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027B1 -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027B1
KR100862027B1 KR1020070029878A KR20070029878A KR100862027B1 KR 100862027 B1 KR100862027 B1 KR 100862027B1 KR 1020070029878 A KR1020070029878 A KR 1020070029878A KR 20070029878 A KR20070029878 A KR 20070029878A KR 100862027 B1 KR100862027 B1 KR 100862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inlet
outlet
val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523A (ko
Inventor
전호병
Original Assignee
전호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호병 filed Critical 전호병
Priority to KR1020070029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027B1/ko
Publication of KR2008008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6Energy recove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용제 회수기와, 상기 용제 회수기 유입부에 연결되며 분기관이 구비된 연결관과, 상기 분기관이 분기되는 분기점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는 모터에 의해서 유로가 변경되어, 물세탁시에는 바로 배출시키고 드라이세탁시에는 용제회수기를 거치도록 하는 동시에 모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유로 변경이 가능한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밸브, 용제, 세탁, 회수, 모터

Description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The recovery machine assembl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도 1은 종래의 솔벤트 회수기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제 회수기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섬유필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섬유필터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섬유필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필터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밸브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제 회수기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회수기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건조기 210 : 응축기
220 : 압축기 230 : 증발기
231 : 냉매 유입관 232 : 냉매 유출관
240 : 팽창기 250 : 필터드라이어
260 : 회수기 261 : 보조 회수부
262 : 절곡부 263 : 필터
264 : 미스트분사기 265 : 배수구
270 : 수냉관
300 : 연결관 310 : 분기관
400 : 섬유필터 410 : 관부
411 : 확관부 412 : 가이드블레이드
413 : 굴곡부 414 : 경사면
415 : 유입구 420 : 바닥부
421, 422 : 배수구 430 : 유출구
431, 432 : 필터부 440 : 이음관
441, 441' : 외측관 442 : 절곡부
443, 443' : 내측관 451 : 스프링
452 : 플런저 453 : 외통
454 : 트랩 460 : 유수분리기
461 : 배출구 500 : 밸브
510 : 입구 520 : 제1출구
530 : 제2출구 540 : 모터
541 : 감속기
543 : 조절판 544 : 삽입공
545 : 걸림공
한국등록실용 제416095호
본 발명은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용제 회수기와, 상기 용제 회수기 유입부에 연결되며 분기관이 구비된 연결관과, 상기 분기관이 분기되는 분기점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는 모터에 의해서 유로가 변경되어, 물세탁시에는 바로 배출시키고 드라이세탁시에는 용제회수기를 거치도록 하는 동시에 모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유로 변경이 가능한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물 건조기용 솔벤트 회수기는 한국등록실용 제416095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솔벤트 회수기(20)는 도입구(21)와 흡출기(22), 케이싱(23), 냉각기(24), 예열기(25), 유수분리기(26)를 구비하면서도 종래의 캐비닛형에 비해 비교될 정도로 소형이다.
도입구(21)는 케이싱(23)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건조기로부터 유입되는 배출공기의 확산을 유도해 냉각실(23a)로의 유입을 촉진하고, 동시에 거기에 일시적으 로 머무는 동안 조금이라도 온도가 떨어지도록 유도하여 흡출기(22)에 의한 배풍이 순탄하게 이뤄지도록 하는 것으로, 건조기의 배출가스 덕트의 말단이 연결되는 배출가스 유입구(21a)와 흡출기(22)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배출가스 유출구(21b)를 가졌다. 도입구(21)의 평면적은 건조기의 배출구에 연결된 배출덕트의 단면적보다 도 훨씬 크게 형성하여 배출공기가 유입되는 즉시 확산되어 밀도가 낮아지고 온도도 떨어질 수 있게 한다.
흡출기(22)는 도입구(21)로 들어와 체류하고 있는 배출가스를 뽑아내 케이싱(23)의 냉각실로 불어넣어주는 것으로, 전동식이며, 유입구는 상기 배출가스 유출구(21b)에 연결되고 토출구는 케이싱(23)의 냉각실측 입구와 연결된다.
