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19)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사판(17)이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그 외주면에 슈(20)를 개재하여 끼워진 피스톤(19)들은 상기 실린더블록(11)의 각 실린더보어(11a)내에서 왕복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하우징(13)에는 흡입실(21)과 배출실(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하우징(13)과 실린더블록(11)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 플레이트(13a)에는 각 실린더보어(11a)에 대응하는 곳에 흡입구(23)과 배출구(2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13a)에 형성된 각각의 흡입구(23) 및 배출구(24)에는 상기 피스톤(19)의 왕복 운동에 따른 압력변화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23)와 배출구(24)를 개폐시키기 위한 흡입리드(25)와 배출리드(2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후방하우징(13)에는 상기 실린더보어(11a)내의 냉매 흡입압과 크랭크실(14) 내의 압력과의 차압을 가변시켜 사판(17)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크랭크실(14)과 흡입실(21)을 작동적으로 통하게 하는 제어밸브(28)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실(14)내의 압력과 실린더보어(11a)내의 흡입 압과의 차압에 대응하여 사판(17)의 경사각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사판(17)의 경사각 변화에 의해 상기 사판(17)에 연결된 피스톤(19)의 행정거리가 변화하여 압축기의 토출용량이 가변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는, 사판의 경사각이 변화할 때에 힌지핀이 러그플레이트의 동력전달용 돌기에 직선 가공된 힌지홀을 따라 이동하므로 슈의 위치가 구동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피스톤과 실린더보어의 탑클리어런스(TC;top clearence)가 변화하게 되고, 그로 인해 압축기의 체적효율을 최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판의 회전 중심점(여기서, 회전 중심점은 힌지홀의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의 선과, 사판과 구동축과의 접촉점으로부터 구동축에 수직한 방향의 선이 만나는 점이다)이 구동축으로부터 점점 멀어지게 되어,사판의 경사각을 유지하기 위한 크랭크실의 압력이 크게 요구되어 토출가스가 크랭크실로 과다 유입되는 결과 싸이클 내의 냉매의 순환량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피스톤과 실린더보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탑클리어런스가 항상 일정하게 되어 압축기의 체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판의 경사각이 변화하여도 사판의 회전 중심점은 구동축에 근접되게 위치함으로써 사판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크랭크실의 요구 압력을 낮추어 냉매 순환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의 러그 플레이트 및 사판 그리고 구동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의 러그 플레이트 및 사판 그리고 구동축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에 러그 플레이트와 사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사판이 경사각 변화됨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러그 플레이트 및 사판 그리고 구동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판식 압축기 110 : 실린더블록
120 : 전방하우징 130 : 후방하우징
140 : 구동축 150 : 사판
160 : 미끄럼용 핀 170 : 스프링
180 : 동력전달용 러그 플레이트 190 : 안내부재
200 : 피스톤 220 : 이탈방지용 링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실린더보어를 갖는 실린더블록과, 상기 실린더블록의 실린더보어에 각각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블록의 전,후방에 각각 밀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방하우징과,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경사지면서 상기 전방하우징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피스톤을 실린더보어 내에서 왕복운동시키는 사판으로 구성된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스프링을 개재시켜 경사각 가변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선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슈를 개재시켜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되, 그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 주위에 형성된 돌출부의 일측에는 개구부를 갖는 관통공이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용 돌기부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사판과, 상기 슬라이드용 돌기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미끄럼용 핀과, 상기 구동축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중앙부에 끼움용 홀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쌍의 접촉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접촉돌기의 전면에는 상기 미끄럼용 핀과 선접촉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접촉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동력전달용 전달편이 형성된 동력 전달용 러그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동축의 절취면에 형성된 안내용 홈을 따라 상기 사판을 안내시키기 위해 돌기부를 관통하는 안내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가 안내부재용 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그 양단은 상기 안내부재를 가압하기 위해 내향 절곡된 이탈방지용 