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175B1 -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175B1
KR100863175B1 KR1020070021521A KR20070021521A KR100863175B1 KR 100863175 B1 KR100863175 B1 KR 100863175B1 KR 1020070021521 A KR1020070021521 A KR 1020070021521A KR 20070021521 A KR20070021521 A KR 20070021521A KR 100863175 B1 KR100863175 B1 KR 100863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ntact
movable contact
insulating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1556A (ko
Inventor
나오야 이와마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16Separate bridge contact
    • H01H2205/024Means to facilitate positioning
    • H01H2205/026Adhesive she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8Electroluminescent panel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자에게 양호한 조작 감촉을 주면서, 가동 접점과 EL 시트의 접촉에 수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의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조작자의 가압 조작에 따라 반전 가능한 팽출부를 갖는 금속제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가동 접점 (102) 과, 전극 (하부 전극 (113)) 을 갖고, 당해 전극 (하부 전극 (113)) 과 가동 접점 (102) 사이에 절연층 (114) 을 가지며 상기 가동 접점 상에 배치되는 EL 시트 (101) 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층 (114) 에서의 상기 가동 접점 (102) 의 단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입력 장치{CONTACT SHEET WITH LIGHT IRRADIATION FUNCTION ADDED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2(b)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의 하면도이다.
도 3(a)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가 갖는 EL 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3(b)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가 갖는 EL 시트의 하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를 적용한 입력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 는 종래의 조작 패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접점 시트)
101 : EL 시트
102 : 가동 접점
103 : 회로 기판
108 : 상부 전극
111 : 하부 전극
114 : 절연층
115 : 점착층
116 : 절연층
120 : 고정 접점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44172호
본 발명은,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면광원인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EL: Electro luminescence) 시트를 사용한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키 조작부의 이면측에 면광원인 EL 시트를 배치하고, 각 키 조작부를 암소(暗所)에서 일정하게 밝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 조작 패널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조작 패널에 있어서는,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탄성 변형됨과 함께, 원래 상태로 탄성 복귀하는 가동 접점부의 상방에 EL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조작자에게 양호한 조작 감촉 (클릭 감촉) 을 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작 패널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L 시트 (501) 의 하방에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 접점 (502) 이 배치되고, 이 가동 접점 (502) 의 하방 영역에 회로 기판 (503) 에 형성된 고정 접점 (520 ; 코먼 접점 (520a), 중앙 접점 (520b)) 이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점 (502) 에는, 예를 들어, 조작자의 가압 조작에 따라 반전 가능하게 구성된 금속제의 판 스프링이 사용된다.
EL 시트 (501) 에서는, PET 등으로 이루어진 플렉서블하고 투명한 필름 기재 (506) 의 하방에 ITO (Indium Tin 0xide) 등으로 이루어진 상부 전극 (507)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 전극 (507) 의 하방에 형광층 (508) 및 유전층 (509) 이 형성되고, 이 유전층 (509) 의 하방에 카본 등으로 이루어진 하부 전극 (510) 이 형성되어 있다. EL 시트 (501) 에서는, 상부 전극 (507) 및 하부 전극 (510) 을 통하여 형광층 (508) 에 포함되는 형광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하부 전극 (510) 의 하방에는, 상기 기술한 교류 전압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절연층 (511), 실드층 (512) 및 절연층 (513)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연층 (513) 의 하방에 점착층 (51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점착층 (514) 에 의해 가동 접점 (502) 의 정부(頂部)가 유지됨과 함께, EL 시트 (501) 자체가 회로 기판 (503) 에 고착된다. 