케이싱(23)은 내부를 칸막이(23c)로 나누어 냉각실(23a)과 예열실로 하되, 칸막이(23c)의 후단을 틔운 통로(23d)를 둬 냉각실(23a)의 찬 공기가 예열실로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냉각실(23a)의 앞벽에 주어진 유입구(23e)는 상기 흡출기(22)의 토출구에 연결되고, 예열실의 뒷벽에 주어진 배기구(23f)는 별도의 덕트나 호스를 통해 세탁물 건조기의 환수구에 연결된다. 냉각실(23a)의 바닥은 칸막이(23c) 쪽으로 낮아지게 경사를 둬 응축돼 떨어지는 솔벤트 함유 응결수가 한쪽으로 모이게 하고, 바닥에서 가장 낮은 곳에는 솔벤트 함유 응결수가 빠져나가는 배유구(23g)를 둔다.
냉각기(24)는 냉각실(23a)로 유입되는 고온의 배출가스를 냉각하여 솔벤트와 수분을 응축시키는 것이고, 예열기(25)는 냉각실(23a)에서 솔벤트 함유 수분이 회수된 공기를 세탁물 건조기의 내부 온도 수준으로 예열하는 것이다.
유수분리기(26)는 냉각실(23a)의 배유구(23g)를 거쳐 유입되는 솔벤트 함유 응결수를 받아서 물보다 비중이 작아 수면쪽으로 부상하는 솔벤트는 솔벤트 배출구(26a)로 배출시키고 물은 배수구(26b)로 배수시키는 것으로, 솔벤트 회수기분야에서 공지된 것과 동형이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부호 (27)은 솔벤트 회수기(20)의 내부를 점검할 때 및 유수분리기(26)로부터 회수된 솔벤트를 수거할 때 등에 이용하는 여닫이문, (28)은 배출가스용 압력계를 표시한다.
건조기 내에서 솔벤트와 열풍에 의해 세탁물이 건조될 때 솔벤트는 휘발되고 내부공기는 고온다습해진다. 내부공기는 건조기 밖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내부공기를 배출공기라고 한다. 이 배출공기는 건조기의 배출구에 연결된 도시하지 아니한 배출덕트와 유입구(21a)를 거쳐 도입구(21)로 들어간다. 배출공기가 도입구(21)로 유입되면서 확산되므로 밀도가 낮아지고 온도도 다소 떨어진다.
그 배출공기는 흡출기(22)에 의하여 강제로 냉각실(23a)로 보내진다. 배출공기가 냉각실(23a)을 돌아나가면서 냉각기(24)에 의해 냉각되면서 솔벤트는 응축되고 수분은 응축된다. 응축되는 솔벤트와 응결수는 냉각실(23a)의 바닥으로 떨어져 배유구(23g)로 흘러나간다. 배유구(23g)로 배출되는 솔벤트 함유 응결수는 유수분리기(26)로 보내져 솔벤트와 물이 분리된다.
종래의 이러한 회수기는 드라이 전용 세탁기에만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드라이와 물빨래 겸용 세탁기에 설치시에는 물빨래시에도 공기가 회수기를 통과하여 회수기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제 회수기와, 상기 용제 회수기 유입부에 연결되며 분기관이 구비된 연결관과, 상기 분기관이 분기되는 분기점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는 모터에 의해서 유로가 변경되어, 물세탁시에는 바로 배출시키고 드라이세탁시에는 용제회수기를 거치도록 하는 동시에 모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유로 변경이 가능한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는, 용제 회수기와, 상기 용제 회수기 유입부에 연결되며 분기관이 구비된 연결관과, 상기 분기관이 분기되는 분기점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는 모터에 의해서 유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물세탁시에는 바로 배출시키고 드라이세탁시에는 용제회수기를 거치도록 하는 동시에 모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유로 변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모터의 회동축에는 감속기가 설치되어, 작은 전력으로도 용이하게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 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제 회수기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섬유필터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섬유필터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섬유필터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필터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밸브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제 회수기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회수기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는, 용제 회수기와, 상기 용제 회수기 유입부에 연결되며 분기관(310)이 구비된 연결관(300)과, 상기 분기관(310)이 분기되는 분기점에 설치되는 밸브(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용제 회수기는 회수부(260)와, 응축기(210)와, 상기 응축기(210)에 연결되는 팽창기(240)와, 상기 팽창기(240)에 연결되어 상기 회수부(260)를 냉각시키는 증발기(230)와, 상기 증발기(230)에 연결되는 압축기(220)와, 상기 증발기(230)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응축기(210)를 냉각시키는 수냉관(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용제 회수기는 지지프레임(280)이 구비되어 모듈화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80)은 직사각형상의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분할프레임을 포함한다.