링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100)는,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보어(110a)를 가지는 실린더블록(110)과, 상기 실린더블록(110)의 전방에 크랭크실(120a)을 갖도록 밀폐 결합된 전방하우징(120)과, 상기 실린더블록(110)의 후방에 밸브 플레이트(131)를 개재하여 밀폐 결합된 후방하우징(130)과, 상기 전방하우징(120)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140)과, 상기 구동축(140)에 그 각도가 가변가능하게 설치되는 사판(150)과, 상기 사판(150)의 일측에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용 돌기부(152)의 일면에 삽입되어 그 외주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미끄럼용 핀(160)과, 상기 구동축(140)에 끼워지며 일단은 상기 사판(150)에 지지되는 스프링(170)과, 상기 스프링(170)의 타단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사판(150) 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미끄럼용 핀(160)과 선접촉되도록 구동축(140) 상에 억지 끼움되어 구비되는 동력전달용 러그 플레이트(180)와, 상기 사판(150)이 구동축(140) 상에서 경사각이 가변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사판(150)과 구동축(140)을 연결시켜 안내하기 위해 구비되는 안내부재(190)와, 상기 사판(150)의 원주 선단부에 슈(201)를 개재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블록(110)의 각 실린더보어(110a) 내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00)으로 이루어진다(도 6 참조).
상기한 후방하우징(130)에는 흡입실(132)과 배출실(13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131)에는 각 실린더보어(110a)에 대응하는 곳에 흡입구(131a)과 배출구(131b)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밸브 플레이트(131)에 형성된 흡입구(131a) 및 배출구(131b)에는 상기 피스톤(180)의 왕복운동에 따른 압력변화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131a)와 배출구(131b)를 개폐시키기 위한 흡입리드(134)와 배출리드(135)가 구비된다.
그 밖의 구성은 대략 앞에서 설명한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100)의 상기 구동축(1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간 부분에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이 절취된 절취면(142a)을 갖는 대경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142)의 절취면(142a)에는 상기 사판(150)의 경사각이 가변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사판(150)을 안내하도록 안내용 홈(142b)이 형성된다.
상기 사판(150)은,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상기 대경부(142)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삽입공(150a)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150a) 주위로 돌출부(151)가 소정량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151)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축(140)의 절취면(142a)에 형성된 안내용 홈(142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안내부재(190)를 삽입시키기 위한 안내부재용 홀(151a)이 형성된다.
또, 상기 돌출부(151)에는 미끄럼용 핀(160)을 끼움시키도록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152a)를 갖고 관통공(152b)이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용 돌기부(152)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용 돌기부(152)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 즉, 도 3에 도시된 도면에서 좌측에 도시된 슬라이드용 돌기부(152)에는 상기 삽입공(150a)을 막음하여 상기 미끄럼용 핀(160)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동력전달용 러그 플레이트(180)와 접촉되어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연장편(15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용 돌기부(152)에 대향되는 돌출부(151)에는 상기 사판(150)을 탄력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스프링(160)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돌기(15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기 고정용 돌기(154)가 돌출된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그루브(151b)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공(150a) 내측면에는 상기 사판(150)의 회전에 따른 상기 구동축(140)의 대경부(142) 외주면에 접촉되어 최대 경사각을 결정하도록 경사면(150b)이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용 러그 플레이트(180)는 상기 구동축(140) 상에 억지 끼움되도록 중앙부에는 끼움용 홀(180a)이 형성되고, 일면 즉, 상기 사판(150)과 마주보는 면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쌍의 접촉돌기(182)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기(182)의 전면에는 상기 사판(150)의 슬라이드용 돌기부(152)에 억지 끼움되어 개구부(152a)를 통하여 노출된 미끄럼용 핀(160)과 선접촉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오목한 접촉면(182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돌기(182)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 즉, 상기 사판(150)의 슬라이드용 돌기부(152) 중 연장편(153)이 형성된 슬라이드용 돌기부(152)의 반대쪽 접촉돌기(182)의 외측면에는 사판(150)으로의 동력을 전달시킴과 아울러 미끄럼용 핀(1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동력전달용 전달편(18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용 