또한, 도 5 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EL 시트 (501) 는 회로 기판 (503) 상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 (520) 의 팽출부 형상을 따라 휘어져 있으며, 코먼 접점 (520a) 과 맞닿는 가동 접점 (502) 의 단부의 외주 부근에서, 점착층 (514) 이 회로 기판 (503) 에 점착되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작 패널에서, 가동 접점 (502) 에 사용되는 금속성의 판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펀칭 가공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단부 근방에 절단 버 (515) 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절단 버가 발생한 경우에는, 당해 절단 버가 EL 시트 (501) 의 하층부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점착층 (514), 절연층 (513)) 를 관통하고, 하부 전극 (512) 까지 도달한 결과, 조작 패널 내의 회로가 쇼트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하여, EL 시트 (501) 의 하층부를 두껍게 구성한 경우에는, 가동 접점 (502) 상에 배치되는 EL 시트 (501) 가 두꺼워져, 조작자가 양호한 조작 감촉 (클릭 감촉) 을 얻으면서 키 조작을 할 수 없다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작자에게 양호한 조작 감촉을 주면서, 가동 접점과 EL 시트의 접촉에 수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는, 조작자의 가압 조작에 따라 반전 가 능한 팽출부를 갖는 금속제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가동 접점과, 전극을 갖고 당해 전극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절연층을 가지며 상기 가동 접점 상에 배치되는 EL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층에서의 상기 가동 접점의 단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EL 시트에서, 절연층에서의 가동 접점의 단부에 대응하는 범위가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예를 들어, 가동 접점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판 스프링의 제조시에 단부에 절단 버가 발생한 경우에도, 당해 절단 버가 전극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과 EL 시트의 접촉에 수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가동 접점의 단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있어, 절연층 전체를 두껍게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EL 시트를 얇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양호한 조작 감촉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에서, 상기 EL 시트는, 상기 절연층에 적층되는 점착층에 의해 상기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EL 시트에 가동 접점을 부착하는 구성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저렴하게 EL 시트에 가동 접점을 부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에서는, 상기 절연층을 상기 EL 시트의 평면에서 보아 내측을 비운 닫힌 고리 형상으로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당해 절연층이 가동 접점 단부의 전체 범위에 대응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의 단부의 어떠한 위치에 절단 버가 발생한 경우에도, 당해 절단 버가 전극에 도달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 가동 접점 단부의 전체 범위에 대응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에서의 절단 버의 발생 위치를 신경쓰지 않고, 당해 가동 접점을 EL 시트에 유지시킬 때의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을 부착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에서는, 상기 절연층을 인쇄 처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인쇄 처리를 사용하여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에 대응하는 범위에 형성되는 제 1 절연층에, 상기 가동 접점의 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범위에 형성되는 제 2 절연층을 중첩하여 인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절연층과 제 2 절연층을 나누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의 단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한 절연층을 보다 간단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와, 상기 가동 접점과 분리/접촉하는 고정 접점을 갖는 회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에 의해 스위치를 구성하며, 그 스위치 상을 상기 EL 시트로 조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당해 입력 장치에서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조작자에게 양호한 조작 감촉을 주면서, 가동 접점과 EL 시트의 접촉에 수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이하, 간단하게 「접점 시트」라고 한다; 100) 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 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가 입력 장치에 적용된 경우의 구성 요소 (후술하는 입력 장치의 회로 기판 등) 에 대해서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L 시트 (101) 의 하방에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 접점 (102) 이 배치되고, 이 가동 접점 (102) 의 하방 영역에 회로 기판 (103) 에 형성된 고정 접점 (120; 코먼 접점 (120a), 중앙 접점 (120b)) 이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점 (102) 에는, 조작자의 가압 조작에 따라 반전 가능하게 구성된 금속제의 판 스프링이 사용된다. 판 스프링은, 예를 들어, 둥근 볼 돔 형상이나, 측면이 노칭된 가늘고 긴 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 근방에서, 도 1 에 나타내는 상방측으로 부풀어오른 팽출부를 가지고 있다. 조작자의 가압 조작에 따라 당해 팽출부가 도 1 에 나타내는 하방측으로 탄성 변형됨과 함께, 가압 조작의 해제에 따라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상방측으로 탄성 복귀함으로써 반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가동 접점 (102) 은, 그 팽출부의 상단부에서 EL 시트 (101) 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EL 시트 (101) 의 점착층 (115) 에 의해 가동 접점 (102) 이 유지되고 있다. 이로써, EL 시트 (101) 에 가동 접점 (102) 을 부착시키는 구성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저렴하게 EL 시트 (101) 에 가동 접점 (102) 을 부착할 수 있게 된다.