회수부(260)는 유입되는 공기를 응축시켜 공기에 포함된 유기 용제를 회수한다.
회수부(26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프레임(280)의 분할프레임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분할프레임에 의해 회수부(260)와 냉각장치부(응축기, 압축기 등)가 분할된다.
회수부(260) 일측에는 유입부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출부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회수부(260) 유출부에는 보조 회수부(261)가 설치된다.
보조 회수부(261)는 증발기(230)에 의해 응축되지 않은 용제를 이중으로 회수한다.
보조 회수부(261)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류측에 상향절곡되는 절곡부(262)가 형성된다.
보조 회수부(261) 하부에는 보조 회수부(261) 내측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스트분사기(264)가 설치된다.
절곡부(262) 상단에는 판형상의 분리막(263)이 설치된다. 분리막(263)은 공기는 통과되고 미스트는 통과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분리막(263)은 두개의 판으로 구비되며, 두개의 판은 절곡 부(262) 내벽에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두개의 판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두개의 판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공기는 통과하게 되고 미스트는 솔벤트와 함께 두개의 판에 의해 막혀서 낙하되어 배출되지 않게 된다.
미스트분사기(264)와 분리막(263) 사이에 배치되도록 보조 회수부(261) 하부에는 배수구(265)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보조 회수부(261)로 유입되는 공기와 미스트가 혼합되어 공기에 포함된 솔벤트는 미스트와 함께 보조 회수부(261) 내벽을 따라 자유낙하되어 배수구(265)로 배출된다.
여기서, 미스트는 분리막(263)으로 인해 보조 회수부(261)를 빠져나가지 못하고 배수구(265)로 배출된다.
응축기(210)는 냉매를 응축시키며, 팽창기(240)에 연결된다.
응축기(210)는 이중관식 또는 판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이중관식 응축기는 한국등록실용 제376303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이를 참고하기로 한다.
상기 판형 응축기는 한국공개특허 제1999-026939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이를 참고하기로 한다.
팽창기(240)는 모세관 또는 열팽창밸브(Thermal expansion valve) 등으로 구비되며, 두개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팽창기(240)와 응축기(210) 사이에는 필터드라이어(250)가 설치된다.
필터드라이어(250)는 한개가 구비되어, 두개의 팽창기(240)에 연결되는 관이 필터드라이어(250) 전단에서 합류된다.
증발기(230)는 상기 팽창기(240)에 연결되어 상기 회수부(260)를 냉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증발기(230)는 회수부(260) 내부에 배치된다.
증발기(230)는 라디에이터 형상으로 두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팽창기(240)에 냉매 유입관(231)을 통해 연결된다.
두개의 증발기(230)에는 각각 냉매 유출관(232)이 연결되고 두개의 냉매 유출관(232)은 합류되어 압축기(220)에 연결된다. 즉, 압축기(220)는 상기 증발기(230)에 연결된다.
수냉관(270)은 상기 증발기(230)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응축기(210)를 냉각시킨다.
수냉관(270) 일단은 증발기(230)에 근접하고, 타단은 응축기(210)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냉관(270)을 일단은 회수부(260)를 관통하여 증발기(23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수냉관(270)의 일부가 회수부(260) 내부에 배치된다.
수냉관(270)에는 회수부(260)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수냉관(270) 내부의 물과 증발기(230) 사이에 열교환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수냉관(270)에는 펌프와 물탱크를 구비하여 냉각수의 흐름이 원활하 도록 한다.
한편, 관내의 기체는 유속을 떨어뜨려 냉각능을 저하시키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수냉관(270) 중간에 배치된 저수조를 통해 수냉관(270)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기액 분리기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용제 회수기는 용제를 회수하는 증발기(230)의 남은 열을 이용하여 냉각된 수냉관(270)의 냉각수에 의해 응축기(210)가 냉각되어, 세탁소와 같이 부유하는 섬유 및 미세먼지 등이 많은 장소에서 사용되더라도 냉각팬을 사용하지 않아 먼지가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냉각팬으로 인해 먼지 등이 세탁소 내부에서 더욱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며, 증발기(230)의 남은 열을 이용해 응축기(210)를 냉각하여 에너지 사용효율도 높일 수 있으며, 팬으로 인한 소음이 없어지게 된다.