러그 플레이트(180)의 접촉돌기(182)의 전면에 형성된 오목한 접촉면(182a)은 사판(150)의 절취면(142a)에 형성된 안내용 홈(142b)과 동일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용 홈(142b)에 끼워지는 안내부재(190)가 안내부재용 홀(15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양단이 안내부재(190)를 가압시키도록 내향 절곡된 이탈방지용 링(220)이 돌출부(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그루브(151b)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미끄럼용 핀(160)은 슬라이드용 돌기부(152)에 일부가 개방 형성된 관통공(152b)에 억지 끼움되거나 헐거운 끼움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140)이 회전하게 되면, 사판(150)은 동력전달용 러그 플레이트(180)의 접촉돌기(182)와 동력전달용 전달편(184)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크랭크실(120a)의 압력과 흡입압과의 차압에 의해 사판(150)이 경사지게 되면, 상기 사판(150)은 슬라이드용 돌기부(152)에 그 외주면이 개구부(152a)를 통하여 노출되게 삽입된 미끄럼용 핀(160)이 상기 동력전달용 러그플레이트(180)의 접촉돌기(182) 전면에 형성된 오목한 접촉면(182a)을 따라 경사지게 되는데, 사판(150)은 상기 구동축(140)의 대경부(142) 양측면에 형성된 안내용 홈(142b)에 삽입된 안내부재(16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안내되게 된다.
이때, 상기 사판(150)의 회전 중심점이 슈(201)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므로 피스톤(200)과 실린더보어(110a) 사이의 탑클리어런스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사판(150)의 회전 중심점은 경사각이 변화하여도 구동축(140)으로부터 최소 거리에 일정하게 위치함으로써 사판(150)의 경사각을 유지하기 위한 크랭크실(120a)의 요구 압력을 최소로 하여 냉매 사이클 내의 순환량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판(150)의 경사각이 최대일 때는, 도 5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50a)의 내측면에 형성된 경사면(150b)이 구동축(140)의 대경부(142)의 외주면에 접촉함으로 최대 경사각을 지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는, 동력전달용 러그 플레이트가 슈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의 면에 선접촉되어 사판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므로, 상기 사판의 경사가 변화하더라도 압축기의 탑클리어런스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 사판 경사각에 따른 압축기의 간극 체적을 최소로 함으로써 압축기의 체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판의 경사각이 변화하여도 사판의 회전 중심점은 구동축으로부터 최소 거리에 일정하게 위치함으로써 사판의 경사각을 유지하기 위한 크랭크실의 요구 압력을 최소로 하여 냉매 사이클 내의 냉매 순환량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복수개의 실린더보어(110a)를 갖는 실린더블록(110)과, 상기 실린더블록(110)의 실린더보어(110a)에 각각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200)과, 상기 실린더블록(110)의 전,후방에 각각 밀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방하우징(120,130)과, 상기 전방하우징(120)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140)의 회전에 의해 경사지면서 상기 피스톤(200)을 실린더보어(110a) 내에서 왕복운동시키는 사판(150)으로 구성된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40)에 스프링(170)을 개재시켜 경사각 가변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선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슈(201)를 개재시켜 상기 피스톤(200)과 연결되되, 그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150a) 주위에 형성된 돌출부(151)의 일측에는 개구부(152a)를 갖는 관통공(152b)이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용 돌기부(152)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사판(150)과;
    상기 슬라이드용 돌기부(152)에 형성된 관통공(152b)에 삽입되는 미끄럼용 핀(160)과;
    상기 구동축(140)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스프링(170)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중앙부에 끼움용 홀(180a)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쌍의 접촉돌기(182)가 형성되되, 상기 접촉돌기(182)의 전면에는 상기 미끄럼용 핀(160)과 선접촉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접촉면(182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돌기(1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동력전달용 전달편(184)이 형성된 동력 전달용 러그 플레이트(180)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축(140)은 그 중간 부분에 상기 사판(150)의 삽입공(150a)을 관통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에 절취면(142a)을 갖는 대경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대경부(142)의 절취면(142a)에는 안내용 홈(142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190)가 안내부재용 홀(15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부(151)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그 양단은 상기 안내부재(190)를 가압하기 위해 내향 절곡된 이탈방지용 링(22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판(150)의 삽입공(150a)은 구동축(140)의 대경부(142)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용 돌기부(1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상기 관통공(152b)을 