EL 시트 (101) 에서는, PET 등으로 이루어진 플렉서블하고 투명한 필름 기재 (107) 의 하방에 ITO (Indium Tin 0xide)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전극 (108)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 전극 (108) 의 하방에 형광층 (109) 및 유전층 (110) 이 형성되고, 이 유전층 (110) 의 하방에 카본 등으로 이루어진 하부 전극 (111) 이 형성되어 있다. EL 시트 (101) 에서는, 상부 전극 (108) 및 하부 전극 (111) 을 통하여 형광층 (109) 에 포함되는 형광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하부 전극 (111) 의 하방에는, 상기 기술한 교류 전압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절연층 (112), 실드층 (113), 그리고, 제 1 절연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층 (114)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연층 (114) 의 하방에 점착층 (115)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에서는, 이 점착층 (115) 에 의해 가동 접점 (102) 의 상단부가 유지된다. 또한, 도 1 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접점 시트 (100) 는 회로 기판 (103) 상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 (102) 의 팽출부 형상을 따라 휘어져 있으며, 코먼 접점 (120a) 과 맞닿는 가동 접점 (102) 의 단부의 외주 부근에서, 점착층 (115) 이 회로 기판 (103) 에 점착되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 (102) 의 팽출부의 내면이 중앙 접점 (120b) 과 접촉/분리 가능하도록 대향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에서는, 절연층 (114) 에서의 가동 접점 (102) 의 단부 (가동 접점 (102) 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외형을 구성하는 단부, 이하에서는, 「주연부」라고 한다) 에 대응하는 범위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층 (114) 의 하방측으로서, 가동 접점 (102) 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범위에, 제 2 절연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층 (116) 을 형성하고 있다. 절연층 (116) 은, 가동 접점 (102) 의 주연부에 절단 버 (117) 가 발생한 경우에, 당해 절단 버 (117) 의 선단이 점착층 (115) 및 절연층 (114) 을 관통하여 하부 전극 (113) 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에서, EL 시트 (101) 를 구성하는 각층 (필름 기재 (107), 상부 전극 (108) 및 형광층 (109) 등) 은 인쇄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에서는, 필름 기재 (107) 가 형성된 후, 이것에 이어서 상부 전극 (108), 형광층 (109), 유전층 (110), 하부 전극 (111), 절연층 (112), 실드층 (113), 절연층 (114) 및 점착층 (115) 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절연층 (116) 은 절연층 (114) 이 형성된 후, 당해 절연층 (114) 의 소정 위치에 가동 접점 (102) 의 주연부에 대응시켜 평면에서 보아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절연층 (116) 을 포함하는 절연층 (114) 전체에 점착층 (115) 이 형성된다. 또한, 절연층 (116) 은 가동 접점의 주연부의 전체 둘레에 대응시켜, 평면에서 보아 내측을 비운 닫힌 고리 형상이 되도록 연속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금속 판재에 연결바에 의해 접속된 가동 접점 (102) 을 복수 형성하고, 연결바로부터 분단하여 개별 가동 접점 (102) 을 연속 가공하는 것에 있어서는, 절단 버 (117) 가 연결바와의 절단부에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점착층 (115) 에 대한 접착시에 있어서, 이 연결바와의 절단부가 대향하는 위치에 부분적으로 절연층 (116) 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EL 시트 (101) 를 구성하는 각 층을 인쇄 처리로 형성함으로써, 가동 접점 (102) 의 주연부 근방에 대응하는 범위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한 절연층 (114, 116) 을 간단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절연층 (114) 을 형성한 후에, 이 절연층 (114) 에 절연층 (116) 을 중첩하여 인쇄함으로써, 절연층 (114) 과 절연층 (116) 을 나누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 (102) 의 단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한 절연층을 보다 간단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에 의하면, 절단 버 (117) 가 발생되기 쉬운 가동 접점 (102) 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범위에 절연층 (116) 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절단 버 (117) 의 선단이 하부 전극 (113) 에 도달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가동 접점 (102) 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범위에만 절연층 (116) 을 형성하고 있어, 절연층 (114) 전체를 두껍게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EL 시트 (101) 를 얇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양 호한 조작 감촉을 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의 상면도 (동일 도면(a)) 및 하면도 (동일 도면 (b)) 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는,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방형 형상을 갖는 조작면부 (201) 를 가짐과 함께,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하단부 중앙에 EL 시트 (101) 에 대한 전원 공급을 하기 위한 단자부 (202) 를 갖는다. 조작면부 (201) 의 소정 위치에는 복수의 조작키부 (203) 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102) 은, 예를 들어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연부가 평면에서 보아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조작키부 (203) 의 이면측에 유지 된다. 또한, 가동 접점 (102) 의 주연부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을 원형 형상의 일부를 노칭한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직사각형 형상이나, 십자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접점 시트 (100) 가 휴대 전화의 조작부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조작키부 (203) 는, 기능키 (Function Key) 나 숫자키 등의 조작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에서는, EL 시트 (101) 의 전체면이 발광한다. 