연결관(300)은 회수부(260) 유입부에 연결되며 분기관(310)이 구비된다.
연결관(300)의 끝단에는 물세탁 및 드라이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건조기(100)가 설치된다.
밸브(500)는 상기 분기관(310)이 분기되는 분기점에 설치되어, 건조기(100)와 회수부(260)를 연결하거나 건조기(100)와 분기관(310)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밸브(500)가 구비되어, 건조기(100)로 물세탁물 건조시에는 유출되는 공기에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분기관(310)을 통해 바로 배출시키며, 건조기(100)로 드라이세탁물 건조시에는 유출되는 공기에 솔벤트와 같은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용제 회수기를 거쳐 배출시킨다. 따라서, 드라 이세탁물 건조시에만 상기 용제 회수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밸브(500)는 모터(540)에 의해서 유로를 자동으로 변경시킨다.
밸브(500)는 밸브하우징에 건조기(100) 측에 연결되는 입구(510)와, 입구(510)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분기관(310)에 연결되는 제1출구(520)와, 입구(520)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회수부(260) 측에 연결되는 제2출구(530)가 형성된다.
입구(510), 제1출구(520), 제2출구(530) 끝단에는 플랜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밸브하우징 내부에는 사각판형상의 조절판(543)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절판(543) 일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원형상의 삽입공(544)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삽입공(544)에 연통되도록 장공형상의 걸림공(54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공(545)이 형성되어, 조절판(543)과 모터(540)의 회동축이 축이음 된다.
상기 밸브하우징 내벽에는 입구(510) 양측에 배치되도록 조절판(543)이 안착되는 안착홈(501)이 각각 형성된다.
안착홈(501)에는 조절판(543)의 끝단과 마주보는 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회동되는 조절판(543)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모터(540)는 상기 밸브하우징에서 제1출구(520)와 제2출구(530)를 연결하는 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모터(540)는 상기 밸브하우징 외측면 상부에 설치되며, 회동축에 감속기(541)가 설치된다.
감속기(541)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밸브하우징 상부에는 모터(540) 양측에 배치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돌기에 모터(540) 양측이 고정되며, 돌기로 인해 모터(540)는 상기 밸브하우징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모터(540)와 상기 밸브하우징 사이에 감속기(541)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감속기(541)로 인해, 모터(540)의 회동축이 고속으로 회동되더라도 감속기(541)에 의해 속도는 감속되고 힘은 커지게 되어 조절판(543)을 작은 전력으로도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섬유필터(400)는 밸브(500)와 회수부(260)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에 유입구(415)가 형성된 관부(410)와, 상기 관부(410)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관부(410) 하부인 유입구(415) 하부에는 유입구(415)의 단면적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확관부(411)가 형성된다.
확관부(411)와 유입구(415)는 하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경사면(414)에 의해 연결된다.
유입구(415)의 내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가이드블레이드(412)가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다수개의 가이드블레이드(412)가 서로 이격되게 원주방향을 따 라 설치된다.
가이드블레이드(412)는 기울기가 30˚~60˚가 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가이드블레이드(412) 하단 모서리 부분에는 굴곡부(413)를 형성하여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블레이드(412)로 인해 유입구(415)로 유입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확관부(411)로 안내하는 동시에 난류가 더욱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바닥부(420)에는 유출구(430)가 설치되어 유출구(430)는 확관부(411) 내부에 배치된다.
바닥부(420)에는 유출구(430) 내부에 배치되도록 배수구(422)가 형성되고, 유출구(430) 외측에 배치되도록 배수구(4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수구(421, 422)로 인해 바닥부(420)에 모인 솔벤트가 포함된 응축수가 배출된다.
유출구(43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부(420)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는 스크린 필터와 같은 필터부(431, 432)가 설치된다.
필터부(431, 432)는 SUS 80~200mesh(clear opening: 0.175~0.074mm)로 구비되어 유출구(430)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유출구(430) 상단에도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필터부(431, 432)가 설치되어 사방에서 방향성 없이 난류를 따라 부유하는 길이가 긴 섬유와 같은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걸러진다. 또한, 필터 부(432)는 상단에도 형성되어 공기가 외측면의 필터부(431)를 통과한 후 상단의 필터부(432)를 통과하여 이중으로 걸러주는 효과가 있다.
필터(400)는 유입구(415)에 연결되는 이음관(4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음관(440)은 외측관(441)과 상기 외측관(441) 내부에 배치되는 내측관(443)을 포함한다.
외측관(441)에는 유입구(415)에 연결되는 절곡부(442)가 형성된다.
내측관(443)은 외측관(441)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며, 절곡부(442)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내측관(443) 출구측은 절곡부(442)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내측관(443')에 절곡부를 형성하고 외측관(441')은 직선관으로 형성할 수 있다.
내측관(443)은 절곡부(442)보다 돌출되도록 더 길게 형성되어, 내측관(443) 입구측은 유출구(430)에 연결된다.
이음관(440)의 입구측은 연결관(300)에 연결되고, 내측관(443) 출구측은 회수부(260) 유입구에 연결된다.
이러한 이음관(440)으로 인해, 필터링 과정에서 생성되는 솔벤트가 포함된 응축액은 바닥부(420)로 모이게 되고,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내측관(443)을 통해 배출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바닥부(420)의 배수구(421)에 필터(40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개폐수단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바닥부(420) 하부에는 두개의 배수구(421, 422)에 연통되는 제2배수구(455)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플런저(451)와 플런저(451) 내부에 배치되어 플런저(451)를 복귀시키는 스프링(451)과 플런저(451)와 스프링(451) 사이에 배치되는 외통(453)을 포함한다.
플런저(451)는 배수구(42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외통(453)은 제2배수구(455)에 설치되며, 외통(453) 상단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외통(453) 및 플런저(451) 외주면에는 솔벤트가 함유된 응축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배수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수단은 필터(400)로 들어오는 공기로 인한 압력이 스프링(451)의 탄성력보다 클때에는 플런저(451)가 눌려져서 배수구(421)를 자동으로 막게 되고, 필터(4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을 때에는, 즉, 필터(4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스프링(451)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451)의 위치는 복귀되어 배수구(421)는 열려서 응축액이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개폐수단으로 인해 별도의 동력 없이도 상기 개폐수단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필터(400) 사용시에는 상기 개폐수단이 배수구(421)를 닫아 압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배수구(455)에는 배출되는 응축액을 분리하기 위한 유수분리기(460)가 연결된다.
필터(400)로 들어오는 공기의 압력(P)이 필터(400)의 제2배수구(455)와 유수분리기(460)의 인입구(462) 사이의 높이차에 의한 액체의 무게에 의한 압력(P')보다 크도록 인입구(462)를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필터(400)로 들어오는 공기의 압력(P)가 없을 때에 액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배수구(455)와 인입구(462) 사이에는 트랩(45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트랩(454)으로 인해 트랩(454) 내부에는 응축액이 남아있게 되고, 이러한 남아 있는 응축액으로 인해 제2배수구(455)에 연결된 관이 완전히 막힘으로써 필터(400)의 압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유수분리기(460)의 상부에는 필터(400)로부터 이송된 공기를 회수부(260)로 되돌려 보내기 위해 배출구(461)를 형성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밸브(500)는 건조기(100)에서 물세탁물 건조시에는 모터(540)가 작동되어 조절판(543)이 회동되어 입구(510)와 제1출구(520)가 연통되어 분기관(310)으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드라이 세탁물의 건조시에는 모터(540)가 작동되어 조절판(543)이 반대로 회동되어 입구(510)와 제2출구(520)가 연통되어 공기가 회수부(260) 측으로 공기가 이동된다.
제2출구(520)를 통과한 공기는 연결관(300)을 통해 이송되어 이음관(440)의 외측관(441)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필터(400)의 관부(410)로 이송된 후 확관부(411)로 유입되면서 난류가 형성되게 되며, 난류를 따라 움직이는 섬유와 같은 이물질은 필터부(431, 432)에 의해 필터링 된 후 내측관(443)을 통해 회수부(260)로 유입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400)가 회수기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필터(400)는 섬유를 필터링하는 다양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회수부(260)로 유입된 고온의 배출가스는 증발기(230)에 의해 응축되어 솔벤트 등의 용제가 회수되게 되며, 회수부(260)의 유출부에 보조 회수부(261)를 통과하면서 이중으로 회수된다.
여기서, 증발기(230)에 의해 회수부(260) 내부의 공기가 냉각되게 되고, 이러한 냉각된 공기로 인해 열교환기가 냉각됨으로써, 수냉관(270)의 물은 냉각되어 응축기(210)를 냉각시킨다.
응축기(210)를 냉각시킨 냉각수는 다시 상기 열교환기로 이송되어 증발기(230)에 의해 냉각된다.
이와 같이 회수부(260)를 통과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용제 회수기와, 상기 용제 회수기 유입부에 연결되며 분기관이 구비된 연결관과, 상기 분기관이 분기되는 분기점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는 모터에 의해서 유로가 변경되어, 물세탁시에는 바로 배출시키고 드라이세탁시에는 용제회수기를 거치도록 하는 동시에 모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유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의 회동축에는 감속기가 설치되어, 작은 전력으로도 용이하게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Claims (2)

  1. 용제 회수기;
    상기 용제 회수기 유입부에 연결되며 분기관이 구비된 연결관;
    상기 분기관이 분기되는 분기점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는 모터에 의해서 유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동축에는 감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
KR1020070029878A 2007-03-27 2007-03-27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 KR100862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878A KR100862027B1 (ko) 2007-03-27 2007-03-27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878A KR100862027B1 (ko) 2007-03-27 2007-03-27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523A KR20080087523A (ko) 2008-10-01
KR100862027B1 true KR100862027B1 (ko) 2008-10-07

Family

ID=4015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878A KR100862027B1 (ko) 2007-03-27 2007-03-27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059B1 (ko) * 2012-05-29 2013-12-03 주식회사 엠엠테크 공정액체 분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294A (ko) * 1999-10-15 2001-05-07 서연환 세탁장치
KR200342370Y1 (ko) 2003-11-24 2004-02-18 이태희 산업용 세탁기의 밸브장치
KR200425501Y1 (ko) 2006-06-07 2006-09-13 정홍덕 다용도 분배장치를 겸비한 용제회수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294A (ko) * 1999-10-15 2001-05-07 서연환 세탁장치
KR200342370Y1 (ko) 2003-11-24 2004-02-18 이태희 산업용 세탁기의 밸브장치
KR200425501Y1 (ko) 2006-06-07 2006-09-13 정홍덕 다용도 분배장치를 겸비한 용제회수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059B1 (ko) * 2012-05-29 2013-12-03 주식회사 엠엠테크 공정액체 분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523A (ko)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70467B (zh) 衣物干燥机
KR101542389B1 (ko)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CN105780417B (zh) 烘干机
US8266813B2 (en) Exhaust air dryer with heat exchanger
US7866057B2 (en) Domestic appliance for the care of washed articles
KR101695473B1 (ko) 배가스의 폐열회수 및 탈습겸용 장치
CN103370466B (zh) 衣物干燥机
TWI727375B (zh) 除濕機
JP2013543572A (ja) 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
EP2987904A1 (en) Front-loading tumble dryer comprising a heat pump
KR200393864Y1 (ko) 드라이클리닝 용제 회수기
CN114737374A (zh) 一种冷凝装置及衣物处理设备
KR100862027B1 (ko) 용제 회수기 어셈블리
CN205999676U (zh) 热泵干衣机或热泵洗干一体机
KR100879315B1 (ko) 용제 회수기
KR200424284Y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장치
KR20080087521A (ko) 섬유필터
JP2015016186A (ja) 衣類乾燥機
KR100694822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방법 및 장치
TWI801625B (zh) 除濕乾燥單元以及洗衣烘乾機
KR200416095Y1 (ko) 세탁물 건조기용 솔벤트 회수기
CN106087365A (zh) 热泵干衣机或热泵洗干一体机
KR20080046149A (ko) 유증기 회수장치
KR200425501Y1 (ko) 다용도 분배장치를 겸비한 용제회수 건조장치
JP2016137125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