막음하여 일방향 연장된 연장편(15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142)의 절취면(142a)에 형성된 안내용 홈(142b)과 동력전달용 러그 플레이트(180)의 접촉돌기(182) 전면에 형성된 접촉면(182a)은 동일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51)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용 링(2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원주방향 그루브(151b)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030048685A 2003-07-16 2003-07-16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462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685A KR100462433B1 (ko) 2003-07-16 2003-07-16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685A KR100462433B1 (ko) 2003-07-16 2003-07-16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2433B1 true KR100462433B1 (ko) 2004-12-17

Family

ID=3738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685A KR100462433B1 (ko) 2003-07-16 2003-07-16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43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123B1 (ko) 2004-07-20 2006-04-18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605144B1 (ko) 2004-07-20 2006-07-28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 가변형 양두 사판식 압축기
WO2009139559A1 (ko) * 2008-05-14 2009-11-19 두원공과대학교 사판식 압축기
KR20140140697A (ko) * 2013-05-30 2014-12-1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880076B1 (ko) * 2017-12-08 2018-07-19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102038507B1 (ko) 2018-09-14 2019-10-30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123B1 (ko) 2004-07-20 2006-04-18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605144B1 (ko) 2004-07-20 2006-07-28 주식회사 두원전자 용량 가변형 양두 사판식 압축기
WO2009139559A1 (ko) * 2008-05-14 2009-11-19 두원공과대학교 사판식 압축기
KR20140140697A (ko) * 2013-05-30 2014-12-1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882674B1 (ko) * 2013-05-30 2018-07-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880076B1 (ko) * 2017-12-08 2018-07-19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WO2019112153A1 (ko) * 2017-12-08 2019-06-13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CN111512045A (zh) * 2017-12-08 2020-08-07 埃斯创汽车系统有限公司 变容量斜盘式压缩机
CN111512045B (zh) * 2017-12-08 2022-04-26 埃斯创汽车系统有限公司 变容量斜盘式压缩机
US11649811B2 (en) 2017-12-08 2023-05-16 Estra Automotive Systems Co., Ltd.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2038507B1 (ko) 2018-09-14 2019-10-30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의 힌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464A (en) Reciprocating pistons of piston-type compressor
EP0698735B1 (en) Guiding mechanism for reciprocating piston of piston-type compressor
KR100462433B1 (ko)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529716B1 (ko) 경사이동이 원활한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709294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759423B1 (ko)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20120065143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US20040055456A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060085002A (ko) 피스톤의 자전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용량 가변형사판식 압축기
KR20130025094A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519744B1 (ko)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515285B1 (ko) 이중 가이드를 가지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532137B1 (ko)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532133B1 (ko)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519745B1 (ko) 용량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1074933B1 (ko) 사판식 압축기의 메커니즘 스프링 및 그 사판식 압축기
KR100792501B1 (ko) 사판식 압축기에서의 구동축과 사판의 연결구조
KR100614023B1 (ko) 가변 용량 압축기
KR100963936B1 (ko) 사판식 압축기
US6912948B2 (en) Swash plate compressor
KR101631211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0943703B1 (ko) 로터리 밸브를 구비한 왕복동 압축기
JP4128656B2 (ja) 斜板式圧縮機
KR20090052919A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CN110552859A (zh) 可变容量型压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