그러나, EL 시트 (101) 의 발광 형태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택된 조작키 (203) 의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EL 시트 (101) 를 발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에는,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L 시트 (101) 의 조작키부 (203) 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절연층 (116) 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 (116) 을 덮는 점착층 (115) 은 회로 기판 (103) 에 부착되는 면에 도트 형상 또는 직선 형상으로 요철부 (도시하지 않음)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장착시에 회로 기판 (103) 과의 사이에 통기 홈을 구성할 수 있으며, 조작시에 가동 접점 (102) 이 반전되었을 때에 압출된 내부의 공기를 퇴피시킴으로써, 조작자가 양호한 가압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가 갖는 EL 시트 (101) 의 구성에 대하여 도 3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가 갖는 EL 시트 (101)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고, 도 3(b)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가 갖는 EL 시트 (101) 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또한,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L 시트 (101) 의 상면의 구성은, 도 2 에 나타내는 접점 시트 (100) 상면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3(b) 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점착층 (115) 을 생략함과 함께, 절연층 (116) 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L 시트 (101) 의 하면에는, 일면에 절연층 (114) 이 형성되고, 이 절연층 (114) 의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전면측에 평면에서 보아 내측을 비운 닫힌 고리 형상의 절연층 (116) 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 (116) 은 조작키부 (203) 에 대응하는 위치, 바꿔 말하면, 가동 접점 (102) 에 대 응하는 위치에 그 주연부에 대응시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절연층 (116) 은, 가동 접점 (102) 에서의 절단 버 (117) 가 발생할 수 있는 범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절연층 (116) 을 내측을 비운 닫힌 고리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가동 접점 (102) 의 주연부의 전체 범위에 대응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 (102) 의 주연부의 어떠한 위치에 절단 버 (117) 가 발생한 경우라도, 당해 절단 버 (117) 의 선단이 하부 전극 (113) 에 도달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 가동 접점 (102) 의 주연부의 전체 범위에 대응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 (102) 에서의 절단 버 (117) 의 발생 위치를 신경쓰지 않고, 당해 가동 접점 (102) 을 EL 시트 (101) 에 유지시킬 때의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 (102) 를 부착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을 적용한 입력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를 적용한 입력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입력 장치는, 휴대 전화나 텔레비젼의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조작부에 사용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는, 입력 장치의 케이스 (401) 내에 배치된 회로 기판 (103) 에 부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점 시트 (100) 는 점착층 (115) 에 의해, 회로 기판 (103) 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때, 접점 시트 (100) 는, 개구부 (106) 내의 가동 접점 (102) 이 회로 기판 (103) 상의 고정 접점 (120) 에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회로 기판 (103) 에 접착할 수 있다.
케이스 (401) 의 표면에는, 조작자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키 (402)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키 (402) 는 EL 시트 (101) 의 조작키부 (203)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조작키 (402) 의 하단부는, 회로 기판 (103)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단부가 조작키부 (203) 에 도달하고 있다. 조작자에 의한 가압 조작을 조작키 (402) 가 받으면, 이에 따라 조작키부 (203) 가 눌려 내려간다. 이로써, 가동 접점 (102) 이 반전되어 클릭 감촉을 발생시킴과 함께, 회로 기판 (103) 상의 중앙 고정 접점 (120b) 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눌려 내려가면, 스위치가 온으로 전환되어 외부로 신호가 출력된다. 또, 통전된 EL 시트 (101) 가 발광함으로써 가동 접점 (102) 상의 조작키 (402) 가 조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에서는, EL 시트 (101) 에서, 가동 접점 (102) 의 단부에 대응하는 범위의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가동 접점 (102) 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판 스프링을 제조할 때에, 그 단부에 절단 버 (117) 가 발생한 경우에서도, 당해 절단 버 (117) 가 하부 전극 (113) 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 (102) 과 EL 시트 (101) 의 접촉에 수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가동 접점 (102) 의 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범위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하고 있어, 절연층 (114) 의 전체를 두껍게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EL 시트 (101) 을 얇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자에게 양호한 조작 감촉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크기나 형상 등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에서는, EL 시트 (101) 가 갖는 점착층 (115) 으로 가동 접점 (102) 을 유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가동 접점 (102) 을 유지하는 수법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EL 시트 (101) 와 회로 기판 (103) 사이에 가동 접점 (102) 을 수용하는 수용 구멍을 형성한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밀폐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변경한 경우에도, 가동 접점 (102) 의 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범위의 절연층을 부분적으로 두껍게 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접점 시트 (100) 에서는, 가동 접점 (102) 이 원 형상을 갖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는데, 가동 접점 (102) 의 형상에 대해서도,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가동 접점 (102) 이 어떠한 형상을 가졌다고 해도, 절단 버가 발생되기 쉬운 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범위에 절연층 (116) 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 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자에게 양호한 조작 감촉을 주면서, 가동 접점과 EL 시트의 접촉에 수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조작자의 가압 조작에 따라 반전 가능한 팽출부를 갖는 금속제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가동 접점과, 전극을 갖고 당해 전극과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절연층을 가지며 상기 가동 접점 상에 배치되는 EL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층에서의 상기 가동 접점의 단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L 시트는, 상기 절연층에 적층되는 점착층에 의해 상기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의 단부에 대응하는 범위에서의 절연층을 상기 EL 시트의 평면에서 보아 내측을 비운 닫힌 고리 형상으로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을 인쇄 처리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대응하는 범위에 형성되는 제 1 절연층에, 상기 가동 접점의 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범위에 형성되는 제 2 절연층을 중첩하여 인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L 시트는 투명한 필름 기재에 상부 전극과, 형광층과, 유전층과, 하부 전극을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층을 상기 하부 전극의 하방에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7.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와, 상기 가동 접점과 분리/접촉하는 고정 접점을 갖는 회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에 의해 스위치를 구성하고, 그 스위치 상을 상기 EL 시트에 의해 조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8. 제 3 항에 기재된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와, 상기 가동 접점과 분리/접촉하는 고정 접점을 갖는 회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에 의해 스위치를 구성하고, 그 스위치 상을 상기 EL 시트에 의해 조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KR1020070021521A 2006-03-06 2007-03-05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입력 장치 KR100863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9555A JP2007242274A (ja) 2006-03-06 2006-03-06 照光機能付き接点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JP-P-2006-00059555 2006-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556A KR20070091556A (ko) 2007-09-11
KR100863175B1 true KR100863175B1 (ko) 2008-10-13

Family

ID=3858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521A KR100863175B1 (ko) 2006-03-06 2007-03-05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242274A (ko)
KR (1) KR100863175B1 (ko)
CN (1) CN1010346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2379A (ja) * 2010-04-13 2011-11-04 Alps Electric Co Ltd 導光シート、接点ばね付きシート及びスイッ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435A (ko) * 1999-03-12 2000-11-25 가쯔미 야마무라 조광식 스위치
JP2005150034A (ja) 2003-11-19 2005-06-09 Mitsum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ユニット
KR20050112065A (ko) * 2005-10-07 2005-11-29 한국성전(주) 휴대용 기기를 위한 슬림화된 이엘 키패드
JP2005353412A (ja) 2004-06-10 2005-12-22 Alps Electric Co Ltd 板バネ付シート、及びこの板バネ付シートを使用した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435A (ko) * 1999-03-12 2000-11-25 가쯔미 야마무라 조광식 스위치
JP2005150034A (ja) 2003-11-19 2005-06-09 Mitsum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ユニット
JP2005353412A (ja) 2004-06-10 2005-12-22 Alps Electric Co Ltd 板バネ付シート、及びこの板バネ付シートを使用したスイッチ装置
KR20050112065A (ko) * 2005-10-07 2005-11-29 한국성전(주) 휴대용 기기를 위한 슬림화된 이엘 키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556A (ko) 2007-09-11
CN101034637A (zh) 2007-09-12
JP2007242274A (ja)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9458Y1 (ko) 조광식 스위치
EP2709134A1 (en) Two-stage switch
TWI277110B (en) Lighting type push-button switch
KR20050048457A (ko) 스위치 유닛
JP2003536213A (ja) 照明付きスイッチ素子
US20100038225A1 (en) Illumination Type Key Sheet and Illumination Type Key
JP3212621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ライト及びそのシールド構造
US7705256B2 (en) Thin key sheet
US20060042923A1 (en) Hyper thin tactile keyboard assembly
KR20060116146A (ko) El조광식 스위치
KR100863175B1 (ko) 조광 기능 부가 접점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입력 장치
JP4342880B2 (ja) キー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67114A (ja) 照光装置
JP2005353412A (ja) 板バネ付シート、及びこの板バネ付シートを使用したスイッチ装置
JP2007012285A (ja) 可動接点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05483B1 (ko) 발광 키패드
JP4584046B2 (ja) キーパッド
JP2007194092A (ja) メンブレンシート及びスイッチ装置
KR200426230Y1 (ko) 발광 키패드
KR100830542B1 (ko) 발광 키패드용 이엘(el) 디바이스
KR100472000B1 (ko) 박막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737763B1 (ko) 발광 키패드
JP4944447B2 (ja) 操作パネル
KR200426232Y1 (ko) 발광 키패드용 이엘(el) 디바이스
JP4012400B2 (ja) スイッチ用の可動部材、および前